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요양병원 의료사회복지사의 직무실태와 활성화방안

        홍정영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 의료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 정도를 파악하고 의료사회복지의 활성화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 89곳의 노인요양병원을 대상으로 의료사회복지사가 근무하고 있는 노인요양병원 50곳의 의료사회복지사 41명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하여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의료사회복지사의 전체 직무수행 정도를 보면, 행정사무 및 기타 업무가 가장 활발하고 그 다음으로 심리·사회·정신적 문제해결, 경제적 문제해결, 교육 및 연구업무, 지역사회자원과 연결, 사회복귀 및 재활문제 해결 순으로 나타났다. 심리·사회·정신적 문제해결 직무 중 집단 치료 및 집단 활동지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경제적 문제해결 직무 중에서는 사회보장 및 법적제도에 대한 정보제공과 지원업무가 가장 활발히 수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자원과 연결을 위한 직무수행 정도에서는 지역사회기관등 상호의뢰 및 알선 역할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사회복귀 및 재활문제 해결 직무는 전체 직무 실태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퇴원계획 상담은 높게 나타났다. team -approach 직무에서는 사례분석평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육 및 연구를 위한 직무수행 정도에서는 실습지도업무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행정 및 기타 업무에서는 자원봉사자 관리 및 활용지도 업무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의료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 정도를 살펴보면, 사회복귀 및 재활문제 해결 직무에 있어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고, 40대가 20대보다 수행정도가 높고, 2급소지자가 1급소지자보다 더 활발히 수행하고, 학력이 높을 수록 더 활발히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관의 특성에 따른 의료사회복지의 수행 정도를 보면, 의료사회복지사 2명이상인 기관이 1명인 기관보다 직무수행에 있어 더 활발히 수행하고 있었다. 연구결과 노인요양병원에서의 의료사회복지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요양병원에 근무하는 의료사회복지사간의 정보공유가 필요하다. 둘째, 노인요양병원에 근무하기위한 의료사회복지사들에 대한 전문화된 교육과정과 제도의 정착화가 이루어져야겠다. 셋째, 노인환자의 질환별· 욕구중심에 따른 프로그램을 개발·연구하고 이를 수가화하여야겠다. 넷째, 병원내 충분한 의료사회복지사의 인력이 확보되어야겠다. This is a research study aiming to grasp the degree in job performance, and to present the activation plan targeting the medical social-welfare workers who are working for the geriatric hospital. Aiming to achieve this objective, in consequence of surveying, analyzing and considering targeting 41 medical social-welfare workers who are working for the geriatric hospital,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in ter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survey subjects, by gender, women were indicated to be more than men, and as the academic background is more than college graduate, there were many individuals with highly academic career, and most of them were holders with the 1st grade for social-welfare worker. Second, given see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institution, there were most in the institutions that were established from 2001 to 2004, and in most institutions, the medical social-welfare room is independent, and the medical corporations were largest, and the number of sick beds was most from more than 100 to less than 200, and it was most in institutions for which one social-welfare worker is working. Third, among 7 kinds of job duties in medical social welfare, the administrative affairs and other duties are most brisk, and the next was indicated in order of solving the psychological, social and mental problems, solving the economic problem, the duties in education and in research, the connection with community resources, the return to society, and solving rehabilitation problem. Fourth, in terms of the degree in the medical social-welfare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in the survey subjects, the job duties such as the return to society, and solving rehabilitation problem, were indicated to be higher in men than in women, and individuals in their 40s are performing more actively than in their 20s, and the holders with the 2nd grade are performing job duties more briskly than the holders with the 1st grade, and the higher academic background, it was indicated in high order. Fifth, given seeing the degree in the medical social-welfare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in institutions, it could be known that the institution with more than 2 medical social-welfare workers, are being more actively performed in the job duty aiming to solve psychological, social and mental problems, and the job duties aiming to solve the economic problem, and to solve the return to society and the rehabilitation problem, compared to the institution with one medical social-welfare worker. And, based on the research and the analysis on the job-performance degree in the medical social-welfare workers, given putting forward an activation plan for medical social welfare at the geriatric hospital, those are as follows. First, it is required the sharing of information through seminar, workshop, and the compensation education among medical social-welfare workers who are working for the geriatric hospital. Second, it needs to be attained the settlement in the professional curriculum and system, aiming at the medical social-welfare workers for the geriatric hospital. Third, it needs to be developed and researched a program according to the focus on a desire by disease in elderly patients, and to be made it medical fee. This will not only give help to the hospital management, but also have influence upon the establishment of a role for medical social-welfare workers within the hospital. Fourth, it needs to be secured enough manpower of medical social-welfare workers within the geriatric hospital. This is required sufficient manpower not only for diverse progresses of a program, but also for the intervention in each patient.

