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초임교사들이 인식한 수업전문성 개발의 저해요인 탐색

        고재천(Ko Jae Ch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2

        이 연구는 초등학교 초임교사들이 인식한 수업전문성 개발의 저해요인이 무엇인 지 탐색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초등학교 초임교사들이 지각하는 수업전 문성 개발의 저해요인에 대한 개념적 구조와 중요도는 어떠한가 이다. 이를 위해 광 주와 전남 지역의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초임교사 19명을 대상으로 개념도 연구방법 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초임교사들은 수업전문성 개발의 저해요인을 수업과 학교의 2차원으로 인식하고 있 었다. 둘째, 초등학교 초임교사들이 인식한 수업전문성 개발의 저해요인은 수업 관 련 정책 및 제도의 미흡, 학교행정가의 수업 지도성 부족, 수업 연구 및 협의 활동의 저조, 수업에 대한 교사의 관심과 의지 부족, 학교의 수업 개선 체제 미흡, 수업 환 경 및 여건의 열악, 수업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부족의 7개의 군집으로 나타났다. 셋 째, 초등학교 초임교사들이 인식한 수업전문성 개발 저해 요인의 군집별 중요도 차 이는 크지 않았으나, 수업 외적 요인들이 높게 나타난 반면 학교 외부 요인들은 상 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초임교사들 이 인식한 수업전문성 개발의 저해요인은 수업 차원과 학교 차원에서 다양한 요인 들이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초임교사들이 인식한 수업전문 성 개발의 중요한 저해 요인은 바로 수업 외적 요인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결 국 이 연구는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인식한 수업전문성 개발의 저해요인에 대한 개 념적 구조를 밝혀 줌으로써 수업전문성 개발 관련 이론의 정립과 이와 관련된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elementary school beginning teachers perceived factors inhibiting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development by using concept mapping methods. 19 elementary school beginning teachers were interviewed. And through the process of synthesizing and editing items, the items were reduced to 46 final statements.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luster analysis were employed to estimate dimensions and clusters in the previous extracted final stat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revealed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beginning teachers perceived by two dimensions of instruction and school. Second, the impeding factors that elementary school beginning teachers perceived to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instruction were seven clusters of ‘inadequate policies and systems related to instructions’, ‘school administrators’ low instructional leadership’, ‘insufficient activities in research and consultation for instructions’, ‘lack of teachers’ commitment and interest in instructions’, ‘inadequate systems for school instruction improvement’, ‘poor classroom environments and conditions’, ‘lack of parents’ awareness about the lessons’. And lastly,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between the degrees of importance that elementary school beginning teachers perceived to the clusters of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development; but the external factors of instructions were highly evaluated and the outsider factors of school were evaluated relatively low.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dentified that elementary school beginning teachers’ perceived factors inhibit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instruction were associated with a variety of factors by the two dimensions of instruction and school. Second, this study suggested that elementary school beginning teachers were importantly aware of the external factors of instructions among the impeding factors.

      • KCI등재

        국어교사 쓰기 지도 효능감의 구성 요인과 경력 및 성별에 따른 수준 차이 분석

        박종임,박영민 한국국어교육학회 2013 새국어교육 Vol.0 No.94

        이 연구는 국어교사들의 쓰기 지도 효능감을 탐색하여 구성 요인을 분석하고, 국어교사들의 쓰기 지도 효능감 요인의 수준이 경력별, 성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쓰기 지도 효능감의 구성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서 먼저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이를 통해서 적절하지 않은 문항을 삭제하였다. 다음으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국어교사의 쓰기 지도 효능감의 구성 요인은 ‘능력 기대 효능감’과 ‘결과 기대 효능감’의 두 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 후에는 요인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서 MANOVA 분석을 수행하였는데, 쓰기 지도 효능감의 하위 요인들이 교직경력과 성별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교직경력은 두 개 하위 요인 모두에 영향을 미쳤는데, 교직경력이 높을수록 쓰기 지도 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달리 성별은 ‘능력 기대 효능감’에만 영향을 미쳤는데 여교사보다 남교사에서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factors of teacher efficacy in writing instruction and then to analysis with relevant variance by education experience and gender.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ANOVA were used for data analysis. Questionnaires and surveys were conducted from 692 Korean language teachers for this research, they located national wide. The findings of data analysis showed that:1) The teacher efficacy in writing instruction consist of following two factors, ‘competence expectancy 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efficacy’ in writing instruction. 2) Teacher efficacy in writing instruction have difference through education experience and gender. More experienced teachers have more higher level of the efficacy. It occur all construct that are ‘competence expectancy 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efficacy’. And male teachers have more higher level in the ‘competence expectancy efficacy’ in writing instruction. These findings showed that the education experience and gender are main factors affecting to teacher efficacy in writing instruction. Lastly, instructional implications for the teacher education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교사의 교수효과성 제고를 위한 학생이해 요인 분석

