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기근대국가 형성에서 폭력의 문제

        황영주(Young-ju Hoang)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0 국제관계연구 Vol.15 No.2

        이 연구에서는 초기근대국가 형성에 있어서 폭력이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근대국가는 합법적 폭력 조직의 생성과 운영이 반드시 필요했다. 국내적으로 관료제의 발달은 전쟁기구로 작동하는 국가에 대하여 효과적인 지원을 위한 국가노력의 산물이었다, 즉, 국가의 대내외적인 물리적 능력의 신장을 위해서 조세징수와 국가경비의 지출에 대한 효율적 관리를 위해 국가 관료제가 발전된 것이다. 근대국가의 형성에서 국내적 폭력의 또 다른 요소인 경찰력의 발전 또한 국내의 내적 평온화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었다. 근대국가라는 제도가 일상에 숨어 있는 모습으로서 경찰력은 사회질서를 유지하며 지배를 위한 사회적 기반을 구축한다. 다시 말해서 경찰은 새로운 모습의 국가가 자신의 가치와 질서를 국민들에게 요구하는 사회적 통제의 기구로 만들어진 것이었다. 근대국가의 형성에서 국외적 폭력으로서의 전쟁에도 보다 주목이 필요하다. “전쟁은 국가를 만들고, 국가는 전쟁을 만든다”는 명제를 빌리지 않더라도 지금까지의 여러 연구는 근대국가 형성과 성장에 전쟁이 불가피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이 연구는 전쟁과 전쟁준비를 위한 여러 노력들은 궁극적으로 국가만들기에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었다는 점을 확인하고 있다. 우선, 전쟁에 투입되는 군대의 양성은 결국 근대국가의 자신의 신민(臣民)에 대한 자원추출능력의 신장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자원추출능력의 확대는 다시 전쟁능력의 증대로, 이는 다시 자원추출능력의 확대로 일련의 국가 능력 확대의 순환구조가 완성된다. 아울러 전쟁준비는 새로운 관료제의 확대와 운용으로 이어졌다. 전쟁(준비)을 통해서 국가는 다시 자신의 국민에 대한 감독과 침투를 확대시킬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전쟁은 “적과 우리의 관계”를 보다 명백하게 함으로써 근대국가 형성초기에 필요한 내적 평온화에 직접적으로 기여하였다. 전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국내외적 폭력과 그것의 구체적인 기제가 초기근대국가 형성과정에서 필수불가결한 요소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concerns the connection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state and violence during the formation of modern state in the Western society. As it is well known, the modern state has capability of monopolizing the legitimate use of violence within a given territory. This article explores what the functions and roles of violence are in the period of state formation. On the one hand, the article examines internal aspect of state violence. The state had required a lot of coercive control for integrating their subject to its given territorial area. The process contains set up new bureaucratic and police system, which made ‘internal pacification.’ On the other hand, the article shows external aspect of state violence. “War made state, state mad war” may well express the roles of war for state formation, so that the articles try to show the influence of war for state making; war enhanced the state capability of extraction resources, induced new bureaucracy, and consolidated identity of state. Overall the articles try to show that the necessity of internal and external state violence for its formation and development.

      • KCI등재

        초기 근대국가 형성에서 국가와 자본주의

        황영주(Young-ju Hoang)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2 국제관계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초기 근대국가발전과 자본주의 발전의 상호연관성에 대하여 주목하면서 자본주의 발전이 근대국가 노력의 산물이며, 국가의 중심적인 역할을 통해서 자본주의 체제가 성립되었음을 주장하려고 한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는 이론적 배경에서 자본주의의 성립과 발전이 경제적 영역으로서 독립적으로 다루어져서는 아니 되며, 정치적 영역으로 국가의 역할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자본주의 성립기에 국가는 주로 자본의 원시적 축적에 바탕이 되는 임금노동자의 창출과 국내의 통합된 단일시장 창조에 기여한 것으로 드러났다. 자본주의 성립 후에 국가는 각종 법적 뒷받침과 조세제도의 확립을 통해서 자본주의의 원활한 작동에 기여하게 된다. 근대국가의 자본주의 성립과 발전에 대한 기여는 결국 유럽국가의 역사적 변화에서 국가 내부의 갈등 및 국가 외부의 갈등 극복을 목적으로 하는 강력하고 독립적인 정치적 권력의 기반이 되는 자원 확보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이 연구는 주장하고 있다. This study is underlines that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apitalism had been made by a deliberate effort of state in the early period of modern state. The study deals with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 should not be separately considered from the political dimensions and influences. On the one hand, the study try to show that the state had tried to make the creation of wage labour and to generate the creation of unified single market as the primitive accumulation of capital during the stage of early period of capitalism. On the other hand, the study tries to show that the state had tried to formulation of various legal supports and to contrive of modern tax system, contributing smooth functioning of capitalism after established capitalism. The reason why the state had been involved to create and support the capitalism comes from the inherent and unique of European state system; to overcome resistance from inside and outside of state, the state itself should secure economic resources for setting up its own political and military power. Overall, the study argues that the evolution of capitalism should not be ignoring the formation of modern state.