      • 과부담의료비지출이 미충족의료경험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서비스이용 조절효과 분석

        유지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7

        In Korea, the health insurance system allows the people to receive medical services regardless of their income and ability to pay. However, the health insurance coverage is very low that it is possible for people to pay a substantial amount of copayment. High copayments and excessive medical costs cause a heavy burden on households and can lead to an economic risk. In particular, excessive medical expenditure may cause patients to waver or abandon medical services. Although the national and private foundations are providing various social welfare services to reduce the expenditure for patients' households and receive continuous treatment, there is a significant lack of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these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n unmet healthcare needs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welfare service as social support. This study utilized 10,072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11th Wave (2016). The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was measured using two threshold approach. The unmet healthcare needs have been identified through unmet medical experience because of economic reasons. The use of social welfare services is examined through cost of living, medical support, and product suppor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n unmet healthcare need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welfare service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unmet healthcare needs. This indicates that the greater the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experiencing unmet healthcare needs.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welfare service utiliza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nd unmet healthcare needs. This means that the greater the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the greater the possibility of experiencing unmet healthcare needs. However, when using social welfare services, it is improbable to experience unmet healthcare need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ocial and welfare implications of policy and practice are suggested. First,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public medical expense subsidy to reduce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Second, there is a need to offer Integrated Health and Social Welfare Services of Experts for those with the unmet healthcare needs due to the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Third, there is a need to provide social welfare services to help those with socioeconomic conditions when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is spent thus the social welfare service decreases the unmet healthcare needs. 우리나라는 건강보험제도를 통해 전 국민이 소득과 지불능력과 관계없이 의료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OECD 국가들과 비교하였을 때, 건강보험을 통한 보장성이 낮고 실제로 지불해야 되는 본인부담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본인부담금은 가구에 과중한 부담을 주며, 과도한 의료비용으로 인해 경제적 위험을 겪을 수 있다. 특히 과도한 의료비지출은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의료서비스이용을 망설이거나 포기하게 만들 수 있다. 국가 및 민간재단 등의 기관에서 환자 가구의 과부담의료비지출을 감소시키고 지속적으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다양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와 관련된 효과성 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부담의료비지출이 미충족의료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사회복지서비스이용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2016년 한국복지패널 11차 자료 가구원 10,072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과부담의료비지출은 역치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과부담의료비지출을 측정하였다. 미충족의료경험은 경제적 이유로 인한 미충족의료경험 여부를 확인하였다. 사회복지서비스의 경우 생계비 지원, 의료비 지원, 물품 지원 여부를 확인하였다. 과부담의료비지출과 미충족의료경험의 관계 및 사회복지서비스이용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부담의료비지출이 미충족의료경험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과부담의료비지출이 클수록 미충족의료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과부담의료비지출과 미충족의료경험의 관계에서 사회복지서비스이용의 조절효과가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과부담의료비지출이 미충족의료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실천적 영역의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과도한 의료비지출을 감소시키기 위해 정부에서 시행되는 의료비지원사업의 대상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과부담의료비지출로 인해 미충족의료를 경험하는 대상에게 전문가의 보건·의료·복지의 통합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서비스이용이 과부담의료비지출을 완화시켜 미충족의료를 경험할 가능성을 낮춤에 따라 사회경제적 상황에 도움이 되는 사회복지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 임상간호사의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기대 및 수행정도에 관한 연구 : 경북 서북부 중, 소 병원을 중심으로