        장진희 ( Jin Hee Jang ),이정표 ( Jung Pyo Lee ),정지선 ( Jin Sun Jung ),권동택 ( Dong Taik Kwo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교수효과성 제고를 위한 학생이해 요인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하여「초등학교 교사의 교수효과성 제고를 위한 학생이해 검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검사를 초등학교 교사 270명에게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초등학교 교사의 교수효과성 제고를 위한 학생이해 요인으로 학습태도 요인, 개인별 학습 양식 및 요구 요인, 교사-학생 관계 요인, 정보처리능력 요인, 학급 풍토 요인, 신체 능력과 자존감 요인, 학습시 또래 관계 요인의 7개 요인이 초등학교 교사의 학생 이해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 자신이 교수효과와 관련된 학생의 제 영역을 얼마나 알고 있는지 파악하는데 도움을 줌으로써, 교사의 교수 향상에 촉진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이 연구 결과는 향후 교수효과와 학생이해 연구 등에 도움을 주는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factor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s for the enhancement of instructional effectiveness.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a surve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s for the enhancement of instructional effectiveness based on sub-elements inquir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s. The results were based on 270 elementary teachers` responses from which a factor analysis was done. The results for the factor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s for the enhancement of instructional effectiveness as follows : Seven factors were identified: learning attitudes, learning styles and needs of individuals,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ies, classroom climate, physical competence and physical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in learning. This study is useful to help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 of students for the enhancement of instructional effectivenes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is for a study of instructional effectiveness and understanding of students.

      • KCI등재후보

        유아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과 좋은 수업의 방해요인 및 요구도 간의 관계

        김지영,윤진주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9 복지상담교육연구 Vol.8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a good instruction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barrier factors to a good instruction, and their needs for the implementation of a good instruction and test relations between the factors. The subjects include 179 early childhood teachers at kindergartens around the Jeolla Provinc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high perceptions of a good instruction and placed the biggest importance on “young children’s reactions to an instruction.” The test results of differences show that the teachers with a career of ten years or longer had a higher perception level of a good instruction than those with a career of seven to nine years. Seco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little difficulty with providing a good instruction. The test results of differences reveal that those who graduated from a community college had more difficulties than those who graduated from a university. The teachers with a career of seven to nine years said that there were more barrier factors than those with a career of four to six years. The test results of differences indicate that they had greater needs for a good instruction according to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longer career, and older age. And finally, their perceptions of a good instruction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barrier factors to a good instruction and positive ones with their needs for a good instruction.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과 좋은 수업 방해 요인 및 좋은 수업 수행에 필요한 요구도를 조사하고, 요인들 간의 관계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도에 소재한 유치원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79명이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구목적에 적절하게 수정⋅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은 높은 편이며, ‘수업에 대한 유아의 반응’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차이 검증한 결과, 10년 이상의 경력교사가 7∼9년의 경력교사보다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았다. 둘째, 유아교사는 좋은 수업을 실행하는데 약간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하위요인별로는 수업내용, 수업방법, 수업분위기 순으로 나타났다. 차이 검증한 결과, 전문대 졸업 교사가 4년제 졸업 교사보다 어려움을 나타냈으며, 7∼9년의 경력교사가 4∼6년의 경력교사보다 방해 요인이 많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유아교사의 좋은 수업 실행을 위한 요구도는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로는 교사교육, 행‧재정적 지원, 환경적 지원의 순으로 나타났다. 차이 검증한 결과, 교사의 학력, 경력, 연령이 높을수록 좋은 수업을 위한 요구도가 높았다. 셋째, 유아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은 좋은 수업 방해요인 간에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고, 좋은 수업을 위한 요구도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 KCI등재

        수업컨설팅 경험을 통한 중학교 체육교사의 전문성 요소 탐색

        권민정(Min Jung Kwon),김경숙(Kyung Sook Kim)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1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8 No.4

