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소득과 문화소비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보람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71

        Since Easterlin's so-called Easterlin's paradox as saying that income has positive influence upon happiness, but shows a marginal-utility characteristic, a discussion has been stirred about whether income cannot guarantee continuous happiness on earth. In the research that was progressed for about 20 years in the past, the scholars are considering that the ultimate happiness will be guaranteed by experiential value, which may fill significant life other than material reward in the status of being satisfied the basic needs. As a timely change moves to post materialism coupled with this, an interest in cultural consumption is being magnif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effect of income on happiness in South Korean society and the influence of cultural consumption upon happiness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e research is largely divided into two things. Research 1 confirms yes or no absolute effect and satiation point that income as economic resource contributes to happiness. And if the satiation point exists, Research 2 analyzes the influence of cultural consumption in a group with a rise in happiness by income and in a group with an offset in an impact of cultural consumption and in an effect of income. Data examined about 10,602 people as the effective sample of 「Survey on National Leisure Activity」for 2016. The following ar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income level and the happiness level, which were measured with a continuous variable in the status of controlling major variables, were indicat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And in the analysis by 6 income brackets, approximately 5 million won as household income was confirmed to be the satiation point of income while the income in more than quartile(5 million won∼under 7 million won) does not show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happiness. Second, a group with high income in more than the satiation point(5 million won as household income) between income and happiness was not shown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happiness. But leisure time, exhibition and audience, a visit to historical sites, and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a local festival were indicat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happiness. Third, in a group with low income in less than the satiation point(5 million won as household income) between income and happiness, a visit to historical sites out of the leisure expenditure and the cultural activity showed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in a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happiness. The leisure time indicated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In addition, exhibition and audience, a visit to historical sites, a participation in a local festival, and an overseas trip among income, leisure expenditure, spare time and cultural activity other than a moderating effect were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significant influence. When trus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n effort will be needed to increase accessibility to cultural consumption in order to promote happiness in our society. A few suggestions are as follows. A policy is demande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index, which shows qualitative growth like a happiness index instead of an economic indicator like GDP. As for an enterprise, marketing is important that integrates culture into product and service or adds an experiential element. An individual will be needed the improvement in recognition on free time with being exposed to cultural experience with escaping from materialism. Finally, this study is involving some limitations according to utilizing the secondary data. First of all, there is possibility that would ignore an important cultural-consumption type among diverse cultural consumption types. There is a concern about which the offset in information owing to categorical data and the use of household income as an income-level variable likely failed to fully reflect an individual's economic situation. A follow-up research will need to proceed with supplementing a research with confirming diverse variables of explaining happiness through applying many statistical materials. 소득이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한계효용 체감적 특성을 나타낸다는 이른바 이스털린 패러독스(Easterlin's Paradox) 이후 과연 소득이 지속적인 행복을 보장할 수 없는가에 대한 논의가 촉발되었다. 지난 20여년간 진행된 연구에서 학자들은 기본욕구가 충족된 상태에서는 물질적인 보상 이외에 의미 있는 삶을 채울 수 있는 경험적 가치가 궁극적인 행복을 보장해 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맞물려 시대적 변화가 탈물질주의(post materialism)로 이동하면서 문화소비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행복에 소득이 주는 효과와 소득수준에 따라 행복에 문화소비가 주는 효과를 실증분석을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며 연구 1에서는 경제적 자원인 소득이 행복에 기여하는 절대적 효과와 포화점(satiation point)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포화점이 존재한다면 연구 2에서 소득에 의해 행복이 증가하는 집단은 소득과 행복간의 관계에 있어서 문화소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 행복에 소득의 효과가 상쇄된 집단은 문화소비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자료는 2016년 「국민여가활동조사」의 유효표본 10,602명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연속변수로 측정한 소득과 행복은 유의미한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6단계 소득계층별 분석에서 4분위(500∼700만원 미만)부터는 상위 소득계층과 행복이 아무런 유의적 관계를 나타내지 않으면서 대략 가구소득 500만원을 소득 포화점으로 확인하였다. 둘째, 소득-행복간 포화점(가구소득 500만원) 이후 고소득 집단은 소득과 행복이 아무런 유의적 관계를 나타내지 않지만, 여가시간과 문화활동의 전시 및 공연관람, 문화유적지방문, 지역축제참가 경험은 행복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득-행복간 포화점(가구소득 500만원) 이전 저소득 집단은 소득과 행복간의 관계에서 여가지출과 문화활동의 문화유적지방문은 부(-)의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여가시간은 정(+)의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더불어 조절효과 이외에 소득, 여가지출, 여가시간과 문화활동의 전시 및 공연관람, 문화유적지방문, 지역축제참가, 해외여행은 행복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신뢰할 때 우리사회의 행복 증진을 위해서는 문화소비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몇 가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정책적으로는 GDP와 같은 경제지표 대신 행복지수와 같은 질적 성장을 나타내는 지표의 개발·활용이 요구되고, 기업에서는 제품과 서비스에 문화를 접목하거나 경험적 요소를 추가하는 것이 중요하며, 개인에게는 물질주의를 벗어나 문화적 경험에 노출되고 자유시간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2차 데이터를 활용함에 따른 몇 가지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다. 우선 다양한 문화소비 중에서 중요한 문화소비 유형을 간과했을 가능성이 있고, 범주형 소득 자료로 인한 정보의 상쇄와 가구소득을 소득 변수로 사용한 것이 개인의 경제적 상황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였을 우려가 있다. 추후의 연구에서는 여러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행복을 설명하는 다양한 변수를 확인하고 연구를 보완해 나가야 할 것이다.

      • 키치(Kitsch) 문화콘텐츠가 수용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정보람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71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effect of reaction on kitsch contents. The study was carried with total of two tests. Specifically STUDY 1,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separate groups where one group was exposed to general cultural contents whereas the other group was exposed to kitsch cultural contents. Having done so, the diffusion of contents information and positive feeling toward contents information of both groups were measured,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ensation seeking tendency and need for uniqueness in these direct effects. STUDY 2,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separate groups where one group was exposed to positive country situation whereas the other group was exposed to negative country situation. Having done so, the positive feeling toward country cultural image and intention to visit country when they see a kitsch contents of both groups were measured. The results of analytical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udience have an more affirmative reaction(diffusion of information/positive feeling toward information) on kitsch contents than general contents. Second, Audience's sensation seeking tendency and need for uniqueness plays a moderating role diffusion of information. but we did not fou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ositive feeling toward information between cultural contents types and audience reaction. Third, If the images of the country is negative in advance, kitsch contents is a negative impact on each positive feeling toward country cultural image and intention to visit country. on the contrary if the images of the country is positive in advance, kitsch contents is a positive impact on each positive feeling toward country cultural image and intention to visit country. 연구에서는 우리의 일상에 빠르게 침투하고 문화현상인 키치에 대한 수용자 반응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키치문화콘텐츠의 파급효과를 확인한 다음, 글로벌 문화콘텐츠 전략으로서 키치문화콘텐츠의 수용자 인식이 국가의 문화이미지를 어떻게 평가하는지, 방문의도로 연결될 수 있는지를 예측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2번의 실험으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문화콘텐츠 유형(일반/키치)에 따른 수용자반응(정보확산의도/정보호감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그 외에 수용자반응의 조절변수로 수용자성향(감각추구성향/독특성욕구)을 고려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사전에 형성된 국가이미지의 호의성 여부에 따라 키치문화콘텐츠에 대한 국가문화이미지 및 방문의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과제 1에서 키치문화콘텐츠는 수용자반응(정보확산의도/정보호감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문화콘텐츠유형과 수용자성향(감각추구성향/독특성욕구)의 조절효과에서, 키치문화콘텐츠와 정보확산의도는 유의하게 나타났지만 반면, 정보호감도에서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연구과제 2에서는 사전 국가이미지가 나쁠 경우에는 키치문화콘텐츠가 국가문화이미지와 방문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사전 국가이미지가 좋을 경우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첫째, 키치문화콘텐츠가 일반문화콘텐츠에 비해 파급효과가 크고 정보호감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키치문화콘텐츠의 정보확산의도는 감각추구성향이나 독특성욕구가 높은 수용자에게 크게 작용하지만 정보호감도와는 상호관계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다른 국가의 키치문화콘텐츠를 접할 때는 사전에 해당 국가에 대한 호의적인 인식이 있을 경우에만 키치문화콘텐츠가 국가문화이미지에 긍정적인 작용을 하고 방문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전에 비호의적인 인식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키치문화콘텐츠가 국가문화이미지 및 방문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왔다.

