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國祀로서의 三海 祭祀와 그 유래

        신명호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9 No.1

        The ancient chinese people thought that mankind should repay for all kinds of natural virtues. in that thought, they established the national memorial services for the natural virtues. the national memorial services for the four seas was one of the national memorial services for the natural virtues. The ancient chinese people thought that the earth was surrounded by the four seas. and also they thought that the four seas were made by great valley. the ancient chinese people thought the four could accept all kinds of rivers in the earth, because the four seas were made by great valley. they called that virtue of the four seas as the virtue of pit, the king. by this virtue, the four seas were selected as a national memorial services. Joseon dynasty also accepted the national memorial services for the three seas. joseon dynasty also regarded that the three seas had the virtue of pit. The national memorial services for the three seas in joseon dynasty were composed as four stages. but the other national memorial services were also composed as four stages. only the fact that the national memorial services for the three seas were carried out was a different pont. 전통시대 한국과 중국에서 거행된 국가 제사는 報本反始 사상에 근거하여 사람에게 공덕을 끼친 天神, 地祇, 人鬼 등 신령한 존재에게 감사한 마음을 표시하던 국가적 의례였다. 四海 제사 또는 三海 제사 역시 海의 공덕에 대한 감사를 표시하기 위한 국가적 의례였다. 이와 같은 고대 중국인들의 해양인식은 그대로 신라에도 전해져 四海 제사로 구현되었고 그것이 고려시대에 三海 제사로 이어졌다. 조선시대 사람들 역시 중국과 신라시대, 고려시대의 전통적인 인식을 받아들여 海를 百谷의 왕으로 인식하였다. 百谷의 왕인 海가 국토 주변을 둘러싸고 있으므로 지상의 百川이 국토를 흐르면서 만물을 기르고 海로 들어갈 수 있다는 해양인식이 바로 전통적인 유교 해양인식이었었다. 이런 해양인식에 근거하여 조선시대에도 三海 專祀가 거행되었다. 조선시대 三海의 專祀는 크게 事前 準備, 迎神, 娛神, 送神의 네 단계로 이루어졌다. 事前 準備는 제사 이전의 준비 단계로서 香祝 전달, 享官의 5일 간 齋戒, 陳設, 省牲器 등의 절차가 여기에 해당했다. 迎神은 해신을 맞이하는 절차로서 奠幣禮와 三上香 등의 절차였다. 娛神은 해신을 즐겁게 하는 절차로서 初獻, 亞獻, 終獻으로 술과 제물을 드리는 절차였다. 마지막으로 送神은 해신을 보내고 해신이 남기고 가신 복을 받는 절차로서 飮福禮와 撤籩豆가 그 절차였다. 조선시대의 國祀는 기본적으로 三海 專祀와 마찬가지로 事前 準備, 迎神, 娛神, 送神의 네 단계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조선시대 中祀이던 三海 제사가 事前 準備, 迎神, 娛神, 送神의 네 단계로 구성된 것은 당연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三海 專祀는 조선시대 國祀 중에서도 특별히 三海의 공덕에 보답하기 위한 國祀였다는 점에서 다른 國祀와 차별되었다.