        최근 학교 현장에서는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수업컨설팅이 주목받고 있다. 참여 교사 간 수평적 관계를 기본 원리로 강조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수업 장학과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변화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교육 현실에서 수업컨설팅은 변화된 교사 전문성 향상 방법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교 체육교사의 수업컨설팅 경험을 토대로 체육교사의 전문성 요소를 탐색하고 체육교육 현장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참여자로 서울·경기도 지역 소재의 중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체육교사를 컨설턴트와 컨설턴티로 구분하여 유목적적 표집법으로 3명씩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수업관찰, 심층면담, 문서 및 동영상 자료 수집 등 실행연구의 삼각검증에 의한 질적 자료 수집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해 영역분석, 분류체계 분석, 대조집합 분류질문을 통한 분류를 실시하고, 연구참여자들간 교차 검토 및 삼각검증을 통해 진실성을 확보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컨설팅 경험을 통해 드러난 중학교 체육교사의 전문성 요소로는 체육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재인식, 체육 수업의 재개념화, 반성적 탐구의 실천 능력, 동료 문화의 형성 능력, 자발적 참여 의지의 소유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체육교사는 수업컨설팅 경험을 통해 교과 특성상 나타나는 맥락적 요인에 따른 체육교사의 전문성 요소를 파악해 나가고 있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체육 교과만의 전문성 확립을 위한 기본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had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into a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rofessional factors on the basis of middle school PE teachers` practicing experiences in instruction consulting, and providing implications to the arenas of physical education. This study selected 6 PE teachers, who worked for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ggi-do, as the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by classifying the PE teachers into 3 consultants and 3 consultantees through purposive sampling. For collecting the data, this study applied the qualitative action research based on triangulation of action research, such as empirical data from class observation, data questions from in-depth interview, and examination through collecting papers and video data;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did data classifi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realms, the taxonomic analysis and classifying questions for a contrast set, and finally secured trustworthiness of the data through the review and triangulation between research participants.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at there exist PE teachers` new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re-conceptualization of PE class, practicing ability of reflective exploration, forming ability of peer culture, possession of the will for a voluntary participation, etc. as the factors in professionalism of the middle school PE teachers, which were exposed through practicing experiences in instruction consulting. Consequently, PE teachers were found to be understanding the factors in professionalism as a PE teacher consequent on the contextual factor appearing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according to their practicing experiences in instruction consulting, and these research findings could be a fundamental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professionalism of PE subject`s own.

      • KCI등재

        교사의 반성적 수업 평가의 요소 및 수준에 관한 사례 연구

        고호경,남가영,맹은경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중등 국어, 영어, 수학 교사 6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신의 수업 동영상을 보고 사고 구술의 방식으로 수업을 반성적으로 평가하도록 하고 비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경력과 수업관 등을 확인으로써, 교사들의 수업 반성의 요소와 수준을 각기 반성적 수업 평가의 횡적, 종적 양상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들은 교육과정 지식(교과 내용에 대한 인식, 수업 재구성), 교수 전략(수업기획, 수업의 짜임새, 수업 유형, 자료 및 교구의 활용, 평가), 학생 이해(학생의 수준, 상호작용, 학생 반응에 따른 피드백), 수업 기술(수업 외적 기술), 수업 환경(교실 환경, 수업 분위기) 등의 세부요소를 중심으로 분석적으로 수업 평가를 수행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즉, 수업 전반에 대한 총체적이고 거시적인 평가보다 세부 요소 등을 중심으로 한 분석적 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대부분 기술적, 기계적 수준의 반성에 그치고 있으며, 비교적 수준의 반성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이는 일부 교사에 국한되어 있어 교사들 간의 반성적 수업 평가에는 수준 차가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세부 수업 요소 중심의 분석적 평가보다 총체적이고 종합적인 평가가 가능하도록 하는 반성적 수업 평가 기준의 마련이 필요하며, 좀 더 높은 수준으로의 반성적 수업 평가 능력 신장을 위해 명시적이고 체계적인 교사 교육이 기획, 제공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on their instruction; then, analyzes the factors and levels of their reflective thinking. To achieve this aim, we recorded six secondary school teachers' (two Korean, two English, and two Mathematics teachers) one-unit instruction periods. Afterward, we conducted a 'think-aloud' session in which they reflected on their instruction while watching the tapes. We also conducte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them, discussing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teaching careers, and their thoughts about 'good teaching or good instruction'. Our conclusions are the following: Firstly,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on their instruction progresses analytically around the specific dimensions of instruction, such as curriculum knowledg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knowledge of learners and their characteristics, class milieu, etc. They do not seem to reflect on their instruction generally and synthetically. Secondly, most teachers seem to reflect upon their instruction at a descriptive or technical level. They do not reflect upon their instruction at a comparative or critical level. There are notable differences with respect to the level of reflective thinking among teachers. Only one teacher with various experience about instruction-consulting showed reflective thinking at a comparative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a need for explicit and systematic teacher education to enhance teachers' levels of reflective thinking, and so eventually to extend their teaching capacity.

