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한제국기 양평지역 의병운동의 전개와 귀순 문제

        김헌주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0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103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pproach the reality of defections that occurred in the course of the Righteous Army Movement during Korean Empire. Specifically, researches were conducted focusing on the cases of the Righteous Army movements and defections in Yangpyeong, Gyeonggi Province. Yangpyeong is chosen as a suitable area for a case studay as the Righteous Army in this area was a part of Geyonggi Righteous Army which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Righteous Army movements during this period and also as the defection case happened at Bunwon Village, Yanggeun Town, Gyeonggi Province (Yanggeun is one of main towns in Yangpyeong area.) can be a good example of defections by Righteous soldiers, which is one of the key issues of this study. The followings are the facts newly revealed in this study. Firstly, this study analyzed the strategies of two main newspapers, Hwangseong Shinmun and Daehan Maeil Shinbo, to encourage defection, which coincided with the defection policy of the Japanese Empire. This study revealed that Hwangseong Shinmun proposed various defection strategies in line with the operations promoting defection of the Righteous soldiers conducted by the Japanese Empire. On the other hand, Daehan Maeil Shinbo showed a lukewarm attitude on defection operation of Japanese Empire. For example, they criticized the illicit acts of Iljinhoe during the defection process. Secondly, this research traced the defection cases of Righteous Army in Yangpyeong area microscopically. It was examined in details how two Righteous soldiers, Han Bo-yeo and Jang Joo-won, from Bunwon Village, Yanggeun Town, Gyeonggi Province defected from the Righteous Army by aggressive persuasion of the Ministry of Public Affairs. Lastly,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how the former Righteous soldiers who had already defected returned to the Righteous Army. It depicted in detail how they returned to the Army and the role of the active soldiers who urged the defectors to come back to the Army. Through these analyses, this study revealed that defection of the Righteous soldiers was not fixed but very variable and that the boundary between the Righteous soldiers and civilians was not clear. 이 연구는 대한제국기 의병운동 과정에서 일어났던 귀순의 실체에 대해 접근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구체적으로 경기도 양평지역의 의병운동과 귀순 사례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양평지역 의병은 이 시기 의병운동에서 핵심적 역할을 했던 경기지역 의병의 한 갈래라는 점, 본 연구의 중요한 논점인 귀순문제를 세밀하게 살펴보는데 경기도 양근군 분원마을의 사례가 적합하다는 점에서 사례연구로 적합한 지역이라고 판단했다. 본 연구에서 새롭게 밝힌 사실을 중심으로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일제의 귀순정책과 동시에 이루어진 황성신문과 대한매일신보의 귀순전략에 대해 분석했다. 황성신문은 일제의 의병 귀순 작업과 발맞추어 다양한 방식의 귀순 전략을 제시하였음을 밝혔다. 대한매일신보는 일제의 의병 귀순 작업에 대해 미온적인 보도양상을 보였는데, 예컨대 귀순 과정에서 일진회의 비위 행위를 비판하는 식이었다. 둘째, 양평지역을 중심으로 의병 귀순의 사례를 미시적으로 추적했다. 경기도 양근 분원마을의 한보여와 장주원이라는 인물이 통감부의 적극적인 귀순 압박에 의해 귀순되는 과정을 미시적으로 살폈다. 셋째, 의병이 귀순했다가 재의병화(再義兵化)하는 과정을 분석했다. 귀순한 의병들이 어떻게 다시 의병으로 복귀하는지, 그 과정에서 현재 활동 중인 의병이 귀순했던 의병들에게 재의병화를 촉구하는 역할을 한 부분까지 자세하게 그려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이 연구에서는 귀순이라는 것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 매우 가변적이었으며, 의병과 양민의 경계 또한 선명하지 않았음을 상기시키고자 했다.

      • ‘제천의병’의 문학적 형상화와 그 역사적 의미

        권순궁 ( Kwon Sun-keung )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22 지역문화연구 Vol.21 No.1

