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야기하기의 구술성에 대하여

        심우장 한국구비문학회 2007 口碑文學硏究 Vol.0 No.24

        On Orality of Telling a StorySim, Woo Jang(Konkuk University)This study aims at orality of telling a story.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n folktale with oral culture as its setting, we must understand orality. We believe that orality of telling a story is a good jumping-off point and a kernel of orality. We adopt two approaches, one is to utilize the storytelling sites and the other is to utilize meta-folktale, 'story bag'.Storytelling sites have many devices to encourage telling a story, for instance, 'teling three stories', 'telling a story by turns' and 'exchanging stories with each other'. We understand that storytelling sites make these devices be custom to encourage telling a story. Storytelling sites prefer to tell more stories if possible than select a fine story. To tell a story in storytelling sites has recondite meanings. It acts on making an exchange of and integrating stories. As these story's reciprocal action manifests mass mind, we must tell a story that we heard before in storytelling sites. Therefore we think that the meaning of telling a story is risen to core of oral culture. 'Story bag' is a story to let us know these importance of telling a story. Besides, 'Story bag' is a very meaningful story to tell the loss of oral culture's hegemony and the new phase of oral culture in literate culture's hegemony. 이 글에서는 ‘이야기하기’의 구술성에 대해 이해하려 하였다. 구술문화 속에서 자라난 구비설화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구술성’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하는데, 그 출발점이자 핵심으로 이야기하기의 구술성에 대해 알아보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 두 가지의 접근법을 사용하였는데, 그 하나는 이야기가 구연되는 구체적인 이야기판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소위 메타설화라 할 수 있는 <이야기 주머니> 설화를 중심으로 하는 것이다. 우선 이야기판에서 이야기하기가 어떠한 의미를 갖고 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 이야기하기를 권장하는 이야기판의 여러 움직임에 관심을 두었다. 이야기판은 ‘이야기는 세 자리’, ‘돌려가며 이야기하기’, ‘주고받으며 이야기하기’ 등의 전략을 관습화하여 이야기하기를 적극 권장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야기판은 보다 정확하고 훌륭한 이야기를 선별하는 메커니즘보다는 보다 다양한 이야기들이 보다 많이 구연되게 하는 이와 같은 관습화된 메커니즘을 통해서 부정확하거나 빗나가는 이야기들을 상쇄시키는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사실 <이야기 주머니> 설화에서 줄기차게 주장하고 있는 ‘이야기는 들으면 반드시 구연해야 한다’는 표면적인 주제의식과 이야기판의 이러한 이야기하기의 전략은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 때문에도 ‘이야기하기’로 대표되는 이야기판의 이와 같은 활성화 전략들은 단순한 의미로 받아들이기 어렵다. 이야기하기를 통해서 탄탄하게 형성된 이야기판은 이야기의 통합과 교류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야기판을 통해서 이야기들이 상호작용하며 교류하여 집단정신을 발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는 것이다. 하지만 여기까지는 이야기하기의 구술성이 갖는 본래적인 의미이다. 이야기하기의 구술성은 시대의 변화에 새로운 모습으로 적응해야만 했다. 다시 말하면 구술문화의 시대가 지나고 문자문화의 시대가 오면서 이야기하기가 갖는 문화적 위상도 변화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이야기 주머니>는 이야기 문화의 주도권 상실을 이야기하면서도 이야기 혹은 구술문화가 새로운 시대에 새로운 위상으로 다시금 자리 잡아야 한다는 것을 진지하게 일러주는 문제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초등학교 5학년의 이야기 능력 발달에 관한 연구