      • 悉直과 신라의 北海 제사

        박승범 한국이사부학회 2015 이사부와 동해 Vol.9 No.-

        新羅 四海 祭場은 東海 阿等邊의 경우 현재 포항시 영일읍에 소재했던 魚龍臺 로, 南海 兄邊은 부산시 남구 용당동 일대로, 西海 未陵邊은 군산시 경암동 북쪽 해변으로, 北海 非禮山은 지금의 삼척시 葛夜山 지역으로 추정된다. 이들 제장의 성립시기는 동해는 신라가 영일지역을 확보한 사로국 초기에, 남해는 5세기 중반 이후, 서해는 죽막동 제사유적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7세기 이전으로, 북해 비례산은 6세기 중반 신라가 동해안로를 따라 함경도 방면으로 진출하던 시기로 여겨진다. 북해 제장이 다른 4해와 달리 산에 마련된 것은 悉直州를 포함한 강원도 일대 동해안과 그 주변 해상력 확보과정에서 전통적 산악숭배, 그리고 고구려의 침입대비 및 우산국 정벌 등을 고려한 결과였다. 삼국통일 후 북방으로의 영역 확대에 불구하고 북해는 실직에 소재하였다. 실직의 지역토착 해양세력을 국가사전편제를 통해 흡수하려는 목적에서 과거 신라 해상력의 상징이었던 실직에 계속 유지할 필요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북해를 포함한 4해의 제사 형식은 대체로 중국의 예제를 참고하였을 것이지만, 신라의 전통적인 산천숭배 관념에 따라 제례의 순서와 내용도 포함된 것으로 이해 된다. 그 제일은 신라의 독자적 산천숭배 전통에 따라 결정되었을 가능성이 높지만 왕도에서 행하는 경우 당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1년에 한차례씩 5郊에서 迎氣日에 행했을 가능성도 있다. 4해의 신격은 각 방면의 해신으로 神像을 조성하여 제사 때 모셨다. 4해에 대한 봉작은 성덕왕 34년(735) 시기까지는 행해지지 않은 것으로 보았다. 4해 제사의 절차는 ..三國遺事.. 水路夫人조와 高麗 李齊賢의 시를 통해 재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 단계는 첫째 제장을 물로 정화하기, 둘째 신이성을 부여한 ‘杖’을 두드리며 용을 불러내기, 셋째 높은 바위에 핀 꽃을 꺾어 술잔과 함께 봉헌하기, 넷째 기우와 풍년 기원 등의 순서로 추정된다. 이러한 절차는 북해 제장에 적용되었다가 점차 다른 4해의 제장에도 확대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The detailed steps are presumed to be as follows: 1) purify the ritual site with water; 2) summon the dragon by knocking the cane to which divine characteristic has been accorded; 3) pick a flower from a lofty rock and offer it with a glass of alcohol; and 4) wish for rain and good harvest. Such procedures were applied to the ritual sites of North Sea and expanded to other areas of the four seas as well. The places of ancestral rites in the four seas of Silla are presumed to be Eochondae that used to be located in Yeongil-eup of today s Pohang-si for Donghae (East Sea) Okdeung Byeon, Yondang-dong area of Namgu in Busan for Namhae (Southern Sea), northern seashore of Gyeongam-dong in Gunsan for Seohae Mireungbyeon (Western Sea), and Galyasan (Mountain Galya) area of today s Samcheok-si for Bukhae Biryesan (North Sea). The period during which these sites of ancestral rites were established are estimated to be in the beginning of Saroguk when Silla secured the area of Yeongil for the site in the East Sea, after the mid-5th century for the Southern Sea, before the 7th century for the Western Sea considering the relation to the ritual remains of Jukmakdong, the mid-6th century when Silla advanced toward Hamgyeongdo following the eastern sea route for Bukhae Biryesan (Northern Sea). Different from other seas, the site of ancestral rites in the Northern Sea was established in the mountain as a result of taking into consideration traditional mountain worship in the eastern coast of Gangwon-do area including Siljikju, and of preparing for the invasion of Goguryeo and the conquest of Usanguk.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nations, the North Sea was included in Siljik despite the territorial expansion toward the north. In order to absorb the maritime power of Siljik s indigenous region through national organization, it was necessary to remain in Siljik, which was the symbol of Silla s maritime power. Although the formality of the ancestral rites in the four seas including the North Sea seem to have referred to the examples of China,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order and the content of ancestral rituals follow Silla s tradition of worshiping mountains and streams.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day of the ritual was determined following Silla s unique tradition of worshiping mountains and streams.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hat it was performed once a year on Yeonggi day when it was performed on the royal road. The divinity of the four seas is the god of the sea of each side and it was built into a pagod and subserved during the ancestral rites. The investiture of the four seas was considered to not have been performed until the 34th year of King Seongdeok(735). The procedure of the ancestral rites of the four seas can be reconstructed through Samgukusa Surobuin and the poem of Lee Je Hyeon from Goryeo. The detailed steps are presumed to be as follows: 1) purify the ritual site with water; 2) summon the dragon by knocking the cane to which divine characteristic has been accorded; 3) pick a flower from a lofty rock and offer it with a glass of alcohol; and 4) wish for rain and good harvest. Such procedures were applied to the ritual sites of North Sea and expanded to other areas of the four seas as well.

