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 공공서비스로써 사회적 처방 디자인의 뮤지엄 프로그램 개발 프로토콜 연구

        주하나,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5

        (연구 배경 및 목적) 최근 세계는 정신건강 관련 이슈를 정부나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다루길 권장하고 있고, 세계보건기구(WHO)는 지역사회 자원 연계형 공공서비스로써 사회적 처방(Social Prescribing) 도입을 권장하고 있다. 점차 공공디자인의 영역이 공공가치 추구로 진화하며 보건 및 복지적 확장을 요하는 이 시기에, 문화체육관광부의 ‘2024 문화로 사회연대 사업’은 국내 사회적 처방 개념의 건강 돌봄 공공서비스 도입 추세임을 나타낸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사회 문화 예술 중심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뮤지엄의 운영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사회적 처방 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하여 뮤지엄 프로그램 개발 프로토콜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국내 환경에 적합한 건강지원 공공서비스 디자인의 기초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ADDIE 모델의 5단계(분석-설계-개발-수행-평가)를 바탕으로 첫째, 지역사회 공공서비스로서 연구 대상지로 선정된 뮤지엄과 10년간의 프로그램을 조사 및 분석(Analysis)하고, 둘째, 설계(Design) 단계에서 향후 참여자가 될 성인들의 뮤지엄과 공공서비스 관련 인식 및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셋째, 선정된 8개 기관이 제공하는 공공서비스 분석 결과와 설문조사 결과를 참고하여 건강한 사회 지원을 위한 뮤지엄 프로그램을 개발(Development)하였다. 넷째, 개발된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경기도 내 용인의 P 뮤지엄에서 30명의 성인 참여자와 함께 사회적 처방 디자인 뮤지엄 프로그램을 수행(Implementation)하였다. 다섯째, 프로그램 종료 후 참여자의 종합적 만족도 조사와 피드백,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사회적 처방 디자인 프로그램을 다각도로 평가(Evaluation)하였다. (결과) 체계적 절차에 따라 개발된 공공서비스로써 사회적 처방 디자인 프로토콜에 관한 피드백을 받은 결과, 향후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이 이어진다면 지역사회 정신건강 돌봄의 역할 가능(86.6%)과 지역사회의 연결과 유대를 도모할 수 있을 것(83.3%)이란 피드백 결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기존 서비스 개선과 시민들의 요구에 적합한 건강지원 공공서비스 디자인 수행의 기초가 될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첫째, 디자인 기획 단계에서부터 시민들이 요구하는 건강지원형 뮤지엄 프로그램의 공공서비스 도입을 파악하고 적합한 자원을 발굴해야 한다. 둘째, 비임상적 환경인 뮤지엄이 건강하게 심리적, 정서적, 사회적 안녕감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영역과의 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셋째, 지역사회 공공서비스 프로그램을 질적으로 일관된 운영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프로토콜 운영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이를 기반으로 후속 연구에서 사회 실험과 효과성 검증의 근거기반 실증연구로 이어지길 바라며, 실질적인 사회 서비스 제공 기관으로써 뮤지엄의 수행에 본 연구의 프로토콜 체계가 도움이 되길 바란다. (Background and Purpose) Contemporary global paradigms advocate for proactive governmental and local authority engagement in addressing mental health-related issues.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recommends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prescribing as an integrated community resource-linked public service. As public design evolves towards the pursuit of public value and expands into health and welfare domains, the Korean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s "2024 Social Connectivity by Culture" initiative signifies a pivotal shift towards introducing social prescribing-based public services.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robust foundation for implementing a domestically tailored social prescribing system and health-supporting public service design by developing a systematic protocol centered on museums as community-oriented public service providers. (Method) This study employed the five-stage ADDIE model (Analysis-Design-Development-Implementation-Evaluation). First, the Analysis phase investigated and examined a selected museum and its decade-long programs as community public services. Second, the Design phase conducted surveys to ascertain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potential adult participants regarding museums and public services. Third, the Development phase created museum programs supporting societal health, based on analyses of public services provided by eight selected institutions and survey results. Fourth, the Implementation phase executed a social prescribing design museum program with 30 adult participants at P Museum in Yongin, Gyeonggi-do, utilizing the developed program. Finally, the Evaluation phase comprehensively assessed the social prescribing design program through multifaceted methods, including participants' overall satisfaction surveys, feedback, and expert interviews. This systematic approach ensured a thorough exploration of the potential for museums to serve as effective providers of health-supporting public services within the community context. (Results) Feedback on the systematically developed social prescription design protocol revealed its significant potential to contribute to community mental health care (86.6%) and foster community connections (83.3%) if provided continuously. Consequently, this protocol is expected to serve as a foundational framework for implementing supportive public health service designs that enhance existing services to meet citizens' needs appropriately and effectively. (Conclusion) This study concludes that museums must proactively identify and incorporate health-supporting public services from the initial planning stage, collaborate with multidisciplinary specialists to promote holistic well-being in nonclinical settings, and establish a systematic, evidence-based protocol for sustainable and high-quality community programs. We anticipate that future research will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innovative approach, and that this comprehensive protocol will aid museums in delivering impactful and transformative community social services, thereby contributing significantly to the broader fields of public health, social welfare, and community well-being.

