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후 독일 사회와 전쟁의 기억담론 - 볼프강 보르헤르트(Wolfgang Borchert)의 ‘문 밖에서’를 중심으로 -

        최선아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5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34

        German society underwent drastic changes from extreme poverty and turmoil to post-war reconstruction after World War II. German people shared the so-called "collective memory" during the war and the division of the nation into East Germany and West Germany. Nowadays the generations who experienced World War II has gradually disappeared, and the war will become as a sort of myth in the near future. When there is no more living witness of history, society is bound to rely on two different ways in association with the past. One is academic, historical research, and the other is media-aided "cultural memory."A noteworthy thing related to memory is the form of autobiography. An autobiography requires the identity of the writer, the narrator and the main character. This is a story that a person reminisced his or her own personal life and life history in prose, and the subject matter of it is himself or herself. In this perspective, Wolfgang Borchert's text can be one of important themes for research into the memory of post-war Germa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he problem of generation" in German and European society after World Wars I and II and the memory of the wars in German society by analyzing Wolfgang Borchert's work "Drauβen vor der Tür." It's specifically meant to look into criticism by post-war returned generations including W. Borchert against "creating a myth of hero" through history or the arts in German society, and into another criticism against the new "anti-hero" era and discussions on the responsibility of the wars. 2차 세계대전 후 독일 사회는 극도의 궁핍과 혼란, 전후 복구 사업으로 이어지는 변화를 겪었다. 전쟁과 동․서독 분단이라는 상황 속에서 독일인들은 이른바 ‘집단기억’을 형성하게 되었다. 2차 세계대전과 관련한 세대가 점차로 사라지고 있는 오늘날, 머지않아 2차 세계대전은 하나의 신화가 될 것이다. 역사의 산증인이 없을 경우, 사회는 과거와 관련한 두 개의 상이한 방식에 의존하게 된다. 그것은 학문적-역사적 연구와 매체에 의존한 ‘문화적 기억’에 의존하는 방식이다. 기억과 관련해서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자서전의 형식이다. 자서전이란 작가의 상황과 극 중 화자와 주인공의 동일성이 완전히 충족되어야 한다. 자서전이란 한 실제 인물이 자기 자신의 존재를 소재로 하여 개인적인 삶, 특히 자신의 인생의 역사를 중심으로 이야기한 산문으로 쓴 과거회상형의 이야기다. 이런 맥락에서 볼프강 보르헤르트(Wolfgang Borchert)의 텍스트는 전후 독일 사회 기억 연구의 중요한 테마가 될 수 있다. 본 글에서는 양차대전을 전후하여 독일 및 유럽 사회에 등장한 ‘세대문제’를 살펴보고, 볼프강 보르헤르트(Wolfgang Borchert)의 <문 밖에서>에 반영된 독일 사회의 ‘전쟁의 기억 문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과정을 통하여 기존 독일 사회에서 보여 주었던 역사, 예술 활동을 통한 ‘영웅의 신화 만들기’ 작업이 보르헤르트(W.Borchert)를 대변하는 전후 귀환 세대들에게 비판받고 새로운 ‘반(反)영웅’의 시대 비판과 전쟁 책임에 대한 논의가 전개되어 가는 양상을 고찰할 수 있다. 현대 사회 인류 최대의 비극인 제 1, 2차 세계 대전을 통해 전쟁의 비참함, 잔학성, 비인간성을 자각하게 되었고 전쟁에 대한 반성과 책임문제에 대한 논의로서 역사와 문학을 고찰하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볼프강 보르헤르트는 실제 전쟁에 참전하여 전쟁의 충격과 고통을 몸소 겪었던 자신의 체험으로, <문 밖에서>를 통해 2차 대전 후 전쟁의 책임에서 도피하려고 한 전후(戰後) 독일 사회에 대한 고발과 경종을 울렸다고 할 수 있다. 세기말 이후 등장한 독일 청년운동은 독일 현대사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1900년을 전후한 시기에 태어난 이들은 산업화 과정에서 나타난 부자(父子)관계의 변화와 수적인 증가, 삶과 노동의 성인세계로부터의 분리, 사회동질성의 전통적 형태의 약화를 통해서 자신들을 하나의 세대로 자각했다. <문 밖에서>는 "전쟁의 패망이 지난 후 전장과 포로수용소로부터 귀향하는 병사들의 운명과 현존하는 주변 세계와의 갈등과 긴장을 다루면서, 내․외적 세계의 새로운 가치와 질서의 수립, 그리고 파국을 청산하려는 생존자들의 재고 조사"라고 할 수 있는 전후(戰後)의 귀향문학이다. <문 밖에서> 작품 속 베크만은 기존 독일 사회에서 숭배받던 영웅이 아니라 전형적인 반(反)영웅이고, 독일 사회에 전쟁에 관해 책임을 묻는 질문자라 할 수 있다. 보르헤르트는 작품 <문 밖에서>를 통해 책임회피를 하는 동시대의 전쟁 책임자들에게 자기 인식과 독일 사회의 정체성 재정립의 계기를 마련하려 하였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일본 전후문학과 한국전쟁-홋다 요시에의 『광장의 고독』을 중심으로-

