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치원장의 수업지도성과 교사 효능감 및 교사 헌신 간의 구조관계 분석

        고현,김경숙,김지연 한국유아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유치원장의 수업지도성과 교사 효능감 및 교사 헌신 간의 구조관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유치원 교사 258명을 대상으로 연구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수업지도성과 교사 효능감, 수업지도성과 교사 헌신, 그리고 교사 효능감과 교사 헌신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이론적 근거를 통해 확립된 연구모형에 대한 구조관계를 검증한 결과, 수업지도성이 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수업지도성이 교사 헌신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교사 효능감이 교사 헌신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고, 연구모형의 적합도 지수 역시 양호하게 나타났다. 특히 유치원 조직에서 원장의 수업지도성은 교사 헌신에 직접적인 효과와 교사 효능감을 매개로한 간접적인 효과가 부가되어 총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a kindergarten director in terms of the correlation of that leadership to teachers' successful performance of teaching task and the ensuing accomplishments of children, and to teacher commitment to children and to kindergarten organizatio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through mail. Subjects were 258 teachers working at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Gwangju and Jeonnam region.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 were used to analyze the survey data. The results are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es of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the director,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commitment finds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the director and teacher efficacy, between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teacher commitment and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commitment. Second, analyses of the relation of the structuresamong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the director,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commitment reveals an overall fitness index at an acceptable level. The influence of director instructional leadership was strongly shown when coupled with the direct effect of teacher commitment and when the indirect effects for teacher efficacy were used as the medium.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교사의 수업지도성과 학생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관계 분석

        김은주(Eun Ju Kim)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16 지방교육경영 Vol.19 No.1

        본 연구는 울산시 공립 초등학교 6학년 학생 325명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교사의 수업지도성과 학생의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와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교사의 수업지도성에 대한 학생의 인식 수준을 배경변인별로 살펴보았을 때, 교사의 성별과 교육 경력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부장교사 유무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구체적으로 수업지도성의 하위 5개 영역에서 학생들은 여자교사가 남자교사보다 수업지도성이 높은 것으로 인식했으며,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사의 경력에 따른 교사의 수업지도성에 대하여 학생들은 모든 하위 요인에서 경력 10년 이하의 교사들을 경력11년 이상인 교사들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생의 자기결정성 학습동기를 교사의 배경변인별로 비교했을 때 교사의 성별에 대한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관계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성별에 따른 학생의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에서는 여자교사가 남자교사에 비해 확인된조절, 내재적 동기,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전체 영역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 반면 교사의 경력이나 직위는 학생의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에 통계적으로 아무런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사의 수업지도성 전체가 학생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업지도성이 1점 증가하면 학생의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점수가 0.561점이 올라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의 수업지도성의 전반적인 점수가 높아질수록 학생의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점수 또한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교사의 수업 지도성은 학생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하위요인에 개별적으로 영향력을 발휘하지 않지만, 전체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survey was conducted by 325 public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Ulsan, and total 309 surveys were ultimately analyzed. The results of study (through above proces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of cognitive level about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according to gender, teaching experience, but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position(existence of head teacher). In this study, female teacher is higher than male teacher in 5-subfactor fields of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in all fields. Also, according to teaching experience, teachers who have under 10 years teaching experience has higher instructional leadership than teachers having over 11 years experience in all subfactor fields. But, according to teacher`s position,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all subfactor fields. Secondly, in an aspect of student'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o learn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 only gender of teacher can affect learning motivation. In student'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o learn according to gender of teacher, female teachers get higher score than male teachers in fields of identified regulation, intrinsic motivation,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o learn. Thirdly,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student`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o learn. The higher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is, the higher student`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o learn is. To research about the entire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effect on entire student'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o learn,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shown, that as 1 unit of instructional leadership increase brings 0.490 increase in student`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o learn. Therefore, the higher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is the higher the of student`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o learn.

