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쓰기 윤리에 대한 경험과 인식

        서수현 ( Soo Hyun Seo ),정혜승 ( Hye Seung Chung ) 한국작문학회 2013 작문연구 Vol.0 No.18

        이 연구는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쓰기 윤리와 관련된 인식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찾아내고, 교육적 제언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계와 정치계를 막론하고 사회 전 영역에 걸쳐 표절이 문제가 되어, 쓰기 윤리와 관련된 교육적 담론이 활성화, 구체화되는 시점에서 초등 예비 교사인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쓰기 윤리 실태를 파악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의 5개 교육대학교 1학년~3학년 588명 학생들에게 쓰기 윤리에 대한 인식을 묻는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쓰기 윤리 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학습 경험은 거의 전무하며, 학생들은 쓰기 윤리를 표절하지 않고 올바른 인용 방법을 사용하여 글을 쓰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절에 대한 인식을 하고 있음에도 학생들은 쓰기 윤리를 준수하는 것에는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과제 파악의 어려움, 글을 쓰기 위한 자료 찾기의 문제, 전공 지식 부족과 같은 원인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교육대학교 학생들은 대체로 자신은 쓰기 윤리를 고려하면서 글을 쓰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이에 비해 자신의 쓰기 윤리 실천 수준은 낮은 편이라고 평가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쓰기 윤리 인식이나 실천수준이 높지 않음을 시사한다.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쓰기 윤리는 그들이 미래의 우리나라 초등 교육을 담당할 예비 교사라는 점에서 더욱 엄격한수준에서 요구될 필요가 있다.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쓰기 윤리 교육을 위하여 쓰기 윤리를 위반하지 않게 하는 행동의 목록을 구성하고 이를 지도하는 명시적인 교육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 쓰기 윤리를 교육하는 것과 함께 과제 구성 등의 측면에서 교수자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 학생들의 쓰기에 대하여 쓰기 윤리 측면에서 보다 적극적인 피드백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 필자로서의 쓰기 윤리와 쓰기 지도 교사로의 쓰기 윤리두 가지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는 교육대학교 학생을 위한 맞춤식 쓰기윤리 지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students in teachers colleges related to writing ethics, discover any issues, and make pedagogical suggestions. It is meaningful to determine the status of writing ethics of students in teachers Colleges who are pre-service teachers for elementary schools, at this time of active development of pedagogical discourse related to writing ethics as plagiarism becomes a problem throughout society, let alone academia and politic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 purpose, we conducted a survey that asked 588 students between freshmen and juniors in five teachers colleges in Korea in relation to perception of writing ethics.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little systematic education on writing ethics among students in teachers colleges, and the students think writing ethics means writing by using correct quoting methods without plagiarizing. Despite having perception of plagiarism, students were found to have difficulty in complying with writing ethics, due to the reasons including the difficulty with understanding the assignment, the problem with finding materials for writing, and the lack of knowledge in their majors. In addition, teachers college students thought they were mostly writing with the consideration of writing ethics, but, in contrast, evaluated the level of their practice of writing ethics was low.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erception and practice of writing ethics of students in teachers colleges are not high. More stringent requirements are needed for writing ethics of students in teachers colleges in that they are pre-service teachers to be responsible for the future of our country`s elementary school education. For education in writing ethics for students in teachers colleges, we propose the following: (1) to prepare a list of behaviors to avoid violating writing ethics and providing explicit education of them, (2) instructors` efforts in terms of creating assignment for as well as teaching writing ethics, (3) to provide more active feedback on students` writing on the aspects of writing ethics, and (4)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 to teach writing ethics that is tailored for students in teachers colleges in the aspects of writing ethics both as a writer and as a writing teacher.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 대학 진학지도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및 요구