      • 미용교육이 직업경력단절여성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람 남부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71

        국문초록 미용교육이 직업경력단절여성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람 지도교수: 박철호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 본 연구는 미용교육이 직업경력단절여성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에 있는 여성 회관과 미용직업훈련학교에서 미용 교육을 받고 있는 경력단절여성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18년 9월부터 11월까지 실시하고 총 2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응답이 중복되거나 분석에 부적당한 37부를 제외한 후 최종 분석에 213명의 설문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첫째, 전반적인 미용교육 만족도는 평균 4,12로 나타났으며, 헤어미용이나 메이크업의 직종을 희망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미용교육 만족도와 하위요인별 교육내용, 교육자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전반적인 자기효능감은 평균 3.79로 나타났으며, 고졸이하나 전문대졸에 비해 4년제졸 이상의 경우 상대적으로 자신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전반적인 진로성숙도는 평균 3.62로 나타났으며, 20 ∼ 50대의 경우 60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진로성숙도와 하위요인별 준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비교적 경력단절 기간이 짧을수록 전반적인 진로성숙도와 하위요인별 목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5), 취업중인 경우 미취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목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둘째, 미용교육 만족도와 직업경력단절여성의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미용교육 만족도의 하위요인별 교육내용, 교육자는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별 자기조절, 자신감, 과제난이도 선호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1),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별 확신, 준비, 태도와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별 자기조절, 과제난이도 선호는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별 확신, 준비, 태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1),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별 자신감은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별 확신, 목적, 준비, 태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교육 만족도(교육내용, 교육자)가 자기효능감(자기조절, 자신감, 과제난이도 선호)에 미치는 영향은 직업경력단절여성의 자기조절, 자신감에 있어서는 미용교육 만족도의 교육내용 만족도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고, 직업경력단절여성의 과제난이도 선호에 있어서는 미용교육 만족도의 교육자, 교육내용 만족도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미용교육 만족도(교육내용, 교육자)가 진로성숙도(확신, 목적, 준비,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직업경력단절여성의 확신, 준비, 태도에 있어서는 미용교육 만족도의 교육내용 만족도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자기효능감(자기조절, 자신감, 과제난이도 선호)이 진로성숙도(확신, 목적, 준비,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직업경력단절여성의 확신에 있어서는 자기효능감의 과제난이도 선호. 자신감, 자기조절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고, 준비에 있어서는 자기효능감의 과제난이도 선호. 자신감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태도에 있어서는 자기효능감의 과제난이도 선호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여섯째, 미용교육 만족도(교육내용, 교육자)와 진로성숙도(확신, 목적, 준비, 태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자기조절, 자신감, 과제난이도 선호)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자기효능감의 자기조절, 자신감은 미용교육 만족도(교육내용, 교육자)와 진로성숙도(확신, 준비, 태도)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의 과제난이도 선호는 미용교육 만족도(교육자)와 진로성숙도(확신, 태도)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용교육 만족도(교육내용, 교육자)와 진로성숙도(준비)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표본의 지역적인 제한성과 설문의 한계성을 가지므로 이 결과를 일반화하는데는 무리가 있다. 추후 후속연구를 통하여 표본지역을 확대하고 좀 더 많은 표본 수를 확보함으로서 결과의 일반화를 꽤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직업경력단절여성의 미용교육에 기초자료로서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 1950년대 신세대작가의 정치성 연구

