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상담자의 성지식과 성태도에 관한 연구

        권복실 ( Bok Shil Kwon ),김명권 ( Myong Kwon Kim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0 동서정신과학 Vol.13 No.2

        본 연구는 상담자의 성지식과 성태도의 실태, 개인적 특성에 따른 성지식과 성태도의 차이, 성지식과 성태도와의 관계, 그리고 성지식과 성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상담 실무 현장에 있거나 상담 경험이 있는 총 168명의 상담자이며, 각 연구대상자는 성지식, 성태도, 사회적 바람직성 그리고 개인사항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의 성지식은 39점 만점 중 26.65점, 성태도는 5점 만점 중 2.96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담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성지식 차이에서는 기혼 집단, 상담 자격증이 있는 집단, 상담경력이 3년-7년인 집단, 혼전성경험 집단, 자위행위 경험 집단, 성상담 경험 집단, 성교육을 50시간 이상 받은 집단일수록 성지식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상담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성태도 차이를 살펴보면 30대 집단, 종교가 없는 집단, 교육분석을 31회기 이상 받은 집단, 혼전성경험 집단, 자위행위 경험 집단일수록 성태도가 보다 개방적임을 알 수 있다. 넷째, 상담자의 성지식과 성태도와의 관계에서는 성지식과 성태도와는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는데 성지식이 많을수록 성태도가 개방적이고, 성태도가 개방적일수록 성지식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상담자의 성지식에 영향을 미친 변인으로는 상담자격증의 유무, 성교육의 유무, 혼전성경험의 유무 순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담자의 성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혼전성경험의 유무, 종교의 유무, 자위행위 경험의 유무 순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상담자를 대상으로 성지식과 성태도의 실태를 조사하여 상담자를 위한 성교육프로그램 계획과 실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과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를 사용하여 본 연구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높였다는 점이다.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actual condition of counselors` sexual knowledge and Attitude, the relation between individual specific factor and sexual knowledge and attitude, the relation between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 the variables to affect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 The data of the study was collected from 168 counselors who are working in counseling field or have the counseling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xual knowledge was scored 26.65 of 39 and the score of sexual attitude was 2.96 of 5. Second, in case of the sexual knowledg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y marriage status, license, career, sexual intercourse, masturbation, sexual counseling and sexual education. Third, in case of the sexual attitud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 religion, education analysis, sexual intercourse and masturbation. Fourth, as far as the relation between the sexual knowledge and the sexual attitude was concerned, the more sexual knowledge they have, the more open-minded sexual attitude becomes. Also, the more open-minded sexual attitude becomes, the more they have sexual knowledge. Fifth, as variables which might affect the sexual knowledge, there are the existence of the license, sexual education and sexual intercourse. As variables which might affect the sexual attitude, there are the existence of sexual intercourse, religion and masturbation. That is, it showed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counselors` sexual knowledge and attitude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sexual education program of counselors. In addition, the reliability of result got higher by using the social desirability.

      • KCI등재

        성교육에 따른 초등학교 아동의 성지식 및 성태도 변화에 관한 연구

        고승덕,김은주,박상수 대한보건협회 2000 대한보건연구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ssisted to sexual education plan and doing as confining the change sexual education to the primary school children go to the sexual knowledge and attitude. Investigative analysis is as following. In sexual background, the sources of sexual knowledge were parent, books. Parent are children' identity as first grower and direct helper. Therefore, parent's role is important to prospect future humanism, because parent influence greatly to sexual knowledge and attitude children will gain. To the question "what change sexual education go to the sexual knowledge change?" meaningly result appear. This indicate sexual knowledge can extend and rectify through scientific and systematic sexual education to sexual children with physical, psychic development. To the question "what change sexual education go to the sexual attitude change?" meaningly result don't appear. Sexual attitude change didn't appear in the short term education. Why? As we know, because variety elements like custom, and school, home, society are repeated in our growing process. Therefore we must train continually the education of sexual attitude with long term education. On the ground of this investigation, suggestions are as following. First, We must development sexual education program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exual education institutions cooperation to variety setting (home, school). Second, We must development mass media books and education programs children can easily understand in according to children's development step. In sexual education method, children more interesting action centered education than the lecture centered education and most interesting to video education. Third, We can change the sexual attitude by short term education time. Therefore, from the young children we have to do continually sexual education fitted to development step and sexuality. If we know the distinction of men and women, we will respect another each. Fourth, the reeducation of teachers and training education is required and education subject about sexual education must open in the curriculum of the education university or the college of education, because teachers undergo all sorts of hardships in the sexual education program execution. Sexual education don't accomplish on the moment, we must grow experienced teachers that is taught many sexual education. Fifth, we must not range on the several subject the sexual education course in the primary school but on the one subject the systematical sexual education subject.

