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병원약사 직무 변화에 따른 21세기 미래형 약사직능 모델 제시에 대한 연구

        천영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빠른 고령화, 4차 산업혁명을 통한 의료정보기술의 발달, 전문약사제도의 시행 등에 따라 병원약사의 직능은 사회적, 임상적, 학문적인 변화가 예고되지만 현재까지도 병원약사의 업무 형태는 여전히 조제업무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총 3세부로 구성하였다. 1세부는 한국병원약사회가 발표한 표준직무기술서(직무2018)와 서울대병원에서 실제 수행하는 약제부 업무(직무2020)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병원약사의 직무 변화를 살펴보고, 2세부는 병원약사 업무를 수행한 연구사례를 선정하여 연구에 제시된 병원약사 직무의 전형성을 평가하여 그 변화를 살펴보고, 3세부는 현직 병원약사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업무 고충을 조사함으로써 그 결과를 근거로 21세기 병원약사의 미래형 직능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본 연구는 병원약사가 수행하는 업무를 총 `16개 직무 카테고리와 309개 세부 업무로 구성하고 이를 전형직무와 비전형직무로 분류하였다. 전형직무란 전통적으로 변함없이 진행되어 온 필수적인 업무로 교육, 마약류관리, 행정, 조제, 투약, 복약지도 등 9개 카테고리가 포함되었고, 비전형직무란 약물오류를 예방하고, 약물이 안전하게 사용되도록 관리하는 역할을 수용하는 직무로 연구, 의약품관리, 임상약제서비스, 약무전산관리, 질향상 등 7개 카테고리가 포함되었다. 1세부에서 병원약사라는 모집단을 대상으로 <직무2018>과 <직무2020>의 직무 비중을 비교한 결과, 비모수검정 p값 0.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 직무 카테고리별 비중 증감을 산출한 결과 조제/투약/복약지도 업무(-7.6%)와 같은 전형직무는 감소하였고, 임상약제서비스(+6.8%), 약무전산관리(+4.0%)와 같은 비전형직무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세부에서 병원약사의 실제 업무 수행과 연관된 연구사례 총 8건을 선정하고 각 연구의 직무 점수를 산출한 결과, 전형점수는 7점, 비전형점수는 23점으로 나타나 병원약사의 비전형직무가 증가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3세부에서 현직 병원약사 총 180명이 응답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처방조제에 대한 약사의 고충은 의사처방오류 시정(78.3%), 약물상호작용 확인 (68.3%), 복약지도 시간 부족(44.4%), 처방전 평가 시간 부족(55.0%)이었고, 처방중재 및 약료에 대한 고충은 의사의 권위적 태도와 통화의 어려움(49.4%), 정신질환에 대한 환자상담(75.0%), 약료 지식 부족(47.2%), 인력수급 및 조직관리(52.2%)이었다. 질향상(QI) 업무는 리더활동(37.8%)이 어렵다고 응답하였고, 약무전산 프로그램에 4점 척도 응답(3점: 어렵지 않다, 0: 참여하지 않는다) 결과 전자의무기록(EMR)은 2.5±0.8, 전사적자원관리(ERP) 1.5±1.2, DW 1.5±1.2로 나타나 EMR 보다 ERP나 데이터 웨어하우스(DW)를 더 어려워하였다(p<0.001). 병원약사 직무 변화를 살펴본 결과, 병원약사의 업무는 조제 중심의 전형직무와 더불어 환자 중심의 임상약제서비스, 질향상(QI), 전산관리와 같은 비전형직무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비전형직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병원약사는 정보통신기술이 융합된 새로운 장비를 고안하고, 다루고, 배우고, 관리하는 자동화시스템관리자로서 직능을 갖추어야 하고, 약물사용 오류를 개선하고 환자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시스템 내 질향상 리더 역할을 수행해야 하며, 병원정보기술의 단순이용자가 아니라 프로그램 개발 및 관리를 주도하는 약무전산관리자의 직능을 갖추어야 한다. 즉 4차산업혁명 시대 병원약사라는 직업은 미래에 사라지거나 축소되기보다 그 사회적 책임 및 직무가 오히려 확장될 것이며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약사의 새로운 직능이 요구된다. With the development of medical information technology, social aging, and the introduction of a pharmacy specialist, the role of hospital pharmacists (HPs) is expected to change socially, clinically, and academically. However, the dispensing work is still responsible for a large proportion of domestic HPs’ jobs. In part I, we divided the duties of HPs into typical and atypical and compared ‘Task_2018’ (Standard job description of Korean Society Hospital Pharmacist) and ‘Task_2020’ (Pharmacist’s job description of a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part II, we reviewed HP’s task change by calculation of typicality on job performance. And in part III, HPs’ grievances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duty on the hospitals. Finally, we presented a future functional model of HPs based on the result, As a result of comparing <Task_2018> and <Task_2020> by job categories for the population of HP, typical duties such as preparation/ administration/patient education (-7.6%) decreased. And atypical duties such as clinical pharmacotherapeutic service (+6.8%), pharmacy informatic management (+4.0%) tended to increase (p= 0.001). In part II, a total of 8 research cases related to the actual job performance of HPs were selected and the typical property of them was calculated. As a result, the sum of typical score was 7 and the sum of atypical score was 23. This presented that the atypical tasks of HPs were increasing. A total of 180 HPs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The grievances with the dispensing task were the physician’s incorrect prescription (78.3%), confirmation of drug interaction (68.3%), lack of counseling time (44.4%), and lack of screening time of prescription (55.0%). The grievances on the intervention or clinical service were the difficulty in contacting physicians (49.4%), counseling with psychiatric patients (75.0%), and lack of knowledge on pharmacotherapy (47.2%). Regarding the quality improvement (QI) task, 37.8% of respondents said that leadership activities are difficult. As a result of the 4-point scale (3: not difficult, 0: not applicable) on the pharmacy computerizing program, EMR was 2.5±0.8, ERP 1.5±1.2, and DW 1.5±1.2 (p<0.001). Among HP’s duties, atypical duties such as patient-oriented clinical pharmaceutical service, quality improvement, and pharmacy computer programs are increasing. Automation on the dispensing areas will be further accelerating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Future HP should acquire the skills to check various automatic equipment. HP should carry out the task of a quality improvement leader and pharmacy informaticist in the hospital system to improve medication errors and promote patient safety in the future. In other words, the profession of HP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not disappear or be reduced in the future, but rather its social responsibilities and duties will expand. So new functions of HPs lik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required to do so.

