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및 교직선택 동기, 교직관의 관계

        김세루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및 교직선택 동기, 교직관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G시에 소재한 A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13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직선택 동기는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교직관은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직관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교직선택 동기가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예비유아교사의 교직관에 사회적 지지와 교직선택 동기가궁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교직관 함양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motivation for choosing teaching profession and view on the teaching profession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131 data were collected from A university located in G 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view on the teaching profession was positive. Secondly, the correlation between motivation for choosing teaching profession and view on the teaching profession was positive. Thirdly, the most significant factor on was the motivation for choosing teaching profes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direction for view on the teaching profession in the process of train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ovide basic data on systematic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사회과 수업의 협력적 실행 연구

        천호성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7 사회과교육 Vol.46 No.3

        Is Cooperative Action Research with Teachers and Researchers Beneficial to Enhancing the Expertise of the Teaching Profession?: A Qualitative Case Study Cheon, Ho Seong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effect of cooperative action research on the enhancement of expertise in the teaching profession between researchers and teachers. Specifically the process of improving classroom teaching was investigated through analyzing teachers' personal reflections and responses to the researchers' advice that occurred during the teacher-researcher cooperative action research process. The research method used was a qualitative case study describing a real elementary classroom setting. An in-depth analysis of events that occurred with one elementary teacher engaged in teaching and self-reflection while receiving advice from a researcher was conducted.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could have an opportunity to see one's own teaching through another person's eyes during the teacher-researcher cooperative action research process. This action lead to a realization of personal weaknesses in their teaching. Second, the teacher-researcher cooperative action research process made teachers experience struggles, challenges, satisfaction, and happiness. These experiences, in turn, developed into a personal challenge for improving teaching. It seemed that the new insights gained from the struggles and satisfaction of one's teaching could become a source for exponentially increasing the expertise within the teaching profession.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4학년 사회과 수업을 중심으로 수업자(교사)와 연구자의 협력적 실행연구 과정이 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업자와 연구자의 협력적 실행연구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의 성찰과 반성, 연구자의 조언에 대한 교사의 반응 등, 교사에 대한 의식 분석을 통해 수업의 질적 개선과정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S초등학교 K교사를 사례로 선정하여 실제적 상황과 현실에 대해 있는 그대로 기술하고, 상황과 맥락 속에서 그 의미를 심층적으로 해석하는 질적 사례 연구(qualitative case study)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이라는 관점에서 다음 2가지를 결론으로 제시할 수 있다. 첫째, 교사는 연구자와의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해 타자의 눈으로 수업을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으며, 교사는 자신의 수업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통해 수업 운영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신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자각하게 되었다. 둘째, 협력적 실행연구 과정은 교사에게 갈등, 고민, 희열, 행복 등을 경험하게 하였고, 수업에 대해 근본적인 물음과 함께 자신의 수업상(授業像)을 풍부하게 하는 과정이었다. 이러한 과정과 경험은 보다 나은 자신의 수업을 위한 새로운 도전으로 발전하였다. 갈등과 희열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도전이야 말로 교사에게 있어 자신의 수업에 대한 전문성을 배가시키는 최고의 에너지원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사회과 수업전문성에 관한 초등교사의 인식