      • KCI등재

        고려 건국기의 三韓一統意識과 ‘海東天下’ 인식

        윤경진 한국중세사학회 2018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55

        Examined in this article is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very notion of “the Three Han units are one(三韓一統意識),” and the concept of “Another universe on the East side of the Sea(海東天下),” which both prevailed during the Goryeo period. The existence of these notion and concept are traced through stone epitaphs and other similar sources of historical information, produced at the end of the Unified Shilla period and in early years of Goryeo. These notion and concept were all formed during the ending days of Shilla, but were established as formal ideological beliefs for the state by the people of Goryeo. Shilla only considered itself as Jinhan(辰韓), one of the Three Hans, but Goryeo identified itself as the Three Hans as a whole. Shilla considered the establishment of another universe engulfing all regions in the Eastern side of the Sea(海東諸國) as the way to bind all Three Hans together, so memories and legacies cultivated by entities that had ever existed upon the East side of the Sea were conceptually absorbed into the Shilla culture and Shilla mind. So did even the memories and legacy of the Four Gun(四郡) units, as Shilla connected itself with the Hyeonto-gun(玄菟, 兎郡) unit, which had usually been associated with Goguryeo in the past. Goryeo too inherited Shilla’s such perception of the ‘East side of the Sea(海東),’ and established a universe of its own. The Goryeo-version of this “Universe on the East side of the Sea(海東天下)” was of course conceived as part of the Sino-centric world order(中華天下), but at the same time it was considered to have retained its own unique identity that differentiated itself from the Chinese universe. The Goryeo king considered itself as an Emperor(天子) in its own right, and the Goryeo people even defined China as a ‘Universe on the West[海 西],’ compared to themselves on the East.

      • KCI등재

        「청주운천동사적비」의 건립 시기에 대한 재검토

        윤경진 ( Kyeong Jin Yoon ) 수선사학회 2013 史林 Vol.0 No.45

        Until now, the Chang-ju Uncheon-dong Temple vestige monument was understood to have been erected at the end of the 7th century, and was cited as a primary evidence showing us the notion of “Sam-han is united as one(三韓一統意識)” have already existed during the war between the three dynasties and also in the early stages of the Unified Shilla`s Middle Kingdom period. However, considering the situations of the time and the social foundation described on the epitaph, the monument seems to have been erected in the transitional period between Unified Shilla and the Goryeo dynasty. There is a reference to a king with the instructions from heaven(天命) who appeared and brought stability to the world surrounded with four seas(四海), which is a reference to Goryeo dynasty`s Founder king Taejo Wang Geon and his unification of the Later Three Dynasties. The “2nd year of Sugong(壽拱/垂拱)” is the time when a building was first constructed to store the holy texts, so we can say that this monument was created to record how the building was renovated in the ending days of the Unified Shilla period and the beginning of the Goryeo dynasty period. A title named Agan(阿干) which is included in the list of people who were involved in the construction seems to have been a local official(在地官班) of the time, considering how he was recorded in the epitaph. So in my opinion, this monument cannot be considered as an evidence to the notion said above being already prevalent in the ending days of the 7th century.

      • KCI등재

        대승불교의 信觀

        한태식(보광) 한국정토학회 2006 정토학연구 Vol.9 No.-

        Frequently, people say that we believe Buddhism. However, when they happen to encounter the question of the religious objective in the Buddhism, there would be no definite answer to the question. The reason would be that they view Buddhism as a self-power religion. The answer to the question of the religious objective would be simple if they simply believe a god like what a Christian does, but it is not so in Buddhism. Buddhism is not that kind of the simple faith. Even if it is so, Buddhism does not only insist a self-power alone. Also there exist lots of the other-power aspects in Buddhism. This dissertation studies a view of the faith in Mahayana Buddhism. Buddhism starts with a faith and ends with a fruit of wisdom. That is to say, faith is a beginning and wisdom is an accomplishment in Buddhism. In the early Buddhism, a faith was viewed as one of the practice virtues among the five roots or the five powers of the Buddhist priests as well as the five properties of the Buddhists. Among practice virtues, a faith was the first to be addressed. But a faith is indicated to a beginning of enlightenment in Mahayana Buddhism. In Mahayana Buddhism, it has been discussed specifically about the question of the religious objective. According to a Nirvana Sutra, it is the right belief if we have a faith in the Causality and the Triratna, it is the wrong belief if we do not have a faith in the Causality and the Triratna. But according to an awakening of faith sutra, there are four pieces of faith on True thusness and Triratna. Even though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between the two sutras, the two sutras obviously indicate the four pieces of faith as the religious objective. Faith on Triratna is the religious objective throughout both Mahayana and Hinayana Buddhism. About methodological aspects of faith, Sechin insisted on five mindfulness gate and Mamyung insisted on five practices. I hope that the Korean Buddhism take a right way with the practice of the above mentioned faith.