      • KCI등재

        중국 조선족 대학생의 성 태도 및 성 행동에 관한 연구 -연변 1개 대학을 중심으로-

        박순복 ( Soon Bok Park ),조결자 ( Kyoul Ja Cho ),이명희 ( Myung Hee Lee )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07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3 No.1

        본 연구결과에서 연변소재 대학생의 성 태도는 5점 만점에 평균 2.53점으로 보수와 개방적 태도의 중간을 나타내고, 성경험은 수차례의 성관계를 경험한 경우를 7점으로 했을 때 본 연구결과는 평균 5.24점으로서 ‘성기를 중심으로 한 애무’(5점)나 ‘한 번의 성관계를 했던 정도’(6점) 사이의 성 행동을 보여준 것으로 나타났다. 성 태도의 하부영역에서는 미래지향(2.76), 또래압력(2.66), 허용성(2.46), 부모가치 (2.02)의 순으로 나타나, 대상자들이 혼전 성관계에 대해 아직은 보수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연구대상자들의 성태도와 부모가치와는 차이가 있어 대학생들의 성 태도가 부모들의 성에 대한 가치보다 훨씬 개방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는 성 태도의 하부영역 중에서 부모가치는 가장 낮아(2.02) 대상자의 생각에 자신의 부모는 자녀가 결혼 전까지는 혼전 순결을 지키기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성 태도 중 미래지향 영역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혼전 성관계가 자신의 미래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을 고려하고 있음을 보이고 있었다. 또래압력은 2순위를 나타내고 있어 결혼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성관계를 갖는 것을 허용하는 것에 대한 본인의 허용성보다 친구들의 압력에 의한 성관계에 대한 허용성이 더 높음을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성경험의 점수가 평균 5.24점이라는 것은 성행동 척도에서 1점은 ‘손잡기’, 3점은 ‘키스‘, 5점은’성기를 중심으로 한 애무‘, 6점은’한 번의 성관계‘라는 것을 살펴볼 때 대상자는 보수적인 성 태도에 비해 성 행동은 훨씬 개방적인 흥미 있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성 행동 중 키스의 경험이 있는 학생은 50.9%, 단 한 번의 성관계 경험이 있는학생은 4.4%, 여러 번의 성관계 경험이 있는 학생은 8.1%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Chang(1995)의 연구에서 키스와 포옹을 79.7%로 보고 하였고, Kang과 Son(1998)의 연구에서는 이성교제 시 경험하는 이성과의 관계 정도는 키스 31.8%, 손잡기 27.9%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Hwang(2002)의 연구에서 성행동의 기준은 진한 애무부터가 성 행동이라고 응답한 학생이 전체 61.1%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입맞춤이나 가벼운 포옹이 19.9%, 성관계가 15.8%, 손잡거나 팔짱 또는 어깨동무가 2.8%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는 중국 조선족 대학생과 한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와 비교할 때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성 경험은 12.8%로 최근의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 자료를 찾기 어려워 비교할수 없었으나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중국계 미국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60% 이상의 대상자들이 혼전 성경험을 한 것으로 볼 때(Huang & Uba, 2005) 문화적 가치에 따른 차이를 감안한다 할지라도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이 실제 성경험이 있어도 솔직하게 응답하지 않았을 수도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Lee(1994)의 연구에서는 31.2%가 성경험이 있다고 하였고, Yeon 등(1997)은 대학생 2,34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에서 27.9%가 성관계를 경험한 것으로 보고하였고, Ahn, Chung과 Lee(1997)는 대학생의 19%, Go(2001)는27.6%(남자 46.8%, 여자 14.5%), Hwang(2002)은50.3%(남자 61.2%, 여자 38.8%), Lee, Kim과 Lee(2003)는 대학생의 30%가 성경험이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있다. 이와 같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들은 대학생들의 성 경험이 19%~50.3%의 다양한 보고를 하고 있는것과 비교할 때, 본 연구결과는 한국의 선행 연구결과들 보다는 성 경험이 낮게 나타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대상자들의 성 태도와 성 행동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는데, 성 태도의 하위영역 중허용성과 성 행동 간의 정적인 상관관계가 가장 유의한 것은성 태도가 허용적일수록 성 행동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Son(2003)은 한국 여고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허용적인 성 태도를 지닐수록 성 행동이나 성경험을 많이 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대학생의 성의식과 성행동에 관한 연구(Park, 2002)에서도 혼전 성 행동은 성 태도에 따라서 가장 많이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심리학의 이론에 의하면 한 개인이 특정행동에 대해 갖게 되는 태도에 따라 행동이 결정된다고 하는데 행동은 곧 태도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개방적인 성 태도를 가진다는 것은 성 행동도 개방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또래압력과 성행동 간의 정적 상관관계는 함께 어울리는 또래의 성 태도가 대상자의 성 행동과도 관계가 있음을 시사 하고 있다. 미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에서 또래집단의 성 활동이 적극적인 대상자들은 더 많은 성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일치된 연구결과를 보이고 있으나(Page, Hammermeister, & Scanian, 2000), 남녀대학생들의 성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조사한 Yoon(1995)의 연구에서는 또래친구의 성 행동은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고 보고하고 있다. 