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투명 미디어의 비매개성과 사용자의 시각적 경험

        이수진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22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23 No.72

        Transparent Devices in familiar media in everyday life, such as TV, glass, and immersive content, are becoming visible. This means a different user experience from the contents of opaque displays of printed media or existing digital media. Under this background, this study contemplated the visual experience of users in media based on visual and physical transparency. The basic attribute of transparent media are examined as non-mediated theory, and the user's visual perception process for the implemented content is examined by figure – ground theory. Objects that are transparently superimposed on the media installed environment, surrounding objects, and contents may appear visually complex, but the factor that strongly emphasizes the contents to the user's eyes is the movement effect. Based on this, content recognition and semantic interaction can be made smoothly. In addition, in terms of usability such as information search on transparently penetrative objects or regions, the advantage of being immediately visible in the field of view, information search of digital media, and motion effects are added, enabling immediate interaction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The boundary between the media and the space to which it belongs is less clear than that of existing Transparent Media. The resulting ambiguity causes a natural transition between the non-mediated property of focusing on content and the hyper-mediated property of being aware of the media in a state that is naturally assimilated with reality. These properties are expected to bring scalability and generalization of media with visible physical transparency to users. TV, 글라스, 실감형콘텐츠 등 일상에서 친숙한 미디어에 투명성이 반영된 디바이스가 가시화되고 있다. 이는 프린팅 미디어나 기존 디지털 미디어의 불투명한 디스플레이의 콘텐츠와는 다른 사용자 경험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 아래 시각·물리적으로 투명성을 기반으로 하는 미디어에서 사용자의 시각적 경험을 고찰하였다. 투명 미디어의 기본적인 속성을 비매개 이론으로, 구현된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시지각 과정을 형상(figure)과 배경(ground) 이론으로 살펴보았다. 투명하게 중첩되는 미디어와 설치된 환경, 주변의 오브제, 콘텐츠는 시각적으로 복잡한 상태로 보일 수 있으나 이를 사용자 눈에 강하게 콘텐츠만 부각시키는 요인이 움직임 효과이며, 이를 기반으로 내용 인식과 의미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투명하게 투과된 대상이나 지역에 관한 정보탐색 등 사용성 측면에서는 시야에 바로 보이는 장점과 디지털 미디어의 정보 검색, 움직임 효과까지 더해져서, 시공간의 구애를 받지 않고 즉각적인 인터랙션이 가능하다. 투명성은 미디어와 속해 있는 공간의 경계가 기존 미디어보다 뚜렷하지 않다. 그로 인한 모호성은 콘텐츠에 집중하는 비매개적 속성과 현실과 자연스럽게 동화된 상태에서 미디어를 자각하는 하이퍼매개의 속성이 자연스럽게 전환된다. 이러한 속성은 눈에 보이는 물리적인 투명성을 갖는 미디어가 사용자에게 보편화되고 확장성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성적 응시의 재매개

        마동훈(Dong-hoon Ma),홍수정(Soo-jung Hong)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8 언론과 사회 Vol.16 No.4