        류상환,남상준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6 사회과교육연구 Vol.23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gure out what sorts of differences exist between expert researcher’s theoretical discussion and teacher’s perception on teaching professionalism in social studies, and to investigate what are the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 on teaching professionalism in social studies by discussing the meaning of those differences. For this, t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are acknowledged for having teaching professionalism in social studies went through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By analyzing the concept of teaching professionalism in social studies with the basis of contents from the research participants’ interview, four concepts are deducted. And To compare teacher’s perception and expert researcher’s discussion on teaching professionalism, for first, teachers had a tendency to perceive teaching professionalism in social studies as teacher’s concrete ability that is revealed at the frame of one period of class, however, researchers had the aspect of more comprehensive and discursive research. Second, teachers perceived teaching professionalism as an ability to solve the actual problems that they encounter at their class processes, however, researchers discussed it with more fundamental and academic point of view. Third, teachers were generally inclined to have individual and situational perception on teaching professionalism, however, in the case of researchers, hierarchical and universal stance was marked from the aspect of creating the stream for the research on teaching professionalism. To narrow down the gap between these two group’s perception, the necessity for collaborative research between teachers and researchers, and a teacher-researcher who can play the role as a bridge between teachers and researchers, came to the fore. 본 연구는 사회과 수업전문성에 관한 전문 연구자들의 논의와 교사들의 인식을 비교하여 양자 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고 그러한 차이의 의미가 사회과 수업전문성 연구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은 무엇인지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회과 수업전문성을 인정받고 있는 10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여 사회과 수업전문성의 개념으로 활동 중심의 수업 재구성 능력, 반성적 실천, 자료제작 및 선별 능력, 탐구과정 및 협력학습 지도 능력과 같은 네 가지의 개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사회과 수업전문성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과 전문 연구자들의 이론적 논의를 비교한 결과 첫째, 교사들은 사회과 수업전문성을 한 차시의 수업이라는 틀 안에서 드러나는 교사의 구체적인 능력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연구자들은 보다 포괄적이고 담론적 연구의 양상을 띠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사회과 수업전문성을 수업과정에서 겪는 실제적인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연구자들은 보다 근원적이고 학문적인 관점에서 논의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교사들은 대체로 사회과 수업전문성에 관하여 개별적, 상황적인 인식의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연구자들의 경우 수업전문성 연구의 흐름을 형성하는 측면에서 계보적, 보편적 입장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두 집단 간의 인식의 차이를 좁히기 위한 방안으로는 교사와 연구자의 협력 연구 그리고 교사와 연구자 간의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는 교사 연구자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 KCI등재

        사회과 예비교사를 위한 학습자중심 수업전문성 프로그램 개발

        김경은(Kim, Kyoung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7

        2015 사회과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학생 참여가 전제된 학습자중심 수업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과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 학습자중심 수업 구현을 위한 전문성 함양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2016년 2학기 S대 학교 사범대학 사회과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특정 강좌를 학습자중심 수업전문성 프로그램으로 구성, 1학기 동안 운영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 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학생중심 수업전략에 기반한 모의수업을 핵심활동으로 수업대화, 저널쓰기 를 활용하여 수업전문성의 제 요소(기본 지식과 능력, 수업기획 능력, 수업실행 능력, 전문성 제고 노력)를 반영하는 강좌를 구성하였다. 해당 강좌를 통해 학생들은 경제과목 및 교수법에 대한 이해가 전반적으로 증가하였고, 학생중심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한다는 것의 의미를 실질적으로 이해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유의미한 학생 활동 구성, 수업전략, 상호작용 활성화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생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교사의 역할 및 전문성 인식에서 학습자에 대한 고려가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과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수업전 문성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learner-centered teaching professionalism program for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To achieve this aim, this study employed action research methodology. For study, the teaching course for economics education of S University was selected and organized several activities such as teaching demonstration based on learner-centered teaching strategy, conversation on lesson, and reflective journal writing. 23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attended this course. They experienced planning the lesson, teaching, learning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reflection on professionalism through this course. All outputs of this course were analyzed such as journals, lesson plans, work sheets for conversation on lesson and so on. The research results as follows. Students were found to establish more and specific perspectives on economic subjects, teaching methods, role of teacher, and professionalism. In particular, they were found to make practical knowledge about meaningful activity composition for learners, teaching strategy, and how to activate interaction with learners. These results shows necessity to discuss on how to operate and contents of teacher training program.