        조현정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사의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 기대 및 수행정도를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경북 서북부 지역의 의료사회복지사가 근무하고 있는 중, 소 병원 임상간호사 2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자료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임상간호사의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기대와 역할인식에 비해 수행정도는 낮게 나타났다. 하위 세부 역할 중에서는 경제적 역할에 대한 인식과 기대 및 수행정도가 가장 높았고 선행연구 결과와 달리 심리, 사회, 정신적 역할이 지역사회 자원연결 역할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타 전문직과의 연계 역할은 인식과 기대 및 수행정도 모두 가장 낮았다. 둘째, 의료사회복지 전반에 대한 임상간호사의 인지도는 낮았으며 간호과와의 업무 협조도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의료사회복지제도에 대한 필요성은 매우 높았고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해서는 타 병원과의 정보교류, 자기개발을 위한 노력과 전문성, 정체성 모두 보통정도로 응답한 임상 간호사가 가장 많았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결과는 선행연구 결과와 달리 나이가 젊을수록 역할인식이 높았고 경력이 적을수록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수행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입, 퇴원과 관련된 업무가 많은 입원병동에서 일하는 임상간호사일수록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과 기대가 높았고 요양병원보다 2차병원에서 근무하는 임상간호사가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수행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임상간호사의 의료사회복지 전반에 대한 의견에 따른 결과는 의료사회복지에 대한 인지도가 높을수록, 간호과와의 협력이 잘 될수록, 그리고 다른 병원과의 정보교류가 원활할수록, 해당 병원에서 근무하는 의료 사회복지사가 자기 개발 노력을 하고 전문적이며 정체성을 가질수록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인식과 기대 및 수행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의료사회복지사는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그 역할에 대한 홍보를 통해 임상간호사와 환자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여 복지관련 의뢰를 활성화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의료사회복지실천에 이바지해야 하겠다. (Abstract) The aim of this treatise is to study the medical social worker's role cognition, expectation, and execution degree from clinical nurse's view. Research target area is Kyungpook western-northern area, and target people are 270 clinical nurses in small, middle hospitals.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ings. First, results show us that medical social worker's execution degree was lower than medical social worker's role cognition and expectation from clinical nurse's view, and execution degree was lower than medical social worker's role cognition, expectation. On low and detailed role, role cognition, expectation and execution degree on economical role was highest. Unlike the preceding result, the psychological, social, and mental role are higher than the role of resource connection in local community, and in the role of connection with other professional the role cognition, expectation, and execution degree are lowest. Second, results show us that clinical nurse's cognition about general medical social welfare is low, and the cooperation with nurse department is low. But clinical nurses answer that the necessity of medical social welfare system is very high, and the social worker's informational exchange with other hospital, the endeavor and profession for self-development and identity is higher than medium. Third, general characteristic results show us that unlike preceding results the younger the higher the cognition of role, the shorter the experience the higher the execution degree concerning social worker. And the more the clinical nurses work in hospital treatment related to the admission and the discharge, the higher the expectation and role cognition of social worker. Also, the more the clinical nurses work in second hospital than in nursing home, the higher the clinical nurses' role execution of social worker. Fourth, the results of the clinical nurse's general opinion on the clinical nurses are as followings. The results show us that the higher the cognition of medical social welfare the better the informational exchanges with other hospitals the more the social worker makes efforts to develop himself and has profession and identity in his hospital, the higher the role cognition, expectation and execution of social worker. On the basis of this result, the social worker needs to reorganize the role as a professional, and by publicizing the role, the social workers need to share the information between the clinical nurses and the patients and make a contribution to more effective medical social welfare practice by activating the request concerning social welfare.

      •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인식 유형

        김현주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이 연구의 목적은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주관적 인식을 파악하고, 인식유형별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더불어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인식을 명확화하고,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강화 방안을 모색한다.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에 관한 엄선된 26개의 진술문을 가지고 25명의 의료기관 종사자들에게 Q 분류를 하게 하였다. 분석결과,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에 관한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인식 유형은 네 가지로 나타났으며, 그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제공자’ 유형의 의료기관 종사자들은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은 관리대상환자들에게 경제적·제도적 지원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인식하며, 의료전문직, 의료사회복지사, 지역사회복지기관의 사회복지사의 역할이 명확히 구분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둘째, ‘종합서비스 제공자’ 유형은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은 경제적 지원, 상담, 교육, 관리 등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인식한다. 셋째, ‘경제적 지원자“ 유형은 의료사회복지사는 관리대상환자의 경제적 어려움에 대한 지원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환자 및 가족 상담자‘ 유형은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은 관리대상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자원연결 방법, 질병에 대한 교육, 퇴원 후 관리 등에 대한 상담자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유형별 특성분석을 토대로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과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인식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subjective perception of medical professional on the role of medical social worker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by perception types. Besides, it clarifies role of medical social worker and grope for how to reinforce their roles. Q-sort was conducted for 25 medical professional with 26 statements related to th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As a result of analysis, there were four types of medical professional about the role of medical social worker and the following is their characteristics; First, ‘information provider type’ perceives that the role of medical social worker is to provide patients under their care with information for economic·institutional support, thinking that there should be a clear division among roles of medical professional, medical socal worker, and other social workers at community welfare centers. Second, ‘composite service provider type’ perceives the role of medical social worker is to provide composite services including economic support, counselling, education, management and etc. Third, ‘economic supporter type' thinks that the most important for medical social worker is to support economic difficulties of the patients under their care. Lastly, ‘patient/family counselor type' thinks that medical social worker should play a counselor's role of connecting patients and their family to resources, educating them on their illness, managing them after they go out hospital and etc. On the basis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by types, this study makes some suggestions on ways to reinforce roles of medical social worker and improve medical professional’s perception on the role of medical social worker.

