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학박물관을 활용한 대학교양 글쓰기 과목의 수업사례 연구 - 덕성여자대학교의 기초글쓰기 수업사례를 대상으로

        변지선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교양교육연구 Vol.9 No.1

        This research is the case study for the undergraduate writing class, making use of museum in writing class. The undergraduate writing class is one of liberal art requirements in many universities, but lots of students still feel difficulty in writing. This research starts with such needs; we suggest an education method which enables us to teach whole writing process by providing the case, “Making use of University Museum in Writing”, a part of writing class in Duksung Woman’s University. “Making use of University Museum in Writing” consists of 4 classes. The first class introduced theories of “narration” and “description” and taught “travel essay.” The second class brought students to the university museum in Duksung Woman’s University. Students got a guide tour, had a discussion for theme selection and wrought the first outline. The third class is for developing the frist outline to wring a draft. Students got the corrected draft and polished it in the final class. Students must narrate and describe their plan, experience and impression in “Duksung Woman's University Museum Travelogue.” Their writing process consisted of several steps, selecting theme, making outline, organizing compositions, writing draft and developing draft. Students spent a large portion of their essay for describing what they saw but made quite a small portion for their impressions. After such process, we did a survey to check their interest in the museum and to ask their feeling in each steps, selecting theme, making outline, organizing compositions, writing draft and developing draft. As a result, we know that students got more interested in the museum, feel ease in narration and description but feel difficulty in expressing impression. Also, lots of students answer that writing draft is not hard and very helpful in developing compositions as planned. “Making use of University Museum in Writing” enables students to learn wring stp by step. Between steps, students’ works are corrected by the lecturer so that hey can get correction on every step. Also, they learn not only theoretical study of writing but also experimental study. “Making use of University Museum in University Museum” needs cooperation with the university museum and understanding exhibits of lecturers and ability of searching apllying data. Also, we suggest further writing like “museum talk for students” or “imaging as a person in the ear of the exhibit” to help students who got difficulty in expression their impression. 이 연구는 대학 글쓰기 수업에 있어 ‘박물관을 활용한 글쓰기 수업’의 사례에 대한 연구이다. 대학에서의 글쓰기는 여러 대학에서 교양필수과목으로 지정되어 운영되고 있으나 학생들은 여전히 글쓰기를 어려워하고 있다. 이 논문은 위와 같은 이유에서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글쓰기의 전과정을 학습할 수 있는 글쓰기 교육방법으로 덕성여자대학교의 글쓰기 수업 중 박물관을 활용한 글쓰기 수업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대학박물관을 활용한 글쓰기’ 수업은 총 4차시로 구성되었다. 1차시에는 ‘서사’와 ‘묘사’의 이론과 ‘기행문’에 대한 이론적 강의가 시행되었다. 또한 덕성여대 박물관에 대한 안내와 향후과제 및 박물관 관람에 대한 준비물을 공지했다. 2차시에는 강의실에서 덕성여대박물관까지 이동하여 박물관을 관람한 뒤, 강의실로 돌아와 주제선정을 위한 덕성여대박물관 감상을 나누었다. 아울러 1차개요를 작성하였다. 3차시에는 1차개요를 수정보완하여 2차개요작성이 진행되었고 초고쓰기가 이어졌다. 초고는 교수자가 첨삭하였고 4차시에는 첨삭된 초고를 바탕으로 재고를 작성하는 순서로 ‘대학박물관을 활용한 글쓰기’가 진행되었다. 학생들이 작성해야 하는 ‘덕성여대박물관 기행문’에는 여정, 견문, 감상이 포함되어야 하며 ‘서사’와 ‘묘사’의 기법을 활용해야 한다. 또한 글쓰기 과정은 단계별로 이루어지며 주제선정, 개요작성, 내용구성, 초고쓰기, 고쳐쓰기의 과정이 이루어졌다. 학생들은 내용구성과 초고쓰기의 과정에서 대상에 대한 묘사를 지나치게 많은 분량을 할애하였다. 대상에 대한 감상을 적는 부분에서는 인상적인 유물에 대한 감상의 분량이 적었다. 이러한 과정이 종결된 후, 학생들에게 대학박물관에 대한 관심도, 주제선정, 개요작성, 서사와 묘사 기법활용하기, 감상쓰기 등에 대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설문의 결과 대학박물관에 대한 관심도는 증가하였고 주제선정, 서사와 묘사의 기법을 활용하는 것은 어렵지 않게 느꼈으나 감상을 적는 부분은 어려웠다고 답했다. 개요작성은 매우 쉬웠으며 글을 구성하고 내용을 전개하는데 있어 큰 도움을 받았다는 의견이 다수였다. ‘대학박물관을 활용한 글쓰기’를 통해 학생들이 글쓰기의 과정을 단계별로 익힐 수 있고 단계별로 첨삭이 이루어지므로 글쓰기의 전단계에서 고쳐쓰기가 진행되었다. 또한 글쓰기 이론을 배우는데서 그치지 않고 실제적 체험을 동반하여 익힌다는데 있어 의의가 있다. ‘대학박물관을 활용한 글쓰기’는 대학박물관과의 긴밀한 협조, 교수자의 전시와 유물에 대한 이해, 자료의 검색과 활용능력 향상과 같은 문제가 선결되어야 함을 밝혔다. 또한 학생들이 ‘대학박물관을 활용한 글쓰기’에 있어서 인상적인 유물에 대해 느끼고 그것을 글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학생들 입장에서 전시설명, 전시기획하기’, ‘유물이 활용되었던 시대의 인물로 상상하고 글쓰기’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 글쓰기의 교과 현황과 교재 개편 양상 - 한밭대학교 ‘공학 글쓰기’ 교과와 교재를 대상으로 -

