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어 쓰기 교과목 연계 튜터링 프로그램 운영 및 인식 조사를 통한 개선안 연구

        김지은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5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er tutoring program at a university for its better management in the future, and to foster other similar programs. The subjects were a total of 17 tutors and 95 tutees, all of whom participated in the tutoring program for an English writing course. They answered survey questions regarding the program, and additionally tutors were interviewed for the in-depth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utors evaluated the program and their tutoring performances positively, except when it came to their own teaching skills and qualifications. Likewise, tutees we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in which tutors gave direct feedback on their essay assignments, and this in turn led to the improvement of their performance in the English writing course. However, the tutors perceived that the tutoring program needed more organized administrative and educative support from the university. In addition, both tutors and tutees reported that the absence metric of the latter should be increased and enforced with the help of school policy.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the program were also added: the importance of limiting the number of tutees, the need to obtain systematic administrative and educative support, and finally the provision of tutor training sessions. 본 연구는 대학의 영어 글쓰기 교과목과 연계된 튜터링 프로그램의 실태와 문제점을 알아보고 그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17명의 튜터 교수자와 95명의 튜티 학습자가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만족도, 문제점, 개선점에 관한 설문에 답변하였으며, 튜터 교수자는 추가로 면담에도참여하였다. 그 결과, 튜터 교수자는 영어 쓰기 교사 자질에는 부족함을 느끼지만 프로그램에 대해전반적으로 만족하였는데, 과제 첨삭과 교수 활동을 성실히 수행하고 자신의 영어 쓰기 학습역량이향상된 것에 큰 성취감을 드러냈다. 튜티 학습자의 경우, 튜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영어 쓰기 과목의주요 활동인 작문을 직접 첨삭 받을 수 있고 해당 과목의 복습을 통해 교과 성적이 향상된 것과 튜터의성실성에 큰 만족감을 표현하였다. 프로그램에 대해 제안할 점으로 튜터 교수자는 행정적, 교육적인지원을 절실히 요구하였고, 튜티 학습자의 낮은 출석률을 개선할 수 있는 제도적인 방침이 보완되기를희망하였다. 튜티 학습자 역시 출석, 수업시간 및 튜터링 기간에 관한 제도적인 뒷받침을 희망하였다. 마지막으로, 결과 분석에 따른 교수자 교육 및 행정적, 제도적 개선방안이 제안되었다.

      • KCI등재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한국어 동료튜터링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 만족도와 효과를 중심으로 -

        이민경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9 언어와 문화 Vol.15 No.2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Korean language peer tutoring program by examining the satisfaction and effect of the Korean peer-tutoring program between foreign post-graduate students and Korean post-graduate tutor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atisfaction were high in both the tutor and the tutee, and both groups had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program showing that Korean language tutoring programs were helpful to both groups. Second, the effect of the program affecting the satisfaction varied from group to group. Results showed that satisfaction tended to be higher in the tutee who indicated that the program helped them ‘improve Korean skills needed for studies and school life’ and tutors who indicated that the program helped them ‘develop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Third, continuous review and development are needed in areas of tutoring team study period tutor training and managing compensation for tutors. More consideration on how the role of the Korean tutors are different when tutoring foreign students is needed and support in providing assistance to these tutors in performing their role well should be developed.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presented a model of peer-tutoring program during a period where there is an increase of foreign post-graduate enrollees and this study may serve as a basis for developing peer tutoring programs for foreign post-graduate students in the future.