      • 전문약사제도의 발전방향 연구

        오소영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사회의 다양한 상병양상 및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양질의 의료에 대한 국민들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각 분야별 보건의료인력의 전문화 및 전문분야의 세분화 경향이 확산되며 강화하는 추세에 이르렀다. 또한 종합병원의 대형화 및 집단의료, 팀 의료의 형태로 진료 및 치료의 패러다임의 변화로 인해 다양한 보건의료직종의 활동에 대해 많은 의료진들이 그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한국병원약사회에서는 2008년 6월 전문약사 운영규정을 마련하여 현재 2015년 전문약사 분야는 종양약료, 심혈관계 질환약료, 영양약료, 중환자약료, 장기이식약료, 내분비질환약료, 소아약료의 7개 분과로 매해 시험이 실시되고 있다. 의·약학의 발전과 더불어 약제서비스도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화된 인력에 의하여 고유한 역할을 수행해 나가야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세분화되어 발전하고 있는 전문약사 업무를 제도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모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병원환경에서 전문약사제도의 바람직한 방향과 모델을 제시하기 위하여 시작하게 되었으며, 추후 약사 전체에 일반화 될 수 있는 전문약사 제도의 기본방향과 시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첫째, 국가별 전문약사제도 운영현황에 대해 분석하고, 둘째, 우리나라의 전문약사의 업무 내용 및 현황을 조사한다. 셋째, 앞에서 조사한 국내 전문약사의 현황을 토대로 문제점을 분석하여, 넷째, 병원의 전문약사제도의 고찰을 통하여 향후 병원 전문약사제도의 발전방안에 대하여 모색하고 방향을 제시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전문약사, 외국의 전문약사제도에 대한 문헌고찰과 더불어 한국 병원약사회 주관으로 이루어지는 전문약사자격증을 취득한 전문약사의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절차를 통해 얻은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문약사제도의 문제점으로 분석된 점은 크게 전문약사 자격 취득과정의 문제점, 전문약사로서의 역할정립의 문제점, 법적제도 및 사회적 인식의 미비 세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각각의 내용을 살펴보면 전문약사 시험 응시자의 자격취득 사유, 지역에 따른 교육 및 실습기회의 불균형, 전문약사로서 업무과정 중 발생하는 문제점, 전문약사의 질 관리, 법적제도의 부재, 사회적 인식 부족이 문제점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은 엄밀히 본다면 각각의 다른 개선방안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다기 보다는 서로 이어져 상호작용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전문약사 시험에 대한 적극적인 정보제공이 필요하며, 적절한 동기부여를 위하여 근무환경개선을 비롯하여 정부주도적인 제도의 법령화, 주변의료진의 전문약사에 대한 인식의 변화 등이 필수적으로 뒷받침되어야하며, 이를 위한 전문약사의 질 관리 또한 필요할 것이다. 또한 병원약사의 충분한 인력공급, 전문약사로서의 업무 표준화 등을 통해 전문약사로서의 업무를 정리하는 과정 또한 필요하다. 전문약사 시험은 적절한 난이도 선에서 전문약사 개개인의 만족도와 전문약사의 보편화, 질 관리를 위하여 여러 전문가와 함께 개선시켜야 한다. 또한 병원약사회에서 현재 진행중인 전문약사 협의회 모임을 활성화 하여 각 병원의 전문약사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전문약사의 업무를 및 지식을 공유해야 한다. 약대 6년제로 배출되는 약사의 수가 증가하여 병원의 인력난 또한 한시름 돌릴 것으로 예측되나 이것이 일시적인 상황에 머무르지 않도록 병원약국의 전반적인 근무환경 개선에 힘써야 할 것이다. 또한 약사의 인력이 서울/수도권의 대형병원에만 집중되지 않고 지방병원 및 2차병원까지도 고루 배분되어, 전문약사 응시 자격이 있는 약사들이 조제 업무만 아니라 임상업무에도 관심을 가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개선방안마련에 집중해야한다. 팀의료의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는 단계에 전문약사에 대한 필요성으로 전문약사제도가 만들어진 점을 고려하였을 때, 빠른 시일 안에 전문약사 제도가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전문약사 자격증을 소지한 개개인의 노력 뿐 아니라, 한국병원약사회, 대한약사회 및 정부에서 꾸준히 노력해야한다. For improving people's living standards and dealing with a variety of modern disease, people want to get better quality treatment. Therefore, sectoral specialization has increased to accommodate this demand. In addition, as hospital and the medical paradigm changes to the team approach, health care providers recognize the need of a variety actions of health and medical service personnel for patients. The demand of reliable expertise and objective assessment of the specialization in the field is increasing these days. With these trends, the Korea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categorizes pharmacy specialization into oncology, cardiovascular disease, nutrition, intensive care, organ transplant, endocrine disorders, pediatric. The annual test has been carried out since 2010. Depending on the development of the pharmaceutical services and necessity of specialized human resourc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system of pharmacy specialties should be planned in detail. This study was started to determine the optimal model of the system of hospital pharmacy specialties. It could be a foundation for the basic direc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general system of the pharmacy specialties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 survey of the pharmacy specialties system and its operating status country by country. Second, examination of pharmacy specialties system and role of the pharmacy specialist in the Republic of Korea. Third, analysis of problems of the domestic system of pharmacy specialties based on comparisons between countries’ systems. Fourth, through review of the system of pharmacy specialties, a future direction of development plan for the pharmacists will be provided. A literature review of other countries' systems of pharmacy specialties was conducted to compare those systems and the role of pharmacy specialties. After the literature review, the pharmacists who have a certification of the pharmacy specialty. A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s. The analysis of problems of the system of the pharmacy specialties indicate the certification of pharmacy specialities acquisition process, establishing role as a professional pharmacist, insufficient legal system, and the lack of social recognition as key problems. Looking into the analysis of the details, the problems are reasons of the certification acquisition, imbalances in education and training opportunities of the region, work process as pharmacy specialties, the quality of pharmacy specialties management, the absence of a legal framework, and shortage of social awareness. Improvement plans must be interaction rather than fragmented. There are various improvement plans. It would be better if there were an actively provision of information for the test of pharmacy specialties, improvement of the work environment for the proper motivation, change recognition of team approach member, and enacted laws about the pharmacy specialties. The quality management of pharmacy specialties will also be necessary for the system settling down. In addition, the arrangement of work process by pharmacy specialties using a sufficient labor supply and standardization of work process are also required. Examination of pharmacy specialties should reflect proper difficulties for the self-esteem and quality management. Committees operated by The Kore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should stimulate activity to help establish a network with other pharmacy specialties to share knowledge. Although the lack of the number of pharmacists could be solved because of the graduate of sexennial college students, for maintaining stability, the government should improve the overall working environment of the hospital pharmacy. The pharmacist workforce is distributed evenly among the local hospitals, and pharmacists who have qualifications for the pharmacy specialties pay attention to clinical work and take exams in pharmacy specialties. This should create an environment for pharmacists to cultivate interest not only in preparation of medicine but also in clinical work. Considering that the social atmosphere of the team approach is needed, the system of the pharmacy specialties should established as soon as possible. For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the government, The Kore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and individual of certification holders must make a collective and persistent effort.