        오영록 ( Ou Young-rock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학연구 Vol.61 No.2

        대학의 가장 많은 학습자들이 필수적으로 들어야 하는 필수 교양 교과목인 대학의 글쓰기는 여타 대학 교양 교과목과 일부분을 공유하면서도 다른 성격을 지닌다. 대학 글쓰기 교과는 여러 조건을 지닌 학습자들을 포용하면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목표를 달성해야 하는 목적을 가진다. 대학의 글쓰기 교과는 그 대학만의 고유하고도 일치된 형태의 교재를 통해 보편적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그 대학 글쓰기 교과의 현황을 파악함에 있어 교재는 필수적으로 함께 살펴야 하는 사항이라 할 수 있다. 기존 한밭대학교 글쓰기에 대한 연구는 새로운 교수법을 활용한 사례연구, 그리고 대학 글쓰기에서 다루는 내용 가운데 부분적 사항에 대한 연구, 추가적으로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통계 및 조사 연구로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련의 사항은 한밭대학교 글쓰기 교육에 대한 일부분을 살필 수는 있으나, 교과목과 교재를 거시적인 차원에서 조망할 수 있는 연구가 부재하고 있어 총체적인 이해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밭대학교 글쓰기의 교과 현황을 파악하고 그 향방을 살피고자 한다. 더불어 한밭대학교 글쓰기 교재 개편의 양상을 살피고 나아가 그 개선 지점을 함께 파악한다. 여기에서는 연구 대상의 명료함과 명백함을 위해 가장 많은 분반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글쓰기 교과목 ‘공학 글쓰기’로 그 대상을 한정한다. 여기에서는 2001학년도부터 2021학년도에 해당하는 한밭대학교 국어 교양 교과목의 흐름을 맥락적으로 이해한다. 더불어 여기에서 문제적인 사항들을 살피고, 추후의 향방에 대해 조망한다. 그리고 대학 글쓰기 교재의 역할과 의미를 이해하고, 이에 따라 한밭대학교의 글쓰기 교재가 위치하는 지점과 개편 양상에 대해 파악한다. 나아가 한밭대학교 ‘공학 글쓰기’ 교재를 중심으로 하여 개선해야 할 사항에 대해 살핀다. Writing courses which are required liberal arts subject that students must take shares some similar but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other liberal arts subjects. The university writing course aims to achieve a certain level or higher while embracing learners from different situation. University writing curriculum aims to achieve universal goals by creating unique and consistent forms of textbooks.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textbooks must be examined together in grasp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university's writing subject. Existing research on writing at Hanbat National University can be divided into case studies using new teaching methods, studies on partial matters among the contents covered in university writing, and finally studies targeted on student learners. Such research can examine some of the aspects of writing education at Hanbat National University, but currently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hat can be viewed at the overall level of subjects and textbooks, making it difficult to understand.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Hanbat National University's writing curriculum and examine its direction. In addition, we examined Hanbat National University's writing textbooks and further identified potential improvements. For clarification purposes of this study, we targeted “engineer writing,” most covered course in university. Here, we will learn the flow of Korean liberal arts subjects in liberal arts courses at Hanbat National University from 2001 to 2021. Nevertheless, we will look at the problematic matters that exist and learn the future prospect. In addition, we will understand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university writing textbooks, and accordingly identify the current standing point and possible improvements of Hanbat National University's writing textbooks. Furthermore, we will examine the matters to be improved, focusing on the textbook of "Engineering Writing" at Hanbat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후보

