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학 자체평가보고서에 기초한 평가시스템 분석

        이석열,이호섭 한국교육정치학회 2014 敎育政治學硏究 Vol.21 No.3

        Korea's Self-university evaluation has been introduced for autonomous quality and reinforcement of responsibility since 2009. Universities have comprehensively analyzed and evaluated overall university operations including education, research, organization and facility more than 1 time in 2 years according to Higher Education Act, and the results were followed. To achieve this goal, 191 self-university evaluation reports and survey were selected and analyzed by evaluation input, evaluation process, evaluation out according to the system scheme. First,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the self-evaluation system improves function of self evaluation compared to the initial self-evaluation in 2009. Universities conduct a self-evaluation increasing the purpose, range, indicators, methods, results of a university self-evaluation. Second, The lack aspects of the self-evaluation system still does not work actively to reflect the uniqueness and distinctiveness of the University College. The reason is that the self-evaluation was performed by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university accreditation. It has been pointed out to the limits of its own self-evaluation which have been required by law every two years beginning 2009. The universities have heavy burden to disclose the result of the self-evaluation by law. So the self-evaluation system could not properly realized the validity and severity of the evaluation. 본 연구는 대학자체평가보고서의 내용을 기초로 해서 대학자체 평가시스템을 분석하고, 제도 도입 취지 등을 고려할 때 적절하게 운영되고 있는 가를 논의하고자 출발하였다. 이를 위한 자체평가 시스템 분석은 2012~2013년도 대학자체평가를 실시 한 209개 대학 중에서 대학자체평가보고서의 조사표를 작성해서 응답한 191개 대학을 대상으로 했다. 자체평가보고서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당초 2009년에 비해서 대학자체평가가 대학평가로서 정착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평가시스템 상에서 평가의 투입, 과정, 산출의 측면이 제대로 연계되지 못하고 있었다. 즉 평가의 목적인 투입이나 평가의 결과의 활용인 산출적인 측면에 비해서 과정적 측면인 평가의 범위, 평가지표, 평가방법, 평가결과 등에서 내실 있는 자체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 이유는 대학자체평가가 본래의 의미보다는 대학기관평가인증을 준비하거나 연계되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앞으로의 시사점은 대학자체평가의 성격에 대한 재해석과 더불어 법적으로 2년마다 평가를 하고 이를 공시하도록 한 자체평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대학자체평가 결과를 외부에 공시해야 한다는 부담감을 극복하고 자체평가의 타당성과 엄정성을 실현할 수 있도록 자체평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이강아,홍혜영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4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Positive Evaluation plays a mediated role in relations of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Thus this study selected 402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male: 197, female: 205), and examined into fears on Public self-consciousness, social anxiety,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Fear of Positive Evaluation. To analyze the data, the study used SPSS 18.0 and AMOS program, and conducted technical and statisti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is to public self-consciousness, social anxiety,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Positive Evaluation showed that public self-consciousness was in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social anxiety. Public self-consciousness was in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fears of Negative Evaluation and Positive Evaluation.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Positive Evaluation was in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social anxiety. Second, regression analysis to explore the effect of public self-consciousness, social anxiety,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Positive Evaluation on social anxiety showed that public self-consciousness was in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ocial anxiety,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Positive Evaluation was in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ocial anxiety. Finally, verification of the mediated effect model to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Positive Evaluation in relations of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showed that public self-consciousness was totally mediated by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Positive Evaluation, which has an effect on social anxiety.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was strong factor for Fear of Positive Evaluation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is study, we discussed about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origin study of this subje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공적 자의식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와 인천지역의 대학생 402명(남: 197명, 여: 205명)을 대상으로 공적 자의식, 사회불안,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8.0과 AMO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 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공적 자의식, 사회불안,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상관분석 결과, 공적 자의식은 사회불안에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공적 자의식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에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도 사회불안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공적 자의식,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공적 자의식은 사회불안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도 사회불안에 유의미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모형을 검증한 결과, 공적 자의식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완전매개하여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구별되는 개념으로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하여 논하였다.

