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식 개발을 위한 뇌성마비 아동의 식품섭취 실태

        김잔듸(Jan Di Kim),조미숙(Mi Sook Ch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의 성장발달에 기여할 간식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만 1∼7세의 뇌성마비아동과 어머니 각각 99명을 대상으로 뇌성마비 아동의 신체발육과 식습관, 영양섭취상태, 간식섭취실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WLI(Weight-Length Index)를 기준으로 비만도를 판정한 결과 저체중아비율은 45.5%, 정상아는 45.5%, 과체중아는 6.0%, 비만아는 3.0%로 나타났다. Waterlow 분류법을 이용하여 영양불량상태의 정도를 분류해 본 결과 정상인 아동이 76.6%, 쇠약인 아동이 10.3%, 성장부진인 아동이 8.0%, 성장부진과 쇠약인 아동이 5.0%로 나타났다. 아동들의 영양섭취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아동들이 식사 섭취한 내용을 한국인 일일 영양권장량과 비교분석한 결과 아연과 엽산의 섭취량 비율(%RI)은 모든 연령대에서 권장섭취량에 미달하였다. 권장섭취량의 75% 이하를 섭취하는 아동의 비율은 엽산(76.8%)과 아연(76.8%), 열량(59.8%), 칼슘(52.4%), 철(52.4%)의 경우 50% 이상이었고, 권장섭취량의 125% 이상을 섭취하는 아동들의 비율이 단백질은 85.4%, 비타민 B?은 53.7%로 나타났다. 어머니들이 주로 구입하는 시판간식은 우유 및 유제품(43.5%)과 과일류(33.3%)가 많았고 시판 간식에 대해서는 첨가물(보존료, 색소)을 가장 문제점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아동들을 위해서 성장발달에 도움이 되는 간식(50.5%)이 새로 개발되기를 가장 바라고 있어서 이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으며, 새로 개발되기를 바라는 간식의 종류로는 떡류(47.5%)와 과자류(24.2%) 및 빵류(22.3%)를 선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뇌성마비 아동은 정상아동에 비해 성장이 느리고 영양소 섭취량도 현저히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대상 아동들이 현재의 식품 섭취량으로만 계속 섭취한다면 정상적인 성장을 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뇌성마비 아동과 같이 저영양 상태에 있는 아동의 성장발달과 건강증진을 위한 간식제품의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새로 개발될 뇌성마비 아동을 위한 간식모형 도출결과 간식제품은 권장섭취량과 비교했을 때 가장 섭취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난 아연과 엽산을 보충하여 성장발달에 보조역할을 할 수 있고 아동들의 저작기능을 향상시키고 손에 잡기 쉬운 형태인 떡의 형태가 가장 적합한 형태로 도출되었으므로 향후 이러한 간식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뇌성마비아동의 식사 섭취 조사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일일의 식품섭취량만을 조사하여 보고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아연과 같은 미량영양소의 영양 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생화학적 조사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snack development contributing to physical growth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 study was conducted on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of age 1 to 7 by investigating their food behavior, physical growth development, nutritional status, and snack intake. As a result of assessing physical growth by WLI (Weight-Length Index), the proportions of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ere the following: underweight 45.5%, normal 45.5%, overweight 6.0%, and obesity 3.0%. The mothers of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mainly bought milk and dairy products for their children's snacks (43.5%) as well as fruits (33.3%). They wanted development of new snacks that helped growth development (50.5%), and preferred more development of the following snacks: Korean rice cakes (47.5%), biscuits (24.2%), bread (22.3%). The result of dietary intake showed that the percentage of RI in zinc and folic acid did not reach the RI in every age categories. The proportion of subjects with less than 75% of RI was 76.8% for the zinc and folic acid, and 52.4% for the calcium and ir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had slower physical development and lesser nutrition intake than normal children. Hence, this study provided the basis to develop the snack for the malnutrition stat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hich helped their physical development. The shape of new snack considered was a rice cake which included zinc and folic acid that were insufficient in RI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진보된 인터넷 발전효과가 스낵컬처에 미치는 영향