        대학의 글쓰기 교육과 장르 선정의 문제 -자기표현적 글쓰기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중심으로-

        김미란 ( Mi Ran Kim ) 한국작문학회 2009 작문연구 Vol.0 No.9

        현재 대학의 글쓰기 연구자들은 인지-사회 통합적 관점에 기초한 과정중심 작문 이론을 수용하면서 대학 글쓰기의 고유한 목표와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그런데 이 과정 중심 이론은 대학생들의 논리력, 창의력, 비판력을 키울 수 있는 장르를 선정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논리를 아직은 자체 내에 만족할 만큼 갖추고 있지 못하다. 특히 담론 공동체를 중심으로 글쓰기의 사회적 성격을 부각시키고는 있으나, 담론 공동체 구성원의 동질성을 크게 강조하기 때문에 능력주의 이데올로기를 내면화하고 있는 대학의 신입생들이 교육을 통한 계급 재생산과 사회 불평등의 문제를 사유할 기회를 얻기 힘들다. 이러한 학생들은 대학의 학술 공동체가 제공하는 규율을 쉽게 흡수할 수는 있어도, 규율 자체를 변형시키지는 못할 것이다. 글쓰기의 사회적 성격을 강조하는 연구자들이 결국 담론 공동체의 관습을 습득하도록 글쓰기를 위한 절차적 지식과 규칙을 제시하는 데 머무르게 되는 것은 이론 자체의 부족함에서 기인하는 바가 크다. 대학 글쓰기에 적합한 장르를 선정할 때에도 마찬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의 글쓰기 교수자들 대다수는 사회적·인지적 과정으로서 글쓰기를 지향하면서 자기표현적 글쓰기를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자기표현적 글쓰기라는 장르가 대학의 글쓰기 교육에 왜 필요한가 하는 본질적인 질문은 매우 부족하다. 비록 교수자들이 인지-사회 통합적 작문 이론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해도 현재까지는 이 이론이 자기표현적 글쓰기라는 장르 선택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설명해주지는 못하는 상황이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에서는 현재의 작문 이론이 앞으로 보강해야 할 점은 담론 공동체를 중심으로 글쓰기의 사회적 성격을 더 깊이 사유하는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장르의 측면에서는 자기표현적 글쓰기가 아닌 자기 성찰적 글쓰기를 선택해야 담론 공동체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Currently, the researchers of university writing are groping for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its own. But process theory for writing does not have a logic satisfyingly to choose genres for improving university students`s logical ability, initiative spirit and critical ability. This theory emphasizes the social characteristics focusing on the discourse Community. Yet it lays weight on the homogeneity of the Community. That`s why it only helps freshmen to orient themselves to discourse Community of university. As it becomes helper, so the university students seldom get opportunities to cogitate about class reproduction and social inequity. This condition is mainly due to insufficiency of process theory itself. When the teachers choose genres for university writing, the same problem come to the fore again. To certify my opinion, I observed the expressive writing in the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Because this writing is incongruent for the university students in especial. In conclusion, I insisted that process theory should be strengthened the social characteristics focusing on the discourse Community and in the case of genre, instead of expressive writing, self-reflexive writing would be suited for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 KCI등재