        김현희 ( Hyun Hee Kim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人文科學 Vol.0 No.57

        본 논문에서는 동아시아 근현대사 속에서 일본 전후문학의 발자취를돌아보고, 홋다 요시에의 『광장의 고독』을 중심으로 한국전쟁과 거기에얽힌 전후(戰後)의 문제들을 고찰해 보려고 한다. 이 소설의 배경에는 메이지(明治) 이후 일본이 아시아를 침략해 왔던역사가 있다. 그것은 일본의 근대사이기도 하고 한국과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의 근대사이기도 했다. 이 소설에서는 한국전쟁 당시의 일본을 둘러싼 국제정세와 사회 및 그 속에서 고민하며 사는 사람들의 현실을 날카롭게 묘사하고 있다. 이 소설에는 ‘커미트’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하는데 거기에는 두 가지이유가 있다. 하나는 국가.사회.국제관계를 상징하는 ‘광장’이고, 또 하나는 개인.가정.인간관계를 상징하는 ‘고독’이라는 문제와 관련된 것이다. 이 두 가지 면에서 생각해 볼 때 주인공이 임시직으로 신문사에 나와일하는 것과 그 배경에 있는 한국전쟁이 서로 맞물려 있는 구조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구조를 좀더 심층적으로 살펴보면 한국전쟁을 계기로 다시 신문사에서 일하게 된 주인공을 중심으로 개인(나)의 문제를 생각하고, 또 그것을 매개로 해서 가정(처자)과 국가(사회)를 생각하며 그 속에 얽힌 ‘전후’ 의 문제까지 발견하게 된다. 따라서 한국전쟁이라는 소재는 홋다 문학의특질이라고 할 수 있는 일본의 아시아 인식과 대미관계 등 전후 구조의복잡함을 그대로 드러내 보여주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전후 일본의 재군비라는 역코스에 대한 비판과 미군 점령하의 일본 사회의 모순을 그린 이 소설은 일본인뿐만 아니라 지금 여기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도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전후 70년이 되는현재의 일본과 홋다 요시에가 『광장의 고독』에서 폭로한 한국전쟁 시기의 일본이 오버랩되는 것만 보더라도 이 소설의 역할의 중요성을 충분히인식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imed at tracing the history of the post-war literature of Japan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of East Asia and examining the Korean War and the situations during and after the war with much focus on The Solitude of the City Square (1951) by Hotta Yoshie. As the background of the novel, it presents the history of Japan`s invasion of Asia, which was the modern history of not only Japan but also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and China. This novel sharply portrays both the international affairs surrounding Japan during the Korean Korea and the situation of the people who were agonizing in society at that time. The word “commit” appears frequently in this novel in relation to two other major concepts: a “city square” symbolizing the state, societ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and “solitude” denoting individuals, families, and human rel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wo concepts, we can understand that there exists a parallel composition between the main character who works at a newspaper office as a temp and the ongoing Korean War as the background. On a closer look, we can understand: 1) the issue of an individual (“I”) through the action of the main character working at a newspaper office; 2)the problem of family (wife and children) and state (society); and 3) the stranger and the “post-war”society linked to the aforementioned elements. Therefore, the issue of the Korean War clearly shows the complexity of the post-war society in Japan including Japan`s awareness of Asia and its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which is one of the major themes of Hotta Yoshie`s world of literature. In this respect, this novel poses a deep meaning for not only the Japanese but also the Koreans living in the present times in that it depicted the self-contradiction of the U.S. Forces-occupied Japanese society as well as the criticism of Japan which is taking the reverse course of post-war rearmament. We can understand the value of this novel in that the situation of Japan during and after the Korean War some 70 years ago is depicted in parallel with Japan of today.