      • 開設藥師와 病院藥師의 健康生活 및 職務滿足度와 關聯要因 硏究

        趙南春 慶山大學校 大學院 1999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ealth behaviors and affecting factors on job satisfaction of pharmacists working at community pharmacy and hospital pharmacy. Subjects served for this study consisted of 1,180 pharmacists including 844 pharmacists working at community pharmacy and 336 hospital pharmacis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for 4 months from 1st May to 31st August in the year 1998. The data analysis such as frequency(%) and correlation analysis, etc. were conducted with SPSS-PC program. The significance difference between groups were evaluated by X^(2)-test and students' t-test, and the p values which were less than 0.05 mean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mong at the subjects showed that the pharmacists working at community pharmacy are predominantly more male(M : F ratio = 54.1 : 45.9), higher age, and higher married status than hospital pharmacists who are predominantly more female(M:F ratio = 9.2:90.8). Also the pharmacists working at community pharmacy described that they have more concerns on their own health status, exercises and drug medications for healthy life, but showed higher frequency of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rather than hospital pharmacists. 2. The job satisfactions of the pharmacists working at community pharmacy were influenced by several factors such as their own healths, family-member, good residential environment,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neighborhood, and community activites. On the other hand, the job satisfactions of hospital pharmacists were increased according to higher age, married status, and the longer working career. The comparison of the job satisfactions between two group showed that hospital pharmacist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levels of self-developments, work loads, working times, and incomes, but they were negative to acknowledgements to their job professional levels from others. 3. The positive factors related to job satisfactions among the pharmacists working at community pharmacy were higher incomes, proper work loads, speciality perceived by themselves, the levels of self-developments, and good acknowledgements to their job professional levels from others. But those among hospital pharmacists were the levels of self-developments, work loads, speciality perceived by themselves, working times and incomes in these orders. 4. The comparison of the correlations between job satisfactions and the factors of two group showed that in case of the pharmacists working at community pharmacy, the important factors were incomes, the levels of self-developments, work loads, acknowledgements to their job professional levels from others and age levels. And incomes was lower-level factor on job satisfactions. 5. Pharmacists who managed always their physical fitness showed the higher levels in job satisfactions than the pharmacists who did not.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job satisfactions of the pharmacists were influenced by work loads, the levels of self-developments, speciality perceived by themselves and acknowledgements to their job professional levels perceived by themselves. And it was recommended that the managing authorities should build up the facilities for physical fitness and welfare facilities for the employee, and offer the employee chance of self-actualization through education and information supply of clinical pharmacy. 本 硏究는 藥局開設藥師와 病院勤務藥師의 健康生活 및 職務滿足度와 그 關聯 影響 要因을 調査하고자 全國 각 地域의 開設藥師 844명과 病院藥師 336명을 對象으로 1998년 5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4개월간 設問調査를 한 바 그 結果는 다음과 같다. 調査 對象者의 特性別 分布를 보면 開設藥師는 男子의 비율이 높고(男 : 女 = 54.1% : 45.9%) 年齡도 高齡層이 많으며 旣婚의 비율도 높았다. 반면 病院藥師는 특기할 정도로 女子의 비율이 높고 (男 : 女 = 9.2% : 90.8%) 年齡은 低年齡層이, 結婚 狀態에서는 未婚의 비율이 높고, 勤務年限도 짧았다. 開設藥師의 경우 藥局과 한 건물에 居住하는 사람이 16.6%나 되었고 藥局과의 交通便이 便利하고 이웃 住民들과 和睦한 편이 病院藥師보다 높았다. 또한 開設藥師는 健康에 관한 관심도가 높아 健康 知識 습득을 위해 적극적으로 努力하고 실제 健康 運動을 많이 하며 營養劑 및 補藥을 服用하는 사람의 비율이 病院藥師에서보다 월등히 높았고, 吸煙 및 飮酒 비율도 높았다. 開設藥師는 自身이 健康할수록, 家族간에 和睦하고 家庭에서 스트레스를 받지 않을수록, 居住 環境에 滿足하고 이웃과 和睦하며 地域社會 活動을 적극적으로 할수록, 睡眠이 充分하고, 健康·運動을 많이 하며 健康에 관한 知識 습득 및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적극적으로 努力할수록 職務滿足度 水準이 높았다. 病院藥師는 年齡이 들수록, 未婚보다는 旣婚일수록, 家族간에 和睦할수록, 居住 環境에 滿足할수록 그리고 勤務年限이 길수록 職務滿足度의 水準이 높았다. 두 職種의 職務滿足度를 비교해 보면 病院藥師는 開設藥師에 비하여 自己 發展의 程度, 業務量, 勤務時間, 收入 등에 관하여서는 긍정적이었으나 他人으로부터의 業務의 專門性 認定에 있어서는 다소 긍정적이지 않았다. 職務滿足度에 대한 影響 要因은 開設藥師의 경우 職務 關聯으로는 收入, 業務量, 專門職 認定度, 自己 發展의 程度, 專門性 認定의 순이며 그 외 特性別로는 地域社會 活動, 居住 環境 滿足度, 스트레스 해소 努力 및 藥局의 規模 순이었다. 病院藥師의 경우 職務 關聯으로는 自己 發展의 程度, 業務量, 專門性 및 專門職 認定度, 勤務時間, 收入의 순이고, 그 외 特性別로는 年齡, 居住 環境 滿足度 등이었다. 職務滿足度 影響 要因간의 相關關係를 보면 開設藥師는 收入이 가장 큰 要因이었고 다음이 다른 職業으로의 轉換 희망, 自己 發展의 程度, 業務量, 藥師 職業의 專門職 認定度 등이었으며, 病院藥師는 業務量이 가장 큰 要因이었고 다음이 自己 發展의 程度, 勤務時間, 藥局 業務의 專門性에 대한 他人의 認定, 年齡의 순으로 職務滿足度에 影響을 미치는 要因간에 相關性이 있었다. 開設藥師와 病院藥師의 健康生活 特性에 있어서 健康 運動을 하고 健康 知識에 관한 관심도가 높을수록 職務滿足度가 높으므로 運動 施設이나 與件을 마련하는 등 厚生福祉 向上을 위한 努力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開設藥師와 病院藥師 모두에서 業務量, 自己 發展의 程度, 專門職 및 專門性 認定이 職務滿足度에 큰 影響을 미치고 있으므로 關聯機關 또는 團體에서는 業務量, 勤務時間, 報酬가 적절하게 주어질 수 있도록 努力하고, 職務滿足度를 긍정적으로 發展시키기 위하여 業務에서 專門性을 認定받아 自我實現을 이룰 수 있도록 臨床藥學 등의 職務 關聯 敎育과 情報 提供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약국약사의 직무 수행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채널 이용과 이용 요인에 관한 연구

