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획특집논문 : 민간투자사업 실시협약의 공법적 특수성

        황창용 ( Changyong Hwang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5 法學硏究 Vol.25 No.3

        민간투자사업은 행정주체와 민간사업자가 대등한 위치에서 체결하는 실시협약이란 계약을 통하여 시행하고 있다.계약은 본래 사인간의 이해를 형성하고 조정하기 위하여 전형적인 사법상 법형식으로 발전된 것이다 그래서 민간투자사업의 목적인“사회기반시설의 확충 및 공적 서비스의 지속적 제공”이라는 공적 과제를 실현하는 수단으로서 기능하기 위해서는 공법적 요소의 고려가 불가피하다.이로 인하여 사법적 계약원리가 수정될 수 있다.이로 인하여 나타나는 실시협약에서의 공법적 특징은 아래와 같다. 먼저,실시협약은 급부행정의 수단으로 민간투자법,관계법률,기타 평등의 원칙,비례의 원칙 등 공법적 원칙의 적용을 받는다.실시협약은 이 점에서 계약자유의 원칙이 제한된다. 다음으로,실시협약은 민간부문의 투자와 그 회수를 가능케 하는 쌍무유상계약으로서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쌍무유상계약에서 따른 동시이행의 항변,하자담보책임 등은 공익적 필요성의 범위 내에서 일정하게 수정된다. 셋째로,실시협약은 사법상 계약에 비하여 보다 폭넓게 위험을 다루고 있다.사법상 계약은 급부불능에 따른 위험만을 그 대상으로 하나,실시협약은 급부불능에 대한위험 뿐만 아니라 급부불능에 이르지 못한 외부적 사유에 의한 위험도 포함하고 있고,사법상 계약은 위험을 양당사자 중 일방이 부담하나,실시협약은 위험에 대한부담을 행정부문과 민간부문이 공유한다.또한 사업위험의 배분은 해당위험을 가장 관리,대응할 수 있는 자가 부담하는 기준으로 배분되고 있다. 마지막으로,민간투자법은 민간투자사업을 시행하는 수단으로 실시협약을 정하고 있다.하지만 민간투자법은 실시협약 이외에 공익적 이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업시행자 지정철회 등 행정행위도 개입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중복적으로 법적수단을 사용하는 경우 협약당사자의 법률관계나 법적 구제에 혼란을 발생시킬 수있다. 그렇다고 사업시행자나 제3자 등의 보호장치가 충분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실시협약만을 민간투자사업의 수단으로 정하는 것도 조심해야 할 것이다.특히 상대방의 동의라는 이름으로 행정주체의 과도한 권리행사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공익보호와 상대방인 사인보호를 모두 충족할 수 있는 실시협약,더 나아가 공법상 계약에 대한 법적 정비가 요구된다. Parties in PPPs(Public-Private-Partnerships), Public Authorities and Private Contractors, enter into PPP‘contract’at arm’s length to carry out PPPs successfully. Contracts have been developed as a typical manner by which mutual interest and balance between the Parties can be pursued in the field of civil law. So, it is required that the public purpose of PPPs, that is, ‘the provision of public infrastructure and the continual delivery of public services.’should be reflected in the contracts. Hence, public legal characters could change the civil legal ones. The distinctive public law elements of PPP contract are as follows. First, PPP contract, as a means of realization of public interest, should be regulated by PPPs Act, related Acts, and general principles of administrative law i.e., rule of equality, proportionality, the principle of the continuous public service. In other words, Liberty of contract should be restricted to that extent. Second, PPP contract has, in essence, the nature of bilateral contract and commutative contract to protect the investment and its reasonable return for the investment to Contractor. But to the extent where pubic interest should be protected, general principles of bilateral contract and commutative contract such as the plea of simultaneous performance, guarantee against defect, should also be modified. Third, PPP contract deals with the risks of PPP project more broadly when compared with private contract. PPP contract includes the risks for increased cost and reduced revenue caused by supervening events, besides the risk of impossibility of performance, whereas private contract deal with only the risk of impossibility of performance. And the risks in PPP contract are shared by contractor and government, whereas the risks in private contract are burdened by contractor or government unilaterally. Also risks are allocated by the criterion that a particular risk should be borne by the party most suited to deal with it, in terms of control or influence and costs. Finally, PPPs Act in Korea requires Authorities and Contractor to make PPP contract as a legal measure to implement PPPs. At the same time, PPPs Act allows Authorities to make necessary administrative dispositions(e.g. revocation of Contractor designation), in order to protect public interest. Both contractual and administrative faces are mingled in PPPs Act. These overlapped legal measures to implement PPPs make legal relation of parties complicated or the choice of legal remedies confused. But, if contract should be provided as the sole legal means to carry out PPPs without sufficient measures to protect Contractor and the third persons concerned, many legal issues would arise. Especially, it is worried that PPP contract will provide Authorities the power which can be exercised unilaterally and excessively in the name of ``agreement`` to which the Parties give the consent. Therefore PPP contract or public contract is required to be set forth as the legal measures which satisfy both public interest and private interest.