        대학 계열별 글쓰기 수업의 교육 방안

        김지혜 이화어문학회 2014 이화어문논집 Vol.32 No.-

        본 연구에서는 가천대학교 계열별 글쓰기 교육의 사례를 중심으로 대학의 계열별 글쓰기의 특징 및 목표를 고찰해 보았다. 대학의 글쓰기 교육은 현실적인 제반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중등교육의 작문 교육처럼 체계화ㆍ표준화하기는 어렵다. 대학 글쓰기는 각 대학의 교과과정에 따라, 교양교육의 목표에 따라 특성화될 수밖에 없는 실정인 것이다. 가천대의 경우 2011년부터 기존 대학 국어 형식의 수업을 실용적인 계열별 글쓰기 수업으로 개편했으며, 2014년 현재 과학기술글쓰기, 예술체육글쓰기, 인문사회글쓰기, 의료보건글쓰기 4개 영역으로 나뉘어 있다. 가천대 글쓰기 수업은 글쓰기의 기초 부분은 공통으로 두고, 실용문 글쓰기 부분을 각 계열에 맞게 특성화하여 진행하고 있다. 특히 과학기술글쓰기에서는 기술문서, 과학서평, 과학에세이를, 예술체육글쓰기에서는 작업노트, 서평, 예술비평문을 다루고 있으며, 인문사회글쓰기에서는 서평, 칼럼, 영화평, 이야기 새로 쓰기 등을 선택하여 실습하고 있다. 이처럼 실용문 글쓰기를 계열별로 특성화시킴으로써 기존에 제기되었던 여러 계열별 글쓰기의 문제점을 최소화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전공별로 필요한 글쓰기 부분을 보강함으로써 전문적인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전공 분야를 미리 탐색하고 진로를 성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전공 분야가 다양화되고 전문화됨에 따라 ‘소통’이 가장 중요시되고 있다. 계열별 글쓰기는 단순히 취업을 위한 글쓰기 연습이 되어서는 안 되며, 여러 분야와의 효과적인 소통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해야 한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and goal of writing education of university by department through focusing on the example of Gachon University's writing education by department. Writing education of university has different condition on the whole reality, so that it is difficult to systematizeㆍstandardize as that of secondary education. Writing of university is apt to be specialized according to the curriculum of each college and the goal of liberal education in reality. In case of Gachon University, it reorganized the existing language form class of the college into practical writing class by department since 2011, and presently in 2014, it divides into four areas, i.e. scientific technology writing, arts and physical education writing,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riting, and medical health writing. Writing education in Gachon University is proceeded by specializing practical sentence writing part to be proper for each department, by putting the basic part of writing commonly. Particularly in scientific technology writing, technical document, science book review, science essay are treated, and in arts and physical education writing, work note, book review, art criticism are treated, and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riting, book review, column, film review, writing stories newly, etc. are selected and practised. This way, it intended to minimize the problems of writing by department, which were raised previously, by specializing practical sentence writing by department. Also, by reinforcing necessary writing part by major, it enabled exploration of major field beforehand and introspection of career, at the same time improvement of specialized writing ability. As the major field is diversified and specialized, 'communication' is the most highly regarded. Writing by department should not be the writing practice for mere finding employment, but it should take an objective to improve effective communication ability with various fields.