반면에 여자고등학생들과 여자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또래집단의 혼전 성경험이 응답자들의 혼전 성관계를 예측하는 중요한 변수로 보고하면서 친한 친구의 성 태도와 성 행동이 청소년들의 성 행동에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 하는 것은 일관적이지는 않으나 나이가 들수록 친구의 영향력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고하였다(Herold & Goodwin, 1981). 본 연구에서 부모가치와 대상자의 성 행동 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흥미로운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부모의 성 태도가 보수적일수록(허용성이 낮을수록) 대상자의 성 행동이 낮게 나타난 것은 자신의 허용적인 성 태도와 관계없이 부모의 성 태도가 자녀들의 성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선행연구에서도 부모의 감독은 청소년 자녀들의 성 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Small & Luster, 1994). 대상자들의 성 태도가 허용적일수록 성 행동을 많이 하고, 성 허용성이 낮음에도 성행동이 개방적인 것은 전인교육 측면의 성교육이 필요함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라고 본다. 성 태도 점수는 남학생(3.29)이 여학생 (2.20)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할 정도로 높게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훨씬 개방적인 성 태도를 가졌음을 보여준 것이다. 이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남학생의 74.8%, 여학생의 46.5%가 혼전 성관계를 허용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인 연구결과(Cho & Kim, 2001)와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종교가 있는 학생과 없는 학생의 성 태도는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어 종교가 없는 학생들의 성 태도 점수가 종교가 있는 학생들의 점수보다 높은 결과를 보이고 있어 종교가 이들의 성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에 한국에서 발표된 ‘2006년 전국대학생 의식조사 비교분석 자료집’(Lee, 2006, godpeople.com)에 의하면 혼전 성관계에 대해 비기독대학생들은 15%만 부정적인 응답을 한데 비해, 기독대학생들은 59.6%가 ‘무조건 반대한다’고 응답해 성 태도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연구의 대상자가 중국의 사회주의 국가의 일원이나 기독교 학교의 재학생이며, 같은 기숙사에서 살고 있는 남녀 대학생들이므로 혼전 성태도와 성행동이 개방적인 결과를 보여준 것은 이들 대학생들 특히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성교육이 절실히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한 번의 성 경험자(4.4%)보다 여러 번의 성 경험자(8.1%)가 많았던 것은 첫 경험이 어렵고 두렵지만 다음부터는 두려운 것이 덜해지는 것을 보여주고 있음이다. Gruber와 Grube(2000)는 성교육을 통하여 올바른 성지식을 습득하였을 때 성에 대해 올바른 태도를 가질 수 있고, 성에 관한 부정적인 정보의 영향을 적게 받으며, 직접적인 성행동이 감소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대학생들의 교양과목에 청소년기의 성적 발달, 성과 사랑, 결혼학 개론 등을 개설하고 시청각 교육이나 토론학습 등을 통해 성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심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근래의 중국 대학생의 성 태도, 성 행동에 관한 선행연구가 부족하여 본 연구결과와 직접적으로 비교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으나 중국내 연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성 태도와 성 행동을 처음으로 조사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보며, 본 연구결과를 추후 연변 대학생들의 성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sexual attitude, sexual behavior and the related factors in chinese-Korean university students. Metho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ith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271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in one university in Jilin, China. Correlation coefficiency and t-test were used to find the relationships and to compare sexual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and related factors. Result: Although sexual attitude of participants was moderate, they were more likely to be engaged in sexual behavior. The strong relationship between sexual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suggested that those who have a permissive sexual attitude were more likely to have engaged in sexual behavior. The participants who responded that their parents have a less permissive attitude about sexual activity were less likely to be engaged in sexual behavior.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exual behavior and other variables, such as dating, experience of sexual activity, smoking and grades. Conclusion: Students who have a higher score of sexual attitude and had an experience of sexual activity were more likely to be at higher risk of being sexually.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성태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개방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김선영,최수미,최은희,신경필 한국청소년학회 2024 청소년학연구 Vol.31 No.5