      • KCI등재

        관전사(貫戰史)의 관점으로 본 전쟁과 전후(戰後)의 삶 : 이용악 시를 중심으로

        염문정 동남어문학회 2013 동남어문논집 Vol.1 No.35

        This study is focusing on an organic continuity between the war and the postwar history seeks to understand more broadly about the concept since the liberation society Trans-war history would want to see. Appeared at war and war Lee. Yong-Ak preparation, before and after, and about the way in which the society has been forming since the war. Appeared at Lee. Yong-Ak a Korean their various life research that began after World War II, newly cut off time, historically, the goal is that the results of successive time. the Chinese-Japanese War and mobilization for the war when materials the Pacific war, a Korean, since their emigration and return issues, consider the liberation by discussing two war liberated the crazy Korean social impacts have occurred since the societies discussed. Furthermore, fundamental level, explores the war had any impact to humans. this study is focusing on an organic continuity between the war and the postwar history seeks to understand more broadly about the concept since the liberation society Trans-war history would want to see. Appeared at war and war Lee. Yong-Ak preparation, before and after, and about the way in which the society has been forming since the war. (Dong-A University)

      • KCI등재

        염상섭 소설의 전쟁 미망인

        공종구(Kong, Jong-Goo) 한국현대소설학회 2020 현대소설연구 Vol.- No.78

        It is not easy to deny the criticism that Yeom Sang-seop’s novels, especially full-length novels, after liberation in 1945 are relatively less dense in style or the perfection of the narrative compared to his previous works. Nevertheless, his novels after liberation are still working in the fields of realism and ethnic minorities functioning as two pillars supporting his literature. This paper started with this sense of problem and two novels 『The Widow』, 『The Wreath』 are called out for intensive analysis to demonstrate the awareness. Above all, the most important factor leading the two works to the interpretation code of ethnic literature and realism is to summon the issue of ‘war widows’ to the front of the narrative which was one of the most serious social symptoms in the post-war Korean society and track the changes of their fate. Supporting and protecting war widows in post-war Korean society was a proper responsibility for the nation. Nevertheless, the work was forced to fall behind in the priorities. However, despite such realistic circumstances, it could not but be a problem to otherize these war widows, who are direct victims of the Korean War, as objects of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Nevertheless, members of the society at that time consistently treated war widows with discrimination and coldness. In that extension, members of Korean society at the time needed a scapegoat or buffer zone where the responsibility of social chaos or disorder caused by the degradation of social customs or sexual ethics could be shifted. The victims or objects targeted as buffer zone were war widows who were at the bottom of the predators in the Korean social hierarchy. It was because war widows were the easiest group to absorb or alleviate the psychological shock or toxins and odors of aggression from members of the society. For Yeom Sang-seop, who consistently used his view of the world as a realist and creative method as a writer’s topic since his debut, the issue of war widows like this was something he should never disregard or could not turn away. The works 『The Widow』 and 『The Wreath』 actively reflect such writer’s interest. Through those two works, Yeom Sang-seop reflected 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at leaving war widows unattended is a dereliction of duty for the state and society and actively supporting and protecting them was a national and social responsibility. And it suggests marriage of war widows as a concrete way or solution to fulfill such social responsibilities.