      • KCI등재

        폭력의 경험과 근대적 민족국가 -초기 4.3소설을 중심으로-

        박필현 ( Pil Hyeon Park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3

        8.15 해방을 맞은 지 꼭 70년이다. 4.3이 발생한 이후로도 67년이 흐른 것이다. 4.3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학술적 연구가 본격화된 것은 1980년대 후반이지만 문학은 사건 당대부터 다양한 방식으로 이를 형상화해왔다. 본고는 4.3을 다룬 초기 소설에 나타난 특이점을 살펴보고, 새로이 형성된 근대적 민족국가와 관련하여 그 의미를 모색해 보고자 한다.4.3에 대한 논자들의 관심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여전히 미진한 편으로, 특히「순이삼촌」 (1978) 이전의 초기 작품들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순이삼촌」 에서 그려진 4.3은 반란이나 폭동 혹은 항쟁이나 투쟁이 아닌 일종의 수난사에 가까운데,바로 이러한 점에서 이는 이후 4.3을 다룬 작품들의 양상이나 4.3을 보는 시각과 관련하여서도 흥미로운 분절점이 된다. 4.3에서 발생한 무고한 희생에 대한 고발의 의미는 결코 무시할 수 없는 것이지만, 그 무수한 죽음을 둘러싼 이야기가 희생자나 수난사라는 국가의 승인이나 인정에 그쳐서는 곤란하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무고한 희생과 수난의 강조 이전에 4.3은 어떻게 그려졌는가. 이를 살펴보는 것은 근대적 민족국가로서의 대한민국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하는 그 폭력의 구성 과정에 대한 확인이기도할 것이다.4.3을 다룬 초기 소설 전반에 걸쳐 우선적으로 드러나는 것은 동족으로서의 공동체 의식이라기보다는 제주의 낯섦, 이질성이다. 이는 비단 풍광에 대한 묘사에 그치지 않고 제주의 여성, 심지어 무장대의 면면을 그려내는 과정에서도 확인된다. 육지에서 온이방인에게 제주의 면면과 제주 사람은 낯설고 이질적이며, 좌우익 사이에 낀 제주도민은 점차 ‘섬사람’, ‘제주 사람’으로 자신들을 정체화한다. 한민족(韓民族)으로서의 공동체 의식은 오히려 해방된 땅에서, 근대적 민족국가 건설의 초야에, 강렬한 폭력 경험 속에서 그 균열을 내보이는 것이다. 또 하나 주목할 만한 지점은 무장대나 제주 사람을 향한 폭력에서 강조되는 것은 미군정이나 이승만 대통령으로 대표될 중앙정권이 아니라 서북(西北)이라는 것이다. 제주와 삼팔이북의 서북이 아닌 여타의 지역은 갈등 당사자가 아니라 제3자인 양 미묘하게 이 갈등의 정점에서 빗겨 서 있다. 문제는 실상 한민족 공동체의 균열 및 고난받는 지역 공동체라는 점에서 제주와 서북 사이의 거리가 그리 멀지만은 않다는 데있다. 제주에 대한 관리가 이념에 따라 분열된 일종의 양극 체제에 대한 관리라는 점에서 4.3은 결코 특정 지역만의 문제일 수 없다. 그럼에도 새로운 근대적 민족국가는 제주의 맞짝으로 또 다른 경계인 서북을 내세움으로써 대립의 전면적 성격을 지우고 갈등을 축소한다. 남한에서 4.3을 다룬 최초의 소설 작품이라고 할 허윤석의「해녀」에는 무장대와 토벌대의 전투 장면이 그려지고 있다. 그러나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작품에 형상화된 무장대의 성격은 사뭇 달라진다. 무고한 희생자의 모습이 그려지기도 하고 의지적인 선택이 아닌 상황에 떠밀린 소극적인 선택이 부각되기도 한다. 일견 공명정대하기까지 한이러한 시선은 변화는 어떻게 가능했던 것일까. 그것은 힘의 균형이 깨졌기에, 즉 온전한 폭력의 독점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힘의 기울기가 분명해지고 미래의 폭력까지 독점되며 비로소 새로운 국가는 제 모습에 공명정대함을 부여할 수 있었던 것이다. 초기 4.3 소설은 이와 같이 전근대와 근대적 식민 국가 이후 도래한 근대적 민족국가 대한민국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하는 그 폭력의 구성 과정을 보여준다. It``s the very 70th year celebrating the 8.15 liberation. 67 years have passed by since the 4.3 incident(1948) took place. The 4.3 incident began to draw social attention and academic study was conducted on it in a full scale in the late 1980s, but literature has embodied it in a variety of ways since the days of the incident.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peculiarity of the early novels dealing with the 4.3 incident, and finding their meanings in relation to the newly formed modern national state.Writers`` interest in the 4.3 incident has been increasing steadily, but is still not enough, and in particular, there are few researches on the early works before “Soonee samchon(Uncle Soonee)”(1978). The 4.3 incident described in “Soonee samchon” was rather close to a kind of ordeal than a revolt or riot, or a struggle or fight, and in this very sense, it becomes an interesting divergent point regarding the aspects of the later works dealing with the 4.3 incident or the later viewpoint on it. It``s more significant in that the story about