      • KCI등재
      • KCI등재

        Main Points of Contention in Terms of the Studies on Tan'gun and Kojosŏn

        Cho Bup Jong(조법종)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05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8 No.-

        고조선(古朝鮮)은 한국사의 첫 국가로서 한국사의 인식체계에서는 ‘단군(檀君)’, ‘기자(箕子)’, ‘위만(衛滿)’ 등 3개의 성격을 달리하는 존재와 연결된 정치체가 계기적으로 고조선으로 통칭되는 역사를 구성하여 나타나고 있다. 이는 고조선의 역사를 전하는 건국신화인 단군신화를 중심으로 한 《삼국유사》, 《제왕운기》 등 기록과 국가적 성장이후 중국과의 관계가 중심이 된 《사기》와 《삼국지》가 인용한 《위략》 기록 등에 차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같은 고조선과 관련된 고고학적 문화양상은 비파형동검(琵琶形銅劍) 및 지석묘(支石墓)와 石棺墓로 대표되는 靑桐器文化를 필두로 철기문화단계까지 연결되고 있다. 이같은 문화는 中國系 靑銅器文化와는 구별되는 遼東半島, 東北滿洲 및 韓半島에 분포하였다. 특히 중국과는 春秋ㆍ戰國時代 및 秦ㆍ漢교체기에 朝鮮이란 존재로 다양한 정치세력과 조우하였다. 또한 衛滿朝鮮시대를 전후하여 匈奴로 대표되는 騎馬遊牧勢力과의 교류도 있었다. 이같이 고조선은 이들과의 정치, 군사, 경제적 교류 속에서 다양한 형태의 경험을 축적하였으며 정치적 성쇠과정을 통해 중심지와 영역의 변화도 수반되었다. 고조선문제에 있어 가장 많은 논란과 쟁점이 부각된 문제는 中心地문제였다. 이는 고조선의 중심지가 한반도 특히, 平壤이 고조선의 중심지였다는 平壤中心說과 遼東지역 遼河 또는 大凌河를 중심한 지역이 고조선의 중심지로서 존재하였다는 遼東中心說로 그리고 요동지역에서 대동강지역으로 이동하였다는 이동설로 나뉘어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따른 패수, 왕검성 위치 등의 역사지리논쟁이 고조선문제에서 여전히 남아있다. 한편, 고조선은 위만조선단계에서 漢의 대결구도속에 전쟁을 통해 정치적 붕괴와 한 군현체계에 의한 통제를 경험하였다. 그러나 이는 곧 고구려 등에 의해 축출되고 친중국적 토착세력과 연결된 낙랑으로 명맥이 유지되고 고조선은 후대 역사체에 의해 계승되었다.

      • KCI등재

        南朝 梁代 ‘海南諸國’과의 교류와 외교 – 林邑과 扶南을 중심으로

        정면 중국사학회 2023 中國史硏究 Vol.- No.142

        이 연구에서는 梁 왕조와 海南諸國의 교류를 중심으로 南朝 시기 ‘中國的 世界秩序’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魏晉南北朝時期 中國을 중심으로 하는 東亞 世界秩序의 특징이 幕府體制의 擴延에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梁朝 시기 海南諸國 또한 ‘幕府體制’를 통해 ‘中國的 世界秩序’에 참여하였음을 살펴보았다. 海南諸國의 遣使貢獻과 이에 대한 冊封 事例를 검토하였는데, 朝貢을 통해 中國으로 향한 물품은 대체로 특이한 동물을 비롯한 특산물과 사치품이었으며, 대규모의 교역이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이 외교관계에 관련하여 두 가지 주목할 점이 있다. 우선, 佛敎 관련 聖物이나 물품들이 공헌되었다는 것, 둘째 남아있는 表文에 불교적 세계관 가득 차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佛敎文化의 共有가 이들의 교류를 촉진하였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朝貢 기록에 비해 冊封 기사가 현저히 적었는데, 이는 책봉이 수반되지 않은 조공의 사례가 다른 지역보다 많았음을 시사한다. 일부 海南 지역 국가에서 ‘長史’ 職을 지닌 使臣을 파견한 사례를 살펴보았고, 將軍職이 冊封에 포함된 사례들도 확인하였다. 華夷 구별을 없앤 ‘天下一家’의 실현은 秦始皇 이래 皇帝國家의 이상이었지만, 역사 현실에서 구현된 적은 사실상 없다. 中國 國家의 분열, 豪族 세력에 의한 분점이라는 역사적 현실이 ‘官의 爵化’ 현상을 초래하였고, 魏晉南北朝時期 분열된 皇帝 國家는 幕府體制에 기대어 그 명맥을 유지하였다. 그 幕府體制는 軍事的 封建制였다. 그리고 外夷 君長에 대한 將軍職 賜與는 이 ‘幕府體制’를 海外로 擴延하려는 皇帝國家의 의지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海南諸國도 이 幕府體制를 통해 적극적으로 혹은 소극적으로 이 世界秩序에 참여하였다.