      • KCI등재

        사회부과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자비의 이중매개효과

        한소희,김영근 한국상담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on social anxiety, and to confirm the dual mediating role of emotional clarity and self-compassion in this process. A survey was conducted on 488 adults aged between 20 and 40. SPSS 22 and AMOS 22 were used to validate the dual mediation model, using scales for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social anxiety, emotional clarity and self-compassio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emotional clarity, self-compassion, and social anxiety exhibited significant correlations. Emotional clari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while self-compassion also mediated these relationships. Emotional clarity and self-compassion sequentially doubl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High scores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were associated with difficulties in emotional clarity, leading to decreased levels of self-compassion and subsequent social anxiet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부과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자비가 이중매개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총 488명 20대∼40대의 성인 남, 녀를 대상으로 사회부과완벽주의 척도, 정서인식명확성 척도, 자기자비 척도, 사회불안 척도로 구성된 온라인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를 SPSS v.22와 AMOS 2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설정하고 부트스트래핑을 사용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완벽주의와 사회불안,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자비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사회부과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사회부과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넷째, 사회부과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자비가 이중매개하였다. 즉, 사회부과완벽주의가 높을수록 정서 인식이 어렵고, 자기자비의 수준 또한 낮아져 사회불안을 경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불안의 개입에 있어서 정서인식명확성 및 자기자비 증진의 필요성과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과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최유정,홍혜영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mattering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students in college and a total of 408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instruments used in the measurement wer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cale(HFMPS), social anxiety scale, mattering scale,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21.0,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mediating effects were verified using Mplus 7.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anxiety but negative correlation with mattering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ttering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but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 anxiety.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mattering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Fourth, the effect of double mediation of mattering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was confirmed in relation to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in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과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총 40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에 사용된 도구는 사회부과 완벽주의 척도, 사회불안 척도, 대인존재감 척도, 자기수용 척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고, Mplus 7.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과 매개효과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사회불안과 정적상관을 보였으나 대인존재감과 자기수용에 대하여 부적상관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대인존재감과 자기수용은 서로 정적상관이 확인되었으나 사회불안과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넷째,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과 자기수용의 이중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를 제시하고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개념 명확성의 이중매개 효과

        전유나,조한익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4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개념 명확성의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남녀 대학생 288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척도,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 사회부과 완벽주의 척도, 자기개념 명확성 척도를 활용하여 설문을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와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변인들의 상관을 분석하고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간접효과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는 사회부과 완벽주의, 사회불안과 유의한 정적 상관, 자기개념 명확성과는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사회불안과 유의한 정적 상관, 자기개념 명확성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자기개념 명확성은 사회불안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를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개념 명확성은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개념 명확성은 이중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사회불안으로 상담센터를 내방하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은 대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상담 개입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on social interaction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s and also to verify the double effects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elf-concept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vert narcissism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Methods For this, survey has been conducted on 288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he use of covert narcissism scale(CNS),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SIAS),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scale (HMPS), and self-concept clarity scale(SCCS). For collected data, correlation among variables has been verified by using SPSS 24.0 and Process Macro along with dual mediation effect. At the same time, bootstrapping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 Result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covert narcissism, social anxiety,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elf-concept clarity. Covert narcissism turned out to b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but to b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concept clarity.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turned out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anxiety but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lf-concept clarity. Social-concept clarity turned out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ocial anxiety. Secondly,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turned out to be correlated with the covert narcissism and social anxiety. Third, self-concept clarity turned out to have a partial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vert narcissism and social anxiety. Fourth, there was a dual mediation effect o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elf-concept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vert narcissism and social anxiety.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to suggest a direction of efficient consultative involvement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high level of the covert narcissism who visit counseling center due to social anxiety.