      • KCI등재

        교양영어 교과목 관련 튜터링 프로그램 운영과 개선 방안

        유경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

        This study examined how a basic English tutoring program conducted by a local private university in Korea for the past three years has been operated and what improvements it has. In order for the program to be operated successfully, the following basic learning components were needed: learning materials, tutors and tutees, tutoring spaces, a program operation manual and assessment tools. Each semester the basic English tutoring program has been progressed for 8 weeks. The professor developed the learning materials, selected qualified senior students as tutors and conducted a workshop with tutuors for instructing how to teach tutees and how to deal with them. The tutors should keep a tutoring log and report it to the professor ever week. In order to check how well each tutor followed a tutoring procedure, there was a meeting in the middle of the program. At the end of semester, tutors should select the best tutees whose achievement was very high, and there was a final briefing session for awarding them. All tutees should take pre-and post- English tests to examine the effect of tutoring program on their English abilities and the results shown every semester revealed a significant mean improvement. As for the tutoring program improvements, more tutoring rooms should be provided, practical tips should be developed for recruiting tutees who really need basic English abilities and for tutors, there should be encouragement for materials development and use in order to have their active tutoring. 이 연구는 지방의 한 사립 대학교에서 2014-2학기부터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시행된 기초 영어 튜터링 프로그램이 어떻게 운영 되었으며, 효과가 있었는지, 또한 개선사항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교수활동 콘텐츠, 튜터와 튜티, 튜터링 공간, 프로그램 운영 매뉴얼과 평가도구 같은 기본적인 학습 구성요소가 필요하였다. 기초영어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은 매학기 8주 동안 실시하였으며 담당교수가 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일정한 절차를 통해 실력 있는 선배학생을 튜터로 선정한 후 워크숍 실시, 이 후 튜터링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튜터는 학습일지를 작성하여 매주 담당교수에게 보고하고, 중간 튜터 회의를 통해 튜터링 학습 상태를 점검, 학기 말에는 우수 튜티를 선정, 최종 보고회를 통해 우수 튜티들을 시상하여 튜터링 활성화에 힘쓰도록 하였다. 또한 튜터링 학습이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튜티들에게 사전, 사후 영어시험을 실시한 결과 매 학기 튜티들의 영어 평균점수가 유의미하게 상승했으며 튜터링 만족도 설문지 설문 결과 튜티들이 튜터링 프로그램에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영어 튜터링 프로그램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튜터링 공간 확보, 기초학습이 필요한 튜티 학습자 모집을 위한 방안 간구, 튜터들의 적극적 학습자료 개발 및 사용 독려등이 있다.

      • KCI등재후보

        SNS를 활용한 대학 튜터링 프로그램 개발

        이정아,서상범,하병주,변기찬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utoring program and apply it to actual site by analyzing the literatures and the cases of tutoring programs which are operating in university in order to enhanc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student, operating effective tutoring program and investigating the needs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student who is participating in tutoring. In this study, the tutoring program which resolves the time-space constraint, forms cooperative relationship among tutors, shares information and provides an opportunity to join together by SNS is developed. The developed program consists of the tutoring activity, the tutor activity and the manager activity. The tutoring activity is formed as step of organization of tutoring team, orientation, selection of learning environment, learning activity, issuing of interim report and its sharing, discussion with their adviser teacher, learning activity, final report and introspection. The tutor activity and the manager activity are conducted by both on-line and off-line ways. On-line way is conducted by Facebook and e-class and offline way is utilized in study room. The developed tutoring program which was utilized by SNS was applied to 53 teams which were consisted of 53 tutor and 232 tutees.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is that firstly, tutor ’s activity was activated by spreading the tutoring program activity through social network environment. Secondly, opportunity which cultivates a problem-solving-ability by sharing and encourag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of tutors by using SNS was provided. Thirdly, activation of program by forming an organic and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utor and manager was promoted.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력을 높이고 효율적인 튜터링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 대학에서 실시되고 있는 튜터링 프로그램의 문헌과 사례를 분석하고, 튜터링 참여 학생의 요구와 실태를 분석한 후, 튜터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하고자 함이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공간적 제약을 해소하고 튜터들 간 협력적 관계 형성, 정보의 공유, 함께 하는 기회가 제공되는 SNS를 활용한 대학 튜터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SNS를 활용한 대학 튜터링 프로그램의 구성은 크게 튜터링 활동, 튜터 활동, 관리자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튜터링 활동은 튜터링 팀 조직, 오리엔테이션, 학습환경 선정, 학습 활동, 중간보고 및 공유, 지도교수 면담, 학습활동, 최종보고 및 성찰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튜터 활동과 관리자 활동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함께 이루어진다. 온라인은 페이스북과 e-class를 활용했으며 오프라인은 스터디룸을 활용하였다. 개발된 SNS를 활용한 대학 튜터링 프로그램은 B대학교 2012년 1학기 글로벌튜터링에 참여한 튜터 53명, 튜티 232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소셜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튜터링 프로그램 활동을 확산시켜 튜터들의 활동을 활성화하였고, 둘째, SNS를 활용하여 튜터간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고 격려함으로써 문제해결능력을 기르는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셋째, 튜터와 관리자와의 유기적이고 역동적 관계를 형성하여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도모하였다.