        유동엽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4 국어교육연구 Vol.33 No.-

        본 연구는 이야기 능력의 발달을 탐구하기 위해, 종단 연구의 형태로 수행되고 있는 유동엽(2009, 2011, 2012, 2013)의 후속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세 연구 문제에 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5학년 시기에 서술자의 이야기 능력은 어떤 발달 양상을 보이는가?둘째, 초등학교 1-5학년에 걸쳐 이루어진 이야기 능력의 발달은 학년군으로 어떻게 묶어질 수 있는가?셋째, 이야기 갈래에 따라 서술자가 이야기하는 방식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이를 위해 서술자가 초등학교 5학년 시기(만 10.03세~11.02세)에 들려준 36개의 이야기를 분석하여, 5학년 시기의 이야기 능력 발달을 소상하게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이야기 능력을 구성하는 많은 하위 요소(이야기의 구조, 이야기 구성 요소 중 ‘평가’의 활용, 이야기의 서사성, C-unit의 수, ‘그리고’-‘그래서’-‘그런데’ 3대 접속 부사의 사용 양상, 연결어미비율 등)에서 1-3학년 시기와 4-5학년 시기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하지만 2학년 시기부터 이야기 주제성이 현저히 높아진다는 데 주목해서 본 연구에서는 서술자의 이야기 능력 발달이 [1학년], [2-3학년군], [4-5학년군]의 세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서술자가 이야기 갈래에 따라 이야기 방식을 달리하고 있음을 논증하고, 이야기에 관한 교육 내용을 구안하거나 이야기를 활용한 평가 도구를 개발할 때에 이야기 갈래에 따른 차이를 충분히 고려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 of story telling ability of a 5th-grade student/narrator. It aims to answer to following three questions. First, how does the story telling ability of narrator develop during the 5th-grade? Second, how can be developmental phase divided during 1st~5th grade? Third, are there any genre-specific features in story telling? This study analyzed 36 stories of a 5th-grade narrator(10.03-11.02 age) in 3-dimensions; story construction, story expression, story communication. This study described the story telling of the narrator elaborately as to this frame. According to this study, the story telling ability of 5th grade was similar to 4th grade, but different from 1st-3rd grade at so many featur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story telling ability could be phased as [1st grade], [2nd-3rd grade], and [4th-5th grade]. And this study proved many genre-specific features in story telling, and suggested that i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he differences in the story genres when developing the educational contents or assessment tools.

      • KCI등재

        인터넷동화와 그림책동화를 활용한 이야기 나누기의 언어 상호작용 비교

        홍혜경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6 유아교육학논집 Vol.10 No.3

        본 연구는 이야기나누기 활동 중 인터넷동화와 그림책동화를 활용한 경우 유아­교사 간의 언어 상호작용의 양적, 질적인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야기나누기활동을 위해 인터넷 동화와 그림책동화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교사 4명의 이야기나누기를 48회 관찰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이야기나누기 동안 두 집단 모두 교사­유아 간의 교수적 대화는 1~2수준의 인지적 요구가 낮은 언어 상호작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예측, 비교, 이유 설명 등의 3수준의 언어 상호작용은 그림책동화를 활용한 경우가 더 높을 것으로 나타난 반면, 교사­유아 간의 관리적 대화 중 주의환기는 인터넷 동화를 활용한 경우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매체유형과 상관없이 언어 상호작용의 유형은 유사하였으나 그림책동화의 경우가 도입과 마무리 과정에서 삽화와 내용에 관련된 맥락을 탐색하는 활동이 보다 활발히 이루어졌다. 즉, 교수매체 특성을 반영한 교수 방안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ype and level of teacher-child interaction in story­telling activities using internet story sites and picture books. Forty-eight story-telling activities of four teachers were observed and analyzed. The teachers of both groups mostly engaged children in lower level of cognitively challenging talks, such as level, recall, and asking. However, the higher level of cognitively challenging talks were more occurred in the picture book story telling activities, while the talks of management internet story telling activities were less occurred.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teachers tend to apply the method for picture book story telling to that for internet story telling. This study imply that new way for presenting internet story telling with animation and sound effects unlike picture book should be applied.