      • KCI등재

        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및 사회적 지지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사립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문태형(Moon, Taihyong)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학논집 Vol.25 No.4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조직몰입에 대한 교직선택동기 및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이 어떠한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사 222명이며, 연구도구로는 교직선택동기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및 조직몰입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서 기술통계치, t-test,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및 구조방정식모형을 실시하였다. 유아교사의 조직몰입은 교직선택 동기의 교직적성, 사회적 존경, 직업적 안정 및 자아실현, 네 하위요인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우발적 동기 하위요인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유아교사의 조직몰입은 사회적 지지의 정보적 지지, 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 및 평가적 지지 네 하위요인과도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교직선택동기 및 사회적 지지의 조직몰입에 대한 영향력 분석을 위해서 제안된 가설적 연구모형의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선택동기는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며 사회적 지지도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유아교사들의 조직몰입 증진을 위해 유치원 자체연수나 자체장학 등을 통한 유아교육기관 내의 포용적이고 지지적인 분위기 조성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A total of 222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focus was the influence of their motivation for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and social suppor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cales measuring motivation(for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us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sed for data analysis.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sub-factors of aptitude for the teaching profession--social respect, occupational stability, and self-actualization—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owever,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ccidental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found.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informational, emotional, material, and evaluative support--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Goodness-of-fit for the measurement and structural models of the hypothetical research model indicated their appropriateness for examining the influence of the motivation for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and social suppor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influence of motivation for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ignificant. Social support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e improv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rganiational commitment, the importance of shaping an inclusive and supportive atmosphere through organization-based self-training and self-supervision should be recognized by organiational memeber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 및 교직관 간의 구조적 관계:

        조혜영(Jo Hye Young),유재경(You Jae 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8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이 교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실습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2018년 3월부터 4월까지 수도권 지역 유아교육과와 보육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밝힌 후 최종적으로 489명을 SPSS 20.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교직관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최종모형으로 선정하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실습여부에 따른 다집단 분석결과, 실습을 경험한 예비유아교사가 그렇지 않은 예비유아교사에 비해 교수효능감이 교직관에 강력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 조절효과가 입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교육실습 기회를 제공하여 올바른 교직관을 함양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social support and teachers’ efficacy perceiv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affect their views of teaching profession and to identify differences in pathways according to belonging the group of early childhood practicum or not. For this purpose, the data collected from 489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ttending departm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educa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was analyzed by spss 20.0 and Amos 22.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efficacy was partially mediated by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econd, as a result of multi-group analysi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d experience in early childhood practicum showed a strong effect of teaching efficacy on the views of teaching profe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how to develop a proper teaching staff by providing opportunities for systematic early childhood teacher practicum.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와 교직인성이 교직관에 미치는 영향

        김영태(Young-Tae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10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와 교직인성이 교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J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과 1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한 빈도분석,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또한 신뢰도 검증으로 Cronbachs α를 산출하였고, 각 변인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 다면적 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에서는 친구지지와 부모지지가, 교직인성에서는 도덕성과 교육적신념이, 교직관에서는 교직에 관한 인식 및 개인적 자질과 전문적 자질을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이 사회적지지, 교직인성, 교직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들의 사회적지지의 하위요인과 교직인성의 하위요인이 교직관의 하위요인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예비유아교사들이 긍정적인 사회적지지를 받고 교직인성을 함양함으로써 올바른 교직관 확립을 갖추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다양한 방안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teacher disposition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s targeting a total of 152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J provinc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n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lso, Cronbachs α was calculated for verifying the reliability of the response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he support of friends and parents to be most important in terms of social support. Further, they perceived morality and educational beliefs to be the prime elements of a teachers disposition. They also felt that the perception of the teaching profession and personal and professional qualifications were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ir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Second, the social support, teacher disposition, and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Third, all th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and teacher disposition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ubfactors of the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should be multilateral research studie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correct view of the teaching profession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y getting positive social support and cultivating the proper teacher disposition.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전문성인식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이보람 ( Boram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전문성인식, 놀이교수효능감의 관계를 확인하고,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전문성인식의 관계에 있어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한 대학의 예비유아교사 159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통계와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Baron & Kenny의 분석모형에 따라 매개효과를 분석한 후 Sobel-test를 이용하여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전문성인식, 놀이교수효능감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놀이교수효능감은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교직전문성인식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본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전문성인식에 있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놀이교수효능감의 중요성과 경로를 밝혔다. 이는 예비유아교사에게 전문성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한 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을 계획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ealry childhood teachers’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play teaching efficacy, and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 of play teaching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and perceptions of professionalis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9 pre-service ealry childhood teachers from universities in the G metropolitan area. The collected data produc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integral correlations through the SPSS 21.0 program,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ed effects was verified through Sobel-test after analyzing the mediated effects according to Baron and Kenny’s analytical model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play teaching efficacy. Second, the sense of effectiveness of play teaching efficacy was fu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ealry childhood teachers' to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and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This study revealed the importance and path of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alry childhood teachers.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will help to plan capacity building education programs to promote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for pre-service ealr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초등 초임교사의 수석교사와 함께 한 전문적학습공동체 참여 경험