      • KCI등재

        동료 튜터링 운영 사례 연구 - 교양영어 학습 성취와 만족도 중심

        유경아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2

        Peer tutoring programs have been currently implemented in Korean undergraduate education in order to assist incoming students to improve their basic academic knowledge and skills. Although there have been numerous studies about the effect of peer tutoring programs on various subject areas and their operational aspects, only very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effect of tutoring programs on students' general English achievemen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peer tutoring influences the tutees' basic English proficiency and their grades on General English. A total of 189 tutees took part in this study for three semesters. An 8-week tutoring program was offered to the participants per semester. They took pre-post English tests and completed the survey at the end of the program to see how effectively the program was operated and how much the tutees we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and the tutors. Also, the best tutees selected by the tutors were asked to fill in the pros and cons of the program.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tutoring program has positively affected the tutuees' English abilities and their grades on General English. Statistical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pre and post English tests in each semester, and the tutees' grades on General English were also statistically improved. The survey results also revealed that the tutees perceived that the program helped them studying the basic English words, pronunciation and grammar and understanding the meanings of English sentences as well as increasing of their interests and self-confidence in English. On the other hand, the survey results showed several improvement parts involving opportunities studying with various lesson materials, a longer program operation period and advanced educational environment. Theoretical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최근 대학에서 학생들의 기초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해 튜터링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 학생들의 학습 성취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대학 내 교양영어 교과목 관련 동료 튜터링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고 학업 성취관련 연구가 거의 없어 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3학기 동안 각기 진행되었던 동료 영어 튜터링 프로그램이 튜티 학습자들의 학습 성취와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2014학년 2학기부터 2015년 2학기까지 3학기 동안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튜티 189명을 대상으로 튜더링 프로그램 이전과 이후 영어시험을 실시하여 향상도 측면에서 차이가 있는지, 교양영어 성적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으며 설문지를 통해 튜터링의 학습효과, 튜터에 대한 만족도와 튜터링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한편 우수 튜티가 인지한 프로그램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그 결과 튜터링에 참여했던 학습자들의 영어 성적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교양영어 성적을 비교한 결과 튜터링에 참여했던 학기의 성적이 튜터링에 참여하지 않았던 전 학기의 성적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 되었다. 세부 점수대 별로 분석 한 결과 교양영어 성적이 하위권에 있었던 튜티들이 상위권보다 점수의 향상도가 훨씬 더 컸다. 이를 통해 튜티들은 선배 튜터와의 튜터링 학습을 통해 영어 학습 성취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겠다. 또한 설문지와 우수 튜티의 소감문 자료를 통해 소규모로 진행된 튜터링 학습이 영어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갖는데 도움이 되며 단어와 문법, 영어 문장 해석과 발음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인지하였으며, 자신에게 도움을 준 튜티가 열의를 가지고 수업을 했으며 자기들의 질문이나 학습 도움 요청에 성실하게 답변해 주었으며 프로그램에 대해 전체적으로 만족하고 있다고 인지하였다.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튜터링 전용공간과 튜터링 기간 확대 운영 등과 같은 교육환경 향상과 다양한 교육 자료 제공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의 영어 튜터링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동료 영어 튜터링 프로그램이 교양영어를 듣는 수강생들의 학습 성과를 규명함으로써 학습자들의 기초영어능력 향상을 위한 새로운 교육적 대안 마련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델파이 조사를 활용한 튜터링 프로그램 평가준거 개발