      • KCI등재

        박경리 초기소설에 나타난 전쟁체험과 문학적 전환 -≪애가≫와 ≪표류도≫를 중심으로-

        유임하 ( Im Ha Yoo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2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6

        박경리의 초기소설에는 전쟁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다. 초기 단편의 세계에는 여성 가장이 가진 죽음에 대한 공포와 불안, 가난과 궁핍, 가족 부양의 무거운 책무가 반복해서 등장한다. 이들 모티프는 1인칭 주인공 시점이나 관찰자 시점에서 활용되면서 서술자와 등장인물과의 심미적 거리가 가까운 서술문법을 가지고 있다. 이는 전쟁의 여파에 대한 체험의 직접성을 보여주는 한 단면이다. 초기단편에서는 우세한 자전적인 요소와 회상, 사유하는 내면성은 전쟁에 대한 시적 체험 상태를 담고 있으나 전쟁 체험의 성급한 객관화보다 사회악의 고발이라는 경로를 거친다. 그러나 전쟁의 자취가 사라지는 50년대 후반에 이르러 작가는 현실의 복합성을 담아내기 위해 장편 양식을 모색하게 된다. 하지만 작가는 먼저 단편양식 이 가진 장점을 활용하기보다 먼저 애정관계에 바탕을 두고 전쟁피해자의 현재를 서사화하는 방식을 택한 것이 ≪애가≫이다. ≪애가≫는 전쟁 의 상처를 가진 여성인물을 포착하는 데는 성공하지만 시적 상태에서 벗어나 산문적 현실을 구축하는 데는 실패한다. 여기에는 여성인물들이 사회적으로 생동하는 활동영역을 구비하지 못한 데 원인이 있다. 하지만 ≪표류도≫는 초기 단편이 가진 자전적 요소와 회상, 사유하는 내면성에 도 불구하고 전후 직업여성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전후사회의 안팎을 조감하고 통찰하는 새로운 면모를 제시한다. 특히 다방과 감옥이라는 공간을 통해 드러내는 작중현실은 사회악의 고발과 함께 전쟁피해자로서 직 업여성의 몽상과 현실, 밑바닥으로 전락한 여성들의 불행을 다채롭고 복 합적으로 제시한다. 그러나 박경리의 초기소설이 ≪표류도≫에서 거둔 성취는 ``1인의 고통을 만인의 고통을 담는 글쓰기``로 전환시킨 데 있다. 이 전환적 인식은 전후사회의 조망과 통찰을 통해 도달한 지평으로, 훗날 60 년대의 수많은 중단편들과 장편들, 그리고 ≪시장과 전장≫을 거쳐 ≪토지≫에 이르는 문학적 동력으로 작용했다. Shadows of war were lengthening on the early novels of Park Kyoung-Ri. In the world of early shorts, fear and anxiety, poverty and destitution, responsibilities of family support with woman head of household repeatedly appeared. These motifs which are used as first-person protagonist and observer`s view point have descriptive grammar that Character and narrator`s close aesthetic distance. This is one of aspects showing immediate experience aftermath of the war. The Path of complaint against social evils goes through than hasty objectification of war experience though early shorts freighted predominant autobiographical elements, recollection and interiority. However, reached in the late 1950s when the remnants of war getting disappear, Park tried to seek the full-length form to tell the complexity of real world. First, writer chose the way narrates the current of war victims based on affection relationship than taking advantage from a short form, that is Aega. Aega succeeded to seize the women with the wounds of war but failed to make establish the prosaic realities beyond the poetic situation. The main cause is that area where women can acts vibrantly in social wasn`t equipped. But Pyoryudo presented a new aspect which insight into and out of society after war, brought a professional women despite autobiographical elements, recollection and interiority early shorts have. Especially the real world in novel exposed through the Coffee and the Prison presents unhappiness of women fallen to the bottom and also daydream and the reality of professional women as the victim of war. That she switch the One person`s pain to writing that holds the pain of all is the achievement of the early novel of Park Kyung-Ri in Pyoryudo. This transitional recognition is the horizon reached through the view and insights of post-war society, later it offered literary power leading to Toji(토지) through many of the 1960s`s mid, short stories and Shijanggwajeonjang(시장 과 전장).