      • KCI등재

        유아의 이야기 말하기 능력과 이야기 쓰기 능력 간의 관계

        윤진주(Youn Jinju),김영실(Kim Youngsil),함은숙(Ham Eun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에서는 유아를 대상으로 구어인 이야기말하기와 문어인 이야기쓰기의 이야기 구조개념과 이야기의 양, 픔사 및 문장의 유형을 분석하여 말하기와 쓰기 간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세반(만 6세) 유아 95명을 대상으로, 이야기말하기와 이야기쓰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이야기말하기와 이야기쓰기의 이야기 구조개념은 상관이 있었다. 이야기의 길이는 말하기가 쓰기보다 길었으나 문장 당 평균 단어수는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이야기의 길이에 있어서 말하기와 쓰기 간에 상관관계는 없었다. 이야기 꾸미기에 사용한 품사 및 문장의 유형은 말하기와 쓰기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tory-telling and story-writing through the analysis of structural concepts of story-telling and story-writing as well as the length of stories, and the types of sentences and parts of speech. For this study, tests on story concept and written story structure were conducted, with 95 children aged 6 as subjects. This study has found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story structure concepts of story-telling and story-writing. The stories were longer in story-telling than in story-writing. Yet, both showed almost the same level as far as the number of words used per sentence was concerned.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story-telling and story-writing in terms of the story length. The types of sentences and parts of speech used in making stories were found to be similar in story-telling and story-writing.

      • KCI등재

        宋代话本小说中的诗词考察--以《京本通俗小说》和《清平山堂话本》为中心

        HOUMEILING 중국인문학회 2020 中國人文科學 Vol.0 No.75

        The script for story-telling in Song Dynasty is a leap in the history of Chinese novels. In it's system, a large number of poems are used as the beginning, middle and end of the chapter. The tradition of script for story-telling had a far-reaching influence on later novels. For many years, the poetry in script for story-telling is in an awkward position, has drifted away from the vision of poetics and fiction, and the academic criticism is too strong. Therefore, the author selects 21 extant script for story-telling of Song Dynasty in Kyomoto Popular Novels and Qingping shantang script for story-telling as object, and investigates the phenomenon of poetry fusion in script for story-telling of Song Dynasty by means of close reading and statistical analysis。The first is the statistics and summary of the phenomenon of poetry fusion. In the novels selected by the author, there are 381 poems, with an average of 18 places in each article, and the penetration rate of poetry is almost one fifth of the length. Secondly, it analyzes these poems. Finally, it extracts the value of poetry from four aspects: first, it inherits the tradition of poetry and Sao; second, it provides a basis for the textual research of poetry; third, it makes the life of the world refined; fourth, it is a picture of the festival and custom life of the citizens in Song Dynasty. Therefore, We should be less critical and more gentle treat to poetry in script for story-telling.

      • KCI등재

        이야기 능력과 이야기 능력 발달에 관한 국내외 연구 동향 : 화법교육의 관점에서

        유동엽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5 국어교육연구 Vol.36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the story telling ability and its development,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oral communication education. To this end, it reviews the research trends of related studies, both home and abroad, by classifying it into three approaches: (1) descriptive approach, (2) prescriptive approach, and (3) therapeutic approach. (1) This study discusses the research trends of the descriptive approach with three axial propositions: “story has structure,” “story grammar is described”, “story can be used as an educational tool.” (2) The prescriptive approach uses the following three axial propositions: “story is an ability,” “the indicators of the development of story-telling ability are quested,” “story telling ability development is described.” (3) The research trends of the therapeutic approach employ the following three axial propositions: “story is a metaphor,” “story is de-constructed and rewritten,” “story can be used as a means of personality education.” 이 논문은 화법교육의 관점에서 이야기 능력과 이야기 능력 발달에 관한 주요 국내외 연구 동향을 고찰하여, 화법교육에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이야기 능력과 이야기 발달에 관한 연구 동향을 1) 기술적 접근, 2) 규범적 접근, 3) 치료적 접근으로 나누어 논의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그리고 세 접근을 학문적 배경, 연구 방향, 새로운 가능성 측면에서 각각 논하였다. 기술적 접근에서는 ‘이야기는 구조다’, ‘이야기 문법을 기술하다’, ‘이야기를 입히다’라는 세 명제를 주제로 하여 연구 동향을 논하였다. 규범적 접근에서는 ‘이야기는 능력이다’, ‘이야기 능력 발달의 지표를 찾다’, ‘이야기 능력의 발달을 기술하다’라는 세 명제를 주제로 하여 연구 동향을 논하였다. 치료적 접근에서는 ‘이야기는 은유다’, ‘이야기를 해체하여 다시 쓰다’, ‘이야기로 인성을 기르다’라는 세 명제를 주제로 하여 연구 동향을 기술하였다. 이 논문이 화법교육의 관점에서 이야기 능력과 이야기 능력 발달을 연구하는 후속 연구의 나침반 노릇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스토리텔링의 구성과 광고의 서사 전략