      • 코로나19 이후 주민건강활동 실태파악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사례연구 중심으로

        조수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7

        1978년 알마아타 선언에서 “모든 사람의 건강을”을 강조하며, 지역사회의 일차보건의료와 예방적 활동에 대해 정부의 역할에 대해 역설하였다. 하지만, 개개인의 건강관리에 있어 정부의 참여는 한계가 있으며, 사각지대는 늘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인 의료소비자생활협동조합의 형태가 등장하였고 추후 경영공시와 보건복지부의 감사를 통해 공공성이 강화된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형태로 발전하여 주민이 스스로의 건강과 이웃의 건강을 함께 돌보는 가치와 철학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건강소모임, 돌봄 및 자원 봉사활동, 건강교육과 같은 주민건강활동의 운영을 다른 조직과 구별되는 핵심 활동으로 여겨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연합회는 이를 평가지표로 삼고 있다. 2020년 초 시작된 코로나19는 개인과 지역사회에 큰 영향을 끼쳤다. 직접적인 감염으로 인한 신체적 손상뿐만 아니라 사회적거리두기와 같은 방역수칙 준수로 인해 고립과 우울감과 같은 정신적 피해와 체력 저하, 무력증 등 육체적 피해의 2차 피해를 가져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건강자치력 향상을 위한 주민건강활동의 운영과 참여의 중요성이 높아졌다. 이에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에 종사하는 실무자의 관점을 통해 조합원의 주민건강활동 실태를 파악하고,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첫째, 조합원이 조합의 가치와 철학에 동의해야하며, 조합원과 직원의 자발적이고 민주적인 의사결정과정이 필요하였다. 또한 조직의 내부에서 부족한 자원을 보완하기 위해 지역 내 여러 자원을 발굴하고 협업하는 방식으로 대응하였으며, 조합원의 주민건강활동에 대해 유무형적 지원과 실무자의 관리가 필요하였다. 마지막으로 외부로부터 지원받은 사업의 성격이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이 사업을 운영함에 있어 자율적이고, 유연할 때 활발한 참여가 가능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주민건강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첫째, 참여 조합원과 소통을 강화하여 코로나19 감염병과 관련한 정확한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통해 안전한 방안을 모색할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비대면 활동의 접근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을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셋째, 조합의 핵심가치와 역량강화를 위해 육성된 조합원들에게 교육을 제공하고, 경증의 심리상담이나 돌봄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과업 전환의 기회를 제공하여 돌봄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넷째, 지원사업의 운영에 있어 유연성과 자율성을 담보하며, 주민건강활동 수행 시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공성이 보장된 비영리단체인 사회적협동조합의 경우 보건소와 복지관과 같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으로 운영되는 기관의 일부 사업이나 서비스에 대해 협업하거나 거점 공간 마련 등 위탁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대해 제안하였다.

