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을 통한 수업의 효과성 탐색

        조용개 한국교육학회 2009 敎育學硏究 Vol.4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ion through the teaching portfolio development in higher education.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 development process and application cases of the teaching portfolio(a course portfolio) in three universities by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y. For this study, twenty-two professors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teaching portfolio during the second semester, 2008. During this study, we offered materials which are requir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teaching portfolio throughout total seven times. And we analyzed it by triangulation techniques, a middle and a post interview, and a pre/post questionnaire survey. Professo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stated that they were a great help for improving teaching competency from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teaching portfolio. Especially, in the pre/post questionnaire surve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the establishment of teaching philosophy(P1), the suggestion of objectives before instruction(P2), the utilization of various instructional media(P4), an immediate feedback after tasks and evaluations(O3), the degree of teaching satisfaction(O2), the results of instructional evaluation from students(R2) and the self-reflection about teaching activities(R1). Through this study, we expect that the teaching portfolio will contribute to improve a quality of the teaching competency, to reflect educational achievements evaluation, and to select best teaching awards in higher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을 통한 수업의 효과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대학 교수자 22명을 대상으로 2008학년도 2학기(9월-12월) 동안 본인 개설 강좌 중 1개를 선정하여 일정에 따라 티칭 포트폴리오를 개발토록 하였으며, 개발 기간 중 총 7차에 걸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관련 자료를 제공하였다.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과정을 분석하기 하기 위하여 중간 및 사후 인터뷰, 사전 및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중간 및 사후 인터뷰는 반구조화된 질문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사전 및 사후 설문조사는 총 22개 문항으로, 설문조사 결과는 빈도분석과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에 참여한 교수자들은 개발 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수업을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으며, 수업계획을 세우거나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해 보는데 큰 의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사전․사후 설문조사 결과, 거의 모든 항목에서 사후설문조사의 결과가 긍정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교육철학의 정립(P1), 수업 도입 시 수업목표 제시(P2), 다양한 매체 활용(P4), 과제 또는 평가 후 즉각적인 피드백 제공(O3), 수업에 대한 만족도(O2), 학생들의 수업평가 결과 향상(R2), 수업에 대한 성찰(R1) 등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이번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을 계기로 참여 교수자들이 평상시에 비해 교수활동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티칭 포트폴리오의 개발 사례는 대학 수업의 질적 향상뿐만 아니라 차후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을 교육업적평가에 반영하거나 우수수업상 선정요건에 포함하는 방안으로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교수자의 수업 개선을 위한 수업포트폴리오 개발 모형 및 평가준거안

        조용개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수업 포트폴리오 개발 사례 결과를 토대로 교수자의 수업 개선을 위한 수업 포트폴리오(teaching portfolio)의 개발 모형 및 평가준거(rubric)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대학 및 중고등학교 교수자 18명을 대상으로 2008학년도 1, 2학기동안 본인 담당 교과목을 중심으로 수업 포트폴리오 개발 일정에 따라 수업 포트폴리오를 개발토록 하였다. 수업 포트폴리오 개발 사례를 분석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로 인터뷰와 양적 연구로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는 반구조화된 5가지 질문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사전․사후설문조사는 총 22개 문항으로 결과 분석은 빈도분석과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수업 포트폴리오 개발 사례 결과를 토대로 교수자의 수업 개선을 위한 수업 포트폴리오 개발 모형안을 제시하였다. 본 수업 포트폴리오 개발 모형안은 Seldin(2004)이 제안한 수업 포트폴리오 개발 단계를 적용한 교과목(course) 포트폴리오 개발 모형으로, 수업 포트폴리오 구성요소별로 수업 포트폴리오 개발에 활용 가능한 자료들을 각 단계별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수업 포트폴리오 개발 단계에 근거하여 Hart(1994)가 제안한 평가 절차를 적용한 수업 포트폴리오 평가준거안을 마련하였다.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수업 포트폴리오 개발 모형 및 평가준거안은 초중고 및 대학교육 현장에서 교수자의 수업 개선과 평가뿐만 아니라 차후 초중등학교의 교원평가와 관련하여 교수자의 교수력을 향상하고 평가할 수 있는 질적 도구로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tentative plan of the teaching portfolio development model and rubric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instruction in instructors. For this study, we analyz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teaching portfolio to improve instruction in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In this process, eighteen instructors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teaching portfolio(a course portfolio) during the first and second term, 2008. During the development period of the teaching portfolio, we carried out qualitative research with an interview and pre/post questionnaire survey and quantitative research with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eaching portfolio development cases, we suggested a plan tentative plan of the teaching portfolio development model and rubric for developing and evaluating the teaching portfolio. According to a tentative plan of the teaching portfolio development model and rubric, five stages for teaching portfolio development were applied stages suggested by Seldin(2004), and rubric for the teaching portfolio evaluation was applied the evaluation criterion of Hart(1994). We expect that a tentative plan of these model and rubric for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teaching portfolio will be able to utilize the qualitative improvement and evaluation of instruction as well as the teacher evaluation in secondary education.