        김동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4 지적장애연구 Vol.26 No.1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학생의 고등교육을 활성화하고자 발달장애학생 대학 진학지도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 및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설문지를 개발하였고, 온라인 방식을 통해 특수교사 1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결과는 빈도분석과 t-test,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발달장애학생의 고등교육 및 대학 진학 준비, 별도의 대학 진학 지원 프로그램과 가족 지원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보통 이상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달장애학생의 대학 진학지도 관련하여 학교, 교육청에서의 지원 정도, 특수교사에게 지원되는 정도에 대한 응답은 대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셋째, 발달장애학생에게 대학 진학이 필요한 이유로 ‘적성에 따른 역량 개발’과 ‘일상생활 자립 등 독립성 강화’가 높게 나타났고, 대학 진학 결정에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장애유형 및 정도’가 가장 높았다. 발달장애학생이 대학 진학 준비 시 어려운 점으로는 ‘대학(학과) 종류 및 수가 많지 않아 선택이 어려움’이 가장 높았다. 넷째, 발달장애학생의 대학 진학 준비하는 적절한 시기는 ‘고1’, 담당자는 ‘특수교사’, ‘진로상담교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발달장애학생의 대학 진학지도 지원방법으로 ‘교육청 단위의 컨설팅’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지원 담당기관으로는 ‘지역특수교육지원센터(교육청)’가 가장 높았다. 마지막으로 발달장애학생의 대학 진학지도를 위해 필요한 지원 사항으로 ‘법령 개정 등 제도적 정비’가 가장 높았다. 발달장애학생의 대학 진학을 위한 지원을 체계적으로 실시하기 위해 대학 진학지도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요구에 기초하여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deman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college guidance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order to enhance the higher education opportunities for these students. To achieve thi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referencing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a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135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participants. The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t-tests, cross-tabu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first, a high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for higher education and college preparation support, as well as the need for specialized college guidance programs and family support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the level of support provided by schools, educational authoritie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relation to college guidance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generally perceived as subpar. Third, the reasons cited for the importance of colleg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cluded "competency development based on aptitude" and "enhancing independence in daily life," with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college enrollment decisions being "type and severity of disability." The most commonly reported challenge in college preparation for these students was the limited variety of available colleges and programs. Fourth, the appropriate timing for college guidance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perceived as "High School Students Grade 1,"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career counselors" as the preferred individuals responsible for providing guidance. Fifth, the most preferred method of college guidance support was "consultation at the educational authority level," with the most preferred supporting agency being the "Region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under the educational authority)." Lastly, for effective college guidance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legal amendments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were identified as the most crucial areas of support needed. To systematically implement support for the college enrollment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based on the perceptions and deman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college guidance.

      • KCI등재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설계 방향 탐색 연구

        최화숙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0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교육목적, 목표, 비전 및 교육과정 현황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초등교원 양성대학의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설계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우리나라 초등교원 양성대학 10개를 대상으로 교육목적, 목표, 비전 및 교육과정 현황을 분석한 후, 워드클라우드 분석 방법으로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키워드와 문헌 고찰 결과를 종합하여 초등교원양성대학의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설계 방향을 도출하였다. 결과 연구 과정을 통해 도출된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설계 방향은 다음과 같다. ①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교육과정 문서 체제 재정립, ② 핵심역량 기반의 초등교원 양성대학 교육과정 설계, ③ 초등교원 양성대학 교육과정 개발 주체로서의 학습자 참여, ④ 초등교원 양성대학 교육과정 본연의 가치와 특수성 간 균형 설계 등이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설계 방향은 시대적인 변화와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본질적 가치를 동시에 포함할 수 있는 총체적인 방향이 되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 또한, 본 연구는 초등교원이 직면한 문제 상황에 대한방향성을 제시해 주었고,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교육과정 개발 방향과 설계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해 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educational purpose, goal, vision, and current status of the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based on this, to explore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design direc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researcher analyzed the educational purpose, goal, vision and curriculum status of 10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s in Korea, literature review, and then extracted keywords using the word cloud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extracted keywords and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design direc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was derived. Results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design direc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explored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is as follows. ① re-establishment of curriculum document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raining college, ②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design based on core competency, ③ learner participation as the main body of curriculum development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raining college, ④ the intrinsic value and specific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balance design Conclusions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design direc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should be a holistic direction that can simultaneously include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the essential value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a direction for the problem situation fa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rovided a theoretical basis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design of the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 KCI등재

        사범대생들의 진로변화 과정에 관한 연구

        유기웅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2 敎員敎育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understand college preservice teachers'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es. Specifically, the qualitative study seeks to highlight how and why preservice teachers who attend teachers colleges or college of education withdraw from teaching as a career.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college students who have had prepared for the national examination for prospective teachers and have recently given up being a public school teacher. There were four primary categories of findings: (a) motivation for teachers' college or college of education enrollment, (b) facing harsh reality, (c) anxiety and isolation, and (d) exploring alternative career opportun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사범대생들의 진로변화 과정에 대해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범대학에 재학 중이며 교생실습을 마친 4학년으로서 진로변화 과정을 경험하고 있는 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참여 학생들이 교직 포기 후 진로변화를 겪는 과정과 원인으로 ‘사범대 진학동기’, ‘현실 직시’, ‘불안감 및 고립감’, ‘대안적 진로 탐색’ 등의 범주를 발견하였고, 각 범주에 대해 하위범주, 개념 등을 발견하여 각각의 범주와 개념이 지니고 있는 의미를 이해하고 해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사범대생들의 진로변화라는 것은 단순히 학생 개인적 차원에서의 취업준비 활동 측면에 중점을 두어 파악하기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신을 재발견하는 기회를 갖게 된다는 점에서 보다 중요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음악교사 양성 기관의 국악교육과정 변화