      • KCI등재후보

        전쟁 체험의 한 수용 양식 ―하근찬론

        강용운 현대문학이론학회 2007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30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the Korean War in Ha, Geun-chan's novels. In the 1950th, the postwar society was in a time of transition that a value system was collapsed and fluctuated because of the war. And a new value system was not established. The then postwar novel tends to novelize the experience of life of the day, as the social phenomena were under the direct influence of the Korean War. Especially, there were more serious problems to the women who had to endure the agonies of the war. Especially, there are more serious problems to the women who had to endure the agonies of the war. Eventually, social and cultural vacuum and anarchic disorder operate upon the women's represses desire for the mean time. He shows three kinds of experience of the war in his novels. One is serious violence of disable man. Another is physical suffer of women in the war. The other is collapse of Confucianism Society. He focuses the meaning of Korean War, the violence of war, and the character of society after the war.

      • KCI등재

        ‘부역(혐의)자’ 서사와 냉전의 마음: 1970년대 박완서 소설의 ‘빨갱이’ 담론과 그 사회적 의미

        이선미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1 한국문학연구 Vol.- No.65

        After the inter-Korean summit in 1972, the post-Cold War energy began to circulate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at political niche, novels emerge with narratives related to socialist families or slaughterers. Park Wan-seo wrote the stories about the life of the subordinate family after the war in a novel. After the war, in the Cold War society, the suspects and their families live in fear that they can become ‘Bbalgaengee’ (communist as anti personality) at any time. Because of this anxiety and fear, they have an attitude of excessive submission or a spirit of informant in order to live in a Cold War society. The issue of the Collaborator was the trigger that created the mentality of the informant. As the Cold War continued, In the 1970s, the Korean legal system and maintained the structure of punishment for Collaborator. Therefore the mentality of the informant became the mind of the general public in Korean society. Cold War society generalizes the minds of informants. Park Wan-seo's novels are the narratives that represnted the mentality of the Cold War society. 1972년 7.4 남북공동성명이 비록 곧바로 무산되었지만, 그로 인해 만들어진 해금의 영역은 냉전사회의 ‘균열’로서 주목해볼 만하다. 특히 문학작품에서 금기시된 빨갱이 관련 가족사가 수면 위로 부상하여, 소설이라는 허구적 형식을 거치면서 공론화된다는 점은 의미있게 평가할 대목이다. 1970년 늦은 나이에 전쟁기의 경험을 다룬 『나목』으로 등단한 박완서는 20대 초반에 전쟁을 경험한 자로서 1970년대 초반의 이런 변화에 즉각적으로 소설적 대응을 보인 작가이다. 단편소설 「세상에서 제일 무거운 틀니」(1972), 「부처님 근처」(1973), 「카메라와 워커」(1975), 「겨울나들이」(1975), 「돌아온 땅」(1977), 「그 살벌했던 날의 할미꽃」(1977), 장편소설 『한발기』(1971.7~1972.11) 등은 전쟁 이후 금지된 것으로서 빨갱이와 연관된 가족사를 안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전면화된 소설들이다. 그러나 이 소설들에서 빨갱이라는 판결을 받고 처벌된 사람들은 김원일이나 이병주의 소설처럼 명징한 사상적 정체성을 지녔다고 보기 어려운 점이 있다. 소설은 빨갱이 가족들의 삶을 주로 다루지만, 빨갱이로 명명된 자가 누구인가라는 신원을 밝히는 것에는 별달리 주목하지 않는다. 이 점은 박완서 소설이 빨갱이를 다룸으로써 한국사회 냉전관념에 저항하고 있지만, 빨갱이의 신원을 밝히는 소설들과 달리, 한국전쟁의 다른 문제들을 부각시키기 때문이다. 그리고 분단이 장기화되면서 냉전사회적 특수성을 만들어가는 한국사회의 자체적인 구조에 더 관심이 가있기 때문이다. 3개월간 점령당하고, 다시 수복되어 점령 하 인민군의 편이었던 적을 처벌하는 일이 생겨나면서, 전쟁은 다른 전쟁으로 성격이 변한다. 이 다른 전쟁으로의 전환은 내부 전쟁이기도 하고, 환도한 정부가 국민을 구성해내고 국권을 회복하는 정권 창출과정이기도 하였다. 빨갱이 아버지의 신원을 증명하기 위한 아들의 서사가 1970년대 이후 빨갱이 문학의 중심 서사로 해석되었다면, 박완서 소설의 빨갱이 서사는 사뭇 다른 방식으로 전쟁의 성격을 포착한다. 박완서의 전쟁서사는 도강파/잔류파의 부역 심사와 처벌 프레임에서부터 시작된다. 부역자 혐의, 부역자 처벌의 문제인데, 이는 분단이 장기화되면서 확대재생산되어, 빨갱이 ‘혐의자’의 불안과 공포를 일상화시키는 냉전사회의 특성을 만들어낸다. 부역자 문제가 전쟁 시에 발생했던 민간인 학살과 연결되는 치명적인 문제임에도 1990년대 이후에야 사회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것을 생각해볼 때, 냉전사회의 정치적 통제 속에서 미묘하게 존재를 증명하는 ‘문학’의 독특한 사회화 과정을 생각하게 하는 점이다. 부역자 서사로 포착된 사회적 심리는 냉전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마음에 담겨진 내밀한 속사정과 공포를 보여준다. 내밀한 삶의 양상이라는 소설적 설정으로나마 1970년대에 공적 영역에 진입한 마음이다. 분단작가라는 평가는 이 냉전사회의 속사정이 포착된 심리묘사와 관련될 것이다.