        문학 속에 형상화 된 ‘제천의병’을 보면,친일문학 노선을 지향하는 이인직의 <은세계>에서 의병은 “인민의 재산을 강탈”하여 “나라에 해를 끼치”며 문명개화에 역행하는 한낱 ‘무뢰지배’로 그려지며, 애국계몽문학의 노선을 지 향하는 이해조의 <고목화>에서도 의 병의 잔존세력인 활빈당이 여자나 납치해 첩으로 삼는 ‘불한당’, 곧 화적패로 그려진다. 반면 빙허자의 <소금강>에서는 개화사상의 한계를 깨달은 주인공이 무장투쟁 조직인 활빈당에 가담하고 다시 간도로 건너가 독립기지를 건설한다는 내용으로 의병전쟁의 과정과 해외 독립기지 건설에의 전망까지 확보하고 있다. 현대소설에서 제천의병을 구체적으로 다룬 권운상의 『월악산』에서는 평민 의병장인 김백선과 안승우의 갈등을 중심으로 결국 군률을 위반한 김백선이 처형됨으로써 제천의병이 와해되는 과정을 그렸다. 동학 남접의 접주인 서장옥을 중심으로 동학농민세력, 제천의병진, 활빈당 월악산패, 만민공동회까지 근대사의 물줄기를 그리려고 했던 것인데, 너무 서장옥에 집착하여 민중들의 열망과 함성은 사라지고 월악산패와김백선 그리고 무능하고 부패한 유생 지도부만 남아 역사를 주관적으로 재단했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반면 의병들의 분노와 결의와 함성이 잘 드러난 신태식의 <창의가>는 문경 출신의 작가가 이인영의 관동의병에 참여하여 온갖 전투를 치르고 모진 고난을 겪으며 결국 영평전투에서 부상을 당해 잡혀 재판을 받기까지의 과정을 구체적이고도 생생하게 그리고 있다. 작가는 양반의병장으로서 조선왕조의 은혜를 입었음을 강조했지만 그보다는 “가슴에 끓는 피”, 곧 ‘애국’이라는 대의로 평민과 하나 되어 일제의 침탈에 저항했음을 보여준다. 윤희순의 ‘의병가’들은 남녀유별이라는 유교적 인습을 뛰어 넘어 ‘안사람’들도 나라를 구하기 위해 의병전쟁에 참여해야 함을 역설한 작품이다. 작가도 직접 ‘안사람의병대’를 조직하여 의병전쟁에 참여했기에 노래가 진솔할 수 있었다. ‘의병가’들은 일제의 침탈에 대한 분노, 나라 사랑과 일본에 대한 적개심, 관군과 의병이 싸우는 것에 대한 애달픔, 안사람도 의병에 참여하여 일본군을 물리쳐야 한다는 결의 등이 잘 드러나 있다. Looking at the 'Jecheon Righteous Army’ embodied in literature, in Lee In-jik's < Eunsegye >, which aims for pro-Japanese literature, the righteous army robs the people's property and harm the country and goes against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 and in < Gomokhwa > by Lee Hae-jo, who pursues the line of patriotic enlightenment literature, ‘Hwalbindang’, a remnant of righteous soldiers, kidnaps women and makes them his concubine, that is, ‘Hwajeokpae’. On the other hand, in < Sokeumgang > by Bingheoja, the main character who realized the limits of enlightenment thought joined the armed struggle organization, ‘Hwalbindang’,and then crossed over to Gando to build an independent base. have. Gwon Un-sang’s 『Wolaksan』, which deals with the Jecheon Righteous Army in detail in modem novels, depicts the process of disintegration of the Jecheon Righteous Army as Kim Baek-seon, who violated military rules, was executed, focusing on the conflict between Kim Baek-seon and Ahn Seung-woo, a commoner general of the righteous army. Centered on Seo Jang-ok, the owner of Donghak Namjeop, he tried to draw the stream of modem history, from Donghak peasant forces, Jecheon Uibyeongjin, Hwalbindang Woraksanpae, and Manmin Community Association. Only Kim Baek-seon and the incompetent and corrupt Confucian scholar leadership remained and could not escape criticism for subjectively judging history. On the other hand, Shin Tae-sik's < Chang-uiga >, which shows the righteous soldiers' anger, determination, and shouts, shows the writer from Mungyeong participating in Lee In-young's Kwandong Righteous Army, fighting all kinds of battles and going through harsh hardships. It depicts the process in detail and vividly. The writer emphasized that he was favored by the Joseon Dynasty as a nobleman righteous army chief, but rather shows that he resisted the invasion of Japan by becoming one with the common people with the cause of “boiling blood”, that is, “patriotism.” Yoon Hee-soon’s 'Song of the Righteous Army' is a work that goes beyond the Confucian convention of segregation of men and women, and emphasizes that even the ’inner people' must participate in the righteous army war to save the country. The song was able to be sincere because the writer himself organized the 'Ansaram Righteous Army’ and participated in the righteous army war. The 'Righteous Army’ shows the anger at the invasion of the Japanese Empire, the love for the country and the hostility towards Japan, the pain of fighting between the government army and the righteous army, and the determination that people should also participate in the righteous army and defeat the Japanese army.

      • KCI등재

        한말(韓末) 호남의병(湖南義兵)의 항전(抗戰)과 의병장(義兵將)