        정보람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55

        This research paper presents new interpretations and implications stemming from an analysis of writers belonging to the New Generation in 1950's Korea. Writers of this school used themes reflecting a common will for practical reform, and analysis of such themes can shed light on writers' political sympathies. Such an approach is justified by the fact that novels written in 1950's Korea were created in an idealistic and dynamic age that represented a departure from the spirit of recent deprivation. More importantly, with the collapse of feudal caste system and the introduction of democracy, the spirit of equality in Korean society spread while participation in politics by commoners reached unprecedented levels. This political awakening gave rise to civic consciousness and a willingness to confront societal problems head-on. The novels of the New Generation writers expressed this consciousness. The works of Chang Yong-hak, Kim Seong-han, and Son Chang-seop combine the themes of objectification and immorality in novels portraying negative social aspects. Chang Yong-hak's works point out that man-made regulations tend to objectify people. His prime example is ideology, as conflicting ideologies were the root cause behind the Korean War and were used by dictatorial leaders in both the South and North to justify their postwar regimes. Kim Seong-han's works portray the privatization of the law and public authority while revealing the deceit, hypocrisy, corruption and incompetence of the Korean ruling class. Son Chang-seop's novels seek to refute the totalitarian ideology that the family and the people are part and parcel with the state. His works are a negation of the idea of mandated individual sacrifice in the pursuit of collective aims. Each of these novelsseeks to overcome societal issues in their own way based on a spirit that rejects the status quo. Chang Yong-hak portrays man without liberty, entrapped by rules, and espouses a return to freedom. He believe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power of reason before freedom can be restored. When reason reigns, people will be able to reflect on the harm caused by regulations and overcome these obstacles. In this process, humans who regain their freedom become somehow 'not human'. Creative spaces where the subject of thought can escape from a state of objectification are given the names of 'cave' and 'mountain'. Chang uses opaque and contradictory language to convey his wariness of a pathological world. Chang intentionally avoids clear exposition and smooth narrative in favor of fragmented and varied sentences that make for challenging reading that realize a regenerative aesthetic. Kim Seong-han’s works subvert and cut to the essence of the injustices committed by the ruling class through playful portrayals of the oppressed. Although the ruling elites seek to portray themselves as heroes, their deception is ultimately revealed. Through this process, the oppressed realize that the elite are nothing more than third-rate clowns, unworthy of dread. By revealing the illusory nature of Korea's social hierarchy, Kim's works transform the oppressed from passive victims into those who can shape their own destinies. In addition, by ‘ignoring’ the social hierarchy, the oppressed undermine the status quo. By acting as if the power of the elite doesn't exist, its actual influence ends. This poses such a threat to the ruling class that they beg the oppressed to obey them. Finally, the oppressed denounce the unjust laws of the powerful and declare new laws in the dramatic spaces of the 'stage' and 'courtroom'. Kim’s use of ambiguous language weaves between boundaries of status quo semantics as a form of linguistic play. His prose takes advantage of metaphor and narrative rhythm to create an aesthetic of subversion characterized by unexpected transitions in meaning. The third writer, Son Chang-seop, rejects the integration of individuals into the group in his works and champions the preservation of individuality and coexistence with others. Sympathy plays a crucial role in Son's works. Sympathy is similar to, yet distinct from compassion, yet conveying these emotions requires that each individual recognize the individuality of others. When individuals discover points of similarity or consistency in the lives of others, they feel sympathy with other individuals that is mutually protective against group integration that obliterates individuality. People who feel sympathy for one another can possess different desires while maintaining bonds of solidarity in ‘roads’ and ‘rooms’ serving as venues for communication. Son's heterogeneous language portrays coexistence while evoking individuality. In his works, character dialogue has an independent streak, breaking away from the cliches espoused by the ruling class while managing to be both focused and diffuse through use of literary counterpoint that creates a polyphonic aesthetic. Even today, there is a tendency to interpret New Generation novels from the 1950's through a lens of frustration, futility, and self-destruction. There is a pressing need, however, to analyze these works from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fifties in order to correct some misconceptions about the period’s writers. The new generation novelists in 1950's South Korea expressed their civic consciousness in protest against the anti-communist government and reactionary trends in literary circles. This movement has both historical and literary significance because it represents an attempt to liberate 1950's South Korean society and literature by attempting to reverse reactionary trends. The contribution of New Generation novelists is even more significant in light of the fact that their work influenced many citizens who took part in the April Revolution in 1960 which toppled the corrupt Syngman Rhee government. The 1950's were a period in which all the conditions for revolution began to ripen. The novels of this era embodied a dialogue of resistance and developed along with other mediums of communication to create public consensus and raise mainstream political awareness for the first time. The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into politically-aware multitudes was fostered by these novels which provided an appropriate medium for political expression. In summary, politicized themes of freedom, play, and coexistence in the works of new generation writers in 1950's Korea are significant because they helped pave the way for revolution while also representing 'art of the multitude'. 본고는 1950년대 신세대작가의 소설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의미부여를 시도하였다. 그것은 신세대작가의 소설에 내포되어 있는 현실 개혁 의지를 전면에 내세우고 특유의 정치성을 도출하는 작업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러한 시도가 타당성을 얻을 수 있는 이유는 소설 창작의 배경이 되었던 1950년대의 한국 사회가 전후의 피폐함으로 점철된 시대가 아니라 새로운 국가가 형성되는 역동적 시대였다는 사실에 있다. 무엇보다 봉건적인 신분제도의 붕괴와 민주주의 제도의 도입으로 평등의식이 확산되었고 사회 구성원들의 정치 참여 의식이 전례 없이 높아졌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정치적 각성은 시대의 부정성을 직시하는 의식으로 이어졌다. 신세대작가의 소설은 그러한 부정의식의 표출이었다. 장용학, 김성한, 손창섭은 각각 물화(物化), 불의(不義), 통합에 대한 부정의식을 소설화하였다. 먼저 장용학은 인간이 만든 각종 규정들이 오히려 인간을 사물화해버린 실태를 문제 삼는다. 이념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념 갈등은 한국전쟁의 원인이었고 전후(戰後) 정권의 전횡을 정당화하는 기제로 이용되었던 것이다. 다음으로 김성한의 소설은 법과 공권력이 권력자에 의해 사유화된 실태에 부정의식을 표출한다. 권력층의 기만적이고 위선적인 행태를 묘사하여 부정부패와 무능을 드러낸다. 손창섭의 소설은 가족과 민족을 국가로 일원화하여 전체주의 노선을 강화하려는 정권의 통합 의도를 부정한다. 이는 집단의 목표를 위해 구성원의 개별성을 말살하고 희생을 의무화하는 실태에 대한 반발이다. 이러한 부정의식을 바탕으로 이들의 소설은 각각의 방식으로 그 극복을 추구한다. 먼저 장용학은 이념이나 제도와 같은 규정에 갇혀 인간성을 잃어버린 상태를 부자유로 보고 다시 자유를 회복하고자 한다. 자유를 회복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이성(理性)의 강화이다. 이성을 강화할 때 인간은 스스로의 힘으로 규정의 폐해를 성찰하고 극복할 수 있으며, 그 과정을 통해 자유를 회복하는 인간이 바로 ‘비인(非人)’이다. 한편 사유 주체가 사물의 상태에서 벗어나 자유를 회복하는 공간은 ‘동굴’과 ‘산’이라는 생성의 공간이다. 그리고 병리적 세계를 의심하는 언어는 불투명한 반합적(反合的) 언어로 형상화된다. 그것은 명징한 명령어와 매끄러운 서사를 의도적으로 비껴나가 불친절한 파편화와 변주를 통해 재생의 미학을 구현한다. 김성한의 소설에서 권력층의 불의를 꿰뚫어보고 전복하는 것은 피지배자의 유희적 태도이다. 권력자는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스스로를 영웅적 존재로 포장하고 대중을 기만한다. 그때 그 기만을 간파하는 피지배자는 권력자가 어설픈 어릿광대에 불과함을 알아차리고 더 이상 그를 두려운 존재로 여기지 않는다. 위계질서가 허상에 불과하다는 깨달음은 피지배자를 수동적 피해자에서 적극적인 주체로 바꾸어놓는다. 나아가 피지배자는 ‘모르는 척하기’를 통해 위계관계 자체를 뒤집는다. 권력자의 힘을 모르는 것처럼, 마치 그것이 애초부터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행동하는 이 놀이 주체는 권력의 실정적 영향력을 중지시키는 위협으로 존재하며 결국 권력자로 하여금 순종을 애원하도록 만든다. 이로써 피지배자들은 권력자의 불의한 법을 폐기하고 새로운 법을 발명하는데 그것은 ‘무대’와 ‘법정’이라는 극적 공간에서 이루어진다. 한편 중의적 언어는 기존의 의미 체계를 넘나드는 언어의 유희이다. 은유와 운율을 활용하는 서술, 그리고 연작을 이루는 서사가 의미의 예상치 못한 전이와 확장을 일으켜 전도(顚倒)의 미학을 완성한다. 세 번째로 손창섭의 소설은 집단으로의 통합을 거부하는 인물을 통해 개별성을 보존하고 공존을 추구한다. 이때 공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공감은 연민과 같은 감정이입과 구별되는 것으로, 각 존재들이 서로 근본적으로 다른 개별성으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정할 때 비로소 가능하다. 개별적 존재들이 서로의 삶 속에서 일치하는 지점을 발견할 때 공감이 일어나고, 공감은 말살적 통합으로부터 서로를 지켜주는 상생(相生)의 공동체를 만든다. 공감 주체들은 각기 다른 욕망을 유지하면서도 연대를 이루는데 그것은 ‘길’과 ‘방’이라는 소통의 공간에서 일어난다. 한편 공존을 형상화하는 언어는 개별성을 환기시키는 이질적 언어이다. 지배 담론의 맥락을 끊고 독자적인 담론을 형성하는 인물들의 발화와 초점의 분산을 통한 대위법적 서사가 다성(多聲)의 미학을 이루어낸다. 1950년대 신세대작가의 소설은 지금까지 좌절과 허무, 자폐의 소설로 이해되는 경향이 강했다. 그러나 1950년대의 상황을 역사적으로 이해하고 그와 연계하여 소설의 대응 양상을 살펴볼 때 신세대작가 소설에 대한 오해를 바로잡아야 할 필요가 시급하다. 1950년대 신세대작가의 소설은 당대 반공주의 정권에 대한 시민적 부정의식과 우경화된 문단(文壇)에 대한 세대적 부정의식의 표출이었기에 1950년대 한국 사회 그리고 문단에 가해진 해방적 전회(轉回)로서 역사적·문학사적 의의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신세대작가의 소설이 갖는 의의는 1960년 4월 혁명과의 연관성 속에서 더욱 깊어진다. 1950년대는 혁명의 제반 조건들이 대두되고 성숙되어가는 시기였다. 그 가운데 소설은 당대의 대항 담론을 체화하여 독자, 즉 당시 매체의 발전과 함께 최초로 형성된 바 있는 대중(大衆)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으며 정치적 의식 향상에 기여했다. 다시 말해 대중이 정치적 주체인 다중(多衆)으로 전화(轉化)하는 데에 필요한 정치의식의 함양에 신세대작가의 소설이 적절한 장소를 제공했던 것이다. 그러므로 1950년대 신세대작가들이 구현한 자유, 유희, 공존의 정치성은 혁명을 준비하는 장소였으며 동시에 혁명을 앞서 구현하는 ‘다중의 예술’로서 그 의의를 가진다 하겠다.