      • KCI등재

        민간투자사업 실시협약의 공법적 특수성

        황창용 ( Changyong Hwang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5 法學硏究 Vol.25 No.3

        민간투자사업은 행정주체와 민간사업자가 대등한 위치에서 체결하는 실시협약이란 계약을 통하여 시행하고 있다.계약은 본래 사인간의 이해를 형성하고 조정하기 위하여 전형적인 사법상 법형식으로 발전된 것이다 그래서 민간투자사업의 목적인“사회기반시설의 확충 및 공적 서비스의 지속적 제공”이라는 공적 과제를 실현하는 수단으로서 기능하기 위해서는 공법적 요소의 고려가 불가피하다.이로 인하여 사법적 계약원리가 수정될 수 있다.이로 인하여 나타나는 실시협약에서의 공법적 특징은 아래와 같다. 먼저,실시협약은 급부행정의 수단으로 민간투자법,관계법률,기타 평등의 원칙,비례의 원칙 등 공법적 원칙의 적용을 받는다.실시협약은 이 점에서 계약자유의 원칙이 제한된다. 다음으로,실시협약은 민간부문의 투자와 그 회수를 가능케 하는 쌍무유상계약으로서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쌍무유상계약에서 따른 동시이행의 항변,하자담보책임 등은 공익적 필요성의 범위 내에서 일정하게 수정된다. 셋째로,실시협약은 사법상 계약에 비하여 보다 폭넓게 위험을 다루고 있다.사법상 계약은 급부불능에 따른 위험만을 그 대상으로 하나,실시협약은 급부불능에 대한위험 뿐만 아니라 급부불능에 이르지 못한 외부적 사유에 의한 위험도 포함하고 있고,사법상 계약은 위험을 양당사자 중 일방이 부담하나,실시협약은 위험에 대한부담을 행정부문과 민간부문이 공유한다.또한 사업위험의 배분은 해당위험을 가장 관리,대응할 수 있는 자가 부담하는 기준으로 배분되고 있다. 마지막으로,민간투자법은 민간투자사업을 시행하는 수단으로 실시협약을 정하고 있다.하지만 민간투자법은 실시협약 이외에 공익적 이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업시행자 지정철회 등 행정행위도 개입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중복적으로 법적수단을 사용하는 경우 협약당사자의 법률관계나 법적 구제에 혼란을 발생시킬 수있다. 그렇다고 사업시행자나 제3자 등의 보호장치가 충분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실시협약만을 민간투자사업의 수단으로 정하는 것도 조심해야 할 것이다.특히 상대방의 동의라는 이름으로 행정주체의 과도한 권리행사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공익보호와 상대방인 사인보호를 모두 충족할 수 있는 실시협약,더 나아가 공법상 계약에 대한 법적 정비가 요구된다. Parties in PPPs(Public-Private-Partnerships), Public Authorities and Private Contractors, enter into PPP‘contract’at arm’s length to carry out PPPs successfully. Contracts have been developed as a typical manner by which mutual interest and balance between the Parties can be pursued in the field of civil law. So, it is required that the public purpose of PPPs, that is, ‘the provision of public infrastructure and the continual delivery of public services.’should be reflected in the contracts. Hence, public legal characters could change the civil legal ones. The distinctive public law elements of PPP contract are as follows. First, PPP contract, as a means of realization of public interest, should be regulated by PPPs Act, related Acts, and general principles of administrative law i.e., rule of equality, proportionality, the principle of the continuous public service. In other words, Liberty of contract should be restricted to that extent. Second, PPP contract has, in essence, the nature of bilateral contract and commutative contract to protect the investment and its reasonable return for the investment to Contractor. But to the extent where pubic interest should be protected, general principles of bilateral contract and commutative contract such as the plea of simultaneous performance, guarantee against defect, should also be modified. Third, PPP contract deals with the risks of PPP project more broadly when compared with private contract. PPP contract includes the risks for increased cost and reduced revenue caused by supervening events, besides the risk of impossibility of performance, whereas private contract deal with only the risk of impossibility of performance. And the risks in PPP contract are shared by contractor and government, whereas the risks in private contract are burdened by contractor or government unilaterally. Also risks are allocated by the criterion that a particular risk should be borne by the party most suited to deal with it, in terms of control or influence and costs. Finally, PPPs Act in Korea requires Authorities and Contractor to make PPP contract as a legal measure to implement PPPs. At the same time, PPPs Act allows Authorities to make necessary administrative dispositions(e.g. revocation of Contractor designation), in order to protect public interest. Both contractual and administrative faces are mingled in PPPs Act. These overlapped legal measures to implement PPPs make legal relation of parties complicated or the choice of legal remedies confused. But, if contract should be provided as the sole legal means to carry out PPPs without sufficient measures to protect Contractor and the third persons concerned, many legal issues would arise. Especially, it is worried that PPP contract will provide Authorities the power which can be exercised unilaterally and excessively in the name of ``agreement`` to which the Parties give the consent. Therefore PPP contract or public contract is required to be set forth as the legal measures which satisfy both public interest and private interest.