        심영덕 ( Young Deuk Shim ) 한민족어문학회 2011 韓民族語文學 Vol.0 No.58

        사람들은 어떤 내용이든 이야기 그 자체에 관심을 기울인다. 그것은 이야기, 곧 스토리가 애초부터 사람들의 흥미를 끌도록 만들어지면서 입을 통해 전승과정을 거치게 되었기때문이다. 그렇다면 이런 상황이 계속 이어지는 것은 어떤 이유 때문인가. 이에 대한 근본적인 해답은 인간의 사고 발달이 깊어지고 이와 함께 새로운 문화콘텐츠의 생성에서 찾을 수 있다. 이들 콘텐츠들은 상호작용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창작 의도 이상의 효과가 가능해 진것이다. 그런데 새롭게 만들어진 가상공간에서의 커뮤니케이션 환경은 단순하게는 놀이적 측면이지만 궁극적으로는 스토리텔링의 양상을 띠게 된다. 현재의 스토리텔링은 단순한 이야기나 서사를 뜻하지 않는다. 21세기 스토리텔링은 하나의 스토리 콘텐츠가 여러 채널과 형태로 유통돼 시너지를 창출하는 트랜스미디어 형태를 가질 수밖에 없다. 그 장르는 다양화되고 세분화되면서 비평가들의 상상을 뛰어 넘는 결과를 낳고 있다. 소비자의 관심을 끌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지는 광고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단순한 이미지의 전달이 그동안의 경우였다면 지금은 이야기의 구체화가 추가되면서 하나의 서사구조를 형성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이것은 인간의 창조적 행위의 조건이자 결과이기도 하다. 동물과 구별되는 인간의 모든 문화적 행위는 일정한 의미를 부여하려는 스토리 텔링의 과정의 발달로 이어지면서 그 기법은 다양해지고 있는 것이다. We pay attention to stories themselves whatever the contents may be. Stories are, from the beginning, made to draw people`s interest, and these go though the process of verbalization. What makes this process continues? The basic answer to this question can be found i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More than simple verbalization can be expected because multi-media is utilized and mutual relations are possible. The condition in this virtual space has emotional and play-like aspects and ultimately has the aspects of story-telling. Current products using story-telling is quite different from content-oriented advertisements which explains the functions of products and image advertisements in which consumers can have difficulty finding the significance of the ad. For it has its "communication" aspect. This does not introduce products themselves, but brings absorption and excitement and extends to subjective and emotional communication by "presenting product-containing meaning and personal stories" In other words, it is an emotion-oriented marketing activity that makes them not only buy products but also enjoy the stories contained in the products. However, story-telling does not mean simple stories or description. The essence of 21st century story telling is the form of transmedia that generates synergy effects by a story-telling content circulated through various channels and in various forms. Story-telling has recently been used as a ``One Source Multi-Use`` and has become a true culture content. Human beings in the 21st century will find both all that they can create in the culture contents and those fatal that go beyond their limit. Story-telling can provide the objects for social studies for active people, and provide delicate analysis on human psychology for emotional people. In these respects, efforts to cope with the fast-changing situations caused by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culture contents and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should be incessantly.