the numerous deaths cannot be limited to national approval or acknowledgement of the victims or its passion story even though the meaning of accusation of the innocent victims of the 4.3 incident is never neglectable. Investigation into the description of the 4.3 incident before emphasizing the innocent victims and ordeals is also the confirmation of the formation process of violence, that is, how Korea as a modern national state was developed. What``s revealed first in the early novels in general about the 4.3 incident was unfamiliarity and differences of Jeju rather than the community spirit as the same race. It was not just for the description of the scenery, but displayed again in the process of depicting women in Jeju and even the various sides of the armed band. To the stranger from the land, each and every aspect of Jeju and its inhabitants were unfamiliar and different, and the inhabitants of Jeju pressed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came to identify themselves as ‘islanders’ and‘Jeju people.’ The community spirit as Korean people ironically disclosed a rupture in a liberated land through the experience of fierce violence at the beginning of the foundation of the modern national state. Another point worth noticing is that what was being emphasized about the violence toward the armed group of people or Jeju inhabitants was not the central administration represented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or President Lee Seung-man but Seobuk. The areas other than Jeju and Seobuk on the northern side of the 38th parallel were subtly outside of the climax of this strife as if they had been the third party,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conflict. The problem is that the actual distance between Jeju and Seobuk was not that long in a regard of the crack among the Korean community and suffering local communities. As the management of Jeju was the one on a sort of a bipolar system divided by ideologies, the 4.3 incident was never a problem of a particular region. Nevertheless, the new modern national state removed the general feature of the conflict and reduced the discord by putting up Seobuk, another boundary, as the counterpart against Jeju. In Heo Yun-seok``s “Haenyo(Female Diver)”, which is regarded as the work handling the 4.3 incident for the first time in South Korea, the battle scene between the armed band and the punitive force was depicted. However, as time passed by, the nature of the armed people embodied in works became quite different. Innocent victims were described in some, and passive choice swept away by situations instead of an intentional decision stood out in others. How was it possible for the viewpoint to change even to the point of justice at a glance? That was possible because the balance of power was lost, that is, violence came to monopolize completely. When the bias of power became clear and the violence in the future became monopolized, the new nation could endow fairness to itself at last. In this way, the early novels about the 4.3 incident show the process of violence formation of how Korea as a modern national state was established after the premodern nation and the modern colonial nation.