      • KCI등재

        공유재산법에 의한 민간투자사업 추진 가능성의 법적 고찰 -대상판결 : 대법원 2020. 4. 29. 선고 2017두31064 판결-

        김차 한국법학원 2023 저스티스 Vol.197 No.-

        In some cases, local governments promote public-private partnership(hereinafter referred as the "ppp" or "PPP") projects by allowing donors to use administrative properties acquired through contributed acceptance free of charg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ruling(2017Du31064) affirmed the possibility of promoting ppp projects under the Public Property and Commodity Management Act (hereinafter referred as the "Public Property Act"), through which it is believed that much of the confusion in administrative practices caused by disagreements over the interpretation of the Act on PPPs in Infrastructure has been resolved. In the case of the ruling, it states that it is possible to promote ppp projects under the Public Property Act, but on the basis of that, the Act on PPPs in Infrastructure did not provide prevailing provisions for the Public Property Act or other Acts. However, the Act on PPPs in Infrastructure has separate prevailing provisions for 'related A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se relations sequentially by distingu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 on PPPs in Infrastructure and related Ac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 on PPPs in Infrastructure and the Public Property Act. Particularly, in the latter case, it is possible to promote ppp projects by applying the Public Property Act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both Acts after clarifying that the Act on PPPs in Infrastructure competes with the Public Property Act in ppp projects. Accordingly, it would have been reasonable to argue that it was not illegal not to go through a hearing procedure under the Act on PPPs in Infrastructure. It is reasonable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 on PPPs in Infrastructure and the Public Property Act as selective competition. In addition, the problem of approaching ppp projects by local governments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controlling should also be resolved. The ruling did not state the cases where administrative agencies promote ppp projects under the Public Property Act, but it was regrettable that it ignored the seemingly contradictory realities of the administrative process. In promoting ppp projects under the Public Property Act,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Act on PPPs in Infrastructure inevitably reflected the lacunae in the law. Therefore, rather than neglecting this legal formation by administrative agencies, some provisions of the Act on PPPs in Infrastructure should be applied through legislative methods, such as application mutatis mutandis. 