        김단아(Dan-a Kim),석가원(Ga-won Suk),이도원(Do-won Lee),이시안(Si-an Lee),정세린(Se-rin Jung) 글로벌융합연구학회 2024 글로벌융합연구학회지 Vol.3 No.1

        20세기 후반 인터넷의 발전과 더불어 스마트폰의 보급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스마트폰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일상 생활에서 스마트폰은 활발하게 이용되고 였다. 이러한 스마트폰 사용의 증가로 다양한 미디어와 콘텐츠가 파생되었으며, ‘스낵컬처(Snack culture)’ 와 같은 숏폼 형태의 콘텐츠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솟폼 콘텐츠는 미디어 수용자들로 하여금 정보를 빠르고 간결하게 소바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지만, 쉽게 정보를 접함으로 인해 중독의 위험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 논문은 인터넷 발전효과가 스낵컬처 등장과 그로 인한 활용방안에 미치는 영향에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진보된 인터넷 발전이 스낵컬처 등장에 영향을 준 변수로 스마트폰 보급률의 유용성과 용이성, 정보탐색의 다변화의 정보성과 즉시연결성, 정보시스템 구축의 혁신성과 적합성으로 구분하여 다매체 환경 구축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그로 인한 스낵컬처의 등장과 만족도를 연구하여 다양한 영역에서 스낵컬처의 활용방안에 관해 탐구하고자 한다. 설문지를 이용하여 표본을 수집하였고, Smart PLS 4.0 및 IBM SPSS 버전 23.0을 이용하여 설문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인터넷 발전효과의 스마트폰 보급률과 정보탐색 다변화는 다매체 환경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H1-1, H1-2는 기각되었다. 둘째, 인터넷 발전효과의 정보시스템 구축은 다매체 환경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므로 H1-3은 채태되었다. 셋째, 다매체 환경은 스낵컬처 등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므로 채택되었다. With the fast development of the lntemet in the late 20th century and the widespread adoption of smartphones, the importance of smartphone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becoming an integral part of daily life. This surge in smartphone usage has led to the emergence of various media and content, including the advent of “snack culture” and short-form content. While short-form content offers the advantage of quick and concise information consumption for media consumers, there is a downside of potential addiction due to easy access to infmmation. This paper focuses on the impact of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on the emergence of snack culture and its implications. The study categorizes the variables influenced by the advancement of the Internet into the usefulness and easy ues of smartphone adoption, the diversification of information search in terms of informativeness and immediacy, and the innovation and suitability of infmmation system development. It seeks to understand the causal relationships with the establishment of a multi-media environment and explores the satisfaction arising from the emergence of snack culture in various areas. The research involves data collection through surveys, and hypothesis testing is conducted using Smart PLS 4.0 and IBM SPSS version 23.0. The conclusions drawn are as follows: Firstly, the effects of the Internet development on smartphone adoption rates and the diversification of information search do not significantly impact the multi-media envirorunent, leading to the rejection of H1-1 and H1-2. Secondly, the impact of the Internet development on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is significant in the multi-media envirorunent, leading to the acceptance of H1-3. 1birdly, the multi-media envirorunent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emergence of snack culture, supporting its adoption. The paper thus contributes to explodng the utilization of snack culture in various domains resulting from the effects of the Internet development.

      • KCI등재

        누룽지스낵개발을 위한 소비자의 구매행동 요인이 제품개발요구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지역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지섭(Ji-Sub Han),양태석(Tai-Seok Yang),오명철(Myung-Chul Oh)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9