        노원경,이혜경,조나영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튜터링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평가준거를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각 대학의 교수학습센터에서 최소 한 학기 이상 튜터링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전문가 28명을 대상으로 세 차례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튜터링 프로그램 의 평가준거는 평가영역, 평가항목, 평가지표로 세분화되어 튜터용과 튜티용으로 각각 구분되어 개발되었다. 연구 결과는 디음과 같다. 첫째, 튜터링 프로그램 평가영역에는 튜터, 튜티의 경우 튜터링 ‘전(前)’, ‘중(中)’,‘후(後)’ 3 개 영역이, 기관의 경우 ‘프로그램 운영’과‘ 프로그램 효과’ 2개 영역이 도출되었다. 둘째, 평가항목에는 튜터 14개, 튜티 8 개, 기관 6개 항목이 포함되었으며 셋째, 평가지표는 평가항목을 구체적으로 묻는 문항들로 구성되었는데 튜터는 37개의 문항이 튜티는 34개의 문항이 개발되었다. 델파이 조사 결과, 개발된 평가지표의 타당도는 대부분 4.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튜터링 프로그램 평가준거는 튜터링 프로그램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밝히고, 튜터링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개선하는 데 유익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research aims at developing an evaluation criterion to appraise efficiency of tutoring program and providing the foundation of systematic management in order to help to raise the quality of tutoring progra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three times a Delphi survey of 28 experts, who have an experience to manage tutoring program in a university's CTL(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at least over a semester. Evaluation criteria of tutroting program were examined their validity in terms of evaluation region, contents and index. In consequence, Each tutors and tutees questionnaire were drawn from this validation of evaluation criteria. The results include the following: at first, as for the evaluation region, it is recommended to inspect 3 regions('before', 'during' and 'after' of tutoring) for tutors and tutees and to estimate 2 regions(‘management of the program' and 'efficiency of the program') for institutions. Secondly As for the evaluation contents, there are 14 categories for tutors, 8 for tutees, and 6 for the institutions selected. thirdly, The evaluation index consists of a questionnaire to ask about the evaluation contents in detail and 37 questions for tutors, 34 for tutees drawn from the process above. The Delphi survey carried out three times in this research demonstrates a high validity rate of average 4.0.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evaluation criteria of tutoring program proposed by this study would be a useful instrument to improve existing tutoring program by providing data to estimate their efficiency.

      • KCI등재

        대학생 영어 쓰기 교과목을 위한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의 문제점 고찰과 개선 방향 연구

        김지은 ( Jieun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연구에서는 영어 쓰기 교과목과 연계한 대학생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이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서울 소재한 대학의 영어 쓰기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수자(튜터)와 학습자(튜티)를 대상으로 객관식과 주관식 설문 및 면담을 여러 학기에 걸쳐 실시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개선점을 반영하여 개선 이전과 이후의 참여자 만족도를 비교하였다. 문제점 개선을 위하여 소규모 튜터링 수업을 시행한 후, 학습자의 출석이 향상되었고, 교수자와 학습자 간 친밀한 관계가 형성되어 교수자가 학습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맞춤 학습을 진행할 수 있었으며, 교수 활동 자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학습자 역시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이전보다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학습 내용 및 자료, 프로그램의 기간과 시간, 교수자와의 관계, 학습 이외의 부분에 큰 만족감을 표시하였다. 또한, 학습자는 영어 쓰기에 대한 전반적인 자신감이 향상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학의 튜터링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연계과목의 특성을 반영하고 지속적인 문제점 개선에 관한 제안사항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er tutoring program at a university for its better management in the future and to foster similar programs. The subjects were tutors and tutees who participated in the peer tutoring program for an English writing course for three semesters. They answered survey questions regarding the program, and additionally tutors were interviewed for in-depth analysis. Both tutors and tutees reported low attendance rate should be increased; administrative improvements for the problem were adopted. The participants’ answers before and after the improvemen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utors valuated the program positively because they could build congenial relationship with tutees, which led to successful tutoring performances and low absence rate. Likewise, tutees we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in which tutors’ performance improved their English writing skills. In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regular and multifaceted investigation on the peer tutoring program should be administrated for its better performances in the future.