      • KCI등재

        정신의 도야(Bildung)

        정대훈(Daehun Jung) 사회와철학연구회 2018 사회와 철학 Vol.0 No.36

        본고의 목적은 예나 시기 헤겔 철학에서 도야(Bildung) 개념이 형성되어 가는 과정을 밝힘으로써 이 개념이 갖는 ‘근대적’ 측면들을 드러내어 도야 개념 일반 및 헤겔의 도야 개념에 대한 통상적인 표상과 구별되는 도야 개념을 헤겔 철학에서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우선 이 시기에 어떻게 헤겔이 삶의 자기형성의 형이상학에서 정신의 도야의 역사철학으로 이행해 가는지를 연대기적 순서에 따라 스케치하고 (2절), 다음으로 예나 시기의 “체계기획” 원고들과 『정신현상학』 ‘법상태’ 절 사이에 구조적으로 재구성가능한 상호참조적인 관계를 드러냄으로써 위 이행과정을 통해 형성된 도야 개념의 특징적인 면모들을 분명히 드러낼 것이다 (3절). 위 두 단계로 이루어진 연구를 통해 도야 개념은 근대 문화에 고유하고도 되돌릴 수 없는 특징인 극단적 분열과 규범적 공백상태를 표상하는 ‘죽음’을 자신의 도야를 위한 내재적 계기로 삼는 ‘정신’ 개념과 결합되어 있다는 점이 보여질 것이다. The aim of this essay is to present a concept of Bildung in Hegel, which differs from the general conception of it or what is hitherto regarded as Hegel’s concept of Bildung. For this I emphasize the modern aspects of the term by showing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of Bildung in Hegel’s philosophy in Jena. In concrete terms, I first sketch in chronological order how Hegel at this time passes from the metaphysics of the formation of life to the philosophy of history of the Bildung of the spirit (2nd section), and then I show the peculiar aspects of the concept of Bildung that are in this transition constituted by representing the inter-referential relationship to be reconstructed in structural point of view between the “Systementw ürfe”-manuscripts and the section “legal state” in Phenomenology of Spirit (3rd section). It is shown through this two-stage investigation that the concept of Bildung is associated with that of the spirit, which contains for his Bildung that death as an internal moment, which represents the state of extreme division and normative vacuum as characteristics irrevocably peculiar to modern culture.

      • KCI등재

        근대적 사회구성체와 라틴아메리카 포퓰리즘

        김은중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6 이베로아메리카硏究 Vol.27 No.2

        Since the late 1990s there has been a renaissance of scholarship on populism, largely because manifestations of populism are appearing nearly everywhere. But despite the numerous case studies of popular movements and the efforts to develop a theory of populism, the result of this endeavor is not fully satisfactory. In Latin America populism is generally viewed in negative terms. For much of the academic and political reactions to populism it implies an abnormality, a threat to democracy. Around 1990, in the period that ended with the dismantling of the Soviet Union, populism has become mainstream in the politics of contemporary democracy from the opposite ideological angle. This article pushes forward our understanding of populism by rethinking it from the perspective of present-day Capital-Nation-State system, capitalist social formation raised by Karatani Kojin. The article starts by giving an overview of Karatani’s prospect that brings the history of social formation to the table by suggesting a focus on modes of exchange. In chapter III we look at how the nation appears within the capitalist social formation as an attempt to recover community which is disintegrating under the rule of capital-state. The nation offers us some vital clues to understand the term the people. Finally, the article revisits the populism in Latin America by considering the problematique of previous chapters. 1990년대 후반 이후 포퓰리즘 연구는 새로운 르네상스를 맞이했다. 포퓰리즘 현상이 전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포퓰리즘에 대한 많은 사례연구와 이론적 천착에도 불구하고 포퓰리즘에 대한 만족스러운 이해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라틴아메리카 포퓰리즘에 대한 인식은 오랫동안 부정적이었다. 많은 사람들에게 라틴아메리카 포퓰리즘은 비정상적이고 민주주의에 대한 위협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사회주의 블록이 붕괴된 이후 포퓰리즘은민주주의의 주된 흐름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본 논문에서는 가라타니 고진이 제시한 근대적사회구성체인 자본-네이션-국가의 관점에서 라틴아메리카 포퓰리즘을 새롭게 고찰한다. 이를위해서 II장에서는 가라타니가 교환양식의 관점에서 재해석하는 근대적 사회구성체론을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III장에서는 근대적 사회구성체인 자본-네이션-국가에서 네이션의 문제를 조명한다. IV장에서는 II장과 III장의 문제의식을 통해 라틴아메리카 포퓰리즘을 재해석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중일의 전통의복을 통해 본 민족정체성