      • KCI등재후보

        교장의 수업지도성, 학교조직문화, 교사의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분석 -중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고운정,이신이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1 문화와예술연구 Vol.17 No.-

        본 연구는 중국 초등학교 구성원들의 교수효과성을 높이는 데 있어서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교장의 수업지도성 현황을 알아보고 더 효율성 있는 학교조직문화를 조성하기 위해서 학교 조직문화 유형에 따라 교사가 지각한 교장의 수업지도성 및 교수효능감 차이와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관계를 규명하 는 데 목적이 있다. 그 실증분석 결과에 의하면 교사의 배경변인(성별, 담당학년, 교직 경력)에 따라 저학년, 교직 경력 20년 이상의 남교사들은 여교사들보다 수업지도성, 학교조직문화, 교수효능감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교장의 직접적인 수업지도성인 수업개선과 수업평가를 잘 할수록 학교조직문화와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혁신문화일수록 교수효능감의 하위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교장의 수업 지도성은 학교조직문화와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학교조직문화 역시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조직문화를 통해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점도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현장의 교수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교장의 수업지도성을 제고하고 유익한 학교조직문화를 형성함으로써 효과적인 학교를 만드는 노력을 필요로 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eachers toward instruc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regarding improvement of instructional effectiveness of members of the school, and examine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and teaching efficacy perceived by teachers according to the type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and the correlation between relevant variables. The results of structural model exhibit that regarding the effects of background variables (gender, grade of the class, experience) of teachers on their perception toward instructional leadership,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teaching efficacy perception of male teachers who have 20 years or longer experience and are in charge of the lower grades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emale teachers. Second, in instruc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more class improvement and evaluation was related to stronger effects on school organization culture and teacher’ teaching efficacy, which are sub-variables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and better innovation culture on teacher’ teaching efficacy. Third, instruc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had direct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and teacher’ teaching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on teacher’ teaching efficacy. Also, a partial mediation model in which instruc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had an indirect effect on teacher’ teaching efficacy via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Based on research findings, efforts were needed to create effective schools by enhancing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and forming a beneficial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in order to maximize the instructional effectiveness are suggested.

      • KCI등재

        학력향상 중점학교의 학력향상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김천기,임순일,최원진 교육종합연구원 2011 교육종합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 analyze the effects of the teachers' social capital, the teachers' efficacy, and principal's Instructional on the academic improvement programs; and to b)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above factors. This study is expected to suggest the ways that promote the effect of the academic improvement programs in schools. The sample used in this study was obtained from 'Survey of Teachers' Opinion on Teaching in the academic improvement schools, conducted by Jeollabukdo office of education in 2010. In this study 859 teachers in the academic improvement schools comprised the sample The statistic method of analysis is Amos 7.0, because the software is suitable for analyzing the factors of the teacher's cognition for the academic improvement program. The results follow:Frist, the cognitions of teachers's academic improvement programs is directly and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Second, the teachers' social capital is directly influenced by the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Thir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ognitions of the teacher's academic improvement and the teachers' social capital are partially mediated by the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principals should support teachers in improving the academic improvement programs. The principals need to allow teachers to exercise their autonomy on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In addition, the teachers need to have the social capital to improve the academic improvement programs. A close rapport among teachers is contributed to improve the academic improvement of students and to teach dynamically in schools.

      • KCI등재

        특수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풍토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특수교사의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검증

        방제철,표윤희 국립특수교육원 2017 특수교육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in the special schools o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mediated by the school climates and teachers' efficacy. This study analyzed the survey data of 370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ile in office located in th Gyeonggi-do,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buk-do using SPSS 18.0 program and Amos 18.0 program.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in special school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directly or indirectly, but the indirect effect was larger than the direct effect. Second, as a result of taking a look at the effect on the mediating variables of school climates and teachers' efficacy,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effect of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in special schools was larger on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en the school climates and teachers' efficacy worked together than when they played a role in the mediating variable independently.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above, this researcher discussed the methods that could be used to improv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이 연구는 특수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풍토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특수교사의 수업전문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 경기도, 경상북도에 소재한 20개 특수학교 723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그 중 392명이 설문에 참여하였고, 그 가운데 불성실한 응답자료 22부를 제외한 총 370부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특수교육 전문가의 검토과정을 거친 다음 특수교사 120명에게 예비설문을 실시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한 후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를 위해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고, 통계분석에는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특수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은 특수교사의 수업전문성에 직·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보이는데, 직접효과보다 간접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풍토와 교사효능감의 매개변인 효과를 살펴 본 결과 학교풍토와 교사효능감이 독립적으로 매개변인의 역할을 할 때보다 함께 작용할 때 특수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특수교사의 수업전문성에 작용하는 효과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특수학교장 수업지도성이 특수교사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학교풍토와 교사효능감이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연구변인 중 특수교사의 수업전문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건전한 학교풍토 조성을 위한 수업지도성 발휘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특수학교장의 수업지도성, 학교풍토, 교사효능감, 수업전문성에 대한 지각과 영향 관계