        정동명 동국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고령화 시대가 진전됨에 따라 의료 및 건강에 대한 정보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역할도 점점 더 커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의료 커뮤니케이션은 의사와 환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들은 의사뿐만 아니라 약사 및 간호사 등 의료에 관여하는 다양한 전문직의 협업을 중시하는 팀의료에 대응하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본 연구가 약사의 역할에 주목한 것은 바로 이러한 문제의식 때문이다. 약국약사는 기본적으로 의사와 환자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환자를 향해 정보를 발신하는 커뮤니케이션을 그 핵심 업무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약사의 핵심 업무가 커뮤니케이션이라고 했을 때, 약사의 커뮤니케이션 행동을 이해하는 것은 약사의 업무 중 핵심적인 부분을 연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는 단순히 약사의 직무를 해명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나아가 팀의료 속에서의 약사의 위치 및 역할을 이해하고, 그것에 기반하여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이어져서 궁극적으로는 팀의료라는 연계 플레이를 더욱 활성화하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약국약사들이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어느 정도 이용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런 커뮤니케이션 채널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연구문제로 세웠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명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약국약사의 직무를 크게 조제·투약, 복약지도, 약학 및 질환정보 수집, 일반의약품 등의 판매, 약국관리 업무 등 5개 분야로 분류하고, 커뮤니케이션 대상을 의사, 동료약사, 제약회사로 구분하였다. 정보 수신에 활용되는 커뮤니케이션 채널은 대면 채널(비공식적 대면, 공식적 대면), 매개된 대인 채널(전화/문자메시지/카톡, 이메일, SNS(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유튜브), 매스 미디어 채널(TV/라디오/신문/잡지, 서적 및 간행물, 전문신문/잡지/인터넷신문)로 나눈 후에 약국약사가 각 직무에 따라 어떤 대상과 어떤 채널을 통해 어느 정도 커뮤니케이션 하는지, 그리고 그러한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지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약국약사들은 여러 직무 분야에 걸쳐 의사, 약사, 제약회사와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다각적으로 이용하였으며, 그러한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도 직무에 따라 다양하게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의사와의 커뮤니케이션이 매우 부족하다는 것이었는데, 이것은 앞으로 팀의료라는 체제를 준비해 나가기 위한 중요한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 밖에 약사 간 커뮤니케이션 채널 이용에는 약사회의 탄탄한 조직 속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 SNS/유튜브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개인 혁신성이 강한 약사와, 여성 약사보다는 남성 약사들이 대면 채널을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스미디어 채널에서 서적 이용이 전반적으로 높은 반면, 매개된 대인 채널에서 이메일 이용이 모든 직무 분야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발견을 한 본 연구는 무작위 표본에 기초하지 않았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100세 시대를 맞이하여 앞으로 점점 더 그 역할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되는 약사의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관하여 시도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는 결코 작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최초의 연구이기 때문에 분석의 정교함에서 부족함을 노정하고 있기는 하지만, 본 연구를 바탕으로 삼아 앞으로 약국약사의 직무 활동과 커뮤니케이션의 관계, 그리고 팀의료 속에서 약국약사와 타 직종 의료 관계자와의 연계 활동에 관한 정교한 연구가 계속 수행되어 의료 커뮤니케이션을 확대시키고 발전시키는 것은 물론, 의료 환경 개선 및 서비스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通度寺 藥師佛畵의 圖像 硏究 : - 藥師十二神將 본인작품 중심으로 -

        박수현 동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Joseon period of image Medicine Buddha with Twelve Guardians and The Medicine Buddha Painting from history in faith. A study on the temple Tongdosa in relation and to the medicine religion, purpose of this thesis. The Buddhist faith by comparing, and analyzing foreign source of discord in our country want to have a dialogue of strife. Also on the domestic spying by the existing rift in the academic track characteristics for each type of research to test meaning of the situation. In this manuscript, these existing research and check, are going to go through the meaning of Buddha. Tongdosa help fill your screen as scared image the screen by featuring a sharply and on the screen to configure a sacred image God or the location of the strainer Symmetry and the direction of overall outline. The heigh of vivid facial expressions to put life into the screen and positioned dynamically and the size or the Sacheonwang expressions. Replay through the original circular make the most of landscape a rift. The study of the temple Tondosa in relation to the pharmacist buddha painting, also fascination and to the feature of the lotus flower, surrounded by one of the temples. The overal tone, such as gradations or color is not differentiate and maintained. Of twelve kind to the tone, a bit off color. The higher profile by the beard color contrast and more dynamic and lively expression. The bottom of the principal, the object of background or breach of the temple Tongdosa in some observed that he was a dark background color or continue the back can see. Slow match is intentionally inflicted, or what color is unknown whether the wishes of the phenomenon. Each of continuing the face or color gradations of difference about the parts to be solved in the future. Through the study of Tondosa, which buddha helped history, of image Medicine Buddha with Twelve Guardians and The Medicine Buddha Painting reappearance of this study, we were able to investigate the shading methods and screen configurations of the monks artist at that time, and they were also excellent in their aesthetic colors are systematic. The shades of color seem to have been left to the freedom without being formulated. I think that this part is a reflection of the personality of the author as well as the religionization. In the future, more similar discord will be found similar to that of Tondosa pharmacist aesthetic, so more studies on various colors of jade and shading should be preceded.