      • 교원 양성 대학의 작문 교육 프로그램 구성 방안

        박영민 ( Young Min Park ) 한국작문학회 2006 작문연구 Vol.0 No.2

        이 글의 목적은 특수 목적을 지닌 교원 양성 대학에서 작문 교육 프로그램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를 탐색하는 데 있다. 교원 양성 대학은 학문 입문자로서의 교육 과정과 예비 교사로서의 교육 과정을 취하는 중층적 성격을 지닌다. 이에 따라 작문 교육은 학문 입문자로서의 작문 교육의 목표와 예비 교사로서의 작문 교육의 목표를 취한다. 전자는 ‘교사로서의 작문 능력’으로, 후자는 ‘교사로서의 작문 교육 능력’으로 이어진다. 전자의 능력은 시범을 통해 작문 교육 능력으로 전환된다는 점에서 간과할 수 없다. 교원 양성 대학의 작문 교육에서는 작문 경험, 작문 지식, 작문 방식의 요인을 중시해야 한다. 작문 경험에는 자기 표현적 작문 경험과 학술적 작문 경험이, 작문 지식에는 방법적 지식과 명제적 지식이, 작문 방식에는 개인적 방식과 협동적 방식이 포함된다. 이 요인들은 작문 경험과 작문 지식의 통합, 과정 중심의 접근, 방법적 지식의 우선, 협동적 의미 구성의 우선, 자기표현적 작문 경험의 강조를 원리로 하여 모형화할 수 있다. 자기표현적 작문 경험은 교원 양성의 교양 과정과 전공 과정에 걸치되, 학술적 경험은 학문적으로 관련된 전공 과정에 배치하고, 방법적 지식을 작문 과정 속에서 학습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의미 구성은 협동적 방식을 우선적으로 고려한다. This paper explored a method for writing instruction program in the teachers` college. The teachers` college has dual natures out of two education courses of a pre-scholar and a pre-teacher. Then, the objects of teachers` college writing instruction consist of writing abilities of teacher and writing instruction abilities of teacher. The former have been not to neglect because writing abilities are based on writing instruction abilities.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ree factors in writing instruction program of the teachers` college:writing experiences, writing knowledges, and the patterns of making meaning. Writing experiences has self-expressive and academic writing, writing knowledges has procedural and declarative knowledges. The patterns of making meaning has individual and co-operational pattern. This three factors are systematized in to writing instruction model of teachers` college by five principles:(1) integration writing experiences and knowledges, (2) based on writing processes, (3) priority of procedural knowledges, (4) priority of co-operational pattern to make meaning, (5) focused on self-expressive experience.

      • KCI등재

        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교사의 인간애와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 차이분석

        신수경(Su-Kyung, Shin),신리행(Li-Heang, 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2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들의 문제행동을 직접 지도하는 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요인 (연령, 최종학력, 교직경력, 결혼유무, 자격증, 재직기관, 담임반)에 따른 유아교사의 인간애와 문제행동 지도전략 차이를 분석하고, 유아교사의 인간애와 문제행동 지도 전략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남․광주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312명을 대상으로 교사 인간애, 교사용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 설문지를 2018년 9월 3일부터 9월 28일까지 배포하여 회수한 후 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연령, 최종학력, 교직경력, 결혼유무, 자격증, 재직기관, 담임반)에 따른 각 문항과의 관계와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검증과 ANOVA 및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 s α를 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연령, 최종학력, 교직경력, 결혼유무, 자격증, 재직기관, 담임반)에 따라 교사의 인간애와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교사인간애와 문제 행동에 대한 교사의 지도전략은 높은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영유아 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요인에 따라 유아교사의 인간애와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이 달라짐을 보여주고 있으며, 앞으로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 관련 내용에 대한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eacher s humanity and teacher s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strateg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of Teachers-Age, final education, career, marital status, qualifications, daycare or kindergarten, classroom.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about humanity and problem behavior management strategies for infants were distributed to 312 early childhood teachers in G city. This study examined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each item according to age, final education, teaching career, marital status, qualifications, employment agency, and clas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research problems, correlations and ANOVA.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as found to be Cronbach s α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eacher s humanity and teacher s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strateg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of Teachers-Age, final education, career, marital status, qualifications, daycare or kindergarten, classroom. Second, teacher s humanity and teacher s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strategy showed high correlation. Therefore, it is shown that teacher s humanity and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strateg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some implications for the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strategy.

