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 사회교과서 개발의 난제와 대안 탐색

        곽혜송 ( Hye Song Kwak ),홍미화 ( Mi Hwa Hong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4

        2007 개정에 따른 현행 사회교과서는 학습자의 흥미와 이해를 감안하지 못하는 설명형 교과서, 내용의 연계성이 부족한 교과서, 내용제시방식의 모순을 노출한 교과서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2009 개정에 의한 새로운 사회교과서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과 더불어, 창의.인성교육이라는 교육과정의 기본방향과 학년군의 도입에 요구되는 적절한 수준의 교과서로 개발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교과서 개발의 지침이 되는 2009 개정 사회과교육과정은 단원 간 성취기준의 내용 중복과 단원 증가에 따른 수업시수 확보의 어려움, 학년군별 내용 배열의 원칙 부재와 영역별 내용의 연계성 부족, 모호한 성취기준을 둘러싼 해석의 논쟁과 일관되지 못한 내용의 두께 등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교과서 개발의 대안으로 내용의 모호성과 중복을 고려한 집필진의 소통과 합의, 내용의 연계성 부족을 고려한 내러티브적 구조, 각 내용영역의 연계성을 고려한 학년군별 균형적 배치, 단원 증가에 따른 학교현장의 수업차시 감축안 마련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 수시 부분 개정 체제의 교육과정에 대비한 수준 높은 사회교과서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사회변화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사회과 내용선정 연구는 물론 학년별 내용 구성의 범위와 계열 연구, 학습자의 발달을 고려한 현장 적합성 연구 등이 필수이다. Social studies textbooks are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improving problems presented in the existing textbooks, understanding and solving problems of new curriculum. This study aim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next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help to understand who try to develop and use social studies textbooks by showing development process of 2009`s revisio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The current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are showed problems such as contents duplication due to change sequence in social studies contents, lack of connection between contents and contents, contradiction of organization of type contents, excessive explaining text. It seems to appear such problems in new textbooks. Because 2009`s revision social studies curriculum also involve many problems such as absence of sequence logic, lack of connection between contents and contents, ambiguity of achievement standards. So researchers tried to solve predicted problems through some solutions such as communication and consensus process with authors, exploring narrative structure, balanced placement of content areas in grades band, reduction of classes due to section increase. And we presented new organization type of contents. Social studies textbooks development is not process of presenting simply, but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curriculum contents.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high-level social studies textbooks, it is essential to research of contents in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other words, study about contents selection and sequence, appropriate contents on learners development. And it is need to make curriculum commentary for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to make sharing ground for researchers, textbook authors and deliberators.

      • KCI등재

        초등 사회교과서 관련 연구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즈음하여

        윤요순(Yo-sun Yun),홍미화(Mi-hwa Hong)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3 사회과수업연구 Vol.11 No.1

        AI 디지털교과서를 교육현장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AI 및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여 초등 사회과를 비롯한 각 교과에 어떠한 교과서를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우선적으로 탐색할 것을 요구한다. 그러나 기존의 초등 사회교과서 및 디지털교과서와 관련한 연구들은 대부분 교과서에 대한 관념이나 당위성, 혹은 형식적 측면에 치우쳐 수행되어 왔기에 새로운 교과서에 실질적인 기준이나 시사점을 제공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사회교과서에 대한 기존의 인식과 활용 방식인 담론과 그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그동안 초등 사회교과서는 모범(example) 또는 자료(text)로서 인식되거나 활용되는 지배담론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야기하였다. 첫째, 초등 사회교과서의 모범(example) 담론은 객관적 지식을 중시하여 사회과 내용 지식을 습득하는 방식의 수업을 양산하였다. 둘째, 초등 사회교과서의 자료(text) 담론은 교과서 활용에 대한 판단을 교사 개인이 일임함으로써 교과서와 관계없이 교사 역량에 따라 수업이 좌우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결과와 관련하여 첫째, AI디지털교과서의 개발은 지식 및 기능을 직접 수록하는 방식을 탈피해야 하고, 둘째, 학생의 경험과 맥락을 학습에 반영할 수 있는 초등 사회교과서의 상을 구상해야 하며, 셋째, AI 디지털교과서의 매체적 특성을 활용하여 학습을 극대화하는 초등 사회교과서를 구현해야 한다. To introduce AI digital textbooks into the educational field, it is required to first explore which textbooks are desirable to develop for each subject, including elementary social studies, by applying AI and digital technology. However, studies on existing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digital textbooks have been conducted focusing only on external aspects such as ideology, necessity, form, and system, and thus do not provide practical standards or implications for new textbooks. Therefore,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s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 discourse, which is the existing method of recognizing and utilizing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explores the problems in depth. As a result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tendency to recognize and utilize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as an example or text, that is, a dominant discourse. First, the example discourse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mass-produced classes in which social studies content knowledge was acquired with emphasis on objective knowledge. Second, the discourse on the text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left the judgment on textbook utilization to individual teachers, resulting in classes being influenced by the teacher's capabilities regardless of the textbook. From the analysis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I digital textbooks to be introduced in the future can be obtained. First, it is necessary to break away from the method of directly recording knowledge and skills.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ceive of a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 that can reflect students’ experiences and contexts in learning. Third,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that maximize learning by utilizing the media characteristics of AI digital textbooks.