        방제철(Bang, Jea-cheol),표윤희(Pyo, Yun-hui)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6 특수교육 Vol.15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수업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특수학교장의 수업지도성, 학교풍토, 교사효능감으로 정하여 이들 요인들에 대한 특수교사의 지각이 어떠한지, 그리고 각 요인 간의 영향 관계는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경기도, 대구광역시, 경상북도에 소재한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 370명이고,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20년 이상의 고경력 특수교사들은 저경력 특수교사들에 비해 특수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학교풍토를 높게 지각하였고, 부장교사가 일반교사에 비해 교사효능감을 높게 지각하였으며, 여교사가 남교사에 비해 수업전문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특수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학교풍토, 교사효능감은 특수교사의 수업전문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중 교사효능감이 특수교사의 수업전문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사의 수업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들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cide the related factors affect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as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in special schools, school climates, and teachers" efficacy focused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tion. Furthermore, this study aimed w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was for those factors and what the effect of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were. Method: This study analyzed the survey data of 370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ile in office located in th Gyeonggi-do,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buk-do using the program SPSS 18.0 Results: First, this study discovered that high-care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over 20 years of experience perceived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in special schools and school climates with higher regard than compared with the less experienc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Head teachers perceived teachers" efficacy with higher regard than compared with general teachers. This study has also shown that female teachers perceived teaching professionalism more highly than compared with male teachers. Second, this study has discovered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in special schools and school climates, and that teachers" effica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Among them, teachers" efficacy made the most impact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above, this researcher discussed the methods that could be used to improv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 KCI등재

        체육교사가 인식하는 학교관리자의 수업지도성과 조직분위기 형성과의 관계

        조홍식(HongSikCho) 한국체육학회 2009 한국체육학회지 Vol.48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사가 인식하는 학교관리자의 수업지도성과 조직분위기 형성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에 재직 중인 체육교사 460명을 대상으로 편의표본 추출법(convenient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ar14.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학교관리자들의 수업지도성에 대한 체육교사들의 인식은 전반적으로 그렇게 높거나 긍정적이지 않았다. 특히 학교관리자의 수업지도성 중에서 수업지원 활동과 수업개선 활동에 대한 인식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조직분위기 형성에 대한 체육교사들의 인식 또한 그렇게 높거나 긍정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에서도 조직분위기 형성의 하위요인 중 의사소통 요인과 변화지향성 요인에 대한 인식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학교관리자의 수업지도성은 조직분위기 형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수업지도성의 하위요인들 중 수업평가, 학교비젼, 수업개선 요인은 부분적으로 조직분위기 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as perceived by P.E teachers and the formation of organizational atmosphere. For that purpose, 460 P.E teachers in Kyunggi-do were sampled an example using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Collected data were put to descriptiv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14.0 program.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P.E teachers didn’t show a very high or positive perception of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Their perception level was especially low with activities to support instructions and activities to improve instructions among the subordinate factors of their instructional leadership. Secondly, the subjects didn't have a very high or positive perception of forming an organizational atmosphere, either. Their perception level was particularly low with communication and orientation toward changes among the subordinate factors of formation of organizational atmosphere. And finally, it turned out that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s on the formation of organizational atmosphere. But instruction evaluation, school vision, instruction improve, one of subordinate factors of instructional leadership, didn't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formation of organizational atmosphere.

      • KCI등재후보

        중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학습조직문화, 학교장의 수업리더십, 학교만족도, 수업개선활동 간 구조적 관계

        박효인,장민경,김효선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 2023 휴먼웨어 연구 Vol.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학습조직문화와 학교장의 수업리더십이 학교만족도를 매개하여 수업활동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교육종단연구 6차 패널자료에서 중학교 교사 데이터를 추출하였고, AMOS 24.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교사의 학습조직문화가 활발하고, 학교장의 수업리더십이 강하다고 인식할수록 학교만족도는 향상되며, 학교만족도가 높을수록 수업개선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교만족도는 학습조직문화와 수업개선활동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교장의 수업리더십과 수업개선활동 간 관계에서 학교만족도는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수업개선활동을 촉진시킬 수 있는 방안과 후속연구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principals’instructional leadership, school satisfaction teachers percieved culture, and the participation of instructional school effectiveness. To pursue it, we used the panel data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cept and slope of principals’ leadership, teachers’ culture, and school effectiveness through the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teachers’ learn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 influenced school satisfaction, and also the school satisfaction improve positively the teachers’ participation of instructional improvement activities in the middle school in Seoul. Second, the schoo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mediator between school teachers perceived and their participation in instructional improvement activities. Third, the school satisfaction was also a mediator between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 and the activities of instructional improvement.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several implications for practical interventions and future limitation were outlined.