        김상기 ( Sang Ki Kim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51 No.1

        호남의병은 전기의병기에는 동학혁명에 참여하여 많은 이들이 희생을 당한 후유증으로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없었다. 중기의병기 최익현의 태인의병은 열국 공사관에 공함을 보내 을사조약 늑결의 부당함과 일제의 침략상을 성토하면서 지원과 협조를 요청하였다. 태인의병은 관군의 출동에 맞서 전투보다는 동족간의 ‘不戰’을 택했다. 최익현과 임병찬을 비롯한 의병지휘부는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그러나 최익현의 거의는 한민족에게 의병 봉기를 촉구하는 영향을 주었다. 이후 능주에서 양회일, 창평에서 고광순, 광양에서 백낙구, 남원에서 양한규 등이 의병을 일으켜 항일전쟁의 대열에 나섰다. 후기의병기 호남의병은 반제국적 성격은 물론 민중적인 성격을 띄면서 격렬하게 투쟁하였다. 호남의병은 일제의 축출, 일진회를 비롯한 친일세력 처단, 일본상품의 배격 등과 같은 민족적인 이념은 물론이고, 탐학한 관리의 축출과 같은 반봉건적인 이념을 동시에 내세웠다. 호남의병은 지역 주민과의 유대를 강화하였으며, 장기항전에 대비하여 국내외에 의병 기지의 건설을 추진하였다. 후기 호남의병의 강력한 반일투쟁은 일제의 식민지화 정책을 지연시키는 데 기여하였으나, 일본군의 무자비한 학살을 피할 수 없었다. 호남의병은 투쟁성과 민중성을 잘 보여주었으며, 민족주의 이념 외에도 보국안민적인 동학의 이념을 계승하고 있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Honam(湖南) Righteous army could not actively participate in the former Righteous Army period, because many people were sacrificed since participating in the Donghak(東學) revolution. In the middle Righteous Army period, Taein(泰仁) Righteous Army commander Choi Ik-hyun sent a missive to foreign legation and protested the invasion and compulsive Eulsa Treaty by Japanese and called for the support and cooperation. Taein Righteous Army chose the ``No battle`` between kin rather than battle against government forces. Righteous Army commanders have been arrested, including Choi Ik-hyun and Im byeong-chan suffered hardships. However, the uprising of Righteous Army of Choi Ik-hyun influenced to Korea people uprising calling for the Righteous Army. Honan Righteous Army was strengthened ties with local residents, in preparation for the long-term coercive promoted the construction of the Righteous Army base at home and abroad. The anti-Japanese struggle Righteous Army in Honan Region was helped to delay the colonization policy of Korea by Japan, but could not avoid the merciless massacre by Japanese troops. Honan Righteous Army showed well the struggle and popular characters, therefore we can find meaning in that it has inherited the nationalist ideology addition to the idea of the Donghak Revolution.

      • 일본 언론의 제천 의병 인식

        이규수 ( Yi Gyu-soo )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22 지역문화연구 Vol.21 No.1

        의병 전쟁은 대한제국 말기 국권을 수호하기 위해 일본의 침략에 저항한 무장 투쟁을 말한다. 한국 강점 이후 국내외에서 전개된 독립운동의 정신적 · 인적 토대가 되었다는 점에서 조선인의 반침략 투쟁인 의병 전쟁의 역사적 의의는 매우 크다. 의병 전쟁은 변복령 · 명성황후 시해 · 단발령을 계기로 일어난 1895~1896년의 제1차 의병 전쟁과 을사 늑약 · 고종 강제퇴위 · 군대해산 전후에 봉기한 1904~1914년의 제2차의병 전쟁을 포괄하는 역사 용어이기도 하다. 제천 의병을 비롯해 각 지역의 의병 연구는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제천 의병의 전개 과정과 주도 인물,지역적 특성 등에 관해서는 기존연구를 통해 상세하게 밝혀졌다. 의병 관계자의 문집 둥을 활용하여, 의병의 시기별 · 지역별 특징을 파악했다. 앞으로 새로운 자료의 발굴로 연구에 진전이 이루어지겠지만, 그러기 위해서도 의병의 정의와 시기구분에 대한 합의가 필요해 보인다. 특히 동학농민군의 제2차 봉기를 ‘의병적’이라 규정함으로써 ‘역사적 개념으로서의 의병’의 범주에서 제외하는 것이 과연 타당한지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의병에 동학농민군이 합류하거나 동학 조직이 실제로 활용되었기 때문에 그들에 대한 정당한 평가가 필요하다. 시기 구분에 대해서도 학계의 통일된 합의의 도출도 필요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모지신보(門司新報)』에 보도된 2차 의병 관련 기사를 소개한다. 『모지신보』는 쓰다 고레야스(津田維寧)가 1892년 5월 21일에 구(舊) 모지시(門司市)에서 발간한 일간지이다. 모지시는 후쿠오카현(福岡縣) 북동부에 위치한 기타큐슈(北九州)의 현관 역할을 담당한 항구이다(1963년 기타큐슈시로 통폐합되어 소멸). 『모지신보』는 기타큐슈 지역을 대표하는 지방 언론이었다. 모지항은 한국과의 관계에서도 중요한 관문 역할을 담당했다. 러일전쟁 이후, 일본 군대는 의병을 탄압하기 위해 모지항을 통해 파견되었고, 이 항구를 통해 양국을 왕래하는 인물들의 근황도 보도되었다. 특히 모지항을 왕래하는 의병 진압 부대의 상황에 대한 보도는 타 신문보다 지면 할당이 많았다. 모지항이라는 지역의 특수성이 신문의 보도내용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모지신보』는 지리적인 특성상 일종의 한국 관련 정보의 창구역을 수행한 것이다. The righteous army war refers to an armed struggle that resisted Japanese aggression to defend national sovereignty at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righteous army war, an anti-invasion struggle of the Korean people, is very significant in that it has become the spiritual and human foundation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t home and abroad since the Korean occupation. The righteous army war is also a historical term that encompasses the first righteous army war between 1895 and 1896 which took place in the wake of a measure of clothes change, the murder of the Queen Myeongseong and a measure of hair cut, and the second righteous army war between 1904 and 1914. Research on the righteous army in each region including Jecheon righteous army, has achieved a lot of results. The development process, leading figure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Jecheon righteous army were revealed in detail through existing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ighteous army by period and region were identified by using the collection of writings of the righteous army officials. Although progress will be made in research with the discovery of new data, it seems necessary to agree on the definition and timing of righteous army.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discuss whether it is reasonable to exclude the second uprising of the Donghak(東울) Peasant Army from the category of ‘a righteous army as a historical concept’ by defining it as ‘a righteous army.’ Since Donghak Peasant Army joined the righteous army or the righteous army actually used Donghak Organization, a legitimate evaluation of them is needed. It will also be necessary to draw a unified consensus on the period classification. This thesis introduces the articles related to the second righteous army reported in the Mojishinbo(門司新幸艮). Mojishinbo is a daily newspaper published by Tsuda Koreyasu(津田維寧)on May 21, 1892 by the former Moji city. Moji city is a port that served as the gateway to Kitakyushu in northeastern Fukuoka Prefecture (which was merged into Kitakyushu city in 1963 and disappeared). Mojishinbo was a local media representing the Kitakyushu region. Moji Port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lations with Korea. After the Russo-Japanese War, Japanese troops were dispatched through Moji Port to suppress the righteous army, and through this port, the activities of people traveling between the two countries were also reported. In particular, reports on the situation of the righteous army suppression unit traveling to and from Moji Port were more allocated than other newspapers. It is believed that the specificity of the area called Moji Port also affected the contents of the newspaper's report. Mojishinbo is a kind of window of information related to Korea due to its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한말 의병부대의 의료실태와 한의사의 의병전쟁 참여양상