      • KCI등재

        대학에서 체계적 교수 활동을 위한 e-티칭 포트폴리오 활용 방안 연구

        박혜진(Hye-jin Park),차승봉(Seung-bong Ch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8

        본 연구에서는 e-티칭 포트폴리오에 대한 교수자들의 전반적인 인식 분석을 토대로 e-티칭 포트폴리오의 확산 방안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대학에서 사용 중인 e-티칭 포트폴리오 사용 경험이 있는 교수자 10명을 대상으로 e-티칭 포트폴리오 시스템의 화면구성, 상호작용, 내용구성, 기술지원, 교수평가 영역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또한 대학 내에서 e-티칭 포트폴리오의 활성화를 위해 e-티칭 포트폴리오의 기술적 측면과 지원 측면에서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티칭 포트폴리오는 지속적인 교수(teaching) 자극을 통해 수업 실행을 위한 구체적인 노력과 과정을 되돌아 볼 수 있는 체계를 지원하는데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e-티칭 포트폴리오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제작)을 위한 워크숍 등의 프로그램을 별도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e-티칭 포트폴리오 작성 가이드를 제공하여 교수자들이 쉽게 작성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넷째, 티칭 스타일 진단 결과에 따라 추가적인 도움을 요구할 수 있도록 e-티칭 포트폴리오 시스템 내에서 상호작용을 높일 필요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e-티칭 포트폴리오를 교수평가 측면에서 강의 평가 결과와 연동하고 지속적 개선 및 환류를 위해 CQI 보고서 양식을 제공하여 수업 개선에 대한 성찰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plored diffusion methods based on an analysis of professors’ perceptions of e-teaching portfolio. The research analyzed the perceptions of screen composition, interactions, content composition, technical support, and pedagogical evaluation of the system. In addition, in order to activate the e-teaching portfolio, the university derived improvement measures in technical and support aspects of the e-teaching portfolio.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e-teaching portfolio is used as an effective tool to support the system to reflect the specific efforts and processes for class execution through continuous teaching stimulation. Second, to activate the e-teaching portfolio, it is necessary to separately support programs such as workshops for teaching portfolio development. Third, an e-teaching portfolio preparation guide needs to be provided to help faculty write easily and use portfolios. Fourth, there is a need to increase interactions in the e-teaching portfolio system, so additional help may be requir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teaching style diagnosis. Finally, the e-teaching portfolio should be linked to the results of the lectures in terms of teaching evalua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QI report form for continuous improvement and feedback to support reflection on class improvement.

      • KCI등재

        체계적인 교수활동 관리를 위한e-티칭 포트폴리오 시스템의 개발 및 활용 방안

        조용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9

        This study is to design and develop an e-teaching portfolio system that can manage teaching activities systematically and suggest effective utilization plan for university instructors. To this study, we applied Jones and Richey(2000)’s the rapid prototyping methodology. This e-teaching portfolio system was developed by pilot tests of 3 times and conducted user evaluation for the e-teaching portfolio system. The e-teaching portfolio system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can manage the teaching activities of the university instructors integrally. It is linked with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except writing the education philosophy and teaching reflection, And it is loaded self diagnostic tools(teaching philosophy, teaching style and teaching competency). In addition, it is provided teaching method course completion status. User evaluation results were showed 4.48, 4.37 respectively in satisfaction and usefulness, and somewhat improved in aspect of system accessibility, convenience of utilization, compatibility of components. We proposed a plan to reflect on the evalua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 by each component of the e-teaching portfolio in utilization plan of an e-teaching portfolio. 본 연구는 대학 교수자의 교수활동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e-티칭 포트폴리오 시스템을 설계, 개발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e-티칭 포트폴리오 시스템 설계와 개발은 Jones와 Richey가 제안한 래피드 프로토타입 개발 방법론(rapid prototyping methodology)을 적용하였다. e-티칭 포트폴리오 시스템 개발은 총 3차에 걸친 Pilot Test를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최종 개발된 e-티칭 포트폴리오 시스템 사용자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e-티칭 포트폴리오 시스템은 대학 교수자의 교수활동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교육철학 및 교수성찰 작성 외에는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와 연동되어 제공되며, 자가진단도구(교육철학, 티칭스타일, 교수역량)를 탑재하였다. 이와 함께 교수법 이수현황과 강의평가결과를 제공한다. 사용자 평가 결과, 만족도와 유용성 측면에서 각각 4.48, 4.37로 나타났으며, 시스템의 접근성, 시스템 활용의 편의성, e-티칭 포트폴리오 구성요소의 적합성 측면에서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e-티칭 포트폴리오 활용 방안으로는 e-티칭 포트폴리오 구성요소별로 교육업적평가에 반영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대학의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티칭포트폴리오의 개발 사례 연구