      • 시각예술 아카이브 사이트에 관한 실태조사 및 이용자 특성 연구

        정보람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55

        급변한 21세기 디지털 혁명으로 인하여 예술의 생산 형태가 바뀌었듯이 이제는 예술의 수용 형태도 달라지고 있다. 그러나 환경의 발전 정도에 비하여 시각예술의 정보 형태는 여전히 대다수가 고전적인 형태를 띠며 폐쇄적인 구조이다. 또한 시각예술 분야에 관한 국가 주도의 문화정보화 사업이 진행되어왔으나 그 경과와 성과에 대하여 주목받지 못해온 실정이다. 문화정보화 사업의 성과로 현재 공공에서 운영하는 웹 사이트 가운데 시각예술에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는 아카이브 사이트인 ‘문화포털’과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DA-Arts'가 있다. 이러한 시기와 맞물러 민간 영역에서 자발적으로 시각예술 분야에 집중적으로 몰두하여 관련 자료를 수집해 온 두 기관이 있는데, 이는 ’네오룩 이미지올로기 연구소‘와 ’김달진미술연구소의 달진닷컴‘이다. 상기 네 곳의 웹 사이트에 대하여 아카이브로써 어떠한 시각예술의 정보를 다루고 있는지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으로, 시각예술 정보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통하여 시각예술 정보 아카이브에서 다루어야 할 것으로 보이는 주요 정보 항목의 틀을 도출해내어 각각의 웹 사이트의 실태를 파악해보았다. 작가 정보, 작품 정보, 소장 정보, 전시 정보, 연구 정보, 비평 정보가 주요 정보 유형으로 설정되었고 이에 각각의 웹 사이트를 탐색하여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지 파악하는 작업이 수행되었다. 위 여섯 항목을 전부를 충족하는 웹 사이트는 없었으며, 문화포털과 네오룩 이미지올로기 연구소, 김달진미술연구소의 달진닷컴은 소장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었고,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DA-Arts는 소장 정보는 제공하나 연구를 위한 다른 정보는 제공하지 않고 있었다. 그 외에 작가 정보와 작품 정보, 전시 정보와 비평 정보는 방식의 차이가 존재하지만 네 군데의 사이트 모두 이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또한 시각예술 정보 아카이브 웹 사이트 이용자에 대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용자들이 어떠한 직업적 성향과 사이트 이용 동기, 경험, 만족도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Due to the rapidly changing 21st century digital revolution is produced in the form of art has changed. Now, there are also different acceptable forms of art.  However, when compared to the development degree of the environment The information in the form of visual art is still the majority of the closed structure. Culture Information Service of the country-led project is in progress, however, it does not receive attention for that lapse and performance. Culture Information Service is the result of a website archive sites now operating in the public's business, 'Cultural portal' and 'Digital archive of art Korea DA-Arts'. And The voluntary focused on the two institutions to collect data on the visual arts in the private sector, which is 'Neolook imageolrogi Institute' and 'Daljin dot-com of Kimdaljin Art Institute'.  The first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ether the Status of these Web sites are contain information of any visual art as an archive. In order to understand this, Through previous research on visual arts information to derive the framework of the important items of information in the visual arts analyzed each web archive site.  Artist Information, Art work information, collection information, exhibition information, research information, Critique information has been set as the main type of information. Search for each Web site, and determine whether the task of providing the relevant information has been carried out.  There was above website to meet all six items. 'Cultural portal', 'Neolook imageolrogi Institute' and 'Daljin dot-com of Kimdaljin Art Institute' had not provided the information collection. 'Digital archive of art Korea DA-Arts' had not provided other information for the study provides a collection information. All web site provides Art work and Artist information, exhibition information and Critique information to the user.  In addition, an online survey was about the website users. Occupational tendencies of users, sites motives, saw out about their experience and satisfaction.

      • 공연장 활성화를 위한 브랜딩 전략 강화 연구 : 성남아트센터를 중심으로

        정보람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공연시장의 규모는 지속적으로 팽창하고 있는데 반해 공연장 운영은 대부분 비슷한 시스템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제는 공연장들도 경쟁력을 강화하고 콘텐츠 중심에서 벗어나 공연장 자체가 브랜드가 되어 관객들에게 인지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은 이를 위해 공연장의 브랜드와 브랜딩 전략을 연구하고, 성남아트센터를 중심으로 공연장 활성화를 위한 브랜딩 전략 강화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논문과 학술지, 보고서, 단행본,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해 브랜드와 브랜딩의 개념을 이해하고, 브랜딩의 핵심 전략인 브랜드 포지셔닝과 브랜드 아이덴티티, 브랜드 스토리텔링에 대해 알아보았다. 국내 주요 공연장들의 브랜딩 사례와 성남아트센터의 브랜딩 전략 흐름을 위의 3가지 브랜딩 핵심 전략을 토대로 분석하고, 성남아트센터에서 10년 이상 근무한 직원들을 대상으로 성남아트센터 브랜딩에 대한 의견을 취합하여 정리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공연장 활성화를 위한 브랜딩 전략 강화방안을 성남아트센터를 중심으로 브랜드 아이덴티티, 브랜드 포지셔닝, 브랜드 스토리텔링 등 전략별로 나누어 세부적으로 제시했다.

      • Silane 화합물 sol-gel 중합을 이용한 정삼투 복합박막의 polysulfone 표면층 개질

        정보람 東義大學校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정삼투 응용에 폴리설폰(PS) 지지층으로 보강된 폴리에스테르(PET) 부직포 위에 박막 복합체(TFC) 폴리아마이드(PA)막을 준비하였다.정투압 분리막의 유량을 높이고 염의 역 확산 속도(RSF)를 줄이기 위해 친수성 폴리실록산층을 PS 지지층과 PA 활성층 사이에 도입하였다. 폴리실록 산층은 각각 테트라에 톡시 실란(TEOS)과 3-아미노 프로필 메틸 디메 톡시 실란(APMEDES)을 사용하여 졸-겔 축합 반응에 의해 얻었다. 부직포의 두께가 막의 저항과 최종 FO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디메틸포름아미드 용매가 들어있는 PS 조액 용액으로 상전이 공정을 통해 PS 지지층이 보강된 초박형 PET 부직포를 준비하였다. 이어서, 가교 결합 된 방향족 PA 활성층을 PS 지지층 상부에 제막하여 TFC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헥산 중 M-페닐렌디아민(MPD)과 트리메소클로라이드(TMC) 수용액을 계면 중합하여 PS_PA을 제조하였다. PS 캐스팅과 PS_PA 반응 공정 사이의 TEOS 졸-겔 반응을 통해 PS_TEOS_PA을 얻었다. PS_PA_TEOS은 PS_PA을 얻은 후 TEOS 졸-겔 반응을 수행하여 얻었다. PS_TEOS_PA-APEMS 및 PS_PA_TESO-APMDES은 PS_TEOS_PA와 PS_PA_TEOS을 얻는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준비하였다.PS_PA_TEOS_APMDES은 PS_PA_TEOS을 얻은 후 APMDES 졸-겔 반응을 하였고, PS_TEOS와 MPD와 TMC 계면중합을 한 후 APMDES 졸-겔 반응하여 PS_TEOS_APMDES_PA을 얻었다. PS_PA은 RSF(2.12 GMH)로 비교적 낮은 유량(17 LMH)을 보였으나, PS_TEOS_PA(54.1 LMH and 1.6 GMH)로 PS_PA보다 훨씬 더 높은 유량을 보였다. PS_TEOS_APMDES_PA(146 LMH and 16.3 GMH) 와 PS_PA_TEOS_APMDS(209 LMH and 0.24 GMH)는 PS_PA보다 훨씬 더 높은 유량을 보였다. 성공적인 졸-겔 방법을 확인하기 위해 개질된 막의 표면 및 단면을 SEM 및 EDX로 특성을 확인 하였다. 특히, Si 원소의 조성비는 단면을 통해 분석되며, PS지지층과 PA 활성층 사이의 Si 위치를 증명하였다. PET 부직포를 사용하여 PS 지지층과 PA 활성층 사이에 친수성 TEOS와 APMDES를 도입하여 PS_PA의 변형으로 내부 농도 분극을 향상시키고, 최종 FO 성능을 크게 향상 시켰다. In this study, thin film composite(TFC) polyamide(PA) membranes were prepared on polyester (PET) nonwoven reinforced polysulfone(PS) supports for forward osmosis(FO) applications. In order to enhance water flux and to reduce reverse slat flux(RSF), hydrophilic polysiloxane layers were introduced between PS and PA. Polysiloxane layers were obtained by sol-gel condensation reaction with tetraethly orthosilicate(TEOS) and 3-aminopropylmethyl dimethoxysilane(APMEDES), respectively.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thickness of nonwoven on the membrane resistance and the final FO performance, ultrathin PET nonwoven reinforced PS supports were prepared via the phase inversion process from PS casting solution in dimethylformamide solvent. A crosslinked aromatic PA layer was then fabricated on top of each support to form a TFC membrane. An aqueous solution of m-phenylenediamine(MPD) and 1,3,5-Benzenetricarbonyl trichloride(TMC) solution in hexane were used for interfacial polymerization to make PS_PA membrane. By conducting a TEOS sol-gel reaction between the PS casting and PS_PA reaction process, a PS_TEOS_PA membrane was obtained. PS_PA_TEOS membrane was achieved by performing a TEOS sol-gel reaction after obtaining PS_PA membrane. PS_TEOS_PA-APEMS and PS_PA_TEOS_APMDES membranes were prepared by using the same method as obtaining PS_TEOS_PA and PS_PA_TEOS membranes. PS_PA_TEOS_APMDES membrane was achieved by performing a APMDES sol-gel reaction after obtaining PS_PA_TEOS membrane and PS_TEOS_APMDES_PA was achieved by performing a APMDES sol-gel reaction after obtaining PS_TEOS membrane and interfacial polymerization of MPD and TMC. PS_PA showed relatively low water flux(17 LMH) with RSF(2.12GMH), however PS_TEOS_PA(54.1 LMH and 1.6 GMH) and PS_PA_TEOS(79 LMH and 7.1 GMH) showed much higher water flux than PS_PA membrane. PS_TEOS_APMDES_PA(146 LMH and 16.3GMH) 와 PS_PA_TEOS_APMDES(209 LMH and 0.24 GMH) showed much higher water flux than PS_PA membrane. The surface and cross-section of the modified membranes were characterized by SEM and EDX in order to confirm successful sol–gel methods. Especially, the composition ratio of Si element was analyze through the cross-section to prove the localization of Si between PS and PA layer. By using ultrathin layer PET nonwoven, introducing hydrophilic TEOS and APMDES layer between PS and PA layer, the internal concentration polarization has been improved and the final FO performance was highly enhanced by modification of PS_PA membrane.