        본 연구는 제주지역 소비자를 대상으로 소비자행동인 구매행동과 제품개발요구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누룽지스낵개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SPSS 18.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누룽지 이용실태에 대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누룽지에 대한 구매행동 그리고 개발요구도 항목 간 신뢰도 검증(Reliability Analysis)과 탐색적 요인분석 그리고 요인에 따른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누룽지스낵개발하기 위해서는 주로 간식형태의 제품과 지역마트를 통해서 유통 마케팅 정책을 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행동에 따라 웰빙형을 추구하는 구매행동은 건강식 제품을 많이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품을 자세히 확인하는 구매형태를 가진 고객은 안전식 제품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소비자행동이 제품개발에 중요한 요인임을 실증분석을 통하여 알 수 있었으며, 동시에 건강식 기능성 누룽지스낵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소비자 행동 연구에 대한 중요성을 실증분석을 통하여 제시하였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impact of consumer behavior on the purchasing trends and product development needs of consumers in Jeju, South Korea. Based on this, we have suggested ways to develop Nurungji snack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SPSS 18.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as used to conduct a frequency analysis of Nurungji purchases, analysis of the purchasing behavior, reliability between development requirement items, and exploratory factor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to develop the Nurungji snack products, distribution, and marketing policies should be implemented mainly through the sale of snack-type products at local marts. The purchasing behavior of consumers who pursue well-being prefer healthy food products and check food ingredients in detail and require safe food products. These findings show that consumer behavior is an important factor in product development. Hence, the importance of consumer behavior research was present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which will aid in the development of healthy functional Nurungji products.

      • KCI등재

        Development of Dume-buchu (Allium senescens L.) Cracker with Retrograded Rice for Children Snacks

        장혜자,하경애,임지영,주세영,김우경,박혜영 한국식품과학회 2012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21 No.5

        A dume-buchu (Allium senescens L.) cracker with retrograded rice powder was developed for consumption as a children’s snack. For product development,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as used. Market tests using a questionnaire administrated to children and their caregivers were implemented. To evaluate the product’s quality during storage, chemical, sensory, and microbiological tests were tested. Optimal mixing ratios of the recipe were determined as 22.4% retrograded rice and 11.4% dumebuchu. During storage, the color of the product changed to lighter and adhesiveness of the product (p<0.001) increased. Escherichia coli, coliform, and Bacillus cereus were not detected during 13 days, which satisfies the Guidelines of the Food Code Standard of Korea. Consumer in market tests rated the top 2 attributes of the cracker as nutritional value and health. Based on these results, the dume-buchu cracker may have positive impacts as a children’s snack.

      • KCI등재

        중국 어린이들의 기호에 따른 간식 포장 디자인개발

        모남악 ( Mou Nan-yue ),정원준 ( Chung Wonju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7 No.-

        사회 문화적 수준의 발전 수요와 어린이의 사물 인식 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어린이의 심미에 부합하는 맞춤형 간식 제품 포장의 디자인은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최근 관련 디자인 공모전에서 어린이간식 제품 포장 디자인 수상작이 점점 많아지고 있는데, 이를 통해 어린이를 위한 포장 디자인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기존 어린이 간식 소비 시장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통해 기존 제품의 디자인 결함을 명확히 밝히고 다양한 문헌 분석을 통해 어린이 간식 포장의 디자인 구성 및 디자인의 기본 요구 사항을 파악한 후, 펜타워드 (Pentawards) 포장 디자인 공모전에서 수상한 어린이 간식 포장 디자인 작품의 디자인 구성을 분석하여 포장 구조 디자인과 일러스트레이션 디자인, 그리고 색상 디자인 및 글꼴 디자인의 4가지 측면에서 어린이 취향에 맞는 포장 디자인 요소를 요약하였다. 문헌 분석, 사례 분석과 설문 조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슈퍼 키즈>를 글꼴 모티브로 하고 의인화한 동물 이미지를 일러스트레이션 모티브로 하는 패키지 디자인 요소를 설계 및 개발하였으며 이 요소들을 3가지 유형의 어린이 간식 포장에 적용하여 어린이 취향에 맞는 간식 포장 디자인에 관한 참고 자료를 제공하였다. With the development demand of socio-cultural level and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object recognition ability, the design of customized snack product packaging that conforms to children's aesthetic aesthetic has been paid more and more attention. Children's snack products packaging design awards in recent years in the relevant design competition has been increasing, which shows that the packaging design for children is developing rapidly. This paper clarified the design flaws of existing products through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existing children's snack consumption market and identified the design composition and basic requirements of children's snack packaging through various literature analysis. After analyzing the design composition of the children's snack packaging design work awarded in the Pentawards packaging design contest, the packaging design elements tailored to children's tastes were summarized in four aspects: packaging structure design, illustration design, color design, and font design. Based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analysis, case analysis, and survey, package design elements with < Super Kids > as font motifs and anthropomorphic animal images as illustration motifs were designed and developed, and these elements were applied to three types of children's snack packaging to provide reference materials on snack packaging design tailored to children's tastes.