      • KCI등재

        초등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창의적 수업지도성과 창의성과의 관계에서 수업만족도의 매개효과

        소연희 ( Yeon Hee So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2 아동교육 Vol.21 No.3

        이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생 257명을 대상으로 초등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창의적 수업지도성, 수업만족도와 창의성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수업만족도와 창의성에 대한 지각된 교사의 창의적 수업지도성의 각 하위변인들의 영향정도를 알아보았다. 또한 구조방정식 분석을 활용하여 수업만족도가 지각된 교사의 창의적 수업지도성과 창의성을 매개하는지에 관해서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지각된 교사의 창의적 수업지도성의 하위변인들 중 정의적 요인이 인지적 요인보다도 창의성과 수업만족도와 높은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도 창의성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정의적 요인들 중에서도 내재동기와 독창성의 영향정도가 높았다. 둘째, 연구모형의 적절성을 분석한 결과 지각된 교사의 창의적 수업지도성은 직접적으로 창의성에 미치는 동시에 수업만족도를 매개로도 간접적으로 창의성에 영향을 준 모형이 최종모형을 설정되었다. 셋째,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효과를 분석한 결과, 지각된 교사의 창의적 수업지도성의 총효과와 직접적인 효과가 수업만족도 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기초로 하여 실제 수업장면에서 학습자들의 창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창의적 수업지도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correlations among learners` perception on teachers` creative instructional leadership, course satisfaction, and creativity, to examine predictors of perceived creative instructional leadership on course satisfaction, and creativity,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input-procedure-output framework in two independent variables and creativity. The participants were 257 sixth graders(136 girls and 121 boys). I conducte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to resolve the research questions. The findings showed that affective factor of perceived teachers` creative instructional leadership correlated highly with course satisfaction and creativity. For course satisfaction and creativity, intrinsic motivation and originality were the best predictors. Furthermore, perceived creative instructional leadership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creativity mediated by course satisfaction. Perceived creative instructional leadership displayed the highest direct and total effect on creativity. These findings suggested to make effectively creative instructional methods for improving course satisfaction and creativity at o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성인영어학습자의 영어교사효능감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신승원 한국성인교육학회 2012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adult English educators' instructional leadership, adult English learners' English self-concept, self-leadership, and English teacher efficacy. The sample(N=634) was drawn from 17 EFL teacher training programs of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indings from SEM demonstrated the existence of a positive relationship of instructional leadership, English self-concept, and self-leadership with English teacher efficacy. In particular, instructional leadership had the most influential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self-leadership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mediating variable. Although English self-concep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is study, English self-concept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for self-leadership and English teacher efficacy. With research indicating that English self-concept has affected self-leadership and English teacher efficacy directly, it may be inferred that enhancing English self-concept would be still an effective way to boost adult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영어교수자의 교수리더십, 성인영어학습자의 영어자아개념, 셀프리더십, 영어교사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평생교육원 영어교사양성 과정 중 17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634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모델을 통계적으로 검정하기 위한 주된 분석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이 활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리더십은 영어교사효능감에 직간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영어학습자의 셀프리더십은 교수리더십과 영어자아개념의 매개변인으로 그 영향력이 검증되었다. 셋째, 영어자아개념은 영어교사효능감에 직간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영어자아개념은 셀프리더십에 직접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과적으로 영어교사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교수리더십과 영어자아개념은 영어교사효능감에 영향력 있는 변인임이 실증되었는데, 이를 통해 안드라고지에 기초한 성인교수자의 교수리더십과 영어교사를 희망하는 성인학습자의 긍정적 자기인식이 교사효능감과 연관된 주요 변인임이 입증되었다. 이는 배움, 성장, 변화를 위한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성 및 동기의 중요성을 확인한 의미 있는 결과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