      • KCI등재

        정부 기관 자체평가 행태에 관한 조직학습이론 분석 : 중앙행정기관 자체평가 개선을 중심으로

        김준현(Junhyeon Kim) 한국인사행정학회 2020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9 No.4

        자체평가는 공공조직 자기혁신에 필요한 조직학습에 해당한다. 그러나 국내 중앙행정기관 자체평가를 다룬 연구들 대부분은 자체평가가 조직학습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고 있지 못하다는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중앙행정기관 자체평가의 한계나 개선이 필요한 부분으로 지적된 문제점 가운데 공통적으로 거론되었던 사항을 자체평가의 경시, 평가담당자와 사업담당자 간 협조 부족, 자체평가위원회의 평가의 형식성, 낮은 자체평가 결과 활용도 등 네 가지로 정리하였고, 각 항목별로 자체평가의 제도적 목적과는 달리 운영되는 조직행태를 조직학습 관점에서 해석해 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중앙행정기관 자체평가가 갖는 한계와 문제점들이 단순히 자체평가의 목적과 의미를 모르는 구성원들의 무지나 무관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나름 주어진 상황과 환경 속에서 만족할만한 대안을 찾아가는 조직학습을 통해 적응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통해 중앙행정기관 자체평가가 본연의 목적을 실현하는데 필요한 개선방향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특정평가와의 중복을 없애고 중앙행정기관 자체평가 대상을 줄여야 한다. 둘째, 기관 자체평가담당자의 역할을 자체평가 지원자로 재정립하고, 자체평가 과정이 곧 사업 추진 및 개선 과정이 될 수 있도록 평가방식이나 평가지표를 재편해야 한다. 셋째, 자체평가지표체계를 사업 추진과정과 사업 내용 및 효과 중심의 질적 지표 중심으로 변경해야 한다. 넷째, 자체평가 보고서 작성 및 평가결과의 책임을 평가대상사업의 부서 관리자 혹은 팀장 수준으로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we summarized the problems and the limitations of the self-evaluation of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in the preceding studies into four categories as follows. The evaluation targets are redundant, the lack of cooperation between the self-evaluation officer and the project officer, the formality of the evaluation by the self-assessment committee, and the low utilization of self-evaluation. We analyzed the each organizational behavior from the perspective of organizational learning. Through this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self-evaluation are not simply a result of the ignorance or indifference of members, but it can be interpreted as adapt behavior through organizational learning to find a satisfactory alternative in the given situation and environment. In conclusion,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self-evaluation to realize its original purpose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targets of self-evaluation by integrating projects that overlap with specific evaluation that overlap into specifics. Second, the role of the institution s self-evaluation officer should be re-established as a supporter, and the evaluation method and index should be reorganized so that the self-evaluation process can be a project promotion and improvement process. Third, the self-evaluation index system should be changed to focus on qualitative indicators centered on the project procedure, content and effect. Fourth,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esponsibility for self-evaluation reports and evaluation results to the level of the department manager or team leader of the project to be evaluated.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평가에 대한 두려움 간의 관계

        유순화 교육종합연구원 2020 교육종합연구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fear of evaluation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50 college students in two metropolitan cities. To analyze the data, 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self-acceptance of being, self-acceptance out of discrimination, and self-acceptance out of feedback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s dependent variable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college students had higher scores in the self-acceptance of being and self-acceptance out of feedback than the self-acceptance out of discrimination. Also, they had higher score in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than the fear of positive evaluation. Second, as a result of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one significant canonical function was produced, so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fear of evaluation was found. Third, three variables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canonical variable of fear of evaluation, self-acceptance out of feedback having the largest effect and self-acceptance of being the next. Both variables of fear of evaluation were also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canonical variable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having larger effect than the fear of positive evalu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tervention to improve the level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would be effective when counseling college students with the fear of evaluation problem.