        김성민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23 군사 Vol.- No.129

        한말의 의병부대에는 이동생활에 따른 질병과 전투로 인한 부상 등 필연적으로 부상・병자가 발생할 수밖에없었다. 부상・병자의 치료는 전투력의 유지라는 측면에서매우 중요한 사안이었다. 이 논문은 한말 의병부대의 의료행위와 한의사들의 의병 참여양상을 살펴본 연구이다. 의진 내에서 부상・병자를 치료하는 방식은 자체 치료, 은신 치료, 귀가 등이 있었다. 자체 치료는 대체로 간단한 응급조치에 그쳤을 것이다. 한의약 지식이 있는 유학자(儒醫)들이 의진 내에서 치료하는경우이다. 거동이 불편한 질병・부상자는 마을에 은신 치료하거나 귀가하여 치료하였다. 이러한 방식이 보다 일반적이었을 것이다. 따라서 의진 내에 ‘軍醫’ 등 별도의 부서를 두는 경우는 많지 않았다. 한말 일제의 침략에 맞서 한의사들도 의병전쟁에 참여하였다. 한의사들의 의병 참여는 중기의병 당시부터 확인되며1907년 군대해산 이후의 후기의병에는 국내 여러 지역에서발견된다. 한의사들은 의병장으로 거의하거나, 의진의 주요참모로 활동하였다. 식자층이었으므로 의진내에서 주요한 직책을 담당하는 경우가 많았다. 개업하지 않은 儒醫로서 의진내에서 의료행위를 한 경우도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확인되는 수보다 훨씬 더 많은 한의사들이 의병전쟁에 참여했을것으로 보인다. 한의사 의병도 경술국치 이후 만주지역을 중심으로 독립군으로 전환해 갔다. 이는 의병이 독립군으로 전환한 일반적인 양상과 괘를 같이 하는 것이다. Treatment of injuries and diseases in the righteous army units was a very important issue in terms of maintaining combat power. This thesis is a study examining the medical practices and the participation of oriental doctors in the righteous army units. In general, medical practices within the righteous army unit included self-treatment, hidden treatment, and return home. Self-treatment would have been largely a simple type of first aid. Diseases and injuries causing mobility difficulties were treated in hiding in the village or by unit members returning home. Therefore, there were not many cases of having separate departments such as "military doctors" within the righteous army unit. The participation of oriental medical doctors in the righteous army has been confirmed since the mid-term righteous army war, and it also has been established that such participation occurred in various regions in Korea during the late righteous army war. Oriental medicine doctors served almost as righteous army chiefs or as major staff members of righteous army units. Since it was an educated class, it was often in charge of major positions within the unit. Like other righteous armies, the righteous army of oriental medical doctors was converted into an independent army centered on Manchuria after the fall of the Daehan Empire.