        이 논문은 2006년 송해성 감독이 영화화한〈우리들의 행복한 시간〉텍스트가 제공하는 성적 응시의 재매개 현상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볼터와 그루신의 재매개와 비매개(immediacy), 하이퍼매개(hypermediacy)의 이중논리 개념과 멀비(Mulvey)와 그 이후의 페미니스트 영화이론을 이론적 준거틀로 채용하였다. 20대 여성수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 연구결과, 이들은 영화가 제공하는 남성적 시선을 익숙하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그와 유사한 시선을 남성배우 또는 다른 대상들에게 던지고 있었다. 따라서 투명한 비매개는 남성적인 수용 특성이라고만 볼 수 없다. 여성수용자들의 응시는 원근법에 충실한 시각적 비매개를 통해 화면을 분석하고 해부하고 있지만, 그것이 항상 성적인 욕망의 합의를 갖는 것은 아니었다. 여성 중심의 시각적 쾌락은 기존의 남성적 시선을 답습하는 면이 있으며, 한편 멀비 이후의 페미니스트 영화이론에서 주장하는 다양한 여성관객성은 영화의 여성수용자들의 응시에서도 역시 현저히 나타나고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투명성을 구현하는 미디어에 잠재된 하이퍼매개성은 텍스트 내부에서 벗어나 여성수용자들의 관람 순간에 수용자의 응시 내부에 다양한 종류와 형태로 존재하고 있었다. 소설을 읽지 않은 수용자들은 결과적으로 소설을 읽은 수용자들이 소설을 통해 얻은 것과 비슷한 느낌과 주제의식을 영화를 통해 받았다고 진술했다. 이는 결과적으로 여성작가의 소설의 영향은 대중적 내러티브 영화로서 남성적 시선으로 재현된 영화에 여전히 살아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남성적 시선과 여성적 시선은 근본적으로 서로 다른 것이 아니며, 투명한 비매개와 하이퍼매개의 구분 또한 이분법적으로 해석할 수 없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또한 여성 수용자들의 관점에서 남성적 시선 또는 비매개를 구현하는 텍스트조차 충분히 즐길만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여성수용자들은 자본주의 내부에서 다양화된 욕망의 대상으로서 ‘성적인 것’ 이상을 갈망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여성의 즐거움이 자본의 게임에 의해 길들여진 즐거움인가 아니면 본질적인 여성의 즐거움인가는 여전히 의문으로 남는다. 또한 오늘날 미디어가 비매개의 구현을 지속적으로 시도하고 있지만, 여성수용자들은 여전히 자신들 나름대로의 응시의 형태를 구축, 유지하고 있다. Textual transitions as reciprocal transfers between media are nothing new in today’s media-saturated environment. Through the processes of the advent and disappearance of modem communication instruments, new media remediate old media technically and culturally. Of those numerous repurposing,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ase of the remediation from a literary work into a film. A renowned Korea female novelist, Gong Ji-young wrote a best-selling novel Our Happy Time(2005). And a recent movie 〈Maundy Thursday〉(2006) by Song Hae-seong, is a dramatization from Gong’s original novel Our Happy Time.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irony that a female author’s subjectivity was represented by male gaze commonly seen in many popular narrative cinemas. The research is embodied with the concept of ‘the remediation of the gendered gaze’ that Boltar & Grusin suggested. The concept of remediation is articulated with double logic of immediacy and hypermediacy and feminist film theory of Mulvey. Along this theoretical line, the gendered characteristics of media texts and the consequential differences of representation and reception by the gender differences of authors or audiences are explored. For this research, a couple of focus group interview was held with young female film-viewers. Female audience gazes for certain objects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ose of male viewers. They look through the medium in a linear perspective pursuing a transparent immediacy. However, sometimes viewers’ gazes also show a psychological vacillation between immersion in the objects of diegesis and self-consciousness or identification with the object. And audience members who had not read the novel could come in contact with the theme and motif of original novel through the remediated film. This suggests that the original character of novel as a female-oriented text was still alive in the film that sought to embody the male gaze and popular narrative. It is suggested that female subjectivity in the original novel could be remediated to the sphere of female audiences’ viewing activities. Male gaze and female spectatorship are not separable one, and the double logic of transparent immediacy and hypermediacy also cannot be interpreted as a dichotomy. A popular narrative film like〈Maundy Thursday〉with Hollywood style is generally produced for transparent immediacy, but enjoyable enough to female viewers. Female viewers tend to dream of something more than sexual desire formed within the structure of capitalist society. It is also found that no matter how technologies mobilize a transparent immediacy, hypermediacy re-emerges in a repressed way in this remediated media world. It should be finally referred that the concepts of immediacy and hypermediacy provide some utilities to expound the media transitions of the texts and their consequences in media consumption.