      • KCI등재
      • KCI등재

        학습자 자기평가 활동에 관한 사례연구 : 내러티브 글쓰기(narrative writing)를 중심으로

        배영주(Youngju Bae) 한국열린교육학회 2009 열린교육연구 Vol.17 No.1

        최근 미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학습자 자기평가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아쉬운 것은, 그와 관련된 연구와 실천의 대부분이 대학에서, 그것도 교수자의 철저한 지도와 관리 하에 시도되고 있는 것들이어서, 중등학교 수준의 교육 장면에서 교수자의 개입 없이도 수행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에 대한 단서를 찾기 어렵다. 연구자는 학습자 자기평가가 대학 뿐 아니라 중등수준의 교육에서도 구현될 필요가 있다는 판단 하에, 그 가능성과 특징을 추출하는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평생교육적 관점에 터하여 4명의 기술계 고등학교 학생들과 초․중졸의 학력을 가진 30-40대 성인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글쓰기를 통한 자기평가를 수행토록 함으로써, 내러티브 글쓰기를 통한 학습자 자기평가의 수행토록 함으로써, 내러티브 글쓰기를 통한 학습자 자기 평가의 수행양태를 확인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구명함으로써 촉진방안을 마련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일부 학습자들이 상당한 수준의 자기평가를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자기평가의 수행 양태와 국면, 그리고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추출할 수 있었다.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학습활등을 관리해야 하는 ‘평생학습 시대’에 어떻게 자기평가를 촉진할 수 있는가 하는 방안들도 지적하였다. Recently, several countries have paid their attention to learner/student self-evaluation. The learner self-evaluation became the one of the new alternative evaluation methods which asked the learners to do the evaluation for their own learning activities. Many researchers have tried to apply this new evaluation method to the college students and they could have reported the successful results of learner self-evaluation. Learner self-evaluation makes the learners act as persons holding a responsible position in their learning activities. In this point, learner self-evaluation is not only a kind of new evaluation metho, but also a sort of the new learning strategies, especially for making learners be a active learners or self-directed learners. for this reason, I placed my expectation for making leaners be more active on their learning. But actually I couldn't be make sure that whether the learners especially on the secondary education could do the self-evaluation to a successful issue. I though doing the self-evaluation could give some good effects for their learning to all the people, so I believed every learner had to be able to do the self-evaluation. To ascertain its possibility and characteristics, ten learners who are on the secondary education, 4 high school students and 6 adult learners were chosen as the subjects of the investigation, and they were asked to do the self-evaluation through the narrative writings. Consequently, I could find that the learners on secondary education were able to do their self-evaluation successfully, although every learner could not. I could also capture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ir self-evaluation and extract some suggestions for it.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learner self-evaluation could get to br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lifelong education would have to deliberate on it.

      • KCI등재

        학교자체평가 과정요인과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강대식 ( Kang Dae-sik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연구논총 Vol.39 No.2

        이 연구는 초·중등교원이 인식하는 학교자체평가 과정요인(계획, 실행, 결과활용)과 학교 자체평가 만족도와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살펴보고, 평가 실행요인과 결과활용요인이 평가 계획요인과 평가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7년 시·도교육청 학교평가 현황 및 선행연구물 검토를 통해 연구모형을 상정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하여 가설적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학교자체평가 과정요인과 만족도 간 영향관계를 설명하는 가설적 연구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자체평가 과정요인 중 자체평가 계획요인은 직접적으로 자체평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체평가 계획요인은 자체평가 실행요인과 결과활용 요인을 매개로 자체평가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자율성을 기반으로 한 학교자체평가를 통해 학교교육 책무성과 교육개선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교자체평가 계획단계, 실행단계, 결과활용 단계의 일련의 평가과정이 유기적으로 연계·실행되어야만 평가실효성을 담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시·도교육청은 단위학교가 자체평가를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자체평가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단위학교에 제공하는 한편, 평가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학교장을 비롯한 교원을 대상으로 한 자체평가 연수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chools’ self-evaluation plan, implementation,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The study verified the hypothetical path model and examine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school self-evaluation plan, implementation and utilization on school self-evaluation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school self-evaluation plan factor did not directly affect self-evaluation satisfaction. However, the self-evaluation plan factor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elf-evaluation satisfaction through the self-evaluation implementation and utilization factors. Results of this study emphasize the organic relationship of schools’ self-evaluation plan, implementation and utilization for improving school accountability. Therefore, main success factors of the school self-evaluation system are detailed planning, sharing of the plan,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evaluation, clear evaluation criteria, sufficient data collection for analysis of indicators, objective evaluation based on facts, and staff sharing of the evaluation results. When each evaluation step operates as an emergent property, teachers' satisfaction with the school self-evaluation can be improved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evaluation can be assured.