      • KCI등재

        조선족 이야기꾼 박병대 연구

        노영근(Noh, Young Keu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통일인문학 Vol.63 No.-

        이야기꾼 연구가 갖고 있는 현실적인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조선족 이야기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요녕성 성급비물질문화유산인 철령조선족민간문학의 대표성전승인인 박병대에 주목하는 것은 이러한 이유이다. 그는 부모가 모두 유능한 이야기꾼이었다. 특히 아버지는 가정 뿐 아니라 이웃 마을을 다니며 이야기판을 벌이는 유능한 이야기꾼이었다. 이러한 이야기 유산은 박병대에게 그대로 이어졌다. 그의 생애는 이야기와 교사라는 두 단어로 정리할 수 있다. 아버지에게 전해받은 이야기 유산을 잘 보존하여 유능한 이야기꾼으로서의 자질을 갖춘다. 이와 함께 교사라는 사회적 지위는 그를 지역 사회의 존경받는 인물이도록 하였다. 이러한 요인이 결합하여 그는 강력한 권력을 갖는 이야기꾼이 될 수 있었다. 박병대의 이야기 세계는 인물담을 중심으로 이뤄져 있다. 구연한 자료중 2/3가 인물의 일화에 해당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는 일상 언어를 사용하여 조선시대 인물들의 일화 중 지혜담에 해당하는 것을 구연하는데 특히 능력을 발휘하고 있다. 일상 언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경상도 방언을 기반으로 한 평안도 방언과 중국어 단어가 혼용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는 조선족 언어의 일반적인 측면이기도 하다. 이러한 박병대의 사례를 통해 집단 이주로 이야기의 전파가 이뤄진다는 사실을 실증하였다. 또한 이야기꾼이 강력한 권력을 갖을 때, 이야기판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는 것과 이야기꾼의 유지를 위해 사회적 노력이 필요함을 실증하였다. In order to overcome a limit of study on story-teller, we have to focused on Chaoxianzu’s stoty-teller. That is why we focused on Park, Bing-da, who is representative story-teller of Chaoxianzu’s folkliterature in Liaoning, China. His parents were capable story-teller in both. Especially, Not even a family but also neighber town, his father was tell the story. These heritige was hand down to Park, bing-da. His life can abstract by two words:narrative and teacher. He has a capable qualification on the story-telling. And the same time, He was a teacher of Chaoxianzu school. So the two element make him a powerfull story-teller in Chaoxianzu society. He tell the story about human who live in Chaoxian dynasty. He tell a 162 story and 2/3 is episode of notability. He use a general language in story-telling, and so, his language has three aspects:Kyungsang dialect, Pyungan dialect, and Chinese. This aspect also the general aspect of Chaoxianzu’s. We can prove the fact that story was transmitted by mass migration. And when story-teller has a powerfull right about the story-telling, the story-telling situation can be stabled.

      • 모바일러닝(Mobile Learning)을 통한 기독교 신앙교육

        전병식(Jeon, Byoung-Sik) 대학복음화학회 2013 대학과 복음 Vol.17 No.-

        There has been unanimous need for something beyond e-learning system not too long after the e-learning based upon computer and internet has been presented both an alternative to the existing learning system and as an means for realizing a wholly learning society. although it has some advantages of openness, flexibility, dispersibility and timeliness, people has noticed that e-learning is as a matter of fact not entirely ubiquitous. The argument in this paper is that mobile learning in terms of mobile apparatus is the most appropriate to education, for it expands more range and structure of the existing concept of e-learning and, in doing so, it offer an ubiquitous environment which makes communication easier and better. The present generation passionatively love to use handheld mobile machines such as the so-called smart phone and PDA which fit to the contemporary ubiquitous mobile environment. The most important characters of such mobile apparatus are usability and accessibility. One can say that stories, that is, narratives, dramas and conversations, including songs, poems and paintings, are the ways to flourish faithful perspectives and contents and to abundantly diversify the forms and structures of mythology. Stories can make people to be conformative or resistant. Put differently, story-tellers make stories, and stories at the same time make people. Faith can be a living and living-worth, when stories keep telling about the history of God. Thus, stories are more effective than religious commandments and dogma in keeping reviving Christian faith within its long tradition. They make hearers, that is, the audience to choose and decide by themselves and, in doing so, make them express their own faith and act according to it. It is more pertinent to young college students who take individuality, personality and difference as the main cultural code for their lives. Given that story-telling in our contemporary culture has been transformed beyond simple verbal story-telling into ‘entertainment story-telling’ such as movies and animations, into ‘cyber community story-telling’ in terms of ‘computermediated community,’ and into ‘edutainment story-telling’ which hybridizes education and entertainment, story-telling itself would be the most appropriate ‘story-trasversing’ or ‘story-telling education’ for the contemporary mobile generation and for the future of the Christian education.