      • 통일신라의 명주(溟州)와 삼척(三陟)지방

        이경섭 한국이사부학회 2015 이사부와 동해 Vol.9 No.-

        이 글은 통일신라의 명주와 삼척군에 대하여 삼국사기 기사를 토대로 기본적인 내용들을 정리한 것이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명주의 지명은 고구려의 하슬라에서 신라의 하서아=하서량으로 변해 갔으며, 문무왕부터 경덕왕에 이르는 시기에는 하서(주)의 지명이 사용되었다. 이후 경덕왕대의 지명 개정을 거쳐 명주가 등장하였으며, 신라 하대에 이르기까지 명주와 오랜 지명인 하슬라가 함께 사용되다가 신라말 고려초를 경과하면서 명주가 우세해진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주치인 명주의 영현들 가운데 정선현과 속(동)제현의 입지를 태백산맥을 넘어 영동지역으로 진출하는 교통로의 확보라는 측면에서 바라보았다. 그리고 지리지의 명주 군현들의 입지를 검토하면서 지리적인 입지에서 약간의 의문을 남기고 있는 곡성군과 녹무현의 입지적 배경을 검터하였다. 이들 군현은 경상북도 내륙지방에 위치하였는데, 이를 왕경의 방어라는 시각에서 설명하였다. 신라는 통일 후 왕경을 중심으로 한 지방사회의 재편성을 시도하였는데, 이는 왕경으로 연결되는 주요 간선교통로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9주 체제 내에서 운영되었던 10정의 설치가 교통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그 결과 곡성군과 녹무현의 입지가 결정된 것으로 보았다. 삼척군은 명주와 더불어 통일 이전 동해안 지역의 핵심 거점이었다. 이러한 사 실은 주치가 시대적 상황에 따라 하슬라와 실직(삼척)으로 이치되는 현실에서 증명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무열왕대 설치된 북진(北鎭)은 하슬라(명주)지역의 해 상 방어를 위한 해군기지로서 운영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외에도 삼척지방에서는 중고기 북쪽 경계지역이라는 인식을 토대로 중대의 사해 제사가 열리기도 했지만, 통일 이후 고구려고지 방면으로의 국경의 확장과 주치가 명주로 고정되면서 동해 안의 핵심 거점으로서의 위상을 잃어 갔다. 이어서 하대의 전란 속에서 읍세가 위축되면서 고려시대에 이르러서는 4개의 영현 가운데 3개의 영현이 미상 지명으로 남겨진 것으로 보인다. . This article summarizes basic information of Samchoek-gun and Myeongju of Unified Silla based on the article Samguksagi . The summary is as follows. The name of Myeongju transformed from Hasla of Goguryeo to Haseoya=Haseoryang of Silla, and the name Haseo(Ju) was used from the period of King Munmu to King Gyeongdeok. Afterward, the name was revised to Myeongju. Both Myoengju and Hasla were used until the late period of Silla, and Myeongju came to predominate since the late period of Silla and the early period of Goryeo. Furthermore, the position of Jeongseonghyeon and Sok(dong)jehyeon were seen as securing traffic route passing through the Taebaek mountains toward Yeongdong area. While examining the position of counties and township of Myeongju, the background behind the position of Gokseonggun and Nokmuhyeon which raises a slight doubt in terms of the geographical position was also investigated. These counties were located in the inland areas of Gyeongsangbukdo and it is explained in this article from the perspective of defense of Wang Jing. After the unification, Silla attempted to reorganize the local society centered on Wang Jing and this was done with the main traffic route connecting to Wang Jing as the center. In particular, the installation of 10 jeong which used to be operated in 9 weeks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raffic route. This was considered to have led to the position of Gokseonggun and Nokmuhyeon. Samcheokgun, along with Myeongju was the main base of eastern coast area before the unification. Such facts are demonstrated by the reality in which Juchi becomes Hasla and Siljik (Samcheok) depending on the period. Moreover, it is highly probable that Bukjin, which was installed during the period of King Muyeol was used as the maritime base for sea defense. Besides, ancestral rites were sometimes performed in Samcheok region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it was the northern boundary. However, as the territory was expanded toward Goguryeo after the unification and Myeongju became Juchi, it lost its status as the major base of the eastern coast. And as wars persisted its power diminished and 3 out 4 Younghyeon seem to have become unknown since Goryeo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