      • 유아의 발달을 위한 동적 놀이가구 디자인 제안 : 가족의 형태변화에 따른 거실의 사용변화를 중심으로

        정보람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With the decline in birth rate, the number of families without children or single child has increased. Big interest in one child h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birth of the child, lifestyle of parents changes based on the child from livelihood to living space. They are willing to create an appropriate environment for the smooth development of the child. Infant market is also growing and furnitures are produced and sold targeted at infant with subdivided purposes. However, unlike adult, infant furnitures are not used for one purpose and are used on a simultaneous basis, such as learning, communicating with their parents, and resting. So, it is inappropriate to create furnitures for infants without understand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and by only decreasing the size. This study first considered the production of furniture for infants as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infant development and proposed furnitures that could address the lack of dynamic play within residential areas. The existing dynamic play furniture for infants has a limitation of short life span and large volume, which means that the efficiency of the residential space is reduced and sustainability is reduced. By combining furniture and dynamic play in residential space, infants develop through play and care givers can satisfy the efficiency of residential space. To propose dynamic play furniture for infants, in chapter 2, a literature survey was conducted in which the need for dynamic play, lack of assembled toys, and understanding of living room to be used together by all family members were found. In chapter 3, it was confirmed that play furnitures within existing developed residential areas had limited play functions. It also conducted an investigation by selecting a domestic kids cafe, which satisfies the dynamic play needs of infants in various ways indoors. Analysis was conducted to facilitate the application of dynamic play spaces in the kids cafe space, and the play space classified within each kids cafe was analyzed by behavioral factors. Key methods of simple developmental play and the methods of play were analyzed that could be implemented in residential areas. The most suitable method to be done in combination with plastic toys is slippage, balance, and up and down. Based on the contents of chapter 2 and 3, design was proposed. By combining sofa with play and bringing the principle of plastic toy into unit, the toy is placed in the back of the sofa to ensure efficiency of residential space and smooth dynamic play. The need for dynamic play of infants and assembly toys was used as a unit to allow play of build, fit, balance, and up and down. To satisfy the needs of care givers for relaxation and space efficiency, the function for the expandability and storage of simplified tables, cushions, and sofas was designed. Through the proposed dynamic play furnitures for infants, care givers are given the economic benefits of continuous use, the efficiency of space, and the infant care environment that can also be used for resting. For infant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ir physical, emotional and cognitive development by providing the necessary play environment for infants through dynamic play. Through this study, we hope that the existing play furnitures will move away from the idea that they are just for use of infants. We hope that it provides a new plan through integration with adult furnitures and serve as a cornerstone of design development that can solve various problems arising from early childhood families. 출산율 저하와 함께 무자녀 가정 혹은 1자녀 가정이 증가하며 한 아이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자녀의 출생과 함께 부모의 라이프스타일은 아이를 중심으로 생활방식부터 주거공간까지 변화가 이루어지며 아이의 원활한 발달을 위해 적절한 환경을 만들어주고자 한다. 유아시장 역시 성장하며 유아를 대상으로 목적을 세분화하여 가구가 제작, 판매되고 있으나 성인과 달리 유아는 하나의 목적으로 가구를 사용하지 않고 놀이를 중심으로 학습, 부모와의 교감, 휴식 등 동시다발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유아의 행동 특성을 이해하지 않고 성인의 가구를 사이즈만 줄여 제작하는 것은 유아에게 부적합한 개발 방향으로 확인된다. 본 연구는 유아를 위한 가구를 제작함에 있어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하는 목적을 유아 발달에 가장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놀이로 보고 주거 공간 내에 부족한 동적놀이욕구를 해결할 수 있는 가구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기존 유아를 위한 동적 놀이가구는 짧은 수명과 부피가 커 주거공간의 효율이 떨어지고 지속가능성이 떨어진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어 주거 공간 내에 가구와 동적 놀이를 결합해 유아는 놀이를 통해 발달이 이루어지고 보호자는 주거 공간의 효율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유아를 위한 동적 놀이가구를 제안하기위해 2장에서는 문헌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실내공간에서 제한되기 쉬운 동적 놀이, 조립형 장난감의 부족, 거실은 가족구성원 모두가 함께 사용하는 공적 공간이라는 점에 대한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3장에서는 기존 개발된 주거 공간 내에 놀이가구는 놀이 기능이 한정적임을 확인하고 실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유아의 동적 놀이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는 국내 키즈카페를 사례로 선정해 조사를 진행하였다. 키즈카페 공간에서 동적 놀이 공간만 분류하여 실내공간에 적용하기에 용이하도록 분석을 진행하였고 각 키즈카페 내에 분류된 놀이 공간을 행태요소 별로 분석을 진행하였고 발달의 용이한 놀이들의 핵심 방법과 놀이방법을 분석해 주거 공간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방법을 도출하였다. 조립형 장난감과 결합시켜 행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 도출된 방법은 미끄러지다, 균형잡다, 오르내리다 이다. 2장과 3장의 내용을 토대로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소파와 놀이를 결합시키고 조립형 장난감의 원리를 가져와 유닛화시켜 장난감을 소파 등받이 부분에 배치해 주거공간의 효율과 원활한 동적 놀이가 가능하도록 디자인하였다. 유아의 동적 놀이와 조립형장난감에 대한 필요성을 유닛을 활용해 쌓기, 끼우기, 균형잡기, 오르내리기의 놀이가 가능하도록 하였고 보호자의 휴식과 공간 효율에 대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간이테이블, 쿠션, 소파의 확장성, 수납에 대한 기능을 설정하여 디자인하였다. 유아를 위한 동적 놀이가구 제안을 통해 보호자에게는 지속적인 사용에 대한 경제적 이점과 공간의 효율성, 휴식을 취하며 유아의 놀이에 활용할 수 있는 육아 환경을 제공하고 유아에게는 동적 놀이를 통해 유아가 필요로 하는 놀이 환경을 갖추어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발달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유아 놀이가구가 유아만을 위한 놀이가구에서 벗어나 성인의 가구와의 통합을 통해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고 유아기 가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디자인 개발의 초석으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 群山 十二東波島船 출수 고려청자 연구