        변미혜(Byun, Mi-Hye) 한국국악교육학회 2014 국악교육 Vol.38 No.38

        음악교사는 일반적으로 중·고등학교 음악교사의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된 사범대학의 음악교육과를 통해 배출되며, 일반 음악대학에서는 교직 이수를 하거나 교육대학원을 졸업하여 교사가 되기도 한다. 즉 사범대학의 음악교육과는 음악교사 배출의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 학과의 주요한 역할은 중·고등학교의 음악교육의 질을 책임지고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역량 있는 음악교사들을 배출하는데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음악교사에게 필요한 교육적 역량 및 자질은 국가교육과정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고, 국가교육과정은 시대적·사회적 변화와 요구 등 다양한 변인에 의해 개정됨에 따라 교사 양성 기관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교사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한국교원대학교 음악교육과의 국악교육과정을 통해 교사 양성기관에 요구되는 음악교사의 자질과 역량을 살펴본 결과 한국교원대학교 음악교육과의 교육과정은 개정된 국가교육과정의 변화를 받아들이는 데 소극적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음악교사의 자질과 요건에 대한 시대적·교육적 요구의 변화에 따라 음악교사 양성기관의 교육내용 및 교육과정도 변화될 것을 기대하였지만, 여전히 국악과 양악 과목이 불균형적으로 편성·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다수의 양악 관련 과목들이 개설된 가운데 국악 관련 과목들이 몇 개 추가된 정도에 지나지 않았으며, 현재의 음악교사 양성기관의 교육과정으로는 우리의 음악문화를 자신 있게 지도할 수 있는 자질과 역량을 지닌 음악 교사를 양성하기에는 미흡하다고 본다. 중등음악교사는 변화하는 시대적·사회적 변화에 따른 음악교사의 자격기준을 함양함으로써 학교 음악교육의 발전에 이바지 하는 역할과 의무를 다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가능케 하는 것은 교원양성대학의 교육과정에 있다. 앞으로 바람직한 음악교사 교사를 양성하기위해서는 교과교육학 및 교과내용학의 영역별 균형 있는 과목 개설이 요구된다. 또한 교과의 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록 총 이수학점과 기본이수학점의 충분한 확보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음악교사 양성 대학의 국악 교수진의 확보가 시급하며 이를 뒷받침을 할 수 있는 교육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음악교사를 양성하는 대학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수용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국가교육과정을 선도하고, 미래의 한국음악교육의 비전을 제시해 나갈 수 있도록 그 역할을 다 해야 할 것이다. Music teachers are usually educated in music education department of teachers’ training college. Also, they can be trained by completing a course in teacher education of music college, or finish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us, since music education department of teachers’ training college occupies a large part of producing music teachers, its curriculum aims to educate competent music teachers to responsibly accomplish the quality of music education in the secondary schools. Moreover, the educational capacity and qualification which are demanded of music teachers are related wi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revised by period?social change and requirement causes the reorganization of teachers’ training college. This study identified the capacity and qualification of music teachers educated by teachers’ training courses through examining the curriculum of the music education department i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hich is charge of training teachers. From the result, this study recognized that the curriculum had been passive to absorb the Revised National Music Curriculum. Especially, although it was expected that the capacity and qualification of music teachers has been changed by the period?social change and requirement, the curriculum of the music education department of the university was still disproportionately organized in the courses of Korean music and western music. The courses of the department were occupied with most of western music courses and just added by some of Korean music courses. Through this curriculum, it may be impossible that the music teachers which can instruct Korean music and culture can be trained. The curriculum of music teachers’ training college should contribute to educate music teachers to obtain the requirement and qualification by period?social change. For this reason, the curriculum to be well-trained music teachers should be balanced on both music courses and music education courses. Furthermore, it should be required to enough fulfill the total course credits and compulsory credits in order to be fully qualified the expertise of music subject. Lastly, readily provided this curriculum in music teachers’ training college, it will be required with the education policy to obtain enough the professors specialized in Korean music. Conclusively, music teachers’ training college should accept the change of the National Music Curriculum as well as lead the music curriculum and present the future vision of Korean music education.