      • KCI등재

        스토리텔링 기반 문화다양성 수업전략 탐색

        정민수,장 성 민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4 다문화교육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의 원리가 문화다양성 수업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 문화다양성 특질에 맞는 수업전략을 개발함으로써 학교 현장의 문화다양성 수업을 개선하여 새로운 문화다양성에 관한 교사용 지도서 개발의 전략과 아이디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스토리텔링과 문화다양성과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고 스토리텔링 기반 문화다양성 수업전략의 절차와 구성 요소 등을 형성연구를 통하여 개발하였다. 스토리텔링 기반 문화다양성 수업전략은 스토리텔링의 수업설계 원리와 전략을 문화다양성의 CRP(culturally responsive pedagogy) 교수법에 반영하여 개발하였으며, 스토리텔링의 이야기 구성기법을 매개로 CRP의 3단계 교수전략과 문화다양성 교육의 12가지 핵심개념 및 가치들을 연결하였다. 스토리텔링 기반 문화다양성 수업전략의 구체적인 교수전략 및 수업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CRP 1단계 교수전략은 개념분석학습을 통한 문화다양성의 핵심개념 및 가치 분석 활동으로 수업절차는 문제제기-개념정의-사례발견-개념분석-개념적용으로 구성하였다. 다음 CRP 2단계 교수전략은 가치명료화학습을 통한 문화다양성의 정서 및 심리 공감 활동으로 수업절차는 문제파악-선택하기-긍지다지기-행동하기-명료화하기로 구성하였다. 마지막 CRP 3단계 교수전략은 가상체험학습을 통한 문화다양성의 표현 및 실행 경험 활동으로 수업절차는 과제파악-상황제시-활동선택-체험실시-내면화하기로 구성하였다. 또한 각 단계별 수업전략의 특징에 맞춰 이야기 들어가기-이야기 생각하기-이야기 연결하기-이야기 만들기-이야기 공유하기 단계를 스토리텔링 전략에 접목하였다. 본 연구의 스토리텔링 기반 문화다양성 수업전략은 문헌고찰과 형성연구를 통하여 고안되었으므로 본 수업모형의 현장 가능성 및 효과에 대한 실험연구와 조사연구가 후속 연구로 뒤따라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how story telling principle can be linked with cultural diversity instruction, at developing instruction strategy and strategy, appropriate to cultural diversity traits, at improving cultural diversity instruction, and at offering development strategy and ideas of teacher guide books on new cultural diversity. So this study looked into the literatures, related with story telling and cultural diversity, and developed the procedure and component of cultural diversity instruction strategy based on story telling. This study developed cultural diversity instruction strategy based on story telling by applying instruction design principle and strategy of story telling to CPR (culturally responsive pedagogy) teaching method of cultural diversity. This study organized cultural diversity instruction strategy based on story telling by carrying CPR 3-step teaching method strategy, and 12 core concepts and value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to story composition method of story telling. Concrete teaching strategy and instruction procedure of cultural diversity instruction strategy based on story telling are as followings. First, the 1st step teaching strategy of CRP is core concept and value analysis activity of cultural diversity through concept analysis learning, and instruction procedure is composed of question presentation - concept definition - case discovery - concept analysis - concept application. Next, the 2nd teaching strategy of CRP is an emotional and psychological empathy activity of cultural diversity through value clarity learning, and instruction procedure is composed of question grasping - selection - pride confirmation - activity - clarification. At last, the 3rd teaching strategy of CRP is expression and action experience activity of cultural diversity through vertical experience activity, and instruction procedure is composed of subject grasping - situation presentation - activity selection - experience implementation - internalization. The culture diversity instruction strategy based on story telling was invented through literature model. So, related with site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experiential study and investigation research are indispen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