        본 연구는 청소년이 보고한 부모양육태도, 성태도, 자아존중감, 자기개방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QR코드 설문방식으로 남자 390명(52%), 여자 367명(48%)을 수집하였고, 자료의 분석은 SPSS Statistics 20.0과 SPSS Process Macro v4.2의 Process Macro Model 6을 통해 부모양육태도와 성태도와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자기개방의 직렬다중매개효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모양육태도는 성태도, 자아존중감, 자기개방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양육태도와 성태도, 자아존중감, 자기개방은 직접효과 있었으며, 자아존중감은 성태도와 자기개방에 직접효과가 있었지만, 자기개방은 성태도와 직접효과가 없었다. 셋째. 부모양육태도와 성태도와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부분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성태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자아존중감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아존중감이 성태도 형성에 보호요인임을 밝힌데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sexual attitude, self-esteem, and self-disclosure reported by adolesc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collected from 390 men (52%) and 367 women (48%)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sing QR cod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0.0 and SPSS Process Macro v4.2, and the series of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disclosure were analyz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sexual attitude through Process Macro Model 6.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parenting attitud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xual attitude, self-esteem, and self-openness. Second, the parenting attitude had a direct effect on sexual attitude, self-esteem, and self-openness, and self-esteem had a direct effect on sexual attitude and self-openness. On the other hand, self-openness did not affect sexual attitudes. Third, self-esteem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sexual attitud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ed that self-esteem is an important variable in the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 on sexual attitude. Final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 plan for cultivating healthy sexual attitudes of adolescents was proposed.

      • KCI등재

        노인의 성대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나임순 韓國老年學會 2006 한국노년학 Vol.26 No.3

        본 연구는 노인의 성대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우리사회의 노인들의 성대처행동을 이해하고, 성관련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사회복지적 차원의 개입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 및 성심리 검사 척도에 대한 고찰과 설문조사를 거쳐 노인의 성대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성지식, 성태도, 성대처행동의 3개 척도를 구성하였으며,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과 성지식, 성태도, 성대처행동 등을 살펴보고 변인들의 관계 및 이들 변인들이 성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지식은 남성, 교육수준과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독거하는 경우보다 부부 혹은 자녀와 동거하는 경우에 성지식 수준이 높았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라 성태도 유형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덕적 성태도는 여성, 고령일수록, 독신상태, 자녀와 동거하는 경우, 낮은 교육수준에서 더 높았다. 합리적 성태도는 여성이, 전통적 성태도는 고령일수록 그리고 낮은 교육수준에서 더 높았고, 자유적 성태도는 교육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대처행동에서 표현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성별, 결혼상태, 노인의식, 성지식, 전통적 성태도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 중에서 성별이 가장 유의미하였다. 즉 남성, 기혼상태, 성지식의 수준이 높은 경우에 표현적 유형이 높았다. 그러나 노인 인식과 전통적 성태도는 표현적 유형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통제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건강상태, 성지식, 자유적 성태도, 도덕적 성태도 등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인 중에서 도덕적 성태도는 정적 관계, 건강과 성지식, 자유적 성태도 등의 변인과는 부적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사회사업 실천적 함의와 실천 방향을 제언하였다. This thesis has been conducted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sexual coping behavior among the elderly. For this purpose, three scales -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and sexual coping behavior - are develop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questionnaire survey. Also this is intended to understand the sexual behavior of the elderly and provide them with some basic data of the alternative measures for the healthy and satisfactory sexual life of the elderly.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y have more sexual knowledge in the male, higher education level, higher economic level, marital status, the group living with spouse or children. Second, among four sexual attitudes, the moral sexual attitude were shown higher in the female, the older aged, the single status, the group living with children and lower education level. And rational sexual attitude were shown higher in the female. The traditional sexual attitude were shown higher in the older aged and lower education level. The liberal sexual attitude were shown higher in the higher education level. Third, the expressive type of sexual coping behavior was effected positively by gender, marital status, old age consciousness, sexual knowledge and traditional sexual attitude. Bu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old age consciousness and traditional sexual attitude.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ing type of sexual coping behavior was effected by health, sexual knowledge, liberal sexual attitude, and ethical sexual attitude. And in these factors,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s with ethical sexual attitude, bu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others.