      • KCI등재

        대학 글쓰기 피드백 체계 탐색 - 미국 대학 글쓰기 센터 튜터 훈련 자료 분석

        곽수범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3

        In university context, writing feedback is usually received from subject instructors, peer students, and/or writing center tutors. Writing feedbacks and reactions, particularly delicate feedback, are known to greatly influence the learners’ writing development. Consensus has been easily reached regarding the effectiveness and necessity of university writing feedback in Korean academia until recently; however, specific feedback methods, scope, and recommended strategies have been presented in various ways. For this matter, the study focused on university writing feedback systems and training materials in the United States, as it has a relatively extensive history of writing centers and research in the field of writing. In the present study, the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educational materials of 46 American university writing centers were collected, and a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approach (HPA) was used to examine university writing feedback systems and their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American university writing centers divide the procedure into written and face-to-face feedback in detail, and they provide systematically organized workshops and required courses for instructors and tutors. 대학에서 글쓰기에 관한 피드백은 대체로 담당 교과 교강사,동료 학습자,글쓰기센터 튜터로부터 받게 된다.교사 반응,특히 섬세한 피드백은 학습자의 쓰기 발달에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익히 알려져 있다.그동안 우리 학계에서 대학 글쓰기 피드백의 효용성과 필요성에 관한 합의는 쉽게 이루어졌지만,피드백 방법,범위,권장하는 활용 방안은 연구마다 상이한 모습으로 제시되었기 때문에,이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대학 글쓰기 피드백 연구사가 오랜 미국 대학 작문학계의 논의와 글쓰기 센터교육 자료를 종합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46개 미국 대학 글쓰기 센터의 교강사 훈련 프로그램과 교육 자료를 수집하고,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방법(hermeneuticphenomenologicalapproach, HPA)을 적용하여 대학 글쓰기 피드백 체계와 시사점을 살펴보았다.분석 결과 미국대학 글쓰기 센터에서는 서면 피드백과 대면 피드백으로 나누어 그 절차를 상세하게구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각종 교강사와 튜터 대상 워크숍과 필수 이수 교과목 또한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신문 문예(화)면의 기능과 활용 방안

        이상복(Lee, Sang-Bok)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3 No.3

        This Study aims to discuss about function and utilization of feuillton in a university pres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Wonkwang University Press". General a press of university is composed with page of news, planning, feuillton, culture, opinion, science and society. Contents of a newspaper of university are general limited, because a newspaper of university is different from a dairy newspaper, which has a large reader circulation. And because a newspaper of university is published weekly, it can"t compete with a dairy newspaper. Informations about the university can be rapid spread with internet. Also a newspaper of university needs to renovate the established formation. A strategy for a renovation of a press of university is enlargement and reactivity of the feuillton. With this renovation the education of literary writing in the university can be revitalized. In case of the "Wonkwang University Press", many students had written essays, novels and poems in the feuillton till the middle of 1980". Also, many students of the Wonkwang University have made them debut as a literary writer. There is a necessity for development of latent abilities of literary writing of many students who live in a digital world. For this purpose I would like to propose as follows. 1. We can provide students the feuillton of a university press as a space for literary writing. They can write poems, serial novels and different essays. 2. It needs to avoid that only few students exclusively write in the feuillton. In order that many students can write, we can use a methode of serial writing which is similar to the writing in the digital age. 3. There is necessity for expanding of sphere of literary writing which includes different contents. Many different essays, for example, about films, musics, foods, travels, can be written in the feuillton. 4. We can connect writings in the feuillton to regular courses of writing in the university. We can motivate many students to write essays. 5. In case of the "Wonkwang University Press", it can be cooperated with many educational operations for human knowledge, for example, "The scholarship for humanity knowledge".