      • KCI등재

        초기 청소년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효과

        방한별,김영희 한국청소년학회 2019 청소년학연구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in early adolescents. For thi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social anxiety, and self‐concept clarity for 514 early adolescents in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The mediated effect was examined through the verification of mediator effect of Baron and Kenney(1986) and Sobel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h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anxiety sub-factors (interpersonal anxiety, performance anxiety). And the self‐concept clarity h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interpersonal anxiety and performance anxiety. Second, it was found that in early adolescence,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ub-factors of social anxiety (interpersonal anxiety, performance anxie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en counseling early adolescents with high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tendency, coping with self‐concept clarity is an effective way to lower the social anxiet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청소년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에 재학 중인 초기 청소년 514명을 대상으로 사회부과 완벽주의, 사회불안, 자기개념명확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과 Sobel 검증을 통해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하위요인인 대인불안과 수행불안 모두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자기개념명확성과 사회부과 완벽주의, 그리고 자기개념명확성과 사회불안의 하위요인인 대인불안, 수행불안 모두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초기 청소년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하위요인인 대인불안, 수행불안과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부과 완벽주의 성향이 높은 초기 청소년을 상담할 때, 자기-구조변인인 자기개념명확성을 다루는 것이 사회불안을 낮추는데 효과적인 방안임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직장인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기위로능력의 조절효과

        이성령(Lee Seong Ryeong),홍혜영(Hong Hye Young) 한국통합치료학회 2016 통합치료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직장인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사회불안, 자기위로능력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 대한 자기위로능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에 소재한 직장에 다니고 있는 직장인 49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사회부과 완벽주의 및 사회불안에 남녀 간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회부과 완벽주의에서는 여성보다는 남성이, 사회불안에서는 남성보다는 여성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연령대별로 변인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한 결과, 사회부과 완벽주의에서 40대 이상 집단이 20대, 30대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위로능력, 자기위로능력과 사회불안은 각각 부적 상관을 보였다.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은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를 확인하였을 때 여성은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남성의 경우 유의하지 않았다. 각 연령대별로 조절효과를 실시한 결과, 30대 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며, 20대와 40대의 경우 그렇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통하여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으로 인해 심리적 고통을 겪는 직장인들에게 자기위로능력이라는 부분을 통하여 치료적 개입이 가능함을 밝혀낸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explor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social anxiety, soothing receptivity,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soothing receptivit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in employees. The paticipants were 493 employees in capital area.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First,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had a positive relations with social anxiety.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had a negative relations with soothing receptivity, soothing receptivity had a negative relations with social anxiety. Second, the result from multiple analysis suggested that soothing receptivity moderated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Gender differences were identified in moderated effects of soothing receptivity. also, Age group differences were identified in moderated effects of soothing receptivity. This study was demonstrated role of soothing receptivity as a moderator against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leading social anxiety, which implies that intervention to the soothing receptivity should be a changed according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level in counseling session. Based on that, limitations of the results and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descused.

      •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부과 완벽주의의 관계에서 자기용서의 조절효과

        임원범(Lim Won Bum),홍혜영(Hong Hye young) 한국통합치료학회 2015 통합치료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부과 완벽주의의 관계에서 자기용서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충청 소재의 대학생 중 284명의 자료를 분석 한 결과 내현적 자기애는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내현적 자기애와 자기용서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자기용서와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내현적 자기애는 사회부과 완벽주의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으며,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부과 완벽주의의 관계에서 자기용서는 부적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내현적 자기애의 하위요인인 과민/취약성, 소심/자신감 부족과 사회부과 완벽주의의 관계에서 자기용서는 부적 조절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목표불안정, 인정욕구/거대자기 환상, 착취/자기 중심성과 사회부과 완벽주의의 관계에서 자기용서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높은 수준의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부과 완벽주의로 인해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내담자들에게 자기용서를 통한 치료적 개입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forg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college students perceived. For this the questionnaire was carried out to 336 college students in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and the study materials of 284 person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mong them. Covert Narcissism criterion,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criterion, and Korean-version state self-forgiveness criterion were used,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Covert Narcissism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Covert Narcissism and self-forgivenes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and self-forgiveness and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Second, Covert Narcissism predicted the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significantly and self-forgiveness showed the nega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lso, self-forgiveness showed the nega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hypersensitiveness/vulnerability, timidity/lack of confidence which were the sub-factors of Covert Narcissism.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forgiveness was not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instability, acknowledgement desire/giant self-illusion, exploitation /self-centeredness and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These study results revealed self-forgiveness had the moderating effect in the effect of Covert Narcissism o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implied that the therapeutic involvement was possible through self-forgiveness to clients suffering from the psychological difficulty due to a high level of Covert Narcissism and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during consulta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results.