      • 종합병원 의료사회복지사의 퇴원환자 지역사회연계 활동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이유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general hospital medical social workers, of connecting discharged patients with integrated health, medical, and welfare services of communities, as the scope of medical social workers’ consultation on discharged planning is expanded into communities owing to the implementation of community care. Using purposive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n medical social workers who worked for general hospitals for at least three years. Interview results were analyzed with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and 14 sub categories: (ⅰ) the introduction of community care projects increased the importance of connecting discharged patients to community; (ⅱ) the increased importance of connecting discharged patients to community led to confusion and difficulties for medical social workers; (ⅲ) success factors were discovered through the experience of connecting patients with health, medical, and welfare institutions of communities; and (ⅳ) the objectives of medical social workers came to be reviewed. Amid a paradigm shift in health and medical environment, this study made a few suggestions about the objectives of medical social workers and the efficient connection of discharged patients to integrated health, medical, and welfare services in commun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커뮤니티케어의 추진으로 의료사회복지사의 퇴원계획 상담의 범위가 지역사회로 확대됨에 따라, 종합병원 의료사회복지사의 퇴원환자 지역사회연계 활동에서의 보건・의료・복지 서비스를 통합 연계하는 경험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에 의도적 표집과 눈덩이 표집을 활용하여 종합병원에 최소 3년 이상 재직 중인 의료사회복지사 10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면담의 자료는 일반적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커뮤니티케어 사업의 도입으로 퇴원환자 지역사회연계 활동의 중요성이 확대됨’, ‘의료사회복지사의 퇴원환자 지역사회연계 활동의 중요성이 확대되면서 다양한 혼란과 어려움이 발생함’, ‘지역사회 보건・의료・복지 기관과의 연계 경험을 통해 성공요인을 발견함’, ‘의료사회복지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다시 생각하게 됨’과 같은 4개의 범주와 14개의 하위범주로 정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건의료 환경의 변화라는 패러다임의 전환기에 의료사회복지사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퇴원환자를 위한 원활한 지역사회의 보건・의료・복지 서비스의 통합 연계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함께 언급하였다.

      • 의료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이 성찰 역량에 미치는 영향

        황미영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의료사회복지사의 성찰역량을 증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전문직 정체성과 성찰 역량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한의료 사회복지사협회에 회원으로 등록된 의료사회복지사이며,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65명이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 3부를 제외한 262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성찰 역량의 수준을 고려하기 위해 변수의 특성에 따라 T-Test 및 ANOVA 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연령과 경력이 높을 수록 성찰 역량의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독립변수인 전문직 정체성과 종속변수인 성찰 역량 및 각 하위요인 간의 크기와 방향을 살펴보고 다중공선성의 여부를 확인하고자 상관관계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모든 상관관계는 기준치보다 낮게 나왔으며, 정(+)의 방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모델1 성찰 역량에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전문직 정체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하위요인 중 전문조직활용, 공동체 의식, 자율성, 소명 의식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모델2 실천(성찰역량)에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문직 정체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 전문조직 활용 및 자율성과 소명 의식이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모델3 사고(성찰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전문직 정체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했으며, 하위요인 중 전문조직 활용과 공동체 의식 그리고 소명의식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모델4 태도 및 감정(성찰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한 결과, 전문직 정체성이 영향을 미쳤다. 또한, 하위요인 중 공동체 의식과 자율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사회복지사의 성찰 역량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전문직 정체성이 선행해야 함을 밝혀냈다. 뿐만 아니라, 이론적 차원에서는 전환학습이론을 지지하였으며, 실천적 차원에서 성찰 역량을 증진하기 위해 교육훈련 등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을 밝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의료현장 내에서 성찰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ramework for enhancing the reflective capacity of medical social workers. To this e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identity and reflective capacity was specifically analysed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medical social workers registered as members of the Korean Medical Social Workers Association. A total of 265 respondents completed the survey, and 262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three non-respons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to consider the level of reflection capacity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Test and ANOVA test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s. Second, correl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professional identity, and the dependent variable, reflective capacity, and each sub-factor to identify multicollinearity. As a result, all correlations were lower than the threshol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ositive direction. Thir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reflection capacity in Model 1. The results showed that professional ident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among the sub-factors, professional use of specialized organization, community spirit, autonomy, and calling consciousness had positive effects. Fourth,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Model 2 practices(reflection capacity). The results showed that professional identity had a significant effect, and among the sub-factors, use of specialized organization, autonomy and calling consciousness had a positive effect. Fifth, we explored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Model 3 reflective thinking (reflection capacity). The results showed that professional ident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among the sub-factors, use of specialized organizations, community spirit and calling consciousness had positive effects. Sixth, the factors that positively influenced Model 4 attitudes and affect (reflective capacity) were explored, and professional identity was found to be a positive influence. In addition, the sub-factors of community spirit and autonom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ofessional identity is an important condition for promoting reflective capacity in medical social workers. Moreover, at the theoretical level, they supported the theory of transformative learning, and at the practical level, they suggested the need for education and training to enhance reflection skills.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identified and suggestions were made for future stud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strategies for improving reflection skills in medical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