      • KCI등재

        출판매체 속 표상에 나타나는 재매개의 이중논리 연구

        구본영(Koo Bonyou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1

        데이비드 볼터와 리차드 그루신은 그들의 저서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에서 매체 간의 상호작용을 계보학적 차원에서 다루었으며 재매개의 이중논리인 투명성의 비매개와 하이퍼매개 측면에서 다양한 미디어의 속성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그러나 동일한 매체라 할지라도 각각의 매체가 놓인 상황에 따라 그 속성은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재매개의 이중논리를 중심으로 살펴볼 때는 상황에 따른 속성의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표상의 속성이 출판매체속의 정보매체의 하나로 관찰될 때 나타나는 재매개의 이중논리 상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매체의 특성에 따라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투명성의 비매개와 하이퍼매개적 특성은 그것이 다른 매체 속에 존재할 때와 몇몇 다른 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사실적 표상일수록 비매개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출판매체 속에서 표상의 사실성보다는 역할에 따라 비매개성의 실현정도가 결정된 다. 둘째 하이퍼매개성이 강할수록 비매개성이 약화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출판매체 속의 일부 표상들은 하이퍼 매개성이 매우 강함에도 불구하고 강한 비매개성이 실현되기도 한다. On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Jay David Bolter and Richard Grusin described interaction between media based on genealogy and looked over various media from transparent immediacy and hypermediacy the twin logics of remediation. However same media could show different characters by the situation. Especially looking over them from the twin logics of remediation the character a medium itself has is much different from the character the medium placed on another midium shows. I studied character from the twin logics of remediation appearing in representation on publicational media and found several differences. First usually the more realistic representation the stronger immediacy but on publicational media the reality of representation is not so essential for immediacy but function of that. Second typically the stronger hypermediacy the weaker immediacy but readers experience strong immediacy from some representations on media which have strong hypermediacy.

      • KCI등재

        디지털 시대 텔레비전 드라마의 매개 전략

        이주봉(Lee, Ju Bong)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5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10 No.3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내러티브 영상콘텐츠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디지털 영상이미지가 현실과 맺는 관계의 변화나 수용자의 문화인터페이스 변화는 텔레비전 내러티브 콘텐츠 구성 및 영상스타일 전략에도 변화를 요구한다. 하지만 디지털 합성 기술의 발전과 그 기술의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내러티브 콘텐츠는 지각적 리얼리즘을 지향하면서 여전히 사진 사실주의를 완성하려는 영상이미지를 보여준다. 그렇다고 이러한 디지털 시대의 영상이 올드미디어 시대와 동일한 함의를 갖는 것은 아니다. 본고에서는 뉴미디어 환경에서 텔레비전 내러티브 콘텐츠의 영상 특징의 일단을 이해하기 위하여 SBS <별에서 온 그대>라는 드라마를 예시로 고찰한다. <별에서 온 그대>의 에필로그에서 몇 가지로 양식화되어 형상화된 영상들을 만날 수 있는데, 이들 영상들의 매개 전략은 흥미롭다. 비매개 전략으로 흥미로운 스토리를 담은 환영주의적 내러티브 세계를 구성하면서도 동시에, 불연속적 영상이 매체의 투명성에 반하여 하이퍼매개하면서 디지털 시대의 일반적인 영상 특성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본고는 이 드라마의 에필로그 영상이 비매개와 하이퍼매개 사이를 오가며 주는 영상의 매혹이 무엇인지, 또 이들은 디지털 시대의 영상들의 어떤 특징들을 공유하고 있는지 밝히고 있다. The visual contents in the narrative media such as film and television that contain the computer-generated images are now being vigorously pushed on by a new digital technology.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technology, the strategy for the visual style or the narrative construction in the drama contents of the television series has been changed. Television as a narrative contents, as well as film, also seems to be a medium for audience’s imaginative empathy and the representation of reality. Strictly speaking, the digital technology has changed the aesthetic taste in visual narrative texts such as television series. That is because the digital -generated images, as a hyperrealism phenomenon, require both a new reception and the recognition of the audience more than ever. This paper is to explore how to understand the visual image of the narrative contents of the digital era, focusing on the SBS popular drama “My Love from the Stars”, which was on the air last year. The stylized images on its epilog show a fascination of the image in the digital era, i.e. the fascination between transparent immediacy and hypermediacy. They narrate not only interesting story through transparent immediacy, but also break the transparency of the medium working as the image of attractions and spectacle. That leads to a great pleasure of the audience. Thus the visual effects of the images in “My Love from the Stars” raise the various issues related to digital visual aesthetics. This drama includes various images related to transparent immediacy and hypermediacy like for photo-realism, attractions, spectacle, and aura etc.. This is why the main concern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impact of digital aesthetics on the television series, focusing on “My Love from the Stars”.