      • KCI등재

        인문계 고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우울과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초점적 주의와 자기비난의 매개효과

        김슬기,이동귀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5 No.2

        The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SPP) on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and further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focused attention and self-criticism. The questionnaires designed to measur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ocial anxiety, depression, self-focused attention, self-criticism scale for adolescents were administered twice at an interval of three weeks to 273 students (83 men, 190 women) enrolled at high schools in Gyeonggi-do Province. The findings for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PP, depression, social anxiety, self-focused attention, and self-criticism showed all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the mediation effect from the SPP to depression via self-focused atten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reas the indirect effect from the SPP to depression via self-criticism was not. Third, the pattern in depression was the same in social anxiety. The results provide indirect support for the social anxiety cognitive model (Clark & Wells) with regards to social anxiety particularly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우울 및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기초점적 주의와 자기비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고등학생 273명(남학생 83명, 여학생 190명)을 대상으로 약 3주간의 간격을 두고 총 2회에 걸쳐 사회부과 완벽주의, 사회불안, 우울, 자기초점적 주의, 자기비난의 척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 우울, 사회불안, 자기초점적 주의, 자기비난 사이에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초점적 주의를 거쳐 우울로 이행되는 매개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비난을 거쳐 우울로 이행되는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우울 대신 사회불안을 기준변인으로 했을 때도 동일한 매개효과 패턴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초점적 주의를 매개로 하여 각각 우울 및 사회불안으로 이행되는 과정을 경험적으로 밝혔고, 특히 사회불안의 경우에는 한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Clark와 Wells의 사회불안장애 인지모델을 적용하는 것의 타당성에 대한 간접적인 증거가 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자아핸디캡전략의 매개효과

        이현주 한국진로교육학회 2011 진로교육연구 Vol.24 No.3

        This study investigated not only the relationship among perfectionism, self-handicapping strategy and career indecision but also the function of self-handicapping strategy on two variables. Total of 280 high school students(male: 166, female: 114) on the basis of the data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Correlation, M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nd differences among variables and the mediated effect of self-handicapping strategy. The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The correlational analysis showed that self-handicapping strategy associated positively with career indecision, and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positively with self-handicapping strategy and career indecision, too. This result meaned that the more self-handicapping strategy and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the higher career indecis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handicapping strategy and career indecis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That is to say, participants perceived more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had more career indecision and self-handicapping strategy than comparative group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self-handicapping strategy total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career indecision. The results supported that self-handicapping strategy reacted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as a negative motivational strategy. The results suggested that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endorsed negative career development. As a resul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handicapping strategy was confirmed. 이 연구는 고등학생들이 지각하는 자신의 완벽주의 성향(자기지향적, 타인지향적,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과 자아핸디캡전략, 진로미결정의 관계를 분석하면서, 자아핸디캡전략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있다. 여기에서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완벽주의 성향 중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임으로써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성향이 많을수록 자아핸디캡전략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진로미결정 수준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완벽주의 성향 수준에 따른 자아핸디캡전략과 진로미결정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타인지향적 완벽주의 성향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 진로미결정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으며,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수준 간 자아핸디캡전략 및 진로미결정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셋째,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 절차에 따라 고등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진로미결정 간 관계에서 자아핸디캡전략을 매개로 하였을 때 고등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성향은 진로미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이 사라지고, 자아핸디캡전략의 영향력은 상당히 증가함으로써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진로미결정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역기능적 인성 특성과 인지적 특성의 구체화 작업이 필요함을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사회적 지지, 일 자유의지와 진로만족의 관계: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김나래,노혜연,박기산,이기학 한국상담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2 No.1

        This study applied the Psychology of Working Theory (PWT) and Self-Determine Theory (SDT) to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rough an integrated model, the authors attempt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career satisfaction. In this mediated moderation model, social suppor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career satisfaction, and this moderating effect was mediated by work volition. Participants included 253 undergraduates who completed a survey. The results indicated that work volition, career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perfectionism. Additionally, the moder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between perfectionism and career satisfaction was confirmed, and the moder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work volition. Finally, work volition mediated perfectionism and career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work volition.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Psychology of Working Theory(PWT)와 자기결정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SDT)의 모형을 국내 대학생에게 적용해보고자 하였다. 통합적 모형을 통해,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진로만족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진로만족의 관계에서 일 자유의지를 통해 사회적 지지가 매개된 조절효과를 지니는지를 검증하였다. 대학생 253명을 대상으로 사회부과 완벽주의, 일 자유의지, 진로만족과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 자유의지, 진로만족, 사회적 지지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다른 변인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진로만족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일 자유의지의 관계에서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진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일 자유의지가 이를 매개하며,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일 자유의지의 관계를 사회적 지지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된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