      • KCI등재

        임진왜란 초기 대구지역의 의병 활동

        이욱 호남사학회 2015 역사학연구 Vol.57 No.-

        임진왜란 당시 경상도의 의병활동은 적의 후방에서 보급로를 차단하는 한편, 낙동강 전선을 사수하고 곡창 전라도를 지켜냄으로써 국난극복의 轉機를 마련하였다. 그런데 기존 연구들은 저명한 의병장이나 의병활동에 치중되어 있는 한계가 있었다. 그렇지만 경상도 의병에 대한 종합적이고 폭넓은 이해를 위해서는, 열악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각 지역에서 의병 활동을 했던 소규모 의병장들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 글은 이러한 인식 하에 대구에서 활동했던 의병들의 활동을 재조명할 목적으로 작성하였다. 임란 초기 대구의 의병항쟁은 팔공산으로 피난하지 못한 사족이 주도하였다. 이들의 활동은 일본군의 약탈에 저항하는 향토방위 차원에 머물렀다. 서재겸 부대처럼 일본군 진지를 기습 공격하기도 하였지만, 전력의 열세를 실감할 수밖에 없었다. 그만큼 대구에 주둔한 일본군의 전력은 막강하였다. 게다가 일본군의 회유책에 넘어가 일본군에 협조하고, 나아가 약탈을 자행하는 조선 백성들도 많았다. 이 때문에 대구의 의병 활동은 일본군의 공격과 약탈로부터 피난지를 방어하는 수준에 머무를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선조의 교서와 이웃 지역 의병 활동에 자극을 받아 1592년 7월 6일 제1차 공산의진이 결성되면서 의병 조직의 규모가 대구 전지역을 포괄하게 되었다. 이것이 가능했던 것은 임진왜란 이전 연경서원을 통해 대구 지역 사족 전체가 일정한 연계망을 구축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1차 공산의진은 대구 지역 전체를 포괄하는 규모로 결성되어 매복이나 기습을 위주로 일본군의 진로를 차단하는 작전을 수행하였다. 팔공산의 험준함에 의존하여 의병 본부를 설치하는 한편, 각 지역의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여 활동하였던 것이다. 때문에 소수의 일본군을 상대하여 효과적인 활동을 전개할 수 있었다. 그래서 해안현 의병의 경우 달성까지 진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팔공산에 주둔하였던 관군과의 협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을 뿐 아니라, 오히려 의병활동을 방해하는 행태까지 보였다. 군량의 원활한 공급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게다가 의병장이 자주 교체됨으로써 의병활동을 전체적으로 조율할 수 있는 구심점이 결여되는 한계도 있었다고 할 수 있다. The activities of righteous armies during Imjin Waeran(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1599) blocked the supply routes in the rear of the enemy and, on the other hand, defended the line of the Nakdong River and the granaries in Jolla‐do, and by doing so, they provided a turning point for overcoming the national crisis. However, most of previous studies have a limitation because they are focused on righteous army leaders or righteous army activities. For more general and broader understanding of righteous armies in Gyeongsang‐do, we also need to study the leaders of small‐size righteous troops that waged military campaigns in various areas despite adverse situations. With the recognition of this problem,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reilluminate the activities of righteous armies based on the Daegu area. Daegu righteous armies’ campaigns during the early period of Imjin Waeran were led mainly by noble families who could not flee to Mt. Palgong. Their activities were limited to local defense, keeping Japanese forces from plundering. Some like Seo Jae‐gyeom’s unit attacked Japanese forces’ camps, but most of righteous armies had to suffer inferiority in military power. As that much, the military strength of the Japanese army stationed in Daegu was enormous. Besides, many Joseon people were won over by Japanese troops and cooperated with them even in plundering. For this reason, the activities of righteous armies in Daegu were merely for protecting refuges from Japanese forces’ attacks and plundering. Encouraged by King Seonjo’s message and the activities of righteous armies in the neighbor areas, however, the first Gongsanuijin was organized in July 6, 1592 and, as a result, the scale of righteous army organization covered the entire area of Daegu. This was possible because all of the noble families in the Daegu area had established a network through Yeongyeong Private School before Imjin Waeran. Formed large enough to cover the entire area of Daegu, the first Gongsanuijin waged campaigns mainly for cutting the routes of the Japanese army through ambushes or surprise attacks. It installed the headquarters of the army in an area protected by the ruggedness of Mt. Palgong, and then occupied advantageous points in each area. In this way, they could fight effectively against small units of Japanese army. Through the struggles, the righteous army at Haean‐hyeon advanced up to Dalseong. However, cooperation with the government force stationed in Mt. Palgong was not smooth, and even the government force sometimes obstructed righteous armies’ activities. Military provision was not efficient either. What is more, because the leaders of righteous armies were changed frequently, there were few pivotal points for coordinating the activities of the armies as a whole.

      • KCI등재

        연구논문 : 임진왜란 초기 대구지역의 의병 활동

        이욱 ( Uk Lee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5 역사학연구 Vol.57 No.-