      • KCI등재

        사용자 인터페이스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재매개론적 고찰

        김형우(Kim Hyungwoo)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2

        In this research I divided the user interface into four paradigms which are CLI GUI NUI and Ubiquitous and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 user interface in the view of remediation theory to forecast the change of situation of interface design in the viewpoint of designer. First the result of theoretical research about the remediation theory two strategies of remediation (transparent immediacy hypermediacy) and six attributes of remediation (borrowing representation fidelity aggressive absorb refashion) were proper theory to see the paradigm shift of user interface which mediates human and media. The changes of user interface paradigm in the view of remediation theory is as follow; First the user interface paradigm is evolving from 'the interface as a contact point' to 'the interface as a environment for human'. Second user interface paradigm is evolving in the direction of maximizing the transparent immediacy and hiding the hypermediacy. This research is meaningful to predict the change of future user interface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 of remediation in the change of interface design paradigm. And it will be helpful in finding new area which designer takes an active part in the interface development. 본 연구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변화 방향과 미래를 디자이너의 관점에서 전망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패러다임을 CLI GUI NUI 유비쿼터스로 나누고 각각의 인터페이스의 특성을 재매개론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먼저 재매개론에 대한 이론적 고찰 결과 재매개화가 가지고 있는 투명한 즉시성과 하이퍼 매개라는 두 가지 재매개화 전략과 차용(borrowing) 재현(representation) 확장(fidelity) 공격(aggressive) 흡수(absorb) 개조(refashion) 등의 6가지 재매개화 특성은 인간과 미디어를 매개하고 있는 인터페이스의 패러다임 변화를 살펴보기에 적합한 이론임을 알 수 있었다. 재매개론적 관점에서 고찰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패러다임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패러다임은 전통적인 계면 개념의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를 둘러싼 환경 개념의 인터페이스로 진화하고 있다. 둘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패러다임은 투명한 즉시성을 극대화하고 하이퍼매개성을 최소화하여 은폐시키는 방향으로 진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패러다임 변화에 내재된 재매개화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인터페이스의 변화 방향을 예측해 볼 수 있는 데 그 의의가 있으며 인터페이스의 진화에 있어서 디자이너가 능동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분야를 개척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프리스트>를 통해 본 3D 영화의 재매개