        정보람 충북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underwater archaeological site of Sibidongpado(十二東波島) Island, Gunsan(群山) was discovered by a fisherman in 2003. More than eight thousand cultural heritages including one ship of the Goryeo dynasty, celadons, earthenwares and metal objects were found from the emergent underwater investigation and exploration from 2003 to 2004. Recent studies of Sibidongpado Shipwreck were only focused and limited on the archaeological sites and period of celadon production. Also, it is hard to assume production sites by cultural heritages excavated from Haenam(海南) district. In addition, understanding of archaeological ship and cultural heritage characteristics were only conducted related to maritime transportation without integrated analysis of tribute maritime transportation system of Goryeo dynasty. However, the scale of the klin sites of sedimentary layer and specific details on the excavated objects were revealed out distinctly since the klin sites at Haenam were excavated actively, it becomes a new turning point on the studies of celadon from the Sibidongpado Shipwreck. Starting from the underwater excavations of Daeseom(대섬) at Taean(泰安) in 2007, the wooden document from underwater investigations made it possible to suggest new evidence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ribute maritime transportation. The study is purposed to reconsider the precedent studies on the klin production site and period of the celadon excavated from the underwater of Sibidongpado Shipwreck, Gunsan through newly collected data recently. Also, with these databa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bidongpado Shipwreck and understanding of the excavated cultural heritage were summarized comprehensively. First of all, 8,131 pieces of cultural heritages discovered from the Sibidongpado Shipwreck were investigated and classified by materials. Most of the cultural heritages were celadon which occupied 99.8%. The celadons were generally coarse-textured and tinged with greenish-brown, and greenish-yellow. Their formative features were mainly classified into items, shapes, decorative skills, patterns, firing techniques, and quality. First, with regards to items and shapes, all were the celadons for daily living except the ‘⼐’ shaped celadons which are not certain for their use. It was available to identify the generalization of the daily using celadons as the ratio of the tableware was prevailing. Especially, it can be known that the celadons from the Sibidongpado Shipwreck were made at the extinction period of halo-shaped foot as the celadon bowls showed the hoof type of transitional period from halo-shape to wagon wheel shape. Second, the celadons were mostly little graved, and only a few celadons were decorated with engraved and embossed carving. The patterns include ‘chrysanthemum leaf design,’ ‘scroll design, ‘saw-tooth design,’ 'line design’ and ‘lotus petals design.’ The decorative skill was limitedly used and it can be known from the cultural heritages that they were made at the unskillful stage of decorating the celadon with the pattern as the patterns were simple and elementary level. Third, the firing technique and quality were investigated. The refractory soil amending was used for firing bottom, and the cases of using a pinch of sand grains are found from celadon bowls. Based on the features of firing technique and production skill of celadon from Sibidongpado Shipwreck, the quality classification was conducted. As a result, all of the celadon tea bowls were made in good quality by saggar firing out of the coarse-textured celadons, and the quality of the coarse-textured bowl, dish, and lid was classified. The production site of the celadons from Sibidongpado Shipwreck was estimated based on the format and pattern. 11 klin sites were selected for the comparisons such as Yongwun-ri(龍雲里), Gangjin(康津) and District D, Samheung-ri(三興里), Gangjin which were excavated and investigated. The production site was presumed more clearly by selecting 7 characteristic features on the celadons from the Sibidongpado Shipwreck.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celadons and pieces collected from klin sites revealed that the most similar archaeological sites in their format with the celadons from the Sibidongpado Shipwreck were Jinsan-ri(珍山里) 74 and 20, Haenam. The comparison and review of the format and pattern of celadons were conducted. As a result, the same format, and patterns were confirmed in Jinsan-ri 74, Haenam. Their decoration techniques differed, but the material and shape were the same. Accordingly, the celadons from the Sibidongpado Shipwreck can be seen as mainly produced from similar klin sites at the same period with Jinsan-ri 74 and 20, Haenam. Next, the production period of the celadons from the Sibidongpado Shipwreck was estimated. The comparison with the representative cultural heritage showing the extinction pattern of halo-shaped foot, the pieces excavated from Yongwun-ri 10, Gangjin was suggested for the reason of estimating the production period of the celadons from the Sibidongpado Shipwreck. It was presumed that the operation period of Yongwun-ri 10, I layer sediment and production of the celadons from the Sibidongpado Shipwreck were overlapped because the celadons from both places have similarities in the halo-shaped foot, type and shape, and pattern. The operation period of Yongwun-ri 10, Gangjin was presumed for the second half of the 11th century, the type A of II layer for the end of the 11th century and early or middle of the 12th century. Consequently, the production period of the celadons from the Sibidongpado Shipwreck was later than the operation time of Yongwun-ri 10, I layer, but it was set for the first quarter of the 12th century earlier than that of type A of Yongwun-ri 10, II lay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bidongpado Shipwreck were assumed based on the result from collected data. In the early Goryeo dynasty, tribute maritime transportation was mainly operated from 60 ports and changed to the operating system of the granary, since the control and power of the central government got stronger to the local district. The tribute carrying system was acquired at the end of King Hyeonjong(顯宗) jointly with reorganizing the local regime and it was implemented stably by amending the related regulations. As discussed, the operation of the cargo ship within the stable system can be calculated via the aspects of excavating the cultural heritage from the Sibidongpado Shipwreck. The wooden documents sometimes become the essential evidence for ‘private cargo’ as they included information like the sending point, receiver, and objective of the goods. But the Sibidongpado Shipwreck, where the wooden documents were not found verified that the loading and unloading point is the same and it means that the Sibidongpado Shipwreck sailing was ‘tribute carry’. In addition, the appearance of the cultural heritages excavated from the Sibidongpado Shipwreck was the shape of stacking the celadon grabbing bags layer by layer according to their shape