        최미나 청주대학교 학술연구소 2010 淸大學術論集 Vol.14 No.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how teaching portfolio is made of, utilized, and has an effect on improvement of teaching competency through case study of teaching portfolio development. The subjects of the case study were 16 professors in C university. I conducted a survey and interviews for fall semester, 2009.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seven items about difficulty of teaching portfolio development, effect of teaching portfolio, and validity of teaching portfolio i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ll items of teaching portfolio were appropriated. Professors felt difficulty in several items such as 'instruction reflection', 'instruction analysis' and 'student analysis'. Teaching portfolio provided opportunity to reflect and improve his/her instruction through objective analysis and self-diagnosis and -reflection. To diffuse teaching portfolio, we should continue a study about teaching portfolio's development and effect.

      • KCI등재후보

        교육포트폴리오 활용에 관한 기초 연구

        신윤호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7 實科敎育硏究 Vol.13 No.1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dentify the teaching portfolios concept, development and to investigate the foreign universities' application of teaching portfolios on their professorship and teaching achievement evaluation. To have rationale for the study, literature review and data collection methodology were hired. The concept of teaching portfolios have been used in many ways of meaning as well as in multiple approach in teaching-learning processes. The selected ten foreign universities have had teaching portfolios on their professorship and teaching achievement evaluation as a way of tenured and or incentives with employment decisions. On the other hand, domestic universities do not have the system yet, or they are launching it to enactive with infusing engineering program. It is proposed that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program, teaching portfolios should be used much more than lecture plan used. Learning portfolios should be developed by learners to coping with the teaching portfolio in all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University professors on the teaching tenure, based on the evidence, should have a philosophy of 'Copernicus's Thinking' on their teaching preparation.

      • KCI등재

        공학교육에서 교수-학습포트폴리오의 개념과 활용방안

        신윤호(Yoon Ho Shinn),이희원(Hee Won Lee) 한국공학교육학회 2008 공학교육연구 Vol.11 No.1

        이 연구에서는 교수포트폴리오와 학습포트폴리오의 개념과 내용을 정의하고 외국대학의 사례를 통해 교수-학습 포트폴리오가 교수의 교육업적평가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조사해 보았다. 여러 문헌과 현장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해 본 결과, 교수-학습 포트폴리오는 교수-학습 활동에서 다양한 각도로 활용되고 있으며 그 개념 또한 다양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10개의 외국 대학에서는 교수의 교육업적 평가요소로 교수-학습 포트폴리오를 채택하고 승진 심사나 성과급 평가에도 활용하고 있었으나 국내 대학에서는 아직 이런 제도를 채택하지 않고 있거나 공학교육인증제의 확산과 더불어 도입하기 시작하는 단계에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교수-학습 과정에서 기존의 강의계획서 개념을 뛰어 넘는 교수자의 교수포트폴리오와 더불어 학습 자에 의해 작성되는 학습포트폴리오가 교육의 질을 높이는 필수 요소임을 파악하고 강조하였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dentify the concept of teaching portfolios, learning portfolios, and its contents and to investigate the foreign universities appli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portfolios on their professorship and teaching achievement evaluation. To have rationale for the study, literature review and data collection methodology were hired. The concept of teaching and learning portfolios have been used in many ways of meaning as well as in multiple approach in teaching-learning processes. The selected ten foreign universities have had teaching and learning portfolios on their professorship and teaching achievement evaluation as a way of promotion and or incentives to employment decisions. On the other hand, domestic universities do not have the system yet, or they are launching it to enact with infusing engineering program. It is also proposed that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program, learning portfolios should be used much more than lecture plan used. Learning portfolios should be developed by learners to coping with the teaching portfolio in all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 KCI등재