      • KCI등재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 개발 논리와 설계 전략

        박기범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7 사회과교육 Vol.46 No.2

        Digital Textbook Design Strategy for Social Studies Park, Kee Burm(Seoul Inwang Elementary School) This treatise is idea about development logic of digital textbook and design strategy for social studies. Recently, Discussion about digital textbook development is advancing rapidly. Therefore, necessity of research is rising in theoretical side for an digital textbook. A social studies digital text book must be designed digital network learning environment which enable students to be self directed learning and collective knowledge construction for goal accomplishment of social studies education. A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 is digital space that support various and flexible Hypermedia resources structurally. This is differentiated with traditional textbook style that compose knowledge on two-dimensional surface. Concept of a digital textbook must include concept of field or space. We need conversion convergence logic in philosophy, psychology, social studies pedagogy, engineering side for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 development. Constructivism of Vygotsky, cognitive flexibility theory of Spiro and psychologization of Dewey in philosophy and psychology dimension is base of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 Also, in social studies pedagogy dimension it must be emphasized that comprehension about social science concept, collective knowledge composition skill through social interaction and participation skill. Also, Hypermedia and digital network is considered in engineer dimension. 본 연구는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 개발 논리와 설계 전략에 대한 소고이다. 최근 디지털 교과서 개발에 대한 논의가 급진전되면서 이에 대한 이론적 측면에서의 연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는 다양하고 융통성 있는 하이퍼미디어 자원을 구조적으로 지원하고, 학습자가 자기주도적인 집단지식 구성이 가능하도록 돕는 디지털 네트워크 환경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평면적 지면에 지식을 구성하는 전통적인 서책형과는 달리 디지털 교과서는 장(field)이나 공간(space)의 개념을 포함시킨다.사회과 디지털 교과서 개발을 위해서는 철학, 심리학, 사회과교육학, 공학 측면에서의 융합된 논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철학, 심리학 측면에서 비고츠키(vygotsky)의 사회적 구성주의, 스피로(spiro)의 인지적 융통성, 듀이(Dewey)의 심리화 이론을 사회과디지털 교과서의 기저로 하였다. 또한 사회과교육학 측면에서는 사회과학 영역에 대한 개념 이해,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집단 지식 구성능력, 참여 능력을 강조하였다. 또한 하이퍼미디어, 디지털 네트워크를 공학적 측면에서 고려하였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탐구주제 및 활동(예시)>’ 적용 양태에 나타난 「통합사회」 교과서 내용 개발의 문제