fitting to the spaces in the hull. However, the loading manner of the Taean Shipwreck, where the wooden documents written with multiple receivers were collected, was partitioned in its location and space respectively for the receiver. In the other words, the cargo loaded to the Sibidongpado Shipwreck was not necessitated to be divided by the receiver, and the unloading point was a single point, which means it was the tribute granary. Finally, the meaning of the celadons from the Sibidongpado Shipwreck was summarized comprehensively. The state allocated the quantity in small amounts as the porcelain was not an item to be collected from the farming houses. It was estimated that the Department of Ho (Competent for taxation and finance) might make an influence on the items and quality as well as the allocation of the tribute. Namely, it was estimated that the Department of Ho demanded the high quality celadon from the porcelain sites such as Gangjin, the main producer of the luxurious porcelain, and the huge amount of bowls to be used by lower-class officials or servants in the royal court was allocated to the local klin sites such as Haenam which produced the coarse-textured celadon. The Sibidongpado Shipwreck, Gunsan is meaningful as actual data at the earliest era displaying the carrying system in the first half of 12th century when the tribute carrying system had been acquired and operated stably. In addition, it has meaning as a format to identify the celadon consumption, distribution, composition, and shape of the bowls used universally at the specific period with the celadon made at the end of the early celadon such as the extinction of halo-shaped foot. As explained, this study presumed the features of the celadon from the Sibidongpado Shipwreck, Gunsan, production sites, and period were estimated by characteristics of the shipwreck as the tribute carrier by comparing with the excavated cultural heritage from the land and the ocean. The production sites of the celadon from the Sibidongpado Shipwreck were similar systems of klin sites of Jinsan-ri 74 and 20, Haenam, and its production period was estimated for the 1st quarter of the 12th century. In addition, it was seen that the Sibidongpado Shipwreck was the tribute carrier forwarded to Gaesung, and the excavated cultural heritages have the meaning of celadon distributed at the turning point from early celadon to middle celadon. This paper analyzed more systematically the celadon from the Sibidongpado Shipwreck, Gunsan than precedents studies which were not spotlighted due to the lacked material for study.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verifying that the destination of the Sibidongpado Shipwreck was to carry the tribute by focusing on the excavation aspects. However, the comprehensive analysis was not made for the other underwater archaeological sites as it was performed for the only single underwater archaeological site. The analysis on the chronology which can be suggested newly in the course of establishing the production is left as a task for further study. 群山 十二東波島 해저유적은 2003년 어민의 유물 발견신고로 세상에 알려졌다. 이후 2003년부터 2004년까지 긴급탐사와 수중 발굴조사 결과 고려시대 선박 1척과 청자 · 도기 · 금속류 등 8천여 점의 유물이 확인되었다. 그동안 십이동파도선에 관한 연구는 청자의 생산지와 제작 시기 추정에 국한된 경우가 많았으며 유물은 해남지역 지표조사 출토품으로 명확한 생산지로 상정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또한, 고선박과 유물의 성격도 고려 조운제도 안에서의 종합적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고, 막연히 조운과 관련된 것으로만 이해되어왔다. 그러나 최근 해남지역 가마터 발굴조사가 활발히 이루어지며 가마 퇴적층의 규모와 출토유물의 상세한 특징이 뚜렷하게 드러나 십이동파도선 출수 청자 연구에 새로운 전환점이 되고 있으며, 2007년 태안 대섬 수중발굴 조사를 시작으로 여러 해저유적에서 목간이 출수되어 조운선 운영과 관련된 새로운 근거 제시가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최근 새롭게 축적된 자료를 통해 기존의 군산 십이동파도선 출수 청자의 생산지와 제작 시기를 再考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십이동파도선의 성격과 출수품의 의미를 보다 종합적으로 재정리하였다. 먼저 십이동파도선 해저유적 발굴조사 결과 출수된 8,131점의 유물을 재질별로 살펴보았다. 출수유물 대부분이 청자로 전체 유물 가운데 99.8%의 비율을 차지한다. 청자는 전반적으로 조질이며, 유색은 녹갈색 · 녹황색을 띤다. 양식적 특징은 크게 기종과 기형, 장식기법과 문양, 번조 기법과 품질 세 가지로 구분된다. 첫 번째, 기종과 기형에서는 용도를 알 수 없는 ‘⼐’형 청자를 제외하고 모두 일상생활 기명이며 이 중에서도 반상기의 비중이 매우 압도적이어서 일상기명의 일반화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청자완은 퇴화해무리굽에서 윤형굽으로 이행하는 과도기 굽형태를 보여 십이동파도선 청자는 해무리굽이 소멸되는 시기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장식기법과 문양을 살펴보면, 청자는 거의 무문이며 극소량의 청자에만 음각 및 양각기법의 문양을 장식하였다. 문양의 종류는 국판문 · 당초문 · 거치문 · 선문 · 연판문이 있다. 장식기법은 제한적으로 사용되었으며 문양은 단순하고 초보적인 양상으로, 자기에 문양을 장식하는 것에 능숙하지 않은 단계의 유물임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번조 기법과 품질을 살펴보았다. 번조받침은 내화토빚음을 사용하였으며, 청자완에서 일부 소량의 를 받침으로 사용한 사례가 확인된다. 번조 및 제작기법상 특징을 기준으로 십이동파도선 출수 청자의 품질을 분류한 결과 조질인 청자 중 완은 전량 갑번하여 품질이 양호하며, 조질의 발 · 접시 · 뚜껑 등의 기종 내에서도 품질이 세분화됨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정리된 청자의 형식과 양식적 특징을 바탕으로 십이동파도선 청자의 생산지를 추정하였다. 우선 발굴 · 지표조사가 완료된 강진 용운리, 강진 삼흥리 D지구 등 11곳의 가마터 출토품을 비교 대상으로 정하였다. 그리고 십이동파도선 청자의 특징적 속성 일곱 가지를 선정하여 보다 명확한 생산지 추정을 시도하였다. 각 속성별로 십이동파도선 청자와 가마터 출토품을 비교 · 분석한 결과 십이동파도선 청자와 양식적으로 가장 유사한 유적은 해남 진산리 74호와 해남 진산리 20호이다. 이후 해남 진산리 74호 출토 청자를 중심으로 형식과 문양 등을 비교 · 검토한 결과 십이동파도선 청자 대부분의 형식이 진산리 74호 청자에서 확인되었으며 장식기법만 상이할 뿐 문양 소재나 양상 등도 동일하였다. 또한, 해남 진산리 20호 요장 2호 가마 출토 청자와도 기종과 문양의 유사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십이동파도선 청자는 해남 진산리 74호 · 진산리 20호를 중심으로 같은 시기에 유사 계통의 가마에서 생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는 십이동파도선 청자의 제작 시기를 알아보았다. 해무리굽의 소멸 양상을 보여주는 대표 유적인 강진 용운리 10호 퇴적 출토품과의 양식 비교 결과를 십이동파도선 청자의 제작 시기를 추정하는 근거로 제시하였다. 십이동파도선 청자는 해무리굽과 기종 및 기형 · 문양 등 강진 용운리 10호-Ⅰ층 청자와 유사한 부분이 많아 용운리 10호-Ⅰ층 퇴적 운영 시기와 십이동파도선 청자의 제작 시기가 중첩될 것으로 보았다. 강진 용운리 10호-Ⅰ층 퇴적의 중심 운영 시기를 11세기 후반, Ⅱ층-가유형은 11세기 말에서 12세기 전중반으로 상정하였다. 따라서 십이동파도선 청자의 제작 시기는 용운리 10호-Ⅰ층 운영 시기보다 조금은 후행하지만, 10호-Ⅱ층-가유형보다는 선행하는 12세기 1/4분기로 설정하였다. 앞서 진행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십이동파도선의 성격을 추론하였다. 고려 초기 조운은 60개의 포를 중심으로 운영되다가 점차 지방에 대한 중앙정부의 통제력이 강화되며 조창을 중심으로 하는 운영체제로 변화한다. 지방제도의 정비와 함께 현종 말년에 확립된 조운제는 운영기반을 확보하고 관련 규정을 보완하며 안정적으로 시행되었다. 이렇듯 안정적 시스템 속의 조운선 운영은 십이동파도선 해저유적의 발굴양상을 통해 추정 가능하다. 목간은 주로 발신지와 수신자 · 물품의 목적과 같은 정보를 담고 있어 필연적으로 ‘사적 수화물’의 증표가 되곤 한다. 하지만 목간이 출수되지 않은 십이동파도선은 모든 화물의 선적지와 하적지가 한 곳임을 반증하며 이를 통해 십이동파도선 항해의 목적이 ‘조운’임을 추정하였다. 또한, 십이동파도선 청자가 발굴될 당시 유물 양상은 선체의 공간에 맞게 기형별로 청자 꾸러미를 차곡차곡 적재한 모습이었다. 그러나 다수의 수신자가 적힌 목간이 수습된 태안선의 청자 적재 방식은 수취인별로 위치와 공간을 분할하여 적재한 양상이었다. 즉, 십이동파도선에 적재된 화물은 특별히 수취인별로 나눌 필요가 없었으며 화물이 내리는 곳은 단 한 곳, 즉 조창이었음을 입증한다. 마지막으로 십이동파도선 청자의 의미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자기는 일반 농가에서 수취할 수 있는 항목이 아니기 때문에 국가가 소단위로 분량을 책정하였다. 호부는 공물액 책정 시 필요 기종 등과 같은 사항뿐 아니라 품질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즉, 호부는 양질청자의 수요는 강진과 같은 고급 자기를 주로 생산한 자기소에 배당하였으며, 궁성 내에 하급 관리나 신하들이 사용할 막대한 양의 그릇은 대량의 조질청자를 생산하는 해남과 같은 지방 요장에 배당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군산 십이동파도선은 조운제도가 확립되고 안정적으로 운영되던 12세기 초반의 공부 운송 체계를 보여주는 가장 이른 시기의 실물 자료로 의미가 있다. 또한, 해무리굽 소멸 등 초기청자 끝자락에 제작된 청자 일괄로 특정 시기의 청자 소비와 유통 양상 · 보편적으로 사용되던 그릇의 구성과 형태를 파악할 수 있는 양식으로 의미가 있다. 이렇듯 본 연구는 군산 십이동파도선 출수 청자의 특징과 생산지 · 제작 시기를 추론하고, 십이동파도선의 성격을 다른 해저유적과의 발굴양상 비교를 통해 조운선으로 추정하였다. 십이동파도선 청자의 생산지는 해남 진산리 74호와 진산리 20호를 중심으로 한 유사 계통의 가마로, 제작 시기는 12세기 1/4분기로 추정하였다. 또한, 십이동파도선은 공물을 싣고 개성을 향해 오르던 조운선이며, 출수품은 초기청자에서 중기청자로 넘어가는 전환점 단계에 유통되던 청자로 의미를 갖는 것으로 보았다.