      • KCI등재

        대학 튜터링 프로그램이 학습자들의 영어 성취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유경아(Yu, Kyung-ah)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8 No.2

        최근 대학들이 대학생들의 기초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해 학생 중심의 튜터링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데 튜터링 관련 연구는 학습 효과 측면에서 많이 진행되었지만 참여자들의 학습동기 변화를 살펴본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에서 비교과로 실시한 영어기초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학습자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학습성취 및 학습동기가 유형별로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성별과 영어수준에 따라 학습동기 변화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동기 유형과, 학습 성취, 프로그램의 만족도, 튜터에 대한 만족도간의 어떤 관계가 있는지도 조사하였다. 튜티 97명이 8주간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학습 성취와 동기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영어 시험 및 동기관련 설문에 참여하였다. 또한 튜터링 프로그램 이후 튜터와 프로그램 만족도에 관한 설문조사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초영어 튜터링에 참여했던 튜티들의 영어 성적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튜터링에 참여한 후 튜티들의 영어 학습 동기는 모든 유형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성별에 따라 튜터링 이전에는 여학생 집단이 남학생 집단에 비해 모든 동기 유형에서 평균점수가 높은 반면에 튜터링 이후에는 남학생 집단이 외재적동기와 도구적 방어중심 동기 유형을 제외하고 평균점수가 여학생집단에 비해 높았다. 하지만 성별에 따라 동기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아 성별에 따라 동기의 차이가 있다고는 볼 수 없지만 동기변화 측면에서는 남학생들이 여학생들에 비해 더 많은 유형에서 평균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영어 수준에 따라 동기의 변화가 어느 집단에서 더 이루어졌는지 살펴본 결과 초급학습자들의 동기가 중급학습자들보다 더 많은 유형에서 평균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한편, 동기와 학업성취, 프로그램 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학업성취와 외재적 동기, 이상적 제2언어 자아, 통합적 동기, 도구적 장려중심 동기영역에서 정적약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동기와 학업성취와 어느 정도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학습 동기는 멈춰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떤 활동을 계기로 늘어날 수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으며 이러한 학습자 동기의 시간적 변화에 관한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교육주체가 참조하여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에 도움을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how similarly or differently their English learning motivation has altered as well as their learning achievement effect. It also investigated if their English learning motivation differs from their gender and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levels. Additionally, it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motivation types, learning achievement, and the levels of program satisfaction and tutor satisfaction. To do this, a total of 97 students participated in an 8 week English tutoring program. They took pre-post English tests, and they also completed motivation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the tutoring program. They also responded to the surveys on how much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tutors and the program at the end of the tutoring program.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tutoring program has positively influenced the improvement of tutee"s English basic abilities, and their motivation of English learning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all types. The findings also showed that the motivation of beginner group has improved in more motivation types than that of intermediate group. In the case of the beginner group, the mean scores were statistically improved in all motivation types, whereas for intermediate group, the mean scor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only two motivation types including intrinsic motivation and L2 ideal self motivation. With regard to gender effect, there were no mean differences in motivation types. However, the motivation of male students had significant increases in more motivation types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and other factors, it demonstrated that moderate positive correlations were shown between motivation and English achievement, as well as motivation and program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confirmed that students" motivation could be increased over time through a student-centered tutoring program. Theoretical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의 동료 튜터링(peer tutoring)프로그램에서 튜티가 인식한 튜터의 역량 수준이 튜터링 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연경(Kim Yeon Kyoung),송해덕(Song Hae De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5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utees perceived a tutor competency level on learning outcome in peer tutoring program. The subjects were 140 students participated in peer tutoring program during three semesters of 2010 and 2011 at a university in Korea. The survey tool was developed to collect