      • KCI등재

        중국 사범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최가혜,유평수,구은미 교육종합연구원 2023 교육종합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중국 사범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사범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대학 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중국 사범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 대상은 중국 하북지역에 있는 한단대학, 싱타이대학, 석가장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1~4학년 사범대학생 56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그중 517명의 설문을 연구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첫째, 측정변인들의 구조적 관계에서 중국 사범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과 자기효능감은 사회적 지지에 직접적으로 의미 있는 효과가 있으며, 사회적 지지는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대인관계능력과 자기효능감은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의미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중국 사범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따라서 대학생활에 적응함에 있어 다양한 사회적 지지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대학교 차원에서 마련하여 이를 지속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and self-efficacy of Chinese teachers' college students on college life adaptation. The research questions set up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skills,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college life adaptation of Chinese college students? Second,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and self-efficacy of Chinese college of education students on college life adapt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60 first- to fourth-grade teachers' college students attending three universities in northwestern China, and 517 of them were used for the study.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measurement variables, Chinese teachers'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skills and self-efficacy have a direct meaningful effect on social support, and social suppor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adapting to college life. In addition, interpersonal skills and self-efficacy have a direct meaningful effect on adapting to college life.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 in the impa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and self-efficacy of Chinese teachers' college students on college life adapt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to establish various social support systems in adapting to college life at the university level and continue to operate them.

      • KCI등재

        Influence of differential leadership on teachers' professional ethics: an empirical study from Chinese universities

        Zhu, Yong-yue,Guo, Min-yu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Vol.22 No.3

        In Chinese society, the teachers’ professional ethics have been considered important since ancient times and have been widely discussed.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mechanism of the infuence of diferential leadership with local cultural adapt‑ ability on college teachers’ professional ethics. A total of 403 valid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a questionnaire survey of university teachers in many regions of China, and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sed by SPSS17.0 and AMOS22.0. The results showed that diferential leadership positively infuences college teachers’ professional ethics, and college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diferential leadership and teachers’ professional ethics. The efect of diferential leadership on college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and professional ethics is negatively moderated by the tendency towards collectivism, and it seems to be contrary to the national culture of Chinese, which is high in collectivism, but consistent with the strong will of college teachers and the current workplace characteristics embodied in the sample investigated.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can provide theoretical guidance for the construction of teachers’ professional ethics in relevant governments and college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 적응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인숙(In Sook Choi),박유미(You Mi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7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대학생활 적응과 교사 효능감의 수준과 관계를 분석하고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와 충청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3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유아교사 39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 된 연구도구는 사회적지지 척도, 대학생활 적응 척도, 교사효능감 척도(STEBI)를 예비유아교사에게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 교사효능감은 모두 3점 이상으로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 교사효능감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support and adaptability to college life on teacher’s efficacy. The study subjects were 394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instruments were Social Support Scale, Adaptability to College Life Scale and Teacher Efficacy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program.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used to determine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pre-service teachers. To examine social support, adaptability to college life and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adaptability to college life and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s and relative explanation of esocial support, adaptability to college life and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rom the study result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higher social support, adaptability to college life and teacher efficacy rates than average.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social support, adaptability to college life and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rd,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influenced by their social support, and adaptability to college life.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a teacher efficacy improvement program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provided for ensuring their social support. The studyresults also emphasize the necessity of social support and adaptability to college life improvement program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대학입시에 대한 교사가치관 인식에 관한 연구: 공립학교, 종립학교, 대안학교의 비교연구