        정일형(Il-Hyoung Chung)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

        본 연구는 <프리스트>라는 OSMU 텍스트의 내용분석을 통하여 재매개 논리와 특성 등을 살펴보고 문화 인터페이스 개념을 통해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의 관계를 밝혀보았다. 분석 결과 재매개의 이중 논리인 비매개와 하이퍼매개가 서로 공존하며 경쟁하였고, 재매개의 특징인 차용, 공격, 흡수 등의 다양한 특징들도 서로 교차되며 나타났다. 그동안의 뉴미디어 관련 연구는 각 분야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새로운 미디어 콘텐츠에 적용한 이론의 재검증이나 새로운 정책 중심 연구가 주를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새로운 뉴미디어들은 3D를 비롯한 테크놀로지 중심의 시각화를 강조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매체로의 콘텐츠 변환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 속에서 본 연구와 같은 재매개와 문화 인터페이스 개념을 토대로 향후 새로운 미디어 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미디어 콘텐츠의 다양한 대안을 모색해 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of old and new media with the concept of cultural interface. This study try to find out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media contents and interface through contents analysis of <Priest> text. As a results, there are competible coexistance of transparent immediacy and hypermediacy as a double logic of remediation. And the features of remediation that borrowing, aggressive, and absorb are showed cross each other. A related studies are focused on the narrative structure of story and on analysis of character, events, and background. And the other studies are focused on the policy of new media distribution. But, recent new media emphasizes the visualization of 3D technology and that strategy. Also they tries to convert a various media content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heck and prepare those environmental changes of media. Then, more researches will be applied to remediation and cultural interface of this study. And I hope that they will be find an alternative strategy of contents and interface on media.

      • KCI등재

        TV영상미디어의 역행적 재매개

        송필순 한국영상학회 2016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4 No.6

        라디오, 신문, 잡지와 함께 4대 전통매체 중 하나인 텔레비전은 단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추구하는 대표적인 매체였으나, MBC <마이 리틀 텔레비전(이하 마리텔)>의 등장과 함께 소통 방식의 변화를 시도하였다. <마리텔>은 뉴미디어인 인터넷 방송을 모방 및 개조하여 역행적 재매개를 지상파 방송에 적용한 것이다. 이에 볼터와 그루신(Bolter & Grusin)은 한 미디어가 다른 미디어에 표상하는 것을 재매개로, 그리고 전통 미디어가 뉴미디어를 재매개 하는 것을 역행적 재매개라 명명했다(1999). <마리텔>의 역행적 재매개 방식을 살펴보면, 실시간으로 진행자와 시청자가 온라인 대화창을 통해 소통하는 인터넷 1인 방송 형식으로 생방송을 진행하고, 그렇게 녹화된 영상을 편집하여 텔레비전으로 다시 방영하는 것이다. 이러한 재매개 과정을 통해 <마리텔>은 인터넷이 가진 쌍방향성, 수평성, 개방성, 융합성, 이종결합성 등의 특성을 이식받음으로써 새로운 TV포맷을 만들어냈다. 본 연구는 TV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이끌어낸 <마리텔>의 ‘역행적 재매개’ 표상과 특징들을 살펴봄으로써 현재의 TV영상미디어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그 흐름을 인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마리텔>은 인터넷 미디어의 상호작용성과 라이브(live)성, B급 정서, 서열과 게임 장치 등을 재매개했으며, 인터넷 생중계 영상에 채팅내용과 자막을 첨가하는 편집 방식을 통해 <마리텔>만의 독특한 영상스타일을 추구하고 있다. 또한 <마리텔>은 미디어 환경 내에서 지상파와 인터넷 TV라는 위계질서에 놓여 있던 고급과 저급(B급) 문화에 대한 편견과 형식을 전복시켰다는데 의미가 있다. 뿐만 아니라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급격한 성장과 다매체·다채널 시대의 도래에 따른 텔레비전의 위기를 재고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As a type of old media, TV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as a form of one-way communication. However, in today’s ever-changing media-scape, it is necessary for TV to transfer its original format and change its method of communication. There is an exemplary TV program which was the first trial of a main broadcast in Korea by MBC called My Little Television. To be specific, My Little Television attempted a textual and technical transition as a reciprocal transfer between Internet TV and public broadcasting. In this media-saturated environment, new media such as the Internet generally remediated old media such as TV and radio in terms of the format and content, as suggested by Bolter & Grusin (1998), who use the term remediation. However, My Little Television derives from Internet TV, which refashioned and reformed its initial means of communication with audiences. It is true that there are few studies of retrograde remedia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cept of retrograde remediation through My Little Television, asking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ow was My Little Television generated from Internet TV and what characteristics drew audiences’ attention.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 text and visual analyses of both the Internet and TV as well as articles on the topic of My Little Television ― this study shows that My Little Television mainly utilized interactivity, liveness, B-culture from the Internet so as to cultivate real-time communication with audiences. In other words, retrograde remediation allows an extension of the senses to interact with sender-audiences in terms of transparent immediacy and hypermediacy as articulated with double logic in the process of remediation.