      • 불교의학과 한국의 약사신앙 : 삼국을 중심으로

        김태중(도신) 중앙승가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약사신앙은 다른 불교신앙들처럼 시대와 지역에 따라서 전승되고 변화되어 왔다. 약사신앙의 성격은 질병 치료를 대표로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국내의 불교학계에서 질병과 관련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 않다. 때문에 ‘불교의학’이라는 용어 또한 익숙하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약사불이나 약사신앙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 약사불상이나 도상에 관련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 또한, 약사신앙의 신앙적 측면에서의 연구가 진행되었다고 하더라도 연구범위는 약사신앙으로만 국한되어 있다. 약사신앙의 성격을 치병이라고 상정하면서도 종래의 연구들은 의학과 연계성을 지닌 연구를 진행하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은, 학문적 현황을 고려한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불교의학과 관련하여 한국 고대의 약사신앙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함이다. 즉, 불교의학적 입장에서 살펴보는 약사신앙에 대한 고찰이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문헌적 고찰이 중심이 될 것이다. 불교경전을 제1차 사료로 하고, 『삼국유사』와 『삼국사기』등의 역사서가 제2차 사료가 될 것이다. 본문의 제2부에서는 불교의학에 관하여 고찰할 것이다. 불교의학의 의미와 불교의학서에서 설하고 있는 불교치병설은 불교교리를 중심으로 전개할 것이다. 또한, 불교의술을 담당하는 치료자에 대한 고찰도 병행할 것이다. 이는 승의, 즉 의술을 행하는 출가수행자에 대한 고찰이 될 것이다. 제3부에서는 약사신앙과 불교의학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한다.일반적인 약사신앙의 유래 및 성격에 대하여 서술하고, 특히 약사12대원과 9횡사를 면밀히 검토하여, 치병이 약사신앙의 성격을 대표하는 것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제4부에서는 삼국의 불교의학과 약사신앙에 대하여 살펴볼 것이다. 고구려와 백제의 약사신앙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약사불상에 관한 것으로, 이는 사료의 한계 때문이다. 하지만, 백제의 주금사나 채약사 등을 통하여 당시의 불교의학에 관해서는 다소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신라의 경우는, 선덕여왕의 치병 기사를 근거로 밀교적 약사신앙에 대한 고찰이 중심이 될 것이며, 『신라법사방』을 중심으로 한 약사신앙에 대하여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 연구는 삼국시대 승려들의 약사신앙을 통한 전법의 모습과 불교발전에 끼친 영향을 미쳤음을 알고자 하는 것이기도 하다.

      • 약사 블로그가 약사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분석

        윤수진 성균관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약사가 직접 운영하고 있는 블로그를 찾아 이에 대한 일반인들의 만족도와 신뢰도를 조사하고, 블로그가 약사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약사가 운영하는 블로그를 방문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블로그 이용 동기, 만족도, 신뢰도, 약사 이미지에 대한 조사를 인터넷으로 진행하였다. 이에 128명이 조사에 참여하였다. 약사 블로그를 이용자들의 블로그 방문 목적은 의약품 지식 검색, 건강 관련 상담, 건강에 대한 의견 교환, 업무와 학업의 필요, 무료한 시간 때우기, 개인간의 친목과 네트워크 형성, 약사 진로 모색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53.9%(69명)가 하루 30분 이내의 시간 동안 약사 블로그를 이용하고 있었으며, 블로그 방문자의 87.4%가 약사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개선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블로그에 대한 만족도와 약사의 이미지는 매우 유의한 수준에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p=0.043) 그 이외에도 블로그 사용 시간과 약사 이미지, 그리고 전문적인 정보 습득과 건강정보에 대한 만족도, 컨텐츠 이해도, 재방문 의사에 대한 항목 역시 상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블로그 이용자들의 약사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종합 분석한 결과 블로그에 대한 신뢰도,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약사 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댓글 횟수의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약사 이미지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약사 이미지를 높이는 방법으로 약사 블로그를 적절히 활용하는 것은 좋은 방안이 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기존에 운영되고 있는 약사 블로그에 대한 일반인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도록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Web, internet is essential tool today. Web and internet have developed from their birth. In advancement of web, private contents are available to approach more easily through internet. They are separated from mass media contents such as TV, radio, newspaper, magazine. Blog is specialized for personal contents. Blog is different from homepage. Blog pivots on posting. Its usage is easier than homepage. Recently we can find many special theme blogs such as politics, sports, tour, and so on. Many people trust the contents of special theme blogs. Pharmacists’ blogs are managed by pharmacists. The blogs handle various theme, especially health and medicine. This research objective is effectiveness of pharmacists’ blogs for pharmacist image. The survey was done to visitor of pharmacists’ blogs about visiting motive, satisfaction, reliability, image of pharmacist. This survey executed through internet survey program, and responders are 128. Visitors of pharmacists’ blogs wanted information of health and medicine, health consulting. Most visitors spend 30 minutes per day blow in pharmacists’ blogs. And their image for pharmacist improved through the blogs. These results are correlated with satisfaction, reliability, spending time. So pharmacists’ blogs are good choice for pharmacists’ image, and improvement accessibility of the public of the blogs will be next goal.