      • 현직 교사들의 해외 자원봉사활동 참가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정보람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세계화(globalization)에 따라 상호연결성과 상호의존성이 심화되면서 세계화 시대에 적합한 기술, 지식, 태도를 갖춘 세계시민을 기르기 위한 교육의 역할이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글로벌 교육(global education)은 진정한 세계시민이 갖추어야 할 면모로 전 지구적인 체제에 대한 이해와 지구적 윤리의식, 서로 다른 사고방식과 생활양식을 가진 사람들과 평화롭게 공존하며 살아갈 수 있는 관용과 존중의 태도, 그리고 보다 정의로운 세계를 위한 책임감과 실천력의 함양을 강조한다. 교사는 학생들이 세계를 이해하는 창이 되기에, 이들이 세계시민으로 성장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먼저 교사부터 세계적인 존재가 될 필요가 있다. 해외 자원봉사활동은 교사들이 세계시민으로서의 역량을 갖추어 나갈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글로벌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해외 자원봉사활동에 참가한 현직 교사들의 경험을 드러내고 그러한 경험이 참가자들에게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살펴봄으로써, 해외 자원봉사활동의 교육적인 의미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다음의 세 가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첫째, 현직 교사들은 해외 자원봉사활동에 참가하여 어떠한 경험을 하는가? 둘째, 현직 교사들의 삶은 해외 자원봉사활동 참가 이후 어떻게 변화했는가? 셋째, 현직 교사들의 해외 자원봉사활동 참가 경험은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 연구자는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네팔에서 진행된 나무교사연구회의 해외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에 참가한 경험이 있는 현직 교사 다섯 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해 내러티브 탐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분석하는 데 있어 글로벌 교육과 국제 봉사학습(International Service Learning)이 이론적인 토대가 되었으며, 특히 사회 정의를 위한 비판적인 국제 봉사학습의 관점이 중심이 되었다. 해외 자원봉사활동 현장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 직면하며 당혹감을 느끼고, 익숙하지 않은 상황들 속에서 불편함을 느낀다. 이질적인 상황은 다른 한편으로 연구 참여자들이 자신이 갖고 있는 사고방식, 가치관, 스스로에 대한 이해, 기대 등을 반성적으로 되돌아 볼 기회를 제공해 주기도 한다. 이에 더해 해외 자원봉사활동 현장에서 느낀 보람과 성취감, 그리고 답답한 현실로부터의 해방감은 연구 참여자들에게 큰 선물이 되어, 이들이 자신의 삶을 적극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힘을 주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네팔의 열악한 환경을 목도하며 연구 참여자들은 국제사회의 불평등한 구조에 대해 비판하고, 국제문제의 해결에 책임감을 느끼게 된다. 해외 자원봉사활동의 전환적인 특성을 강조한 선행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해외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자신의 삶이 질적으로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고 느끼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편안함에 젖어 있던 평소의 습관을 경계하고 자원 절약을 실천하려 노력하지만 익숙한 생활을 떨쳐 내기란 쉽지 않았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교사로서 학생들에게 자신의 경험을 나누고 국제사회에 대해 책임감을 갖도록 지도하려고 노력한다. 하지만 진도에 대한 압박이나 글로벌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동료 교사들과의 공감대 부족은 학교 현장에서 이들의 실천이 제한적으로 발현되도록 한다. 이러한 개인적?교수적인 실천은 때로 연구 참여자들이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벽 혹은 괴리감을 느끼도록 만들기도 한다. 자원봉사활동 현장인 네팔에서의 경험과 귀국 후 삶의 경험을 살펴보는 작업을 통해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들의 해외 자원봉사활동 참가 경험이 ‘경계 만들기,’ ‘경계 넘나들기,’ ‘씨앗 뿌리기’의 의미를 갖는다고 보았다. 연구 참여자들은 해외 자원봉사활동에 참가하여 글로벌 교육을 실행할 교사로서 사명감과 정체성을 다지고, 나무교사연구회의 진정한 구성원으로 인정받게 된다. 이러한 ‘경계 만들기’와 동시에 연구 참여자들은 자원봉사활동과 국제사회에 대한 자선적인 관점과 비판적인 관점을 오가며, 국제문제에 대한 인식과 이의 해결을 위한 실천 사이에서 갈등하는 모습을 보인다. 개인이 무의식적으로 취하는 가정에 대한 성찰과 토론의 부족, 생활의 관성과 다른 사람과의 마찰 등은 연구 참여자들이 적극적인 실천의 영역으로 들어서기 어렵게 하고 있었다. 반면 나무교사연구회는 해외 자원봉사활동 이후에도 이어지는 학습모임으로 기능하면서 연구 참여자들이 실천을 지속해 나가는 데 도움을 주었다. 다른 한편으로 연구 참여자들에게 해외 자원봉사활동 참가 경험은 변화를 위한 ‘씨앗 뿌리기’로서 의미를 갖는다. 이는 미시적인 변화가 사회와 세계의 거시적인 변화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담고 있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토대로 연구자는 해외 자원봉사활동 경험의 교육적 함의를 ‘글로벌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방법’과 ‘아래로부터의 교육변화 과정’의 두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해외 자원봉사활동은 참가자들에게 지구 공동체가 직면한 문제를 생생하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며, 이를 통해 교사들은 글로벌 교육의 실행에 대한 자신감과 글로벌 교육을 위한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해외 자원봉사활동은 글로벌 교육과 관련된 교사의 지식, 경험, 자신감 증진을 위한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교사들은 해외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스스로를 변화의 주체로 인식하고, 자신의 일상생활과 수업 속에서의 실천을 이어간다. 이러한 풀뿌리 실천을 통해 글로벌 교육의 정신이 학교와 사회 전반의 교육 문화를 변모시켜 나갈 수 있다는 점에서 해외 자원봉사활동은 아래로부터 시작되는 교육의 변화로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해외 자원봉사활동이 지닌 교육적인 가능성이 발현될 수 있기 위해서는 개방적인 정체성의 확립과 더불어 개인이 타자를 바라보는 시각 속에 녹아 있는 가정 혹은 전제에 대한 비판적인 성찰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서는 해외 자원봉사활동이 장기적인 안목을 바탕으로 세심하게 계획된 사전교육과정과 연계해 진행되고, 후속적인 모임을 통해 해외 자원봉사활동 경험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장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해외 자원봉사활동 참가를 통해 심긴 변화의 씨앗이 싹틀 수 있기 위해서는 참가자들의 실천에 대한 사회적인 지지가 필요하며, 자원봉사활동 현장과의 상호적 관계의 확보가 중요함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해외 자원봉사활동이 글로벌 교육적인 실천과 변화를 위한 운동으로서 면모를 발휘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