      • KCI등재

        메타버스와 공연예술의 통섭 : 재매개 이론을 중심으로

        임한나,조준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2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6 No.3

        COVID-19 has transformed our lives into untact circumstances. The performance also moved from offline to online, and a new content called metaverse performances emerged in the rapidly changing untact trend. However, academic researches on the characteristics of metaverse performances have not yet been conducted. Therefore, this researcher felt a need for research on metaverse performances to prepare for post-COVID, and based on the remediation theory, I would like to academically examine the process of consilience of metaverse and performances. With detailed research methods, I predicted the future of metaverse performance contents in the Post-COVID era by studying the status of metaverse performances in the pandemic using Jay David Bolter and Richard Grusin’s Remediation and its double logic.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metaverse performance was remediated by the offline performance. Based on this, we could see that human ego is remediated as a virtual ego in a metaverse performance and mental consilience can be achiev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aesthetic consilience was possible through the experience of Bodily co-Presence and liveness in metaverse performance. Finally, the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in offline performances was discussed regarding the technical consilience of metaverse scenography. By these three aspects of consilience, this paper confirmed the possibilities that metaverse performances can become new contents of performance.

      • KCI등재

        미디어 콘텐츠에 나타난 예술작품의 재매개 연구 - BTS(방탄소년단) 뮤직비디오를 중심으로 -

        안혜정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9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7 No.-

        디지털 시대의 예술작품 연구는 순수예술 그 자체에 대한 관심보다는 그 예술작품이 대중매체와 융합되어 소비되는 현상에 더 많은 초점이 맞춰진다. 본 연구는 예술작품이 영화, 광고, 애니메이션, 뮤직비디오 등의 미디어 콘텐츠로 재매개되는 특 성을 살펴보고, 전 세계적으로 반향을 일으키고 있는 아이돌 그룹 BTS의 뮤직비디오<피, 땀, 눈물>의 텍스트 분석을 통하 여 전통적 방식으로 제작된 예술작품이 미디어 콘텐츠로 재매개되는 방법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디어 콘텐츠에 재매개되어 나타나는 예술작품이 단순히 조형적 특성에만 한정되어있지 않고, 예술작품 속에 내재되어있는 창작적 예술성 을 규명하고 화가에 의해 해석된 이차적 경험과 감정까지도 즉흥적이고 직관적으로 재매개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또한 예술작품이 미디어 콘텐츠에 재매개되는 과정에서 언어적, 문화적, 관습적 특성이 표상되어 효과적인 메시지 전달 요 소로 작용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가 있었다. 미디어 콘텐츠에 재매개 된 예술작품은 올드미디어 본연의 특성을 드러내거나 또는 감추고 새로운 미디어로 스스로 개조되어 전혀 다른 에너지를 발산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예술장르로서의 무한한 확장 성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out how the artistic works are remediated to media contents such as movies, advertisement, animation and music video and also analyzes the process and strategy by which the traditional artistic works are remediated to the media contents based on the text analysis of the music video “Blood Sweat & Tears” of the world popular boy band BT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artistic works remediated in the digital media are not just limited to simple formative features but used to find out the creative arts embedded in the artistic works and even remediate the secondary experience and emotion interpreted by the painters in an extemporaneous and objective manner.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artistic works express linguistic, cultural, and cultural practices in the process of being remediated to the media contents and convey the message effectively. Revealing or hiding their original features as old media, the artstic works remediated to the media contents are modified into new media by themselves and release totally different energy. So it is expected that they make the incessant expansion as the new type of artistic gen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