지방자치단체가 기부채납으로 취득한 행정재산을 일정 기간 그 기부자에게 무상의 사용을 허가하는 방식으로 민간투자사업을 추진하는 경우가 있다. 대상판결은 이와 같이 공유재산법에 의한 민간투자사업의 추진 가능성을 긍정하였는데, 이를 통해 민간투자법의 해석에 관한 의견 대립으로 야기되었던 행정실무상의 혼란은 상당 부분 해결되었다고 본다. 대상판결의 경우 공유재산법에 의한 민간투자사업 추진이 가능하다고 하면서도, 그 근거로 민간투자법에서 공유재산법 또는 다른 법률에 대한 우선적용 규정을 두고 있지 않음을 들었다. 그런데 민간투자법은 ‘관계법률’에 대한 우선적용 규정을 별도로 두고 있으므로, 민간투자법과 관계법률의 관계 및 민간투자법과 공유재산법의 관계를 구분하여 이들 관계를 순차적으로 규명할 필요가 있다. 특히 후자의 경우 민간투자사업에 있어서 민간투자법이 공유재산법과 경합하는 관계임을 명확히 한 다음, 양 법률의 해석을 통해 공유재산법을 적용하여 민간투자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민간투자법에 따른 청문절차를 거치지 않은 것이 위법하지 않음을 논증하는 것이 옳았을 것이다. 민간투자법과 공유재산법의 관계는 선택적 경합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고, 이와 함께 종래 지방자치단체의 민간투자사업을 통제적 관점으로만 접근해 온 문제점 역시 극복되어야 할 것이다. 대상판결에서는 행정청이 공유재산법에 의해 민간투자사업을 추진하면서도 민간투자법의 규정을 원용(유추)하여 절차를 진행한 부분에 대해서는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았으나, 모순되어 보이는 이러한 행정현실을 외면한 부분에 대해서는 아쉬움을 남긴다. 공유재산법에 의한 민간투자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민간투자법의 관련 규정을 유추할 수밖에 없었던 것은 입법적 흠결상황을 반영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행정상의 ‘정책적 법형성’을 방치하기보다는 준용과 같은 입법기술을 통해 민간투자법의 일부 규정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Public Private Partnerships in Education: Perspectives and Challenges in Education Policies

        Sangkyu Kim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Policy Vol.2 No.-

        The paper is to give an overview public private partnership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PPs”) – notably PPPs in edu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EPPPs”) focusing on the Republic of Korea and Japan to seek perspectives and challenges of PPPs. The PPPs will serve significant roles to educational changes not only in the present but also in the future. Over the last two to three decades, globalization, neoliberalism, new public manage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NPM”), and PPPs have generated considerable debates on their purposes, notions, and outcomes. However, Korean academic fields have scant attention on PPPs. In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global definitions and notions of PPPs. Thereafter, the following cases of EPPPs have been analyzed: private schools as education providers, school vouchers, quasi-market in education, operation services, professional services, facility availabilities, and so forth. Finally, this paper concludes with an examination of the perspectives and challenges of EPPPs, with implications for improving educational performances.