      • KCI우수등재

        법령에 근거한 대학별 자체평가보고서의 내용 및 체제 분석

        박수진(Sujin Park,),김예슬(Yeseul Kim),김병주(Byoungjoo Kim)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6

        본 연구는 2021년도 각 대학의 자체평가 결과 보고서의 내용과 체제를 비교·분석하여 현행 대학 자체평가제도의 운영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대학 자체평가 제도를 어떻게 보완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부 대학들은 자체평가의 형식적 요건을 다소 충족하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여전히 적지 않은 대학들이 대학자체평가를 “의무적”으로 실시한다거나, 목적에 대한 규정도 없이 시행하고 있었다. 셋째, 대부분의 대학들은 대학 자체평가의 기준 및 목표치 설정 방법으로 대학기관평가인증기준 및 대학기본역량진단 기준을 활용하고 있었다. 넷째, 91.8%의 대학이 기술형으로 평가 결과를 제시하고 있었다. 다섯째, 대학 자체평가결과의 활용계획을 보면 대학발전계획 수립이 가장 많았다.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대학자체평가에 대한 몇가지 시사점 및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자체평가의 근본취지를 재고하고, 자체평가의 취지를 되살리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대학자체평가의 목적을 재점검하고 정비할 필요가 있다. 셋째, 대학 자체평가의 취지에 맞는 자체적인 점검 및 평가기준의 설정이 필요하다. 넷째, 대학 자체평가의 평가결과 제시방법을 보다 객관화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대학 자체평가결과의 취지에 맞는 운용을 위한 내‧외부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ntents and format of each university's self-evaluation report in 2021 to examine the operational status and problems of the current university self-evaluation system,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how it is desirable to supplement the university self-evaluation system in the fu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me universities were not able to satisfactorily meet the formal requirements of self-evaluation. Second, not a few universities conducted their self-evaluation “obligatorily” or conducted it without following any regulations on the purpose of the self-evaluation. Third, most universities used the university institutional evaluation certification standard and the university basic competency diagnosis standard as a method of setting standards and targets for their university self-evaluation. Fourth, 91.8% of the universities presented the evaluation results in a descriptive format. Fifth, when looking at the utilization plan of a university's self-evaluation results, the establishment of a university development plan was the most common. Focusing on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university self-evaluation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fundamental purpose of university self-evaluation and to revive that purpose. Second,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and reorganize the purpose of the university self-evalu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elf-inspection and evaluation standards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university self-evaluation. Fourth, it is necessary to objectify the method of presenting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university self-evaluation. Fifth, internal and external support are needed for effective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university's self-evaluation results.

      • KCI등재

        포용적 리더십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층모형연구 : 상태적 핵심자기평가의 매개효과와 특성적 핵심자기평가의 조절효과