        임진왜란 당시 경상도의 의병활동은 적의 후방에서 보급로를 차단하는 한편, 낙동강 전선을 사수하고 곡창 전라도를 지켜냄으로써 국난극복의 轉機를 마련하였다. 그런데 기존 연구들은 저명한 의병장이나 의병활동에 치중되어 있는 한계가 있었다. 그렇지만 경상도 의병에 대한 종합적이고 폭넓은 이해를 위해서는, 열악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각 지역에서 의병 활동을 했던 소규모 의병장들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 글은 이러한 인식 하에 대구에서 활동했던 의병들의 활동을 재조명할 목적으로 작성하였다. 임란 초기 대구의 의병항쟁은 팔공산으로 피난하지 못한 사족이 주도하였다. 이들의 활동은 일본군의 약탈에 저항하는 향토방위 차원에 머물렀다. 서재겸 부대처럼 일본군 진지를 기습 공격하기도 하였지만, 전력의 열세를 실감할 수밖에 없었다. 그만큼 대구에 주둔한 일본군의 전력은 막강하였다. 게다가 일본군의 회유책에 넘어가 일본군에 협조하고, 나아가 약탈을 자행하는 조선 백성들도 많았다. 이 때문에 대구의 의병 활동은 일본군의 공격과 약탈로부터 피난지를 방어하는 수준에 머무를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선조의 교서와 이웃 지역 의병 활동에 자극을 받아 1592년 7월 6일 제1차 공산의진이 결성되면서 의병 조직의 규모가 대구 전지역을 포괄하게 되었다. 이것이 가능했던 것은 임진왜란 이전 연경서원을 통해 대구 지역 사족 전체가 일정한 연계망을 구축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1차 공산의진은 대구 지역 전체를 포괄하는 규모로 결성되어 매복이나 기습을 위주로 일본군의 진로를 차단하는 작전을 수행하였다. 팔공산의 험준함에 의존하여 의병 본부를 설치하는 한편, 각 지역의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여 활동하였던 것이다. 때문에 소수의 일본군을 상대하여 효과적인 활동을 전개할 수 있었다. 그래서 해안현 의병의 경우 달성까지 진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팔공산에 주둔하였던 관군과의 협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을 뿐 아니라, 오히려 의병활동을 방해하는 행태까지 보였다. 군량의 원활한 공급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게다가 의병장이 자주 교체됨으로써 의병활동을 전체적으로 조율할 수 있는 구심점이 결여되는 한계도 있었다고 할 수 있다. The activities of righteous armies during Imjin Waeran(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1599) blocked the supply routes in the rear of the enemy and, on the other hand, defended the line of the Nakdong River and the granaries in Jolla-do, and by doing so, they provided a turning point for overcoming the national crisis. However, most of previous studies have a limitation because they are focused on righteous army leaders or righteous army activities. For more general and broader understanding of righteous armies in Gyeongsang-do, we also need to study the leaders of small-size righteous troops that waged military campaigns in various areas despite adverse situations. With the recognition of this problem,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reilluminate the activities of righteous armies based on the Daegu area. Daegu righteous armies` campaigns during the early period of Imjin Waeran were led mainly by noble families who could not flee to Mt. Palgong. Their activities were limited to local defense, keeping Japanese forces from plundering. Some like Seo Jae-gyeom`s unit attacked Japanese forces` camps, but most of righteous armies had to suffer inferiority in military power. As that much, the military strength of the Japanese army stationed in Daegu was enormous. Besides, many Joseon people were won over by Japanese troops and cooperated with them even in plundering. For this reason, the activities of righteous armies in Daegu were merely for protecting refuges from Japanese forces`` attacks and plundering. Encouraged by King Seonjo`s message and the activities of righteous armies in the neighbor areas, however, the first Gongsanuijin was organized in July 6, 1592 and, as a result, the scale of righteous army organization covered the entire area of Daegu. This was possible because all of the noble families in the Daegu area had established a network through Yeongyeong Private School before Imjin Waeran. Formed large enough to cover the entire area of Daegu, the first Gongsanuijin waged campaigns mainly for cutting the routes of the Japanese army through ambushes or surprise attacks. It installed the headquarters of the army in an area protected by the ruggedness of Mt. Palgong, and then occupied advantageous points in each area. In this way, they could fight effectively against small units of Japanese army. Through the struggles, the righteous army at Haean-hyeon advanced up to Dalseong. However, cooperation with the government force stationed in Mt. Palgong was not smooth, and even the government force sometimes obstructed righteous armies` activities. Military provision was not efficient either. What is more, because the leaders of righteous armies were changed frequently, there were few pivotal points for coordinating the activities of the armies as a whole.