      • KCI등재

        한국전쟁기 외국인 선교사들의 순교와 선교

        김정현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2023 교회사학 Vol.- No.23

        가톨릭 교회는 3년이나 진행된 한국전쟁으로 인해 파괴되고 큰 피해를 입었다. 외국인 선교사들은 본당과 신자들을 지키기 위해 피난을 가지 않았기 때문에, 북한군에 의해 체포되거나 희생되었다. 이 때문에 가톨릭교회는 한국전쟁 기간 반공주의가 강화되고 한국전쟁을 성전(聖戰)이나 십자군 전쟁으로 인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냉전과 종교의 관계를 거시적인 조망에서 분석하는 기존의 연구들은 그리스도교 교회를 구성하고 공산주의를 만났던 구체적인 사람들의 ‘목소리’를 담아내지 못하는 한계를 지닌다. 고난을 당한 선교사들이 체험하고 남긴 기록은, 한국전쟁을 악마와 대결을 벌이는 성전으로 단순화하기 어려운 모습을 보여준다. 성골롬반외방선교회는 전쟁 당시 납북되거나 사망한 선교사들에 대한 조사보고, 정전협상과 포로석방을 위한 노력, 전시 선교 현황보고 등의 기록을 남겼다. 지금까지 한국전쟁기 선교사들의 활동과 문서 관련 연구는, 메리놀선교회, 베네딕도회, 골롬반회의 활동과 자료소개 등 각 수도회와 외방선교회 별로 이루어져 있고, 이를 포괄적으로 정리한 글은 거의 없다. 이 글은 각 수도회 선교사들이 죽음의 행진을 겪고 수용소에서 석방되어 남긴 수기와 골롬반 문서를 추가하여, 남북한 각 수도회 선교사들의 수용소 생활, 정전협상과 석방 과정, 남한에서 교회 재건을 위한 선교사들의 노력이 어떻게 이어지는지 그들의 목소리를 재구성해 보았다. 이를 통해 선교사들이 증오와 적대 그리고 이데올로기적 대립이 강화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어떠한 태도와 실천으로 선교 사명을 이루어 나갔는지, 전쟁 기간 선교사들이 남한 교회 재건을 위해 기울인 노력에 대해 알아보았다. 죽음의 행진을 겪고 생환한 선교사들의 수기에는 순교를 서술하면서도 반공이나 냉전 이데올로기와 무관한 그리스도교의 신앙과 성찰을 보여주었다. 선교사들의 납북 체험기와 증언에는 순교 정신과 용서와 회개를 위한 기도가 들어있다. 증오와 적대, 그리고 이데올로기적 대립이 강화될 수 밖에 없는 전쟁상황에서 선교사들은 오히려 이데올로기에 얽매이지 않는 선교와 신앙의 실천이라는 자신의 사명을 수행하였다. 선교사들의 순교와 1953-54년 수용소에서 선교사들이 석방되어 생환한 소식은 각 수도회뿐 아니라 선교사들의 고국인 미국·프랑스·독일·벨기에·영국·아일랜드·호주 등지에서도 대서 특필되었다. 납북 선교사들이 남긴 생생한 수기는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로 출판되어 번역되고 주목을 받았다. 본국의 수도회와 가톨릭 신자들은 생환된 선교사들이 1953년 7월 정전협정 체결 후 다시 한국으로 입국하여 선교의 행진을 벌일 때, 이들을 적극 후원하였다. 선교사들의 수난과 순교는 전시 남한에서의 선교와 구제 사업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기반이자 추동력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e Catholic Church was destroyed and greatly damaged during the three-year Korean War. Because foreign missionaries did not take refuge to protect their parishes and parishioners, they were captured or killed by the North Korean army. Because of this, the Catholic Church became increasingly anti-communist during the Korean War and even recognized the Korean War as a holy war or crusade. However, existing studies that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d War and religion from a macro perspective are limited by their inability to capture the "voices" of the specific people who made up the Christian church and encountered communism. The