      • KCI등재

        Insights on co-creation in Mexico: challenges to its application of public-private partnerships

        Kouassi Noé K.,Smith Heidi Jane M.,Huerta Cuervo Rocío 한국행정학회 2023 International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Vol.28 No.2

        Co-creation has captured the attention of policy makers and public administrators, not only in developed countries, but also in emer-ging countries. Its objective is to grant a more central role to citizens/users in the policy process to create public value. While the theory continues to be relatively dispersed in the academic literature, there have been few empirical studies evaluating its applicability in improving public management processes. This arti-cle challenges the concept of co-creation by providing an analysis of public-private partnerships (PPPs) in Mexico. Theoretical reflec-tions indicate that co-creation can improve social profitability of projects by proving a participative solution to inefficiencies that are characterized by PPPs. However, the institutional and organiza-tional barriers that hinder a state’s development and progress to develop an effective bureaucracy are still prominent lacking, espe-cially in the developing country context, where corruption is pro-duce and not co-creation.

      • KCI등재

        국제개발협력에서 한국 민관협력(PPP)의 현황과 변화 양상

        도묘연 ( Do Myoyuen ),정상희 ( Jung Sanghee ) 대한정치학회 2024 大韓政治學會報 Vol.3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개발협력에서 2010년대 이후 수행된 민관협력(PPP)의 현황과 변화 양상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PPP의 규모, 수원 대륙, 사업 분야를 분석하고, 파트너십의 관점에서 PPP 사업에 참여한 정부 및 민간 행위자의 특성을 규명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PPP 사업의 규모는 SDGs 출범 이후인 2017년을 기점으로 증가했으나, 전체 개발협력에서 약 3% 미만을 차지하는 수준이었다. 또한 수원 대륙은 일반적인 개발협력 사업처럼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러나 사업 분야는 농촌개발 및 교육훈련에서 벗어나 보건의료와 공공행정 등으로 다변화되면서 증가했다. 이와 함께 PPP 사업은 KOICA가 약 97% 이상을 수행하는 정부 주도형의 성격을 가지며, 민간 행위자가 일반 기업에 치중되어 있는 동시에 공동으로 참여하는 방식이 확산되지 못하고 있었다. 특히 수원국 내 민간 행위자의 참여는 극히 저조했다. 이러한 결과는 해외 사례를 통해서 볼 때, PPP 참여를 희망함에도 위험 부담과 재원 부족에 시달리는 기업과 다양한 민간 행위자들 간의 파트너십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에서 초기 투자를 통해 기금을 구성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더불어 수원국의 기업이나 민간 행위자를 참여시키는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발굴 및 시행도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changes in public-private partnerships (PPPs) in Korean development cooperation since the 2010s. Specifically, the study analyzes the size, partner continents, and sectors of PPPs, and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government and private actors involved in PPP projects from a partnership perspectiv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scale of PPP projects has increased since 2017, after the launch of the SDGs, but they still account for less than 3% of total development cooperation. Additionally, similar to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in general, PPP projects are concentrated in Africa and Asia. However, the project areas have diversified from rural development and education and training to healthcare and public administration. In addition, PPP projects were predominantly government-led, with KOICA undertaking more than 97% of the projects. Private actors were primarily concentrated in general companies, while joint participation was not widespread. Notably,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sector actors from the beneficiary countries has been extremely low.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to organize a government-level fund to strengthen partnerships between companies and various private actors who requires development cooperation but lack the risk appetite and financial resources. In addition, it is recommended that the identification and implementation of programs involving businesses and private actors in partner countries be further pursued.

      • KCI등재

        정부와 사회자본협력(PPP)이 중국 경제성장 전략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주영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2016 韓中關係硏究 Vol.2 No.2