      • KCI등재

        장르 특성을 고려한 대학 신입생 자기소개서 교육 방안

        오현진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3 리터러시 연구 Vol.14 No.1

        This study aimed to propose ways to improve students’ writing skills using a letter of self-introduction in writing education for university freshmen. Currently, education on self-introduction letters targets students of different grad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tters oriented toward seeking employment. However, it is also necessary to teach university freshmen how to write such letters, not only because of university freshmen’s need to learn about self-introduction letters but also the fact that they often must submit self-introduction letter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on self-introduction letters that university freshmen received in high school, the textbook Speech and Writing, one of the selective subjects, was reviewed. Also, the limitations of self-exploratory writing in creating writing content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were examined. As a result, this author concluded that what university freshmen should note in writing self-introduction letters is not just themselves, the object of writing, but also the “reader,” the context of communication, and “introducing,” the purpose of writing such letters. Education on writing self-introduction letters for university freshmen should be aimed at not only self-exploration to examine their career path or jobs but also at enhancing the basic writing skills required of university students. To this end, this researcher notes the need to select educational content that can improve students’ abilities to consider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self-introduction, analyze the “reader” and organize and express contents that meet the reader’s needs properly, and achieve the goal of communication by considering the context in which the “introduction” takes place. Because it is not the first time for university freshmen to learn about the situation of self-introduction, this study suggests a method of education that starts by allowing them to check their current status on their own, for instance, what type of concept they have about self-introduction letters or how they write one.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of education that allows them to experience reading various examples of self-introduction letters as a “real reader” and organize the impressions that the letters made on them so as to discover effective strategies to write a self-introduction letter and apply them to their own writing. 이 연구는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글쓰기 교육에서 자기소개서를 활용해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취업 목적의 자기소개서 특성을 고려해 다양한 학년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재 자기소개서 교육뿐만 아니라 대학 신입생의 특성을 반영한 자기소개서 교육이 필요하다.이는 대학 신입생들의 자기소개서에 대한 교육적 요구를 고려함과 동시에 대학 신입생들이 자기소개서를 실제 제출해야 하는 실제 상황이 많다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 여기서는 대학 신입생들이 고등학교 때 받았던 자기소개서 교육 현황을 파악하기위해 선택 교과인<화법과 작문>교과서를 검토하였다.대학 교양 교육 내에서 글쓰기내용 생성을 위한 자기 탐색적 글쓰기 방법이 가지는 한계 역시 살펴보았다.이를 통해 대학 신입생을 위한 자기소개서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이 작문 대상인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의사소통의 상황맥락인 ‘독자’와 글쓰기 목적인 ‘소개하기’에 있음을 도출하였다. 대학 신입생 자기소개서 교육은 진로나 직업 탐색을 위한 자기 탐색뿐만 아니라 대학생에게 요구되는 기본적인 글쓰기 능력을 신장시켜 주는 것에 목적을 두어야 한다. 이를 위해 자기소개서의 장르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능력,‘독자’에 대한 분석과 함께독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내용을 적절히 구성하고 표현하는 능력,‘소개’가 이루어지는 상황맥락을 고려하고 의사소통 목적을 달성하는 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교육 내용선정이 필요함을 제기하였다.대학 신입생들은 자기소개 상황을 처음 배우는 것이 아니므로 현재 자기소개서에 대한 어떤 개념을 가지고 있는지,어떻게 작성하고 있는지학생 스스로 자신의 현 상태를 확인하는 것에서 시작하는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여기에 다양한 자기소개서 예를 ‘실제 독자’로서 읽는 경험을 통해 독자에게 어떤 인상을 주는지 정리해 봄으로써,자기소개서의 효과적인 전략들을 발견하고 자신의 글에적용할 수 있도록 교육할 것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 안 글쓰기와 대학 밖 글쓰기

        류찬열(Ryu, Chan Youl)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1 교양학연구 Vol.- No.14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flect on the present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future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by reviewing writing textbooks of major universities and writing books by important authors. Since the 2000s, Korean universities have switched from reading-oriented education based on the existing “university Korean language” to writing-oriented education based on “university writing”. However, it is still questionable how much the institutional change to university writing and academic research on university writing have grown students" writing skills. Of course, there are many studies focusing on class satisfaction evaluation for students who have taken writing classes. However, class satisfaction assessment cannot objectively measure students" improvement in writing skills. Rather, it was time to fundamentally reflect on whether institutionalized writing education and standardized writing research are reducing students" interest and interest in writing. And in order to overcome this,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examine why writing, which is stagnating within universities, is reviving outside of universities, is the core thesis of this study. I hope that these considerations can contribute to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 KCI등재