writings of the missionaries who suffered, however, make it difficult to simplify the Korean War as a holy war against the devil. The Missionary Society of St. Columban kept records of investigative reports on missionaries who were abducted or killed during the war, efforts to negotiate an armistice and release prisoners of war, and reports on the status of wartime missions. Until now, studies on the activities and documents of missionaries during the Korean War have been organized by religious orders and foreign missions, including introductions to the activities and documents of Maryknoll, Benedictine, and Golumban missions, but few have comprehensively summarized them. This article examined missionaries' memoirs written after their release from the camps following their death marches and Columban documents that show missionary activities in the midst of war to understand how missionaries fulfilled their mission in attitudes and practices that intensified hatred, hostility, and ideological opposition. In doing so, it explored the attitudes and practices of missionaries in the face of intensifying hatred, hostility, and ideological opposition, and the efforts they made to rebuild the church in the South Korea during the war. The diaries of the missionaries who survived the death march described martyrdom, but also showed Christian faith and reflection unrelated to anti-communist or Cold War ideology. The missionaries' testimonies of their kidnapping include a spirit of martyrdom and prayers for forgiveness and repentance. In a time of war, when hatred, hostility, and ideological confrontation were bound to intensify, the missionaries carried out their mission and faith without being bound by ideology. The martyrdom of the missionaries and the return of the abductees in 1953 were widely publicized not only in their respective religious orders but also in their home countries of the United States, France, Germany, the United Kingdom, Ireland, and Australia. Monastic orders and Catholics in their home countries actively supported the returning missionaries when they re-entered Korea after the armistice in July 1953 and organized missionary marches. The sufferings and martyrdom of the missionaries provided the basis and impetus for the active mission and relief work in and after wartime South Korea.