        오연주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9 사회과교육연구 Vol.26 No.1

        The quality of social studies textbook depend on development of creative inquiry problems and its learning activities for purpose of 2015 revised curriculum. Each 'Inquiry Problems and its Activity' is a reference for executors and performers’ practice guide. But taken account of previous custom about the development of social studies authorized textbook, Each 'Inquiry Problems and its Activity' in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could have an influence on contents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 but have not researched about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ry to build the base of understanding about conditions of development of social studies textbook through the analysis of social studies textbook contents. It try to analyze the contents all 5 sorts of supplied authorized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 For reliability between analysts, each 'Inquiry Problems and its Activity' can be classified 'Contents factor('C'), 'Material factor('M')' and 'Activity factor('A')' and 'Inquiry Problems and its Activity' and the analysis of factor unit is base on the analysis of each example of 'Inquiry Problems and its Activity' applied 「Integrated Social Studies」 subject contents. All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authorized textbook is revealed the high disposition of 'Adaption' and ‘partial adaption’,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for reconsideration on detail curriculum structure and alternative system of publish textbook, taken the circumstances into consideration of the strong controlling the cultural climate of state level curriculum and the dull uniformity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contents. 「통합사회」사회과 교과서 내용의 질은 2015 현행 교육과정의 취지와 목적에 부합하는 창의적인‘탐구주제’와 ‘학습활동’의 개발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현행 교육과정 체제에서 ‘<탐구주제 및 활동(예시)>’의 추가는 교과서 개발자를 비롯한 교육주체들의 이를 참조하여 교육과정의 취지에 타당한 교육 실천을 고양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사회과 교과서 출판 과정을 조명한 선행연구들에 비추어 볼 때에 ‘<탐구주제 및 활동(예시)>’는 사회과 교과서 내용 개발에 어떤 변화를 미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에도 이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총 5종의 「통합사회」 검정 교과서에 나타난‘<탐구주제 및 활동(예시)>’의 적용 양태를 탐구함으로써 사회과 교과서 내용 개발의 양태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분석의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탐구주제 및 활동(예시)>’의 ‘내용’, ‘자료’, 그리고 ‘활동’의 3요소별 기준으로 1단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예시들 단위로 재범주화여 적용 유형을 나누었다. ‘수용’과 ‘부분수용’적용 유형의 높은 경향성이 검정 교과서 전반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사회과 교과서 내용 개발에서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강한 의존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검정 교과서 간의 내용 획일성 문제를 야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초등 사회과에서 향후 ‘교실 교과서’의 가능성 탐색 - 해럴드 러그의 사회 교과서에 담긴 시사점을 토대로 -

        조의호(Eui Ho Jo),한춘희(Choon Hee Han)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3 사회과수업연구 Vol.11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classroom textbooks' by teacher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nationwide social studies textbook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To this end, we theoretically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classroom textbook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Harold Rugg's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Based on this, we identified the limitations of existing nationwide textbooks and devised the principle of developing 'classroom textbooks' by teachers suitable for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based on the implications obtained through analysis of Harold Rugg's social studies textbooks. The principle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ection of alternative educational content considering the curriculum standards, second, integrated topic-oriented approach, third, the composition of reading materials by storytelling and step-by-step questions aimed at student inquiry, and fourth, textbook production and post-supplement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lassroom students. Based on this principle, the researcher developed a 'classroom textbook' by teachers for some of the contents of the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used it for class, and confirmed the response of students and fellow teachers to the 'classroom textbook.' The possibility of 'classroom textbooks' by teacher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is as follows. First, 'classroom textbooks' by teachers provide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social studies classes suitable for classroom students. Second, 'classroom textbooks' by teachers provide the possibility as a useful tool to realize alternative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led by teachers and students. 본 연구는 초등 사회과교육에서 기존 전국 단위 검정 사회 교과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교사에 의한 향후 ‘교실 교과서’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이를 위해 교실교과서의 성격을 탐색하고, 미국 사회과교육의 역사상 혁신적이며 초등 사회과 정립에 이바지한 것으로 평가받는 해럴드 러그의 사회 교과서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기존 전국 단위검정 교과서의 한계를 규명하고, 해럴드 러그의 사회 교과서 분석을 통해 얻은 시사점을 바탕으로 초등 사회과교육에 적합한 ‘교실 교과서’ 개발 원리를 구안하였다. 구안한 원리로는 첫째,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고려한 대안적인 교육내용 선정, 둘째, 주제 중심의 영역 통합적 접근, 셋째, 학생 탐구를 지향하는 이야기체 서술의 읽기 자료 및 단계적 질문 구성, 넷째, 교실 학생의 특징을 고려한 교과서 제작 및 사후 보완이다. 이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초등학교 4학년 2학기 일부 내용을 대상으로 교사에 의한 ‘교실 교과서’를 개발하여 수업에 활용하였으며, ‘교실 교과서’에 대한 학생과 동료 교사의 반응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초등 사회과에서 향후 ‘교실 교과서’의 가능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실 교과서’는 기존 전국 단위 검정 교과서의 한계를 극복하고 교실 학생에게 적합한 사회과 수업을 실현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둘째, ‘교실 교과서’는 교사와 학생이 주도하는 대안적인 초등 사회과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써 그 가능성을 제공한다.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사회 교과서에 반영된 교과문식성 연구