      • KCI등재

        임란초기 영천지역 의병 항쟁과 영천성 복성復城

        이욱 한국국학진흥원 2015 국학연구 Vol.0 No.26

        In Yeongcheon, righteous armies and the government army cooperated with each other and recovered the Yeongcheon Wall. The recovery of the Yeongcheon Wall was the first victory that Korean forces won in ground battles during Imjin Waeran (Japanese Invasion of 1592‐1599). This victory was so meaningful that even people in those days called it the greatest victory by the Joseon army along with the Great Battle of Myeongryang. However, their campaigns have been forgotten now. In order to review the roles and meanings of righteous armies during Imjin Waeran, we need to reilluminate the forgotten activities of righteous armies in the Yeongcheon area.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is purpose. Yeongcheon is situated in the middle of Gyeongsang‐do, and was an important strategic place connecting Gyeongju to Andong. For this reason, Kato Kiyomasa’s force that occupied Yeongcheon left 1,000 soldiers behind to defend the area. This remaining force raided nearby areas through major routes, and in response to the invasions, righteous armies began to rise for local defense. In Yeongcheon and Sinnyeong, leaders such as Jeong Se‐ah, Jeong Dae‐im, and Kwon Eung‐soo raised righteous armies based on their hometown. At the beginning, their campaigns were limited to attacking small units of Japanese army plundering villages. Gradually, however, righteous armies in the Yeongcheon area began to expand the scope of their activities. Factors inducing such expansion were as follows. First, Choyusa (Overseer) Kim Seong‐il appointed the leaders of righteous armies and this established the command system. Second, as the Ming Army joined in the war, the war situation turned favorable to Joseon. Third, Yeongcheon righteous armies’ victories at a number of battles stirred up the morale. As a result, righteous armies in Yeongcheon and nearby areas formed a united front. The joint force of righteous armies won a great victory at the Bakyeon Battle. With enhanced spirit, the leaders of righteous armies in Yeongcheon went up to the front line in order to reclaim the Yeongcheon Wall. For this, righteous armies from at least 10 counties and villages were encouraged to join the united force. Along with the righteous armies, the command post of the government army also participated, and explosives and weapons were supplied. Moreover, the invincible will of the command post and the strategic choice of attacking with fire led to the reclamation of the Yeongcheon Wall. With the recovery of the Yeongcheon Wall, Japanese forces stationed in Gyeongsangjwa‐do to the south of Andong were isolated because the supply route through Gyeongju, Yeongcheon, and Andong was blocked. This inflicted a severe blow to the Japanese forces, and seizing the momentum, the righteous armies recovered Gyeongju and Ulsan as well. The recovery of the Yeongcheon Wall was attained through joint operation of government and civil forces, and this raises the necessity to re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and post of the government army and the leaders of righteous armies. It is because behind the brilliant military achievements of the righteous armies were superior weapons of the government army and excellent tactics of the command post. A new approach to this aspect may provide opportunities to overcome the distorted perception that the Joseon Dynasty was incompetent and devoid of national crisis management systems. 영천에서는 의병과 관군이 협력하여 영천성을 수복하였다. 영천성 복성 전투는 임진왜란당시 우리가 육전에서 거둔 최초의 승리였다. 이 승리는 명량대첩과 함께 조선 군대가 거둔 최고의 승리라고 당대인들이 평가할 정도로 큰 의미가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그들의 활동이 잊혀지고 말았다. 임진왜란 당시 의병의 역할과 의미를 종합적으로 고찰하기 위해서는, 잊혀진 영천 지역 의병활동을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작성되었다. 영천은 경상도의 중로에 위치하면서 경주에서 안동을 연결하는 중요한 요충지였다. 때문에 영천을 점령한 가등청정 부대는 1,000명의 부대를 잔류시켜 영천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들 잔류부대는 주요 교통로를 오가면서 침략을 자행하였다. 일본군의 침탈이 자행되면서, 향토방위차원에서 의병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영천과 신녕에서는 정세아, 정대임, 권응수 등이 거주지를 근거로 의병을 일으켰다. 그들은 초기에는 노략질에 나선 소수의 일본군을 공격하는 수준의 활동을 하였다. 그러나 점차 영천 지역 의병들은 활동 영역을 넓히기 시작했다. 그 계기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유사 김성일이 의병대장을 임명함으로써 지휘 체계가 확보되었다. 둘째, 명군이 참전하면서 전황이 유리하게 바뀌었다. 셋째, 영천 의병들이 몇 차례의 전투에서 승리하며서 사기가 고조되었던 점 등이다. 이에 따라 영천과 인근 지역의 의병 부대가 연합 전선을 형성하였다. 의병 연합 부대는 박연 전투에서 대승을 거뒀다. 영천 의병장들은 승세를 타고 영천성을 수복하기 위한 작전에 나섰다. 이를 위해 단일 군현의 연합부대가 아니라, 최소 10여개 이상의 군현 의병의 참가를 독려하였다. 의병과 함께 관군 지휘부도 참여하였고, 화약과 무기의 지원을 받는 등 민관 협력의 모습도 보였다. 거기에 지휘부의 불굴의 의지와 화공火攻이라는 적절한 전략 선택은 영천읍성을 수복하는 전과를 올렸다. 영천성 수복으로 안동 이하의 경상좌도에 주둔하던 일본군들은 경주, 영천, 안동을 잇는 보급로가 차단되었다. 이는 일본군에 큰 타격을 주었고, 의병은 승세를 이어 경주와 울산 읍성까지 수복하였다. 영천성 수복이 관과 민의 연합 작전에 의한 것이었다는 점에서 관군 지휘부와 의병장의 관계에 대해 새롭게 고찰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의병의 혁혁한 전과 뒤에 관군이 지닌 뛰어난 무기와 관군 지휘부의 전술도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 대한 새로운 접근은 당시 조선 국가의 무능과 국가 위기관리 시스템의 부재라는 왜곡된 인식을 극복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한제국의 비극』에 나타난 1907년 의병전쟁과 의병

        심철기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0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103

        F. A. McKENZIE, THE TRAGEDY OF KOREA(E. P. DUTTON & CO. 31 West Twenty-third Street NEW YORK, 1908) is significant in that it was the first writing of a Western military reporter visiting a site of the war of the Righteous Armies in 1907. However, there is a limit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reconfirm the scene only with the records and photographs he left behind. Nonetheless, the records left by McKenzie once again gave him a chance to recognize the Righteous Army. The notable records are, first of all, records relating to the Righteous Army organizations. It can be seen that at that time, most of the Righteous Army was operating in the uprising area and was operating independently through a human network. Second is the rules of engagement against foreigners. the Righteous Army has a discipline that it does not attack foreigners, and foreigners recognizes as an object to inform the actual situation of the war of the Righteous Armies in 1907 to the outside world. Third is a record of the operation of the Righteous Army. the Righteous Army was able to take vacations and stay overnight if necessary. Fourth is a record of healing wounded soldiers. the Righteous Army had little ability to treat wounded soldiers. Fifth, it is a record about the military uniform worn by the Righteous Army. Although Korean military uniforms worn by the Righteous Army is classified, it is necessary to analyze military uniforms for a precise analysis of the participating forces. 매켄지의 『대한제국의 비극』은 서양인 종군기자가 1907년 의병전쟁의 현장을 방문하고, 의병을 직접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생생하게 기록한 최초의 저술이라는 것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하지만 그가 남긴 기록과 사진만으로는 현장을 다시 확인하기는 매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켄지가 남긴 기록은 의병을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주목할 만한 기록은 첫째, 의병조직에 대한 기록이다. 당시 의병부대가 대부분 봉기 지역에서 활동하고, 인적관계망으로 독자적인 활동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외국인에 대한 교전수칙이다. 의병은 외국인에 대해 공격하지 않는다는 규율이 있었고, 그들을 의병전쟁의 실상을 외부에 알려줄 대상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의병부대 운영에 대한 기록이다. 의병부대는 필요에 따라 휴가, 외박 등이 가능하였다. 넷째, 의병을 치료해 준 기록이다. 의병은 부상병에 대한 자체 치료 능력이 거의 없었다. 다섯째, 의병이 입은 군복에 대한 기록이다. 의병이 입은 한국군복을 구분하고 있는데, 의병참여세력의 세밀한 분석을 위해서라도 군복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 KCI등재