      • KCI등재

        大江健三郎「生け贄男は必要か」論

        松崎美?子(Matsuzaki, Mieko) 대한일어일문학회 2017 일어일문학 Vol.73 No.-

        Ōe Kenzaburō published “Is a sacrificial male human necessary?” in 1968 when the Vietnamese War was worsening. The book was created with a motif of cannibalism, overlapping two historic events: the Vietnamese War and the Korean War. This paper took a deeper look into Zen, the main character of the book, and focused on the cannibalistic elements including the introduction of Lu Xun’s ‘A madman’s diary’ to extend Ōe’s understanding of the Vietnamese War beyond warfare and rehabilitation. Being a humanist on the one hand and a violent man on the other, Zen speaks and acts on the basis of his good will. In other words, his good will was expressed through rabid behaviors at times. The description of his brutality based on his good will can be understood as the description of the United States that intervened in the Vietnamese War with its unilateral good will to stop the communization of the region. The ‘young man’, a blinded follower of Zen, can be perceived as a symbol of Japan that joined the war following the United States at the time. Lu Xun’s ‘A madman’s diary’ is highlighted in the book to depict Zen as a person who actively participates in the war with ‘conscious parallelism’, while symbolizing the other non-active characters around him as the onlooker attitude of Japan. This implies that the double-sidedness of Zen, where nothing seems right nor wrong, can be viewed as the ‘ambiguity’ of the good will. The lunatic behaviors of the ‘war veteran’ and the ‘boy’ were not derived from their ill will but from their background as the war victims and their struggling to protect their own lives. Through this enunciation, their ‘innocence’ becomes clarified, and their atrocity can be considered the madness of the ‘innocent’, which also applies to the Japanese society described in Ōe’s work. Japan, which joined the war without any malice, is this ‘innocent agent’ despite its indifference in the appalling war and the spectator’s attitude it maintained while enjoyin the economic benefits from the increasing demands. This suggests that Ōe paid attention to the ambiguity of the good will reflected in the Vietnamese War and the prevailing madness of the ‘innocent’ Japanese people. By overlapping the Korean War and the Vietnamese War, Ōe described the system of the repeated warfares and rehabilitations as well as the Japanese society that could not give up on becoming part of the system. Through Zen’s quote, “Save the children!”, Ōe tells the readers whether the cycle of the innocent madness that was prevalent in the Japanese society can be stoped.

      • KCI등재

        냉전 서사의 정치적 무의식과 과학적 상상력 : 문윤성의 사이언스픽션 『완전사회』를 중심으로

        이혜진(Lee Hyej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2

        이 글은 ‘전쟁과 평화’를 키워드로 하여 문윤성의 완전사회가 20세기 냉전 과학의 현실주의적 국제정치를 그려간 감응(affect)의 세계관을 살펴본 것이다. 이 작품은 20세기 국제질서의 재편양상을 전쟁과 평화라는 20세기 대전제의 관점에서 현상적인 경험을 통해 인간세계를 새롭게인식하는 계기를 발견케 했다는 특징과 함께 냉전체제가 보여준 과학기술의 핵심적인 위상을잘 드러내주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지구와 인류의 종말서사를 전제로 한 이 소설에서 냉전과학의 위상은 한국전쟁 이후에 각인된 구원자로서의 유엔과 과학센터의 인도주의적 역할에 대한묘사에 잘 나타나 있으며, 22세기의 미래가 여전히 직면해 있는 전쟁의 공포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는 현실주의적 국제정치가 야기한 인간의 이기심과 욕망을 차단함으로써 영구평화의 가능성을가늠하고자 했다. 인간 이기심의 발로인 전쟁은 결국 상호확증파괴로 연결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문윤성의 완전사회가 20세기 냉전시대의 신체적 현실의 지도를 그린 허구라는 점을 가정할때 작가는 영구 평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인간혁명’을 통해 포스트 젠더사회로서의 공생적 유토피아, 즉 인간을 위한 인간과 인간을 위한 과학의 진보라는 미래의 청사진을 보여주고자 했다고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worldview of the impact of Moon Yoon-sung’s “complete society” that paints the realist international politics of Cold War science in the 20th century, using“war and peace” as the keyword. This work shows the core status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Cold War system,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organization of the international order in the 20th century in terms of war and peace. In the novel, which presupposes the end-of-life narrative of Earth and mankind, the status of Cold War science is well illustrated in the humanitarian role of the United Nations and the Science Center not only as saviors after the Korean War but also to dispel the fear of war in the 22nd century. This is because war, which is caused by human selfishness, will eventually lead to the destruction of Earth by mutual confirmation. Assuming that Moon Yun-sung’s “Complete Society” is a fictional map of the physical reality of the 20th century Cold War, the author wanted to show the future blueprint of a symbiotic utopia, a post-gender society through the “human revolution,” to realize eternal pe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