        이경화(Lee, Keong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1

        교과 학습에서 교과 내용과 문식성은 모두 중요하며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 점에 주목하여 이원교육과정(dual-track curriculum)을 제안하였다. 교과 내용과 언어 기능이 연계됨에 따라 교과 학습이 촉진되고, 언어가 사용되는 맥락이 풍부해짐에 따라 언어 기능도 향상된다. 그러므로 학생들이 사회 교과 시간에 교과 내용을 배울 때 언어 기능을 연계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한국의 사회 교과서에 반영된 교과문식성 내용, 이원교육과정을 적용하고 있는 미국의 사회 교과서에 반영된 교과문식성 내용을 각각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 교과문식성 향상을 위한 바람직한 사회 교과서 개발 방향을 제안하였다. 첫째, 사회과 교육과정에 ‘이원교육과정’(dual-track curriculum)을 적극적으로 반영 해야 한다. 둘째, 사회 교과서 개발 단계에 사회과 교육 전문가와 문식성 전문가가 공동으로 참여해야 한다. 셋째, 사회 교과 학습 주제에 관한 다양한 유형의 읽기 제재와 쓰기 과제를 사회 교과서에 제시해야 한다. 넷째, 사회 교과서에 ‘사회 교과서 읽기 기능’ 코너를 마련하고 문식성 기능 학습을 위한 절차적 지식이 잘 드러나게 구성해야 한다. 다섯째, 사회 교과서에 ‘어휘 학습’ 코너 및 ‘사회 교과 특수 기능’ 코너를 마련해야 한다. The relation of Subject content and literacy is complementary. By giving attention to this relation, in this study I suggested dual-track curriculum. When the student study about the learning content of the social subject class, it is necessary to connect subject content with the language function. By linking the subject learning content and literacy, the student’s subject learning ability can be improved and by the abundant language use in context, the student’s literacy is also improved. In this study I observed respectively, the subject literacy content which is reflected in Korean social textbook and subject literacy content which is reflected in American social textbook. I suggested desirable social textbook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social subject literacy on the ground of this study. 1. ‘Dual-track curriculum’ should be actively reflected in Social Studies curriculum. 2. Literacy specialist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specialist should be participate as core re-searchers at the development stage of the social subject textbook. 3. Various type of the reading materials and writing tasks about the Social Studies subject theme should be presented in Social Studies textbook. 4. Social Studies textbook should include the corner of ‘Reading Social Studies and be organized to expose the procedural knowledge well. 5. Social lesson textbook should provide the corner of the ‘Vocabulary Study’ and ‘ Social Studies Special Skills.