      • 병원약사 업무 형태별 입원환자 처방 검토 기록 분석 및 약사의 역할 고찰

        조윤숙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병원약사의 역할은 조제 중심에서 환자 치료에 좀 더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약료 (pharmaceutical care) 중심으로 점차 변화되어 가고 있다. 하지만 현행 의료 체계에서는 여전히 조제가 약사의 책임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조제는 광범위하게 처방검토, 조제, 조제약 감사로 구분되며, 조제 전 처방검토는 처방전 내에 포함된 약에 대해서만 이루어지고, 표준 용량, 용법, 처방전에 있는 약물간의 상호작용 및 중복 등에 대한 검토만 가능하다. 그러나, 환자 측면에서 정확한 처방 검토를 하기 위해서는 실제 환자의 질병 상태, 신기능, 환자의 입원 전 투약 내역, 자가약 복용, 실제 약물 투약 기록을 종합적으로 확인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는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환자에게 처방을 입력하는 EMR 을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보건복지부의 시행령으로 의사가 약처방을 입력할 때 1차적으로 보완하는 프로그램인 CDSS를 활용하고 있으나, 이는 법적으로 최소한의 내용만 반영하고 있으므로 의사가 최종 입력한 처방이 약제부로 접수된 후에는 조제를 시행하여 환자에게 투약되기 전에 약사가 환자의 약력을 확인하여 처방의 적절성을 검토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종합적인 환자의 약물요법에 관여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는 진료팀의 일원으로서 활동하면서 환자의 전반적인 약물요법을 모니터링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장기이식, 중환자, 종양 환자, 흉부외과 환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임상 약사가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인 인력 문제로 많은 질환군의 환자에서 이러한 임상약사의 업무를 시행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조제 약사의 처방검토를 강화하여 좀 더 많은 환자에 대하여 안전한 약물요법에 약사가 기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입원 환자 조제를 담당하는 약사가 이러한 종합적인 내용을 근거로 처방검토를 시행할 수 있는 처방검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사용하게 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 처방검토 프로그램 도입 이전 조제약사의 처방 검토 기록과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검토한 병동약사의 중재 기록, 그리고 팀의료의 일원인 임상약사의 처방검토 기록을 분석하여 병원약사의 역할 변화의 필요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업무 형태가 다른 세 군의 처방검토 기록에 대하여처방 오류 유형, 약사 추천유형, 오류의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세 군에서 각각 다른 분포를 보였다. 특히 오류의 중요도에 있어서 큰 차이를 나타낸 것을 볼 때 입원환자의 치료 효과에 있어서 팀의료의 일원으로서 약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병원약사의 주 업무인 조제를 담당하는 약사는 처방의 적절성을 먼저 검토하는 것이 기본이므로 환자의 약력과 질병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처방검토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중재할 수 있는 업무 형태로 전환하여 약사의 임상적 지식을 환자 치료효과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하며, 조제 자동화 등 약사의 업무 패러다임을 변화 시킴으로서 팀의료의 일원으로 약사가 더 많이 임상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The hospital pharmacist’s role has changed steadily and turning away from dispensing functions toward active involvement in pharmaceutical care. But, dispensing function is still given much more weight on in the responsibility of pharmacists in the present healthcare system. Dispensing includes order verification, dispensing of drugs, double checking of dispensed medications in a wide range. Order clarification by reviewing of prescription before dispensing is only on medications in the sheet and pharmacists can review on common daily dosage, drug interactions and duplications in the prescription. However, to clarify more preciously through reviewing prescriptions for patients, pharmacists are required to check the patients’ general condition, kidney function, medication history before hospitalization, self medication use and records of administrations comprehensivel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has active computerized physician order entry (CPOE) systems, EMR, and using CDSS program when physicians enter the order complements possible medication error. However, it is an only first line complementing system when ordering on the basis of the act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o additionaly, before dispensing and administering order, pharmacists have to review the appropriateness of the order received in the pharmacy and clarify. Pharmacists are an essential resource in safe medication use, that participation of pharmacists on rounds improves medication safety, and that pharmacist-physician-patient collaboration is important. Many clinical pharmacists act in specialty areas such as organ transplantion, intensive care unit, oncology, nutrition, and anticoagulation service. Neverthless, insufficient manpower is the matter of facts on the realistic conditions and the limitation of expanding the action region of clinical pharmacists. And so, intensifying verification of the prescribed orders by dispensing pharmacists can contribute on the further better medication therapies towards much more patients. Therefore, the program of reviewing order by inpatient dispensing pharmacists was develop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ize the record of intervention by pharmacists who didn’t use this program, the record of intervention by pharmacists who did use this program and the record of intervention by clinical pharmacists participated on rounds and discuss on the necessity of the change of role of hospital pharmacists. In this study, considerably different results were showed in three groups of the records on the types of prescription error, the types of pharmacists recommendation and the significance of error.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achieved especially in the significance of error, the role of clinical pharmacists participated on rounds is much important for the therapeutic effect on inpatients. The addition of clinical pharmacist services collaboratively in the care of inpatients generally resulted in improved care and interacting with the health care team on patient rounds, interviewing patients, reconciling medications, and providing patient discharge counseling and follow-up all resulted in improved outcomes. So, continuing efforts on effectiveness all kinds of works of hospital pharmacists, such as automation of dispensing, are necessary.