        임현명(Hyunmyung Lim),정원호(Wonho Jeung) 한국인사조직학회 2016 인사조직연구 Vol.24 No.4

        본 연구에서는 적정 독특성 수준 이론(optimal distinctiveness theory)을 바탕으로 포용적 리더십(inclusive leadership)이 정서적 몰입(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특성 및 상태적 핵심자기평가(core self-evaluation)를 중심으로그 메커니즘을 검증하고자 한다. 적정 독특성 수준 이론에 따르면, 인간은 소속과 고유함의두 가지 대립되는 욕구를 동시에 충족하고자 하는데, 포용적 리더십은 이 둘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대표적인 리더 행동이다. 따라서 리더의 포용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자신에 대한 인식과 조직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가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한편, 기존 연구에서는 핵심자기평가를 주로 개인의 특성(trait)으로 간주하고 횡단연구를 통해 그 메커니즘을 검증해 왔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핵심 자기평가의 상태(state)적 속성에 주목한 최근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핵심자기평가의 특성적 속성과 상태적 속성을 동시에 고려한 종단연구를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포용적 리더십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태적 핵심자기평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특성적 핵심자기평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 육군 상비사단 신병교육대 훈련병 218명을 대상으로 10회의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중 187명에 의해 작성된 914개의 자료를 바탕으로 다층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확인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가 포용적 리더십을 보일수록 구성원들의 상태적 핵심자기평가 및 정서적 몰입이 높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특성적 핵심자기 평가는 정서적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상태적 핵심자기평가는 정서적 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태적 핵심자기평가는 포용적 리더십이 정서적 몰입을 향상시키는 정(+)적인 효과를 부분매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특성적 핵심자기평가는 상태적 핵심자기평가가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정(+)적 영향을 완화하는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본 연구가 가진 한계와 더불어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inclusive leadership on affective commitment based on the optimal distinctiveness theory and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mechanism of trait and state-like core self-evaluation. Optimal distinctiveness theory explains that individuals seek a balance between belongingness and uniquenes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inclusive leadership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leadership behaviors for the balance and investigates the effects on core self-evaluation and affective commitment. Meanwhile, most of the research has considered core self-evaluation as a set of traits, but several recent studies verify a state-like aspect of core self-evaluation. Thus, this research adopts the two different aspects of core self-evaluation into one longitudinal model and tests the mediating effect of state-like core self-evalu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rait-like core self-evaluation in the effect of inclusive leadership on affective commitment. For the hypotheses verification, 187 trait data and 914 dail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ample of 187 trainees on the recruit training course of the Republic of Korea Army.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multi-level modeling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inclusive leadership of a leader is positively related to a state-like core self-evaluation and affective commitment. Second, while traitlike core self-evaluation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state-like core self-evaluation has positive effect on the commitment. Third, state-like core self-evaluation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 leader’s inclusive leadership and a trainee’s affective commitment. Finally, trait-like core self-evaluation negatively moderates the positive effect of state-like core self-evaluation on affective commit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findings and discusses th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후보

        자체평가 관대화에 대한 실증분석 -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조현정,이삼열 한국혁신학회 2015 한국혁신학회지 Vol.10 No.2

        This study explains self-evaluation leniency in the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olicy in Korea. Self-evaluation leniency refers to the cases where the meta-evaluation scores by higher authority are higher than self-evaluation scores. The meta-evaluation on R&D projects by a higher authority is redundant and consumes a significant amount of resources but the existence of the self-evaluation lenience provides with a strong justification for it. At the same time, it is a very effective tool for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MSIP) to check with other ministries which implement their own R&D projects and evaluation on them. The self-evaluating ministries have strong incentives to give their R&D projects higher marks. First, since the scores are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ministries, they want to 'look good' on the scores. Second, since there is a meta evaluation by MSIP, they tend to give their own R&D projects higher marks by anticipating that those will be slashed out by MSIP. At the same time, MSIP wants to be tough in the meta-evaluation in order to keep other ministries under control. The existence of the self-evaluation leniency has been pointed out in a few qualitative studies but there has been little empirical studies so far. Also the studies explaining the causes of them is sparse. This study covers the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in Korea from 2010 to 2013 and analyzes them by using regressions. The analysis confirms the existence of the self-evaluation leniency. Although the absolute size of the gap has decreased over times, the gap is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the ratio of feedback, the size of a projec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size of the gap. 본 논문은 한국의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에서 나타나는 자체평가 관대화 현상과 그 원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본 논문에서는 ‘자체평가 관대화’를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평가에서 미래창조과학부가 수행하는 상위평가점수보다 수행기관이 실시하는 자체평가점수가 지속적으로 높은 현상”이라고 정의한다. 자체평가 관대화는 일부 연구에서 평가운영상또는 평가오류의 문제점으로 분류되어 평가제도의 개선이나 평가위원의 전문성향상 등 사업운영 외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지만, 관대화 현상의 존재 자체에 대한 실증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본 논문의 연구대상은 2010~2013년 사이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이며,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종속변수인 자체평가 관대화 현상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독립변수인총지표대비 산출지표의 비중, 성과피드백 비율의 변수들이 자체평가 관대화에 통계적으로유의미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위평가는 사실상 자체평가와 중복된 옥상옥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자체평가를 내실화하여 관대화 현상을 없애고 궁극적으로 상위평가를 간소화하거나 축소할 필요가 있다. 해당정책에 대한 정보를 가장 많이 갖고 있고 그 결과에 대해 책임을 지는 주무부처가 실시하는자체평가를 강화하여 평가를 위한 평가 또는 줄세우기를 위한 평가가 아닌 학습을 위한평가로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