      • KCI등재

        교과융합을 위한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과국어 교과서의 연계성 분석

        이서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敎員敎育 Vol.39 No.6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학습자의 전인적 성장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이 실현될 수 있도록 교과교육을 융합하여 교과, 지식, 기능, 가치 및 태도 형성이 효과적으로 이뤄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기초 연구로, 초등 국어 교과서 수록자료에서 사회과 교육과정 구현 양상을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초등 국어 교과서에 제시된 다양한 자료를 읽고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 따라 분류한문서를 교육학박사 1인의 검토를 받은 뒤에 국어 교과서 수록자료에서 나타나는 사회과 교육과정 영역 및 핵심 개념 분포와 학년군 배치 및 내용을 분석한다. 연구결과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사회과 교육과정 관련 자료는 총 59개로, 전 영역에서 나타나지만, 47.7%의 핵심 개념만 다뤄졌다. 특히 '지속가능한 세계' 영역과 '지속가능한 환경' 핵심 개념이 가장 많이 다뤄졌다. 그러나 '경제' 영역은 1개만 수록되어 있었다. 5~6학년군에 수록된 자료가 3~4학년군 보다 1.68배 많았다. 동일 학년군 국어 교과서에 배치된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자료는 74%였다. 3~4학년군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자료 중에서는 50%가 사회과 교육과정의 5~6학년군 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결론 국어 교과서에 수록자료에는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이 균형적으로 반영되지 못하였고, 학년군 위계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도 다소 나타났다. 교과융합의 관점에서 향후 국어 교과서 개발 시, 사회과에서 배운 내용을 심화 확장하는 자료를 동일 학년군에서 균형적으로 배치하거나 사회과에서 학습하기 이전에 경험할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교과융합의 형태이다. 이는 학습자의 학습 부담은 줄이지만 학습에 대한 흥미는 고취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사회과 교육과정의 영역별로 국어 교과서에서 다뤄져야 하는 내용 선정과 국어 교과서 제재 선정 기준의 정교화를 제안한다. Purpose: This study presents basic research to find a way to effectively form subject knowledge, skills, values, and attitudes by converging subject education so that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learner holistic growth can be real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lementation aspects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Korean textbooks. Methods: After a Doctor of Education examined various materials presented in elementary Korean textbooks and reviewed document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content system the distribution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areas and core concepts, and the placement and contents of grade group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were analyzed. Results: A total of fifty-nine pieces of material related to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cluded in Korean textbooks appeared in all areas, but only 47.7% of the core concepts were covered. In particular, the core concepts of a "sustainable world" and "sustainable environment" were most often addressed. However, only one 'economy' area was included. The data included in the 5th and 6th grades were 1.68 times more than the 3rd and 4th grades. The content data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ssigned to Korean textbooks in the same grade were 74%. Among the materials contained in the Korean textbooks in the 3rd and 4th grades, 50% dealt with the contents of the 5th and 6th grades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Conclusion: The contents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were not reflected in the materials included in the Korean textbooks in a balanced manner, and in some cases were not suitable for the grade group hierarchy. In terms of subject convergence, it is a desirable form of subject convergence toplace materials that deeply expand what is learned in Social Studies in the same grade group or to experience it before learning about it in Social Studies. This is expected to not only be an opportunity to reduce the learning burden on learners, but to inspire interest in learning. Accordingly, it is proposed to elaborate the criteria for selecting the content to be dealt with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each area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selecting specific target areas for Korean language textbooks.

      • KCI등재후보

        메타포적 관점(the metaphorical)을 통한 사회 교과서 인식

        윤요순(Yun Yo-sun),홍미화(Hong Mi-hwa)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1 사회과수업연구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 교과서를 지식 전달의 수단으로서만 인식하는 기존 관점의 한계를 도출하고, 사회 교과서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여 사회과 학습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초등 사회 교과서로서의 가능성을 인식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하여 첫째, 사회 교과서에 대한 기존의 관점을 인식론과 교육적 차원에서 조망하고, 둘째, Richard Rorty의 인식론을 통하여 메타포적 관점을 제시하며, 셋째, 기존의 관점과 메타포적 관점으로 본 사회 교과서가 사회과 학습에서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탐색하였다. 이 결과, 첫째, 기존의 관점은 사회 교과서가 교육과정의 모방, 즉 일종의 참고서 역할을 하도록 했으며, 학생이 교과서 내용을 기억, 회상하는 차원으로 학습을 한정시키고 있다. 둘째, 메타포적 관점은 사회 교과서가 학습 내용과 관련한 학생의 경험과 표현을 드러낼 수 있는 공간으로 기능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포적 관점에 의하여 사회 교과서가 학생들의 다양한 언어표현을 수용하여 실제적인 사회 인식과 지식 구성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사회 교과서가 학생의 맥락과 언어에 관심을 가지고 개발, 혹은 연구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os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perspectives that social studies textbooks perceive only as a means of knowledge transfer and to recognize the possibility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that can actively contribute to social studies learning. In this study, we first looked at the existing perspective of social studies textbooks at the epistemology and educational perspective, secondly presented ‘the metaphorical perspective’ through Richard Rorty’s epistemology, and thirdly explored what the social studies textbook means to social studies learning from an existing perspective and ‘the metaphorical perspective’. As a result of exploration, first, the existing perspective allowed social studies textbooks to serve as reference books as imitations of the curriculum, and limited their learning to the extent that students remember and recall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Second, ‘the metaphorical perspective’ allows social studies textbooks to function as a space where students’ experiences and expressions related to their learning content can be revealed. In this study, we confirm that social studies textbooks can actively contribute to actual social awareness and knowledge composition by embracing students’ diverse language expressions from ‘the metaphorical perspective’. This suggests that social studies textbooks should be developed or studied with interest in the context and language of students.