      • 「藥師經』의 淨土觀 硏究 : 慧觀 · 大賢 · 善珠의 藥師淨土 修行法을 中心으로

        김미진(경오)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807

        『YakSaGyeong(藥師經)』 illuminates all the sentient beings with its light, and foolish people have received the light and achieved the highest enlightenment(無上菩提) so that it hasThree commandments (三聚戒), and there are neither deceases nor suffering by the perfect Geun(根), wishing not to be any lack of possession with supreme food and clothes, and it has Jeongto idea(淨土思想) which gives benefits in thepresent and future. A large number of people live in fear and panic with loosing their hope because of physical andmental pain and sufferingwhich they face in reality. So, we all need the practice of the Six Paramitas(六波羅密) and Gyeo·Jeong·Hyeo(戒·定·慧) for one’s mental comfort-ease(安樂) &happiness and material wealth& fame (名譽). It is a path leading to the true self and the core of YaksaYeorae(藥師如來) that the practice follows the teaching by thinking the Buddha of our true nature and calling the name. We could guess the coming into existence of 『YakSaGyeong』 was later than the faith of Amitabul(阿彌陀佛) and it has been sorted of as the Sutra for Faith(信仰經典) which is belong to Early Mahayana-Sutra. The estimated time of the accepting of 『 GwanJeongGyeong(灌頂經)』 and 『Yaksa-YuriGwangGyeong(藥師琉璃光經)』 is the 26year of KingJinheung(AD565). There are Six commentary to Chinese on this, the outstanding ones out of those are the followings; 『 Bulseol-YaksaYeorae-Bonwongyeong(佛說藥師如來本願經)』 book 1, Hyeonjang-Samjang(玄裝三藏)’s in Tang(唐)-『 Yaksa-Yurigwang-Yeorae-Bonwon Gongdeokgyeong(藥師琉璃光如來本願功德經)』book 1, and Euijeong-Samjang(義淨三裝)’s in Tang-『 YaksaYurigwang-chilbul-BonwonGongdeokgyeong(藥師琉璃光七佛本願功德經)』 book2. 『YakSaGyeong』 has described that one hears the name of YaksaBul(藥師佛) when one suffers with various deceases, then they are relieved from all the sufferings and the deceases, so it is recommended to do chanting the mantra to the point of hearing it during sleeping. 『YakSa-Chilbul-Gyeong(藥師七佛經)』 said each of 7 Buddhas(如來) isborn in Jeongto(淨土) as a Lotus. It again says that unfolding Maha-Dharma with mantra(多羅尼) in the present would have big benefits, resulting in being liberated from suffering and staying in Enlightenment(菩提), so it discourses and recommends Mantraof esoteric-buddhism(密敎). 『YakSaGyeong』 was formed after the faith of Amitabul formed, and it is categorized as to belong to Early Mahayana sutra. It was ascertained that the Sanskrit texts existed from the second century A. D to the sixthcentury A.D. There are 2 more commentaries additional toHyeogwan(慧觀) · Daehyeon(大賢) · Seonju(善珠)’s. The one of the two, 『 YakSaGyeongSo(藥師經疏)』 book 1, was writtenby the unknown and the second one, 『YakSaGyeong-Jikhae(藥師經直解)』 book 1, was written by Yeongyo(靈耀)(1683-?). The writer unknown’s 『 YaksaGyeongso』 has consisted of the ten name of Bhuddha(如來十號) and twelve bigwishes(十二大願), and 『YakSaGyeong-Jikhae』 has the preface, the praising of Yeongyo, the title, the twelve wishes, and the explanation of Yaksa-Jeongto with mantra(Darani). It remains as a completed text. 『YakSaGyeong-So』 of Hyeogwan in Tang, 『 Bonwon-Yaksagyeong-Gojeok(本願藥師經古迹)』 of Daehyeon in Silla, 『Bonwon-yaksagyeong-cho(本願藥師經鈔)』 of Seonju in Japan, These 3 commentaries were produced between the 7th and 9th century, and the 3 commentators were yogachara(唯識學派) scholars lived in 3 countries. The first, Hyeogwan wrote the most amount of commentary, but the front part has vanished so there is no 12 big wishes remained. and he tried to explain by using themost quote. Further, he explained Cha-suyong-to(自受用土) andTa-suyong-to(他受用土), giving a lot of space. Cha-suyong-tomeans that Truthful gooddeeds become a true nature, and thewest-geukrak-jeongto(西方極樂淨土) is Ta-suyong-to. Hyeogwan focused on explanation compared to the other two talking about the original text. Hyeogwan said, “Various terrible contagious diseases(疫病)would reach epidemic level in the country when several constellations are off the orbit”, “the first disaster out of three(三災) is the contagious disaster(疾疫災)”. It could be the prediction about the Covid 19. Further Hyeogwan mentioned to keep non killing creature to save a goose and the needof practice of Three karma(三業) enough todrink the ocean, andhe said that even if youbuild a precious pagoda, you can not overcome the good karma of being a monk in Chulga-gongdeokgyeong(出家功德經). In Beobgugyeong, it said we should be close to a good company to accomplish Enlightenment, then explained the 21 kind of good companies. The specialty of Hyeogwan is to explain the ten traits of people dying and the traits of going to a animalworld, and he also said there are the twelve sharing-good-karma(普施功德) when one get SukMyeong-Ji(宿命智) and share it, and mentioned about comparison of the goose(鵝珠) protecting Geum-gyeo(禁戒) and explained the practice of Bodhisattva-deer which makes stop eating meat and the benefits of Beingamonk. Daehyeon wrote in detail and systematicway, but explained the 12 big wish of Yaksa-yeorae and the nine violent death simply. Instead of that, he explained Yukjeil(六齋日) and the commandment to hold so that we don’t go into the three lower world(三惡道) after death keepprecisely. Daehyeon’s unique way of interpretation is that he made the 12 big wishes as the 6 big wishes, that is, two wishes become one so that it becomes the 6 big wishes. This way of interpretation is not shown in Hyeogwan and Seonju. Daehyeon said the six firmness in Daejibgyeong(大集經), and every 500 years, they are sequentially called Jeongbeob(正法), Sangbeob(上法), andMalbeob(末法). Seonju has more writings than Daehyeon, but less than Hyeogwan, and said that Yaksa-jeongto is Cha-suyong-to(自受用土). He gave importance to the power of the name, and it is difficult to be born in human and further to hear and believe Yaksa-yeorae, but by remembering Yeorae’s name in the power of Buddha, one can remove the karma of Greed · Anger · Ignorance, and be liberated from the karma of suffering. When