      • KCI등재

        외국 웹소설의 현황과 특성을 통해 본 국내 웹소설 발전의 시사점

        이용준(Lee, Yong Jun),최연(Cui, Yan) 한국출판학회 2017 한국출판학연구 Vol.43 No.3

        최근 웹소설은 작가의 개성이 자유롭게 드러나는 다양한 이야기가 만들어지고, 드라마, 영화, 게임 등의 원작으로 활용되는 기회가 늘어나면서 콘텐츠 시장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웹소설이 안정적인 시장을 형성하지 못했고, 소수의 주도업체가 관심을 돌리면 언제든지 쇠락할 수 있는 불안전한 환경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새롭게 웹콘텐츠 시장에서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는 웹소설의 지속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서, 웹소설이 비교적 활성화되어 있는 북미, 중국, 일본 등의 웹소설 현황을 살펴보고, 이들 시장의 장단점을 통해 국내 웹소설의 지속가능한 성장방안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웹소설을 대표적인 IP 영역으로 성장시킬 필요가 있다는 점, 문학 시장의 활력소가 되도록 선순환 기능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는 점, 웹소설에 중요한 요소인 팬픽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 출판사, 이동통신사, 서점 등이 함께 운영하는 웹소설 플랫폼이 필요하다는 점 등이 연구의 결론으로 도출되었다. Recently, web novels are attracting much attention in the contents market as diverse stories in which the artist s personality is revealed freely are created, and opportunities for making drama, film, and games are increasing based on the web novels. However, Korean web novels still don t form a stable market, and if a few leading companies terminate their businesses, the market will be declined with an unstable environment.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web novels in North America, China, and Japan, where web novels are relatively active, in order to explore the ongoing development direction of web novels that have been recognized as a possibility in the new web content market. And we examines the sustainable growth strategies of Korean web novels through explor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se countries s web novel market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web novels as a representative IP(Intellectual Property) sector, to develop web novels into a vital place in the literary markets, and to create a web novel platform operated by publishers, mobile carriers and bookstores.

      • KCI등재

        쌀가공식품 수요 촉진을 위한 신상품 개발 전략 -한국, 중국, 일본시장을 중심으로-

        김경민 ( Kyung Min Kim ),김경진 ( Kyung Jin Kim ) 한국식품유통학회 2010 食品流通硏究 Vol.27 No.4

        This study focused on rice snacks and rice noodles of the markets of Korea, China, and Japan. Korean put importance on the processed type, and they prefer Cookie type. But Japanese take significance by the content rate of rice, and they prefer 90% rice content. Korean, however, prefer only 20% rice content. Chinese have similar patterns with Korean, not with Japanese. In respect of rice noodles, Korean focused on size, and they prefer double size. Chinese put importance on package type, and they prefer plastic bowl. This results are contrast to Korean or Japanese case that they both prefer polybinyl bag. Also, consumers can be divided by two different group through the cluster analysis. A group that prefer the pancake type is likely to prefer spicy, foreign rice, big size, and high rice content. But the other group that prefer the cookie type prefer roasted smell, Korean rice, middle size, and low rice content. In results of the simulation test, Korean prefer the middle sized pancake type to the big sized snack type. And, Japanese prefer the high contented pancake type to the low contented snack type. Concludingly, this study has suggested the insight of strategy for rice products. Also, this research proposed the differentiation strategy for Korea, Japan, and China. The results may be significant information for managers or producers who relates with ric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