      • 초등 <슬기로운 생활> 및 3, 4학년 <사회> 교과의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

        구정화(Jeonghwa Koo),문혜숙(Hyesook Moon)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1 다문화교육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ulticultural components of the ‘wise life’ textbooks and third- and fourth-grade social studies textbooks of the revised 2007 national curriculum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descri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an effort to find out the way of dealing with multiculture in the textbooks. It's basically meant to give some suggestions on the description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on multiculture. A content analysis of the first- and second-grade ‘wise life’ textbooks and third- and fourth-grade social studies textbooks of the revised 2007 curriculum was made to serve the purpose. As a result, it's found that the revised ‘wise life’ textbooks and third- and fourth-grade social studies textbooks were prepared from a multicultural perspective in general. Specifically, the textbooks gave weight to pluralism and diversity to teach students to be aware of and value different races, cultures and lifestyles and take an ideal attitude to cultural diversity. The textbooks provided accurate information in multicultural groups in our country and dealt with social justice in large part. But the textbooks still contained the kinds of statements and photographs that were Korean-race-centered, which was a phenomenon that was found in the seventh textbooks as well. Besides, there were some statements in the textbooks that might result in making students have a mis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groups, which indicated that the textbooks didn't absolutely seek after multiculturalism. It's feared that the fact the national curriculum didn't offer exact guidelines on the standard and direc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likely to lead to a lack of consistency in social studies textbooks. The following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statement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on multiculture: The opinions and positions of a minority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textbooks are developed, and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covered in a coherent manner. And multicultural components should be included in a wide variety of texts, activities and inquiry activities by utilizing non-letter materials and actual cases. In addition, the national curriculum should deal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as well. Now that revised textbooks have been published, some of the revised textbooks were analyzed, and it's found that the textbooks were prepared from a multicultural perspective. So more researches should be implement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ways of actualizing multiculturalism. Given the importance of textbooks, intensive research efforts should be made to publish social studies textbooks that are consistently based on multiculturalism irrespective of grade. 이 연구는 2007년 이후 개정된 초등학교의 <슬기로운 생활>의 사회관련 내용 부분 및 3, 4학년의 <사회> 교과서를 대상으로 다문화 내용요소 및 다문화교육 기술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의 틀은 조영달 외(2009)에서 교육과정을 분석하기 위한 틀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다문화주의 관점을 많이 반영하고 있으며 체 7차 교육과정 시기의 교과서에 비해 다문화 관점이 더 많이 반영되어 나타난다. 둘째, 다문화 교육의 내용에서 정의적인 측면의 내용이 다수 나타나고 있어서 지식 이외 태도측면의 다문화주의 수용을 강조한다. 셋째, 다문화 주의 관점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다문화집단의 관점에서가 아니라 다문화 집단을 어떻게 도와야 하는지 등과 같이 다문화 집단을 대상화하는 기술을 주로 보이고 있어서 문제가 된다.