Seonju interpreted the whole text, he interpreted by 5 sentences about the general meaning, the essential meaning, the inherited interpretation, the title, the meaning of contents. And the general meaning is the primarily meaning of why seven buddha came to the world, and the important door which the four kind of groups go into Do(道). Seonju highly evaluated the meaning of the twelve big wishes and the relief from the seven difficulties(七難) and the nine tragic death(橫死), saying these are the main way to transfer Buddha’s dharma with Yeorae’s great compassion(大悲) in Malbeob(末法) era. So he prayed to obtain the enlightenment by keeping precepts and repentance of the three karma(三業), worshiping teachers and repenting with holding the eight way of purifying a body(八齋戒). At last, Seonju gave the most elaborate answer out of the three, explaining Twenty seven subject without dropping anything when we compare ‘Yaksa-jeongto practice methods’ of the three people. Yaksagyeong gives the importance to the name of Buddha(如來), and is the same as the compassion of Yeorae, and it is also the expressionof a religious awakening(發心) of people who is willing to overcome adversities, and the power of Buddha which gives grace to these people. The faith of Yaksa-Yeorae has been formed by responding to real life issues like poverty, disease, suffering etc from the stance of Mahayana ideas based on compassion toward people. So suffering become the object of healing not the acceptance and denial. It has influenced to Buddhism’s becoming Esotericism and secularization since Tang, and we still can see it in modern buddhist culture. By comparing and analyzing Yasa-jeongto and Amita-jeongto in this thesis, it unfold the relevant of the two and the significant of Yasa-jeong to idea. The characteristic of Yaksa-jeongto is to emphasize on the need of commandment-perception(戒律觀) about a reward in accordance with a deed and the resolving real life adversity. But Amita-jeongto did not directly address human real life problems such as disease, the lack of food, and clothes etc.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learn about Yaksa-jeongto idea, its positionand its significance in the end. 『약사경』은 자신의 광명으로 일체를 비추고 유명(幽冥)의 중생은 이 빛을 받아 뜻하는 바의 무상보리를 이룬다. 그래서 삼취계(三聚戒)를 갖추며 완전한 근(根)으로서 질병과 고통이 없으며, 상묘(上妙)한 음식과 옷으로 소유가 빈약하지 않게 되기를 원하여, 현당이세(現當二世)에 이익을 주는 정토사상(淨土思想)을 갖추고 있다. 현실적으로 당면한 정신적, 육체적인 아픔과 괴로움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희망을 잃고 두려움과 공포로 살아간다. 그래서 정신적 안락과 행복을 위해, 그리고 물질적 부와 명예를 위한 계·정·혜(戒·定·慧)와 육바라밀(六波羅密)의 실천은 우리 모두에게 필요하다. 우리 실상의 근본인 부처님을 생각하고 그 명호(名號)를 부르며 그 가르침을 따르는 수행법은 약사여래 수행의 핵심이며 진정한 자아로 가는 지름길이다. 『약사경』의 성립은 아미타불 신앙보다 늦은 시기에 성립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고, 초기 대승 경전에 속하는 신앙 경전으로 분류한다. 『관정경(灌頂經)』 및『약사유리광경(藥師琉璃光經)』의 한반도 유입 추정 시기는 진흥왕 26년(565)이다. 이 경전은 한역본(漢譯本)이 5역이 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불설약사여래본원경(佛說藥師如來本願經)』1권과 당(唐)나라 현장삼장(玄裝三藏)이 번역한 『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藥師琉璃光如來本願功德經)』1권, 그리고 당나라 의정삼장(義淨三裝)이 번역한 『약사유리광칠불본원공덕경(藥師琉璃光七佛本願功德經)』2권이 바로 그것이다. 『약사경』에서는 온갖 병으로 고통을 당하는 자들이 약사여래의 명호를 들으면 모든 고통과 질병에서 벗어난다고 하였고, 잠 속에서도 염불이 들리도록 권하고 있다. 『약사칠불경』에서는 7여래가 대원(大願)마다 연꽃으로 정토왕생 함을 말하였고, 현세에 다라니(多羅尼)를 지녀 대승법을 펴서 큰이익을 얻어, 고(苦)를 여의고 보리에 머물도록 권하는, 밀교(密敎)의 다라니를 설한다. 『약사경』은 아미타불 신앙보다 늦은시기에 성립되었고 초기 대승경전에 속하는 신앙 경전으로 분류되고 2세기∼6세기에 범본(梵本)이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혜관(慧觀) ·대현(大賢) ·선주(善珠) 외에 당대 출처를 알 수 없는 미상(未詳)의 『약사경소(藥師經疏)』 1권과 영요(靈耀)(1683년-?)의 『약사경직해(藥師經直解)』1권이 있고, 미상의 『약사경소』는 주로 여래십호(如來十號)와 12대원(十二大願)으로 구성되었고, 『약사경직해』는 서문과 영요의 찬(讚), 총 제목, 12대원 그리고 약사정토의 설명이 다라니와 함께 들어 있어 완본으로 남아 있다. 당나라 혜관의 『약사경소(藥師經疏)』 ·신라 대현의 『본원약사경고적(本願藥師經古迹)』 ·일본 선주의 『본원약사경초(本願藥師經鈔)』를 주해한 3인은 7-8세기 동아시아 세 나라에서 활동했던 유식(唯識) 사상가들이다. 먼저 혜관은 3인 중 가장 많은 분량으로 주해하였고 앞부분이 소실되어 12대원이 보이지 않으나 가장 많은 인용문을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며, 자수용토(自受用土)와 타수용토(他受用土)에 대해 장문(長文)으로 설명하였다. 자수용토는 진실한 공덕이 실체가되고 서방극락 정토는 타수용토라고 하였다. 『약사경』 원문을 설하는 다른 2인과 다르게 혜관은 주로 원문 해석보다 나름대로의 설명을 중시하여 이끌어 갔다. 혜관은 "여러 별자리가 제자리를 벗어나고 온갖 지독한 역병(疫病)들이 그 나라에 두루 퍼지리라.”고 하여 삼재(三災)의 첫째 재난은 질역재(疾疫災)라고 하여 지금 퍼지는 코로나를 예견하였음을 알 수 있다. 혜관은 거위를 살리기 위한 불살생계를 지킴과 바닷물을 삼키는 것처럼 싫어함이 없는 삼업(三業) 정진의 필요성과, 『출가공덕경』에서는 보탑을 세워도 출가 공덕만 못하다고 하였다. 『법구경』에서는 불도를 이루기 위해 선지식(善知識)을 가까이해야 한다고 하며 21가지의 선지식에 대한 설명이 있다. 혜관의 특징은 사람이 죽을 때 열 가지 특징과 축생도로 가는 다섯 가지 특징을 설하였으며 또 숙명지(宿命智)를 얻어 보시함에 12가지 보시 공덕이 있다고 하였다. 금계(禁戒)를 보호하는 아주(鵝珠)의 비유와 지옥의 설명이 있었고 육식을 끊게 한 보살 사슴의 정진과 출가의 공덕을 말하였다. 대현은 상세하고 체계적인 과문(科文)을 구성하였으나 약사여래의 12대원과 9횡사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설했고 그 대신 육재일(六齋日)에 대한 해석이나 삼악도에 떨어지지 않기 위해 수지 해야 할 계율을 명확하게 저술하였다. 혜관과 선주에서 볼 수 없는, 대현의 독창적인 해석의 특징은 12대원을 6대원으로 나누어 12대원을 간략하게 둘씩 묶어서 그 특징을 설해 놓았다. 대현은 『대집경(大集經)』에 이르되 여섯 가지 견고함이 있음을 말하였고 각 오백 년씩 정법, 상법, 말법으로 명명하였다. 선주는 대현보다 많은 분량이나 혜관보다 적고,약사 정토는 자수용토라고 직접 밝히고 있다. 명호의 위력을 중요시하였으며 사람으로 태어나기도 어렵고 더구나 약사여래의 이름을 듣고 믿기는 어려운 법이나, 부처님의 위신력으로 여래의 명호를 기억하여, 탐·진·치의 업장을 없애고 고통스러운 과보로부터 모두 해탈을 얻게 된다고 하였다. 선주는 경 전체를 해석함에 있어서 경의 대의(大意), 경의 종취(宗趣), 전해오는 번역, 경의 제목, 글의 뜻을 다섯 가지 문으로 해석하였다. 경의 대의는 일곱 부처님이 세상에 나오신 본래의 뜻이고 네 종류의 무리가 도에 들어가는 요긴한 문이라고 하였다. 선주는 12대원과 칠난(七難)과 아홉 횡사(橫死)로부터의 구제는 말법시대에 여래의 대비(大悲)로 불법을 전하는 요체라고 그 의미를 높이 평가하였다. 그래서 계율을 받들고 삼업(三業)을 참회하고 스승을 받들며 팔재계(八齋戒)를 지켜 참회함으로서 억겁의 죄를 없애고 불과를 증득할 것을 기원하였다. 마지막으로 선주는 3인의 ‘약사 정토 수행법 비교’를 통해 27가지 주제에 대한 빠짐없는 답을 하고 있다. 『약사경』은 여래의 명호를 중시하고 여래의 자비에 합치하여 고난을 적극적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중생의 발심, 그리고 이들을 가피 하는 위신력을 표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약사여래 신앙은 중생에 대한 자비를 근간으로 하는 대승사상의 입장에서, 질병·빈곤·번민 등의 현실적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응답하며 생산되었다. 고통이 수용 혹은 부정의 대상이 아닌 치유의 대상이 된 것이다. 그 여파는 당대 이후 불교의 밀교화 또는 세속화로 연결되며, 오늘날 우리 불교문화에까지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그래서 약사 정토와 아미타 정토와의 비교분석으로 서로의 상관성과 약사 정토사상의 의의를 제시하였다. 약사 정토는 인과응보에 대한 계율관의 필요성과 현실적 고난 해결을 강조한 점이 특징적이고, 아미타 정토는 중생의 질병이나 의식(衣食)과 빈곤 등 현실적 문제에 관한 직접적 언급이 없다. 이 연구를 통하여 약사 정토사상의 위상과 그 의의를 계기적으로 이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