data on perceptions of tutor competency level, learning outcome, and satisfaction with the tutoring program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regression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utees perceived a tutor competency level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utees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learning outcomes. Second, a tutor’s knowledge and attitude level were found to be variables affecting tutees satisfaction and perceived learning outcomes. The result also indicates that tutees satisfaction and perceived learning outcomes are more influenced by a tutor’s attitude level than knowledge level. From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educators usefu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of tutor competency as a critical variable affecting learning outcome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basic reference for promoting and developing outcomes of peer tutoring programs in higher education. 본 연구는 대학의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튜티가 인식하는 튜터의 역량 수준이 튜터링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서울 소재 대학교의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진행하는 2010-2011학년도 동료 튜터링(peer tutoring)에 참여한 14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튜티들이 인식하는 튜터의 역량 수준,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 성과 및 프로그램 만족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해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튜티에 의해 인지된 튜터의 역량 수준은 튜터링의 만족도와 학습자가 인식한 튜터링 학습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튜터의 지식과 태도 수준은 튜터링 프로그램의 만족도와 학습자가 인식한 튜터링 학습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규명되었다. 특히 튜터의 태도 수준은 지식 수준 보다 튜터링 프로그램의 만족도와 학습자가 인식한 튜터링 학습성과에 상대적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대학의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에서 학습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튜터의 역량 변인을 체계적으로 확인하고, 튜터링의 학습성과 제고 및 프로그램의 질적 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대학의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튜터의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배성아(Bae, Sung Ah),노수림(Noh, Soo R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튜터들의 경험을 토대로 대학의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의 현황과 발전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A 대학의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튜터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면담 조사를 병행하였 으며, 설문에 참여한 117명 중 19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에 대한 튜터들의 인식조사결과, 튜터들은 전반적으로 자신이 튜터 역할을 잘 수행하였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튜터로서 프로그램에 참여한 것에 대한 만족도도 높았으나, 학교 측의 프로그램 운영 및 관리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인식을 보였다. 둘째, 튜터링 과정에서 튜터들이 경험한 난점에 대해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튜터들이 학업지도의 어려움과 튜티 와 학습시간 맞추기 및 튜터링을 위한 학습공간 확보하기에서 어려움을 직면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심층면담 결과, 튜터들은 ‘튜티의 참여의지 부족’으로인하여 많은 난관에 봉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대학의 동료 튜터링 프 로그램 활성화 방안에 대한 튜터들의 의견을 살펴본 결과, 이들은 ‘튜티와 시간 맞추기’와 ‘학습공간 확보하기’ 문제 해결을 위한 학교의 지원 확대, 튜터교육의 개선, 그리고 튜티의 참여의지 제고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 과는, 향후 대학의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의 내용 및 운영 개선의 방향을 제안한 자료로써 대학의 학습공동체 발전을 위해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student tutors who were part of a peer tutoring program at a university. A survey was distributed to university student tutors (N=117) who participated in the peer tutoring program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ased on a sub-sample (n=19) of the participants. There were three significant findings from this study. First, tutors had positive perceptions on their tutoring performance and peer tutoring program participation, but they had relatively negative perceptions of program management. Second, tutors perceived that a lack of teaching skills and logistical difficulties (i.e., scheduling, finding available space) were the most challenging aspects in tutoring. In particular, in-depth interviews revealed that tutors perceived a “lack of motivation” of tutees as the biggest obstacles in tutoring. Lastly, tutors believed that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should support programs by providing protected tutoring hours and space for this service, improved training for all tutors. Finally, tutors felt that the administration should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of tutees. The current research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utor training support, of improving training programs for tutors, and of encouraging tutees’ active particip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