      • KCI등재후보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 개발 방향 탐색

        한춘희(Han, Choon-Hee)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교육연구 Vol.52 No.-

        본 논문은 교육과학기술부의 스마트 교육전략에 따라 본격적으로 보급될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의 바람직한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디지털 교과서는 서책형 교과서의 한계를 극복하고 교실수업개선과 학생별 맞춤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교과서 발전 방안의 하나이다. 그러나 진정한 의미의 교육이란 교사와 학생 간, 학생과 학생 간 긴밀한 상호작용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디지털 교과서란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교수ㆍ학습을 목적으로 초ㆍ중ㆍ고에서 학생들이 학습의 기본 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학교 교육과정의 내용을 중심으로 제작된 것으로, 서책형 교과서가 가지는 장점을 살리고 검색ㆍ내비게이션 등의 부가적인 편의 기능, 애니메이션ㆍ3D 등 멀티미디어 학습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학습 교재이다. 또 디지털 교과서는 텍스트와 이미지 중심의 평면적이고 선형적인 기존 서책형 교과서와 달리 소리, 동영상, 애니메이션, 가상 현실 등의 멀티미디어 학습 자료를 풍부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자료 수집, 내용전달매체, 학습방법, 접근성, 재사용성과 확장성 등의 측면에서 여러 가지 유용성과 활용성을 가지고 있다.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는 디지털 교과서 본연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면서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사회과의 성격과 본질에 충실하고,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하고, 내용 구성의 내적 측면과 외적 체제에서 질이 높은 교과서가 되어야 한다. 아울러 학생들의 수준별 학습이 가능하고, 교사와 학생이 쉽게 활용하고 함께 만들어가는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가 개발되어야 한다. 디지털 교과서의 유형은 온라인형과 오프라인형, 교사용과 학생용, 분과형과 통합형, 주교재와 보조 교재, 열린 교재형과 폐쇄형 교재 등 다양하다. 사회과의 본질과 특성을 고려한다면 서책형 교과서와 디지털 교과서가 동시에 개발되어야 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언제든지 활용이 가능하고, 교사용과 학생용을 구별하여 개발하고, 열린 교재형으로 개발되어 학생들이 지식의 구성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충분한 연구와 협의, 고민을 통하여 바람직한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방향을 모색하고 사회과의 특성을 살린 디지털 교과서를 개발해야 한다. 또 교사들이 수업 주도권을 갖고 다양한 자료들을 활용할 수 있고, 학생들이 즐겁게 배우고 활동할 수 있고, 사고력이 신장시킬 수 있는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가 개발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desirable directions for developing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s, which will be in full-scale distribution in the near future according to the Smart Education Strateg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Digital textbooks are part of the textbook development plan design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aper-based textbooks and help to improve classroom lectures and run customized curriculums for individual students. However, education in a true sense happens through clos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among students themselves. Digital textbooks are made based on the content of a curriculum for elementary,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to use as a basic material for the sake of effective and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They are digital learning materials that highlight the advantages of paper-based textbooks and perform additional convenience functions such as search and navigation and multimedia learning functions such as animation and 3D. Unlike conventional paper-based textbooks that are planar and linear ones based on texts and images, digital textbooks provide a rich range of multimedia learning materials including sound, video, animation, and virtual reality and further offer a variety of usefulness and usability in terms of data gathering, content delivery media, study methods, accessibility, reusability, and scalability.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s should be developed in the following directions while making utmost use of the original advantages of digital textbooks: they should be loyal to the nature and essence of social studies, allow the students to do self-directed learning for themselves, and offer high quality in the internal aspect of content organization and in the external system. They also should allow students to do individual level-based learning and enable both teachers and students to easily use and build them together.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digital textbooks including on- and off-line textbooks, teachers' and students' editions, separate and integrated, main and auxiliary, open and closed textbooks. Considering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studies,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s should be developed in conjunction with paper-based ones. They should be accessible both on- and off-line anytime and separately developed for teachers and students. They should also be open so that students can experience the process of knowledge formation themselves. The directions for developing social studies digital books should be searched for through sufficient research, discussion, and agreement about them and by fully highlighting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tudies. In addition, they should be developed in a way that can allow teachers to utilize various materials with teaching initiative in their hands and in such a way that students can enjoy learning and activities and enhance their thinking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