        김경남(Kyoung-Nam Kim),김신주(Shin-Ju Kim),임희숙(Hee Sook Lim),김민호(MIN HO KIM) 한국교원교육학회 202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40 No.2

        This study focuses on the doubts about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of Master Teacher who are doing their best so far, and learns what and how beginner teachers experience while participating in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jointly with Master Teacher, and the experience progresses in the socialization of the teaching profession. To this end, the researcher selected two of the seven beginning teachers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of elementary schools who worked as Master Teacher for two years from March 2020 to December 2021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analyzed the narrative for 5 month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wo begin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nt through a difficult journey to become teachers, and faced a reality that was different from their thoughts in the teaching field, and a future to go to. I experienced a warm 'hospitality'. In addition, two begin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alized how important it is to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philosophy' by having an opportunity to look back and reflect on themselves in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ith a Master Teacher. Furthermore, these begin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ansion of teacher’s learning'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teacher meetings outside the school in search of other learning beyond what they learned together in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side the school. Through the narratives of these two first-time elementary teachers,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ith the Master Teacher served as a 'stable guide' in the process of socializing the teaching profession and establishing the teacher's identity.

      • KCI등재

        정의지향적 다문화교사교육과정의 내용체계 탐구

        조현희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8 다문화교육연구 Vol.11 No.1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curriculum content for a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that is both responsive to a social justice perspective and relevant to the context of South Korea. Based on a theoretical relationship among social justice, teaching for social justic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he author conceptualized a justice-oriented multicultural education. By combining this justice-oriented multicultural education concept with three areas of the teaching profession presented in the Interstate Teacher Assessment and Support Consortium (InTASC), knowledge, performance, and disposition, the author designed curriculum content that helps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better achieve academic, cultural, and social/political goals. The author also discussed the suggested curriculum content with a focus on its validity, reality, practicality, and relevancy. The suggested curriculum content will provide a useful tool for developing and evaluating further standards for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본 연구는 비판적 혹은 사회정의 관점을 충실히 반영하면서도 한국 사회 맥락에 적합한 다문화교사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회정의, 사회정의를 위한 교육, 다문화교육의 개념적 관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정의지향적 다문화교육(justice-oriented multicultural education)’을 개념화하였으며, InTASC (Interstate Teacher Assessment and Support Consortium)에서 제시한 교사전문성의 세 영역(지식, 실행, 성향)을 기반으로 정의지향적 다문화교사교육과정의 학문적, 문화적, 사회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들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정의지향적 다문화교사교육과정을 타당성, 현실성, 실용성, 적합성이라는 네 가지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정의지향적 다문화교사교육과정의 내용체계는 향후 다문화교사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개발하고 평가하는 데 유용한 틀을 제공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