      • KCI등재

        쓰기 동기 형성 요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경숙 ( Han Kyoung-sook ) 한국작문학회 2016 작문연구 Vol.0 No.31

        본 연구는 쓰기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해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다각적인 측면에서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쓰기 동기를 형성하는 요인은 크게 학습자 내부의 요인, 학교 환경 요인, 가정환경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학습자 내부 요인에는 학습자가 가진 쓰기에 대한 인식, 흥미, 쓰기 효능감과 같은 요인이 있고 교사의 지도 요인에는 쓰기에 대한 교사의 인식, 쓰기 수업 방식, 쓰기 과제, 교실 분위기와 같은 요인이 있고 가정환경 요인에는 가정의 문식 환경 요인이 있다. 이처럼 쓰기 동기를 형성하는 요인들은 다양한데, 이러한 요인들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어 쓰기 동기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요인들 가운데 학습자의 쓰기 동기를 형성하는 데 있어 가장 크게 좌우되는 것은 학습자 내부의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학습자 내부의 요인은 자체적으로 별개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외부적인 요인인 학교나 가정, 사회 등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즉 학습자를 둘러싼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이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복합적으로 쓰기 동기 형성에 관여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쓰기 동기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 개인의 노력뿐만 아니라 학생-학교-가정이 연계해서 함께 지도 및 지원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지금까지 쓰기 동기에 대한 연구도 변화될 필요성이 있는데, 학습자의 내적 요인에 천착한 연구에서 보다 시야를 넓혀 학습자를 둘러싼 다양한 외적 요인으로 확장된 연구를 진행할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synthesizes various research that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in writing motivation. In order to structure this study, I review and discuss a broad range of findings from previous research in writing motivation. According to the findings, I categorize as three writing motivation factors. (1) Writer`s internal factors - positive belief in writng, interest in writng, writing efficacy (2) School factors- teacher`s positive awareness in writing, writing instruction considering practical context, proper feedback, interesting writing task, making permissive classroom environment (3) Home factor- home literacy environment Student`s motivation in writing are shaped, empowered through complex interactions among these affecting factors. But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theses is teacher`s writing instruction method. Teacher`s writing instruction method can have a decisive effect on writing motivation of students.

      • KCI등재

        학생 참여형 수업에 대한 학생-교사 인식 차이 양상 탐색 :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이빛나(Bitna Lee),박민애(Minae Park),손원숙(Wonsook Sohn) 한국교육평가학회 2020 교육평가연구 Vol.33 No.4

        질문, 토의식 수업, 문제해결학습과 같은 학생 참여형 수업은 학생과 교사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므로, 이러한 수업의 효과는 학생-교사 간 수업 인식의 일치 정도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 참여형 수업에 대한 학생-교사 인식 차이 양상을 탐색하고, 이러한 양상과 관련된 예측 및 결과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추가적으로 학생-교사 간 인식 차이를 비교하기에 앞서서 교차수준 측정 동등성(cross-level measurement invariance) 검증을 실시하여 집단 간 비교의 타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EPS 3차년도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547명, 담임교사 234명을 대상으로 다층 확인적 요인분석 및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참여형 수업에 대한 학생-교사 간 교차수준 측정 동등성이 성립하여 교사와 학생이 참여형 수업 문항을 동일하게 인식하고 해석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학생 긍정인식 집단’(37.4%), ‘교사 긍정인식(유사) 집단’(52.6%), ‘교사 긍정인식(상이) 집단’(10.0%)으로 구분되었다. 셋째, 자기효능감과 수업태도는 긍정적일수록, 능력고정신념은 낮을수록 다른 두 집단에 비해 학생 긍정인식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또한, 학생 긍정인식 집단은 내재적 동기, 수업이해도, 학업성취도가 가장 높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 및 논의를 제안하였다. The student participation-based instruc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agreement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because it is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will investigate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student participation-based instruction and explore the relationships with its predictive and outcome variables. In addition, cross-level measurement invariance will be verified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comparison between two groups at different levels of multi-level data. To this, multi-leve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MCFA) and 3-step latent profile analysis(LPA) were conducted. The results based on 2,547 sixth-graders and 234 teachers are as follows. First, cross-level measurement invariance was established for student participation-based instruction scale across students and teachers. Second, the three latent profiles were extracted such as student positive perception group (37.4%), teacher positive perception(closest match) group (52.6%), and teacher positive perception(distal) group (10.0%). Third,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student positive perception group rather than the other two groups increased when the self-efficacy and attitude toward class increased and the entity belief of intelligence decreased. Also, the student positive perception group had the higher intrinsic motivation, understanding of class, and academic achievement than the others. Lastly,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discussions for effective teach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