        대학 교수자의 교수 전문성 향상을 위한 e-티칭포트폴리오 시스템의 설계 및 개발

        강동희 ( Dong Hee Kang ),최명숙 ( Myoung Sook Choi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수자의 교수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자기 주도적인 수업 개선과 지속적인 성찰을 지원하는 웹 기반의 e-티칭포트폴리오 시스템을 설계?개발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웹 콘텐츠 개발 모형을 기반으로 분석, 설계, 개발, 평가의 단계로 진행하였으며 시스템 개발 단계에서는 래피드 프로토타입 개발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우선적으로 시스템의 핵심 기능을 포함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초기 사용성 평가, 소집단 평가, 현장 평가의 과정을 거치면서 사용자의 요구를 수집하였다. 각 평가 단계별로 수집된 요구는 프로토타입을 개선하는 데 반영하였다. 최종 개발된 시스템은 표준화된 열 개의 구성요소를 제공하는 코스 포트폴리오로서 수업설계 템플릿 제공, 수업 단계별 멀티미디어 자료 연결 기능, 웹 기반 도움말과 사례 제공, e-티칭포트폴리오 공유, 대학의 학사관리시스템과 LMS(학습관리시스템) 연동,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등의 특징을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d develop a web-based e-Teaching Portfolio System supporting university faculty`s self-directed teaching and continuous reflec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ing.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 web contents development model which follow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and evaluation phases. A rapid prototype development methodology was applied in the phase of development. A prototype with key features of the system was developed and then the needs of users were collected through usability test, small group evaluation, and on-site assessment. Information collected in each evaluation step applied to correct errors and improve the functions of prototype system. The final system features as follows: First, the system consists of standardized ten-components. Second, it is a course portfolio for improvement of teaching rather than career portfolio for employment or promotion. Third, it provides an instructional design template to which teaching materials are linked. Fourth, professors can directly transfer course materials from portfolio to Learning Management System. Fifth. a web-based guide and sample are to help faculty understand the e-teaching portfolio and minimize difficulties and confusion over using the system. Sixth, an intuitive interface makes possible to identify at a glance the status of e-teaching portfolio development.

      • KCI등재

        초등교사교육기관에서의 티칭 포트폴리오 모형 개발 연구

        박윤경,김민조,이은주,김동원,김미혜 한국초등교육학회 2017 초등교육연구 Vol.30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develop teaching portfolio models to promote teaching competenc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2)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those teaching portfolio models in the university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In this study, we developed two types of teaching portfolio model; one is for pre-service teachers, and the other is for teacher educators. This study identified the concepts and components of each portfolio model based on literature review, Delphi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 of teacher educators. The components of two teaching portfolio models include teaching philosophy, class design, teaching performance, and reflection on teaching. We applied two teaching portfolio models in actual teacher education courses to figure out the validity of those models, and proposed improvements in the portfolio. Based on this study, we discussed several implications related to utilization and spread of the teaching portfolio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의 수업 역량 강화를 위해 초등교사교육기관에 적합한 티칭 포트폴리오의 모형을 개발하고 그 활용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초등교사교육기관에서의 티칭 포트폴리오의 유형을 예비교사용과 교사교육자용으로 구분하고, 문헌 검토, 전문가 델파이 조사 및 초점 집단 면접을 바탕으로 티칭 포트폴리오의 유형별 개념 및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예비교사용 포트폴리오의 구성 요소는 교육관, 수업 설계 역량, 수업 실행 역량, 수업 성찰 역량으로 이루어졌고, 교사교육자용 포트폴리오의 구성 요소는 교육관, 강의 설계, 강의 실행, 강의 성찰로 이루어져 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티칭 포트폴리오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제 강의에서 시범 적용하여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교사교육을 위한 티칭 포트폴리오의 활용 및 확산을 위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ADDIE 모형에 기반한 티칭포트폴리오 구성요소 개발: K대학 사례

        박선향 ( Seonhyang Park ),윤혜림 ( Haerim Yoo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연구는 K대학에서 매년 실시하고 있는 티칭포트폴리오에 대해, 포트폴리오 작성의 취지와 제 기능에 맞게 고도화를 모색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교수자들의 수업역량 증진 및 수업 질 관리를 위하여 ADDIE 모형에 기반한 티칭포트폴리오 구성요소와 양식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티칭포트폴리오 양식에 대하여 사례조사 및 문헌연구를 병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ADDIE 모형에 기반한 티칭포트폴리오 모형을 만들어 전문가 5인에게 검토를 받아 수정 작업을 거쳤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간단하고, 형식적인 티칭포트폴리오가 아닌, 수업의 질을 제고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티칭포트폴리오의 구성으로 교수자들의 작성이 용이하게 만들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향후 교수설계 모형에 기반한 티칭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사례에 대한 다양한 연구의 기초가 되어 줄 것이다. This study seeks to advance the teaching portfolio created by an K university every year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function of creating the portfolio. To this end, the components and format of the portfolio have been developed based on the ADDIE model to improve the teaching competency of instructors and to manage the quality of teaching. This study contains case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s conducted on the teaching portfolio formats used in universities in South Korea, and based on the study results, a teaching portfolio model based on the ADDIE model has been created, reviewed by five experts, and revis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a teaching portfolio that can actually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compared to the existing simple, perfunctory ones―has been developed, providing a useful reference for instructors to create their own teaching portfolios. This study will also serve as a basis for various studies on the use of teaching portfolios based on instructional design model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