        2015년에 이어 2016년 양회에서 내수확대, 소비 진작, 지역 불균형발전 해소, 민생개선 등은 중국 정부가 개선하고자 다양한 경제성장 전략을 제안하였고 이를 효율적으로 이행하 기 위해 중국 정부는 민영 기업의 경영 노하우와 자본을 적극 활용하고자하는 방안을 제시 한 바 있다. 그동안 정부 기관 사업으로 여겨졌던 공공사업 분야까지 민간 자본 활용이 가능 해 지면서 중국의 민관협력사업(Public Private Partnership, PPP)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중 국 민관협력사업으로 지방정부의 부채 부담을 감소하고 투자 범위의 확대, 신도시화 추진 그리고 일대일로 이니셔티브 실현을 위한 자금 조달에 민관자본이 투입되는 제도를 마련하 였다. 민관협력사업은 주로 시정부 프로젝트와 교통인프라 시설, 지역개발 분야에 집중되어 있어 이 분야의 진출 기회가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여전히 국유기업의 참여 비율이 높고 국가가 지불하거나 국가 보조금으로 진행되는 비율이 높은 편이다. 그리고 민관협력사 업이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와 재정부 두 기관에서 관리되고 있어 사업주체가 모호하고 사업 선정 과정에서 국유기업과 민영기업의 불공정 평가 가능성, 계약 불이행으로 인한 리 스크가 존재한다. 그러나 현재 중국 민관협력사업 관련법 제정 등으로 이러한 문제는 개선 될 것으로 보여 지며 중국의 지속 가능한 경제 환경을 촉진시키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고 이런 측면에서 우리의 협력 여지도 충분하다고 본다. This study aims to analyse of the rise of public-private partnerships (PPPs) for China’s economic growth strategy and some recommendations to approach the PPPs in China. Recently the PPPs have been developing in China, that should be reducing the debt burden on municipalities and mitigating the government’s weakness in delivery of public assets. The PPPs is focused on municipal projects, transport,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so we can have a public-private partnerships opportunities in that field. But between state-owned enterprises and private enterprises still remain nonfulfillment of a contract, unfair evaluation that is concerned. The PPPs is in the legislative process and the legal system is incomplete however PPPs could improve the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 KCI등재

        중남미 인프라 민관협력(Public-Private Partnerships)의 특징 및 주요요인 분석

        이준희(Lee, Jun-Hui),김종섭(Chong-Sup Kim)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2014 라틴아메리카연구 Vol.27 No.4

        Recent strategy for promot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infrastructure in developing countries centers on the participation of the private sector in the provision of public infrastructure services as energy, transportation, telecommunication and water. The model is called PPP (Public-Private Partnership), and it varies in the manner of allocating different levels of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as well as being differentiated in terms of sharing risks and increasing efficiency. This article identifies the significant factors for implementing the model, such as macroeconomic factors, political stability and the institutional qualities of the government and the market; consideration is also given to the theoretical background covered by previous studies. After reviewing the PPP performance of the 5 most highly performing countries (Brazil, Argentina, Colombia, Mexico, Chile), the statistical analysis is presented using data of the 29 Latin American countries and resulting in significant confirmation of the important factors for the PPP of infrastructure in Latin America. Furthermore, in conclusion I suggest there are not only policy implications but also implications for business strategy, leading to the characterization of PPP as a win-win partnership.

      • KCI등재

        협력적 거버넌스가 경제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관계자 인식 분석

        김명주(Kim, Myeong joo),안경섭(Ahn, Kyung sup) 서울행정학회 2018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핵심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협력적 거버넌스의 세부 구성요소들이 민간투자활성화를 매개하여 경제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주요 분석결과, 일부 협력적 거버넌스의 구성요소는 민자활성화나 경제활성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협력적 거버넌스는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자율성과 생산성은 민자활성화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산성은 민자활성화를 매개하여 경제활성화에도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정책적 시사점과 더불어,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Stakeholder Perception of effect of collaborative governance on economic revitalization through mediation of PPPs. As a result of the main analysis, some elements of collaborative governanc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ctivation of the PPPs and revitalization of the economy, even though its overall effect is limited. Collaborative elements such as autonomy and productivity have a positive effect on PPP activation, and other elements such as openness and productivity have a positive effect on economic revitalization.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shows that element of collaborative governance like productivity has a positive (+) effect on economic revitalization through mediation of PPP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theoretical and politic implications and the necessity of follow - up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