        미국 대학의 글쓰기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황과 시사점

        김현정 ( Kim Hyeonjeong ) 한국작문학회 2021 작문연구 Vol.- No.49

        이 연구는 글쓰기 교육 우수 대학으로 잘 알려진 미국의 브라운대·예일대·듀크대·프린스턴대의 글쓰기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미국 글쓰기 교육 우수 대학의 글쓰기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이 국내 대학에 주는 시사점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삼았다. 미국 4개 대학의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을 조사해 본 결과, 미국 대학들은 글쓰기센터에서 학부생, 대학원생, 교수자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 이는 국내 대학의 경우, 글쓰기센터 기능이 글쓰기 상담이나 1회성 특강 형식의 프로그램만을 운영하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이러한 미국 우수 대학의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이 국내 대학에 주는 시사점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로 다양한 공동체 지원을 통한 글쓰기 협력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둘째로 글쓰기 교수자 양성을 위한 지원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로 글쓰기 가치 확산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 이와 같은 시사점을 바탕으로, 국내 대학에서는 글쓰기 관련 교과목을 필수교양으로 지정하는 것 이외에도 체계적인 글쓰기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통해 대학 글쓰기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내실화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writing non-subject education programs at Brown University, Yale University, Duke University, and Princeton University, which are well-known for their excellent writing education. Further,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the writing non-subject education program of the best American universities for Korean universities. According to a survey on writing education programs at four universities in the U.S., American universities were operating various writing education programs for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as well as professors at the writing center. Contrastingly, in the case of Korean universities, the writing center function only operated programs in the form of writing counseling or one-time special lectures. The three main implications of this writing program of the best American universities for Korean universiti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writing cooperation system through community support. Second, a support system must be prepared for cultivating writing instructors. Third, various programs should be operated to spread the value of writing. Through these implications, Korean universities need to establish systematic writing education programs beyond designating writing subjects as essential education. Moreover, it is necessary to seek the diversification and substantialization of university writing non-subject education.

      • KCI등재

        대학신문 문예(화)면의 기능과 활용 방안 - 원대신문을 중심으로

        이상복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4 No.1

        This Study aims to discuss about function and utilization of feuillton in a university pres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Wonkwang University Press'. General a press of university is composed with page of news, planning, feuillton, culture, opinion, science and society. Contents of a newspaper of university are general limited, because a newspaper of university is different from a dairy newspaper, which has a large reader circulation. And because a newspaper of university is published weekly, it can't compete with a dairy newspaper. Informations about the university can be rapid spread with internet. Also a newspaper of university needs to renovate the established formation. A strategy for a renovation of a press of university is enlargement and reactivity of the feuillton. With this renovation the education of literary writing in the university can be revitalized. In case of the 'Wonkwang University Press', many students had written essays, novels and poems in the feuillton till the middle of 1980'. Also, many students of the Wonkwang University have made them debut as a literary writer. There is a necessity for development of latent abilities of literary writing of many students who live in a digital world. For this purpose I would like to propose as follows. 1. We can provide students the feuillton of a university press as a space for literary writing. They can write poems, serial novels and different essays. 2. It needs to avoid that only few students exclusively write in the feuillton. In order that many students can write, we can use a methode of serial writing which is similar to the writing in the digital age. 3. There is necessity for expanding of sphere of literary writing which includes different contents. Many different essays, for example, about films, musics, foods, travels, can be written in the feuillton. 4. We can connect writings in the feuillton to regular courses of writing in the university. We can motivate many students to write essays. 5. In case of the 'Wonkwang University Press', it can be cooperated with many educational operations for human knowledge, for example, 'The scholarship for humanity knowled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