        韓末陰城지역의 사회경제적 동향과 의병 투쟁

        박걸순 한국근현대사학회 2016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78 No.-

        음성은 20세기에 이르기까지 매우 잔약한 소읍이었다. 근대에 이르기까지 음성에는 이렇다 할 학맥이나 사족 층의 형성도 없었다. 그러나 충주와 인접하고, 서울과경기로 통하는 길목에 위치하고 있어 동학농민운동과 의병 투쟁 등 근대의 물결이거셌다. 음성지역 1900년대 초반의 사회경제 상황을 기록한 <<陰城郡量案>>과 <<李郭抱寃錄>>은 중요한 자료이다. 음성군양안은 토지의 존재 형태를 알려주며, <<이곽포원록>>은 동학에 참여한 이른바 東學黨餘가 향촌사회에서 겪는 구체적인 실상과 추향을 알려준다. 음성에서 의병 투쟁은 전기의병인 1896년부터 전환기 의병인 1912년까지 17년간 면면히 이어져왔다. 무극 장터는 동학 농민군과 의병의 주요 활동 거점이 되었다. 전기의병기 음성은 충주성 공략을 위해 의병을 소모하여 제천의병을 지원하는 후방기지 역할을 하였고, 실제 전투에도 참여하였다. 6월 8일에는 서행에 나선 류인석이 음성을 공격하여 큰 승리를 거두기도 하였다. 중기의병기인 1906년에는 보천주막과 무극장을 중심으로 의병이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1907년 8월 원주진위대와 청주진위대의 해산 이후 해산병의 의병 참전으로 음성의 후기의병은 활기를 띠게 되었다. 수차의 전투 중 이해 9월 19일 음성 서북방의 사정리에서 3백여 명의 의병이 일본군 足立支隊二宮소대와 3시간 가까이 벌인 혈전은 특기할 만하다. 음성에서 의병 투쟁은 전환기 의병기인 1912년까지 계속되었다. 음성에서 의병투쟁은 전기부터 전환기까지 기록상으로 최소 30회 이상이 확인된다. 현재 음성읍 사정 1리 고개에 동학군 또는 의병 무덤으로 전해지는 무연고 묘는사정리 전투에서 전사한 의병 6명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이를 확정하기위해서 반드시 시굴이나 발굴 등 고고학적 조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Eumseong region was a small insignificant village until the 20th century of Korea. There was even no regional school relation or local worthies formed till the recent. Though the region didn’t be not influential, it located in the middle of Seoul and Gyeonggi(京畿) province and closed to Chungju(忠州) region, and the advantage of location germinate the Donghak-Peasantry-Movement(東學農民運動), and the Righteous Army Resistance. ‘Eumseong-gun Yangan(<<陰城郡量案>>)’ and ’Leekwakpowonrok(<<李郭抱寃錄>>)’ is a significant document that recorded the socio-economical situation of Eumseong region at early 1900. ‘Eumseong-gun Yangan’ is demonstrating the format of the properties of at that time; ‘Leekwakpowonrok’ shows how remained partisan of Donghak who participated the peasantry movement live in the local community of rural area with concrete reality after the movement is completed. The Righteous Army Resistance in Eumseong region has it’s early period from 1896 until 1912 which the time of the transition for seventeen years. Muguk-market(無極場) came the main foothold of the activity for Donghak Peasantry Army, and the Righteous Army. In the early period of the Righteous Army, Eumseong played a rear base that recruiting the military for the justice and supports the military in Jecheon(堤川) and also participated in the actual battle. In the Jun 8th, Ryu, In-seok(柳麟錫) went to the west and then to attacked Eumseong. He achieved a big victory. In the middle of the period of the Righteous Army(1906), the Righteous Army works on the positive line centering on Bocheon-inn((甫川酒幕) and Muguk market. In the August 1907, after the Wonju-Jinwidae(原州鎭衛隊) and Cheongju-jinwidae (淸州鎭衛隊) dismissed, joined the Righteous Army, the army of the latter period at Eumseong soon warmed up. The Righteous Army and ninoniya(足立)’s platoon of Adachi (二宮)’s company had vigorously combat in the Sajeong-ri(沙丁里) in the northern west part of Eumseong on September 19, 1909. This bloody battle is worth to leave a historical record. The Righteous Army Resistance in Eumseong continued until 1912, the Righteous Army in the transformation era. From the early history until the transformation era, the match observed more than thirty times. In the moment, the hill on Sajung 1-ri in Eumseong-eup known as a grave of Donghak Army or the Righteous Army. Nameless grave in the location highly assumed that such grave are related to the six dead soldiers in the battle of Sajung-ri. However, to confirm the hypothesis, the further study of archeology, perspective and discov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