        황병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7 기독교교육논총 Vol.5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college entrance among public, religious, and alternative schools. This research examines 348 high school teachers’ values of college entrances in South Korea. As a result, this research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public schools, religious schools, and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This research found that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focused on vocational purposes more than public and religious schools. While teachers in public schools showed more interest in ‘college reputation’ and ‘college for employment’ as a guide for college choice, teachers in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presented more importance in students’ ‘potentiality and talents applied to their major in college’. Regarding educational purposes, teachers in both Christian alternative and religious schools emphasized ‘raising virtuous humans’ and ‘cultivating men of talents for the nation’. While public school teachers displayed ‘college graduate’, ‘economic power’, and ‘parents’ background’ as successful priorities, Christian alternative and religious school teachers showed more concern for ‘value of world viewpoint’ and ‘religious viewpoint’ as successful priorities. Whereas public and religious schools emphasized ‘college entrance ratios’,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teachers showed ‘educational perception and world viewpoints’ as their values for students’ entering college.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teachers focused on ‘personal vocation findings’, and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school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any types of schools in terms of ‘superiority’, ‘professionality’, ‘contribution to nation’, and ‘self-achievement’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However,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teachers concentrated on bringing up students as truly faithful and professional Christians.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학입시 과열경쟁 상황에서 교사들의 대학입시에 대한 가치관 인식을 탐색하고, 이를 공립학교, 종립학교, 기독교 대안학교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청, 경남, 전라, 강원, 제주지역에 위치한 고등학교 교사 348(남 184명, 여 16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대학입시에 고려하는 요인은 공립학교와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 간에 통계학적인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공립학교 교사들은 대학지명도 및 취업가능학교를 입시지도 고려요인으로 생각하는 반면, 대안학교 교사들은 재능 및 은사에 맞는 학과를 입시지도 고려요인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이 대학입시에 고려해야하는 요인에서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은 공립학교 및 종립학교 교사들과는 다르게 학생들이 개인의 소명 발견을 위해 입시를 준비하도록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가 대학입시에 고려해야하는 요인에서 대안학교 교사들은 ‘재능 및 은사 관점의 진로선택’과 ‘기독교세계관에 입각한 입시지도’ 그리고 ‘하나님나라 관점의 진로지도’에서 공립학교와 종립학교 교사들과 비교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학교가 제공하는 교사 입시교육에 대해서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은 ‘기독교세계관 준비방법’에 있어서 공립학교와 종립학교들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교육목적에 있어서 기독교대안학교와 종립학교 교사들은 ‘기독전문인양성’에서 공립학교 교사들과 차이가 있었다. 여섯째, 출세와 성공에 대해서 공립학교 교사들은 돈, 부모, 학벌 순으로 그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종립학교와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은 가치관(세계관), 부모, 돈, 학벌 순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교사들의 만족도는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이 공립학교와 종립학교 교사들의 만족도 보다 높고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입시에 대한 교사가치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예비교사교육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수석교사의 의견을 중심으로

        이남주,백성혜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0 敎育問題硏究 Vol.33 No.2

        본 연구는 예비교사(사범대학생)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117명의 수석교사들이 퍼실리테이션 기법을 활용한 토의활동을 통해 사범대학생 선발 기준 개선, 사범대학 교육과정 개선, 교육실습생 체계개선, 임용고사 체제개선이라는 4개의 ‘핵심문제’와 이에 따른 15개의 ‘토의문제’를 도출하고, 문제해결 방안을 찾아보았다. 그리고 연구에 참여한 수석교사 중 21명을 선발하여 온라인 설문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추가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음의 4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사범대학에서 학생을 선발할 때 교직적성이 잘 반영되고 창의적 사고와 융합적 사고능력을 갖춘 인재를 선발하기 위한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미래 사회 변화에 잘 대비할 수 있으며, 현장의 다양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교사로서의 인성을 충분히 함양할 수 있는 방향으로 사범대학의 교육과정이 개선되어야 한다. 셋째, 우수 교원 중심의 교사 협의체 속에서 함께 성장할 수 있는 형태로 교육실습체계가 개선되어야 한다. 넷째, 교사 선발 과정에서 인턴제도 경력과 학교 도우미 활동 참여 여부 등에 따른 가산점을 부여하여 실질적인 학생 지도 역량을 갖춘 교사를 선발해야 한다. 이러한 예비교사교육의 개선 방안을 반영한다면 사범대학 교육과정이 교육현장과 괴리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수업, 생활지도, 교직실습 등의 영역에서 전문성을 갖춘 교사를 양성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looked into problems in pre-service teacher(teachers’colleges students) education. To improve them, 117 advanced skills teachers drew four(4) ‘essential issues’and related 15 ‘discussion items’through discussion using facilitation skill _ Four essential issues are improvement of selection standards for teachers’colleges students, improvement of educational curriculum in teachers’colleges, improvement of system for student teachers, and improvement of system for employment examination. Finally, they tried to find solutions for the issues. And additional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lphi method with on-line questionnaire. To this end, 21 teachers among advanced skills teachers who attended this research were selected. As the study results, 4(four) conclusions were found as follows. First, When teachers’colleges select students, they should prepare standards to select qualified students with creative and fusion based thinking. And the standards should reflect aptitude needed in a teacher. Second, Educational curriculum in teachers’colleges should be improved towards direction to cultivate personality as a teacher who can address social change in the future and can adapt to various environment at the educational field. Third, Teaching practicum system should be improved in the form where student teachers can grow in the midst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mainly composed of excellent teachers together. Fourth, In the selecting process of teachers, teachers with capacity to instruct student well should be selected, providing extra points for career of intern, school helper activity etc. Th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would contribute to solving the problem that educational curriculum in teachers’colleges has gap with educational site. And this could bring cultivation of professional teachers in classroom lecture, school life guidance, teaching practicum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