      • 여자 고등학생의 성태도와 부모 양육태도가 성폭력 인식수준에 미치는 영향

        강수인,김수민,김유진,김지수,박지원,신수경,이지현,장은주,정채린,진애경,차지영,이수연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2019 이화간호학회지 Vol.- No.53

        Purpose: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consciousness of sexual violence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focusing on sexual attitude and parental attitude. 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48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through online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Tukey’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using the SPSS 25.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of consciousness of sexual violence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as 43.54 out of 48.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mean score of consciousness of sexual violence differed y number of years in high school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sexual attitude, parental ttitude, and consciousness of sexual violence, there were meaningful correlations between onsciousness of sexual violence and sexual attitude (r=.132, p=.038,), love-hostility (r=.172, p=.006),and autonomous-control (r=.132, p=.038). Love-hostility aspect of parental attitude (=.159, p=.049) and academic achievement (=.208, p=.001) were found to be the important influencing factors o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consciousness of sexual violence (F=5.720, p<.001).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love-hostility aspect of parental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influence consciousness of sexual violence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consciousness of sexual violence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sex education program and parent-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with further research.

      • KCI등재

        The Relationships Among Sexual Double Standard, Sex Communication, Sexual Attitude, Sexual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조승희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2

        This study intended to understand the sex culture of college student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xual double standard, sex communication, sexual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This study establish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sexual double standard, sex communication with fathers/mothers/friends/partners as exogenous variables, sexual attitude as a mediator variable, and sexual behavior as a dependent variable. First, sexual double standard was found not to affect sexual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Second, sex communication with fathers had no effect on sexual attitude, while sex communication with mothers negatively affected sexual attitude. However, sexual communication with mothers did not affect the individual’s direct sexual behavior. Third, sex communication with friends had a positive effect on sexual attitude, with no direct effect on sexual behavior. Fourth, sex communication between partners had a positive effect on sexual attitude and had a direct effect on sexual behaviors, but in the process, sexual attitude had no mediating effect. Therefore, we discussed the need for education on college students’ sexual communication skills.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성행동에 미치는 자기개념과 규범지각의 영향