        손우승(Son Woo-Seung) 비교민속학회 2007 비교민속학 Vol.0 No.34

        This paper analyzes the national costume as a means to reinforce the national identity. In the time of the modern state formation, the conflict among states was intense and they tried to establish their identities in many ways, one of which was the national costum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how the national costume was used to establish the national identity and what meanings each nation bestowed upon its costume. The modernization of Korea, China, and Japan was conducted by the Western countries. Korea, China, and Japan placed ‘Oriental spirit’ over the Western ideology and accepted Western technologies and cultures. Japan, unlike Korea and China, was aggressive in its modernization to make a radical and society-wide reform through the Meijuyushin. This difference is also reflected on the use of the traditional costume in each country. Korea simplified and unified the costume nationally through the Clothe Regulation Renovation. Notably, the Po system that varied depending on the social classes and was allowed only to men, was unified into the Durumagi to enable both genders and social classes to wear it. At the time of Japanese colony, Japan forbade the Koreans to wear white clothes which Korean people had enjoyed wearing, citing a reason that it took much time to clean white clothes. The Japanese considered the traditional white clothes so called Hanbok, were related to the resistance spirit. The Chipao is the cloth that was created as a result of conflict and unity between Manchurian and the people of the Han race in the Ching Dynasty. At the beginning of the Ching Dynasty, the Manchurian as a ruling group compelled the Han people to follow the Chinese queue and wear the Chipao. At the end of the Ching Dynasty when the Western countries invaded, the compulsion became severe to reinforce the unity of the whole Chinese people across the races. As was discussed so far, Korea and China reinforced the national unity and attachment through traditional clothes when other nations invaded. On the other hand, Western suits were accepted by the higher classes. The Japanese struggled hard to accept the Western civilization while located in the Oriental Hemisphere. The Japanese accepted the Western cultures so aggressively as to have cultural self-conceit, which led to the imperialism and invadion of neighboring countries. The Japanese enthusiastically accommodated the Western suits that serve the symbol of westernized costume. Not only clothes of men for high officials, policemen, and students, but also women’s clothes were westernized. Many shops for women’s western dress opened and many women wore western style clothes for their ordinary dress. Both Gimino and suits frequently appear in the genre paintings, which shows how Japanese people wanted to become ‘a Western country in the Oriental Hemisphere.’

      • KCI등재

        ‘새로운 세계사’의 등장과 정형화된 서술 구조의 변화

        張로사(Jang, Rosa) 역사교육연구회 2016 역사교육 Vol.140 No.-

        Overcoming Eurocentrism can be started from analyzing narrative context of European history, usually accepted in formalized ways, in world history textbooks. This paper discusses the changes and the limits of story arcs in the textbooks released around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at includes research trends of ‘New World History’, focusing on the Age of Exploration and Absolutism, formalized as an economic and political origin of the formation of late modern states in high-school world history textbooks. Base on the analysis, the alternatives of story arc are also presented. While some textbooks crushed the narrative structure that described the Age of Exploration as an origin of modern Capitalism development, many of them changed only small part of narratives or terminologies. In addition, the processes of exploration, seeking sea routes ‘New’ only to European people, are mainly about explorers, their adventurous spirits and routes themselves. Also, absoluteness is still with strongly emphasized absoluteness of monarchy and backwardness of Eastern Europe, compared to formality of Western Europe, even though it sometimes highlights characteristics of centralism. In order to change the formalization, various alternative story arcs should be provided to students to help them have critical views toward mythicized past in the history, not curriculum revision-led changes. Using the story arc teachers need to guide their students to understand diversity and tentativeness of interpretation of history, not a single view about past, and view contemporary world criticall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