        안권순,이태연 한국청소년학회 2004 청소년학연구 Vol.11 No.2

        This study was planned to examine whether sub-scales of self-concept exerted differential influences on sexual behaviors according to sex and grade of subjects and how much sexual behaviors were affected by others' evaluation and actor's confirmity. On the whole, male students had higher self-concept and seemed to behave more sexually than female ones. Female students who are confident of their physical attraction are devoted to behave sexually. In case of female students, moral and family self-concept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sexual behaviors and attitudes and these results implied that female students who had higher moral standard and had harmonious household were apt to avoid doing sexual behaviors. Male students had more positive attitudes on sexual behaviors than female ones but the tendency of confirmity to other's evaluation was higher in female students. An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xual behaviors and norm perception suggested that others' evaluation had influenced sexual behaviors also.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omeone who has positive attitude on sexual behaviors, strong tendency to confirm others' evaluation and good physical attraction tended to behave more sexually. In conclusion, the fact that self-concept and norm perception had differential influences on sexual attitude or sexual behaviors according to subject groups suggests that sexual behaviors are affected by sex role stereotype and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culture. 본 연구는 자기개념의 여러 하위영역들이 성 태도와 성 행동과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집단주의 문화권에 속한 우리문화에서 성 행동에 대한 규범인식과 행위자의 동조성이 성 행동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기개념과 성 행동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보면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더 높은 자기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높은 자기개념을 가진 학생일수록 성 행동에 더 적극적인 경향이 있는데 비해 여학생은 신체적 자기개념이 높은 학생일수록 성 행동에 대해 더 적극적이었다. 특히, 여학생의 경우에는 도덕적 자기개념과 가정적 자기개념이 성 행동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여 자신의 행동에 대한 도덕적 기준이 높고 가정이 화목할수록 성 행동에 소극적인 경향이 있다. 규범지각과 동조성에 대한 분석에서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성 행동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데 비해 성 행동에 대한 주변사람들의 평가에 동조하려는 경향은 여학생이 더 높았다. 또한 성 행동이 규범지각과 상관을 보이고 있어 성 행동에 대한 주변사람들의 평가가 성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회귀분석에서도 성행동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다른 사람의 평가에 동조하는 경향이 강하고, 스스로 신체적 매력이 있다고 느끼며, 도덕적 기준이 낮을수록 성 행동에 더 적극적인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처럼 집단에 따라서 자기개념이나 규범지각이 성 행동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과 대학문화가 갖는 특성 때문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노인의 성지식과 성태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성행동의 매개효과 연구

        최진일,이민홍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3 한국사회복지교육 Vol.21 No.-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sexual behaviors in the influence of sexual knowledge and attitude on life satisfaction among community living older adults. Using a purposive sampling method, this study surveyed a total of 236 older adults who live in Busan metropolitan city in South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0.0 for conducting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sexual attitude in the sample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level of sexual behavior. Second, sexual knowledge and attitud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life satisfaction. Third, sexual behavior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under controlling sexual knowledge and attitude. This results indicated that sexual behavior did not mediate the influence of sexual knowledge and attitude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older adult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everal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a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성지식과 성태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행동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편의표집방법을 활용하여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236명을 대상으로 고지된 동의과정을 거쳐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분석방법으로는 SPSS 20.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성태도가 성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지식과 성태도는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성행동은 성지식과 성태도를 통제한 상태에서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성행동이 성지식과 성태도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역할을 수행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복지 실천적 및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기혼여성의 성과 심리적 행복감간의 관계 - 성교부부 기혼여성과 비성교부부 기혼여성 비교 -

        남순현 한국가족치료학회 2009 가족과 가족치료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married women's sexuality and their level of psychological happiness. The subjects were 330 sexually active and 337 sexless married wome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sexual coping behavior, sexual satisfaction, psychological happiness between the two groups but no differences in the moral sexual attitude and the controlling type of sexual coping behavior.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psychological happiness of both groups was not influenced by the sexual knowledge, while the psychological happiness of sexually active women was influenced by the rational sexual attitude and that of sexless married women was influenced by the traditional, moral and rational sexual attitude. Finally, the moderating effects of volunteer activity and cultural course taking were found for sexless women but not for sexually active women. 본 연구는 성교부부 기혼여성과 비성교부부 기혼여성의 성지식, 성태도, 성대처행동 및 성생활만족과 심리적 행복감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성교부부 기혼여성 330명과 비성교부부 기혼여성의 337명이 였다. 첫째, 변량분석 결과, 도덕적 성태도와 성적 통제성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성교부부 기혼여성과 비성교부부 기혼여성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성교부부 기혼여성과 비성교부부 기혼여성의 성지식은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성교부부 기혼여성의 합리적 성태도는 심리적 행복감에, 비성교부부 기혼여성의 전통적, 도덕적, 합리적 성태도는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성교부부 기혼여성의 성적 표현성은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비성교부부 기혼여성의 성적 통제성이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원봉사활동과 문화강좌이용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성교부부 기혼여성은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지만, 비성교부부 기혼여성은 정적 조절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나의 핵심 지표로써 부부간의 성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하나의 기초 자료를 제공해줌으로써 그 활용가치가 높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