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과 과정중심평가 적용 방안 연구

        고황경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0 미술교육연구논총 Vol.60 No.-

        Process-Fortified Assessment is a type of assessment that identifies student development and improvement, providing feedback for each learning stage to develop student learning competencies.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nd assessments that implement various types of evaluations to improve student thinking skills and develop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Process-fortified assessment is a part of the trend in the qualitative change of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nd assessments, and it has been suggested as one of the major assessments for the 2015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In addition, this type of assessment has been chosen as a major approach to innovating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nd assessment in schoo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ways to realize process-fortified assessment in art, such as student-focused teaching and learning.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ssessment scale, indicating methods and steps in evaluating process-fortified assessment in art. First, the study suggests the directions of development and steps of a process-fortified assessment scale considering the 2015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Second, it analyzes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based on the findings ‘Art within the World’ was selected for middle school third graders as a material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comprehensively develop an assessment scale in line with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meaningfully used in the implementation of process-fortified assessment in the art curriculum. 최근 학교 현장에서는 학생의 흥미를 유발하고 사고력을 촉진하며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 및 평가가 적용되고 있다.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의 질적인 변화의 흐름 중 하나가 과정중심평가이고,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주요한 평가로 서술되어 있다. 과정중심평가는 학생의 다양한 평가 자료를 확인하여 학습 단계별 수시로 피드백을 제공하여 학생의 학습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평가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과정중심평가의 의미를 구현하고, 미술과의 특성을 반영한 미술과 과정중심평가 방법 및 절차를 제시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과 과정중심평가 적용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내용은 첫째,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미술과 과정중심평가의 개념과 중요성, 절차 등을 서술하였다. 둘째,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과 과정중심평가의 개발 방향, 방법 및 절차를 제안하였다. 셋째, 미술과 과정중심평가의 방법 및 절차에 따라 ‘함께 하는 세상 속 미술’을 교수·학습 제재로, 교수·학습 과정과 평가 과정을 연계한 과정중심 평가도구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예비교사의 과정중심 평가 역량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활용

        권혁일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9 No.5

        As the basic approach of national curriculum shifted from contents-based to competency-based, process-fortified assessment has been stressed. Accordingly, the focus of teacher’s role as an evaluator changed to process-fortified assessment, which emphasizes the development of process-fortified assessment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as well.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innovations of teacher development programs on pre-service teachers’ process-fortified assessment competency. To achieve this goal, C University of Education implemented a course which was restructured by using PBL, and analyzed its effects on enrolled pre-service teachers in terms of process-fortified assessment. By systematically analyzing data of observation notes, project outputs, and opinion reports, it was found that PBL approach to the course restructuring had positive impacts on pre-service teachers’ awareness and understanding about process-fortified assessment. This implies that providing learning experience reflected by process-fortified assessment perspective, like PBL, can play an important role to the development of process-fortified assessment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ble to provide methods of innovating curriculum and instruction for developing process-fortified assessment competencies of teacher development institutions.

      • KCI등재

        단위학교의 과정 중심 평가 운영 지표 개발 연구

        박지현,진경애,김수진,이상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3 No.2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has emphasized the process-fortified student assessment aligned with students’ activities in the classroom. This study aimed to develop indexes, which can be used by an individual school and/or teacher, to refer the procedure and the contents of process-fortified assessment. As a result, the present study came up with the definition of the process-fortified assessment as “the assessment that collects the information about the students in the classroom learning activities from various aspects, and provides feedback to support the students’ growth, based on the assessment plan which is based on the curriculum and the alignment of learning and assessment. And, the indexes for the process-fortified assessment were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 and delphi method. The the upper category of indexes are ‘Assessment Planning’, ‘Developing Assessment tasks’, ‘Implementation’ and ‘Applying(using)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With regard to these categories, total of 18 implementation indexes and 60 detailed indexes were developed. 본 연구의 목적은 단위학교의 과정 중심 평가 운영 지표를 개발하여 교수학습 과정에서 과정 중심평가를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우리나라교실 상황에 적합한 과정 중심 평가의 의미와 특징을 밝히고, 단위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과정 중심평가 운영 지표를 구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교수학습과 평가의 연계 측면이 강화된 과정 중심평가의 의미를 규명하였고, 성취기준과의 연계, 학생 성장의 측면에서 평가 결과의 활용이 강조된 9가지특징을 추출하였다. 또한 단위학교의 학생평가 운영 절차를 고려하여 과정 중심 평가를 실행하는데요구되는 운영 요인 18가지와 그에 따른 운영 모델을 고안하고, 각각의 운영 요인에 따른 실천 사항을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60가지 세부 요소를 개발하였다.

      • KCI등재

        중학교 체육과 과정중심평가의 운영 경험

        오중근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교육연구 Vol.8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rocess fortified assessment experience.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ix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worked in J area. Descriptive surveys, interviews, and on-site documents were collected for this study. Inductive analysis is was performed for data alalysis. First, the factors for understanding the revised physical education and process fortified assessment were classified as the difficulty of course-based evaluation and the task factors for establishing process fortified assessment. First, it was confirmed tha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lacked an understanding of the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process fortified assessment, and that the evaluation plan based on the achievement criteria did not properly reflect the achievement criteria in the actual teaching and evaluation process. Second, it was found tha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assessing the process fortified assessment due to factors such as securing fairness in evaluation, differences in assessment perspectives, giving feedback, and individual rather than cooperation. Third, for the stable settlement of process fortified evaluatio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evaluation capacity of teachers, provide administrative support for the enhancement of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change the evaluation system.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체육과 과정중심평가의 운영 경험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통해 학생의 핵심역량을 함양하고 성장과 발달을 돕는 과정중심의 평가가 학교 현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 참여자는 J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체육 교사 6명이며, 서술형 설문 조사, 면담, 현장 문서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 교사들은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과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성취기준에 의한 평가 계획이 실제 교수·학습과 평가과정에서 성취기준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체육 교사들은 평가의 공정성 확보, 평가관점의 차이, 피드백 부여하기, 협력보다는 개인의 요인에 의해 과정중심평가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과정중심평가의 안정된 정착을 위해서 교사의 평가역량 강화,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행정적 지원, 평가 시스템의 변화가 필요하다.

      • KCI등재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국어 교사의 인식과 평가 역량 점검

        최은정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20 언어와 정보 사회 Vol.39 No.-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assessment and teachers’ perception of process-fortified assessment. This study also analyzes Korean language teachers’ competencies for process-fortified assessment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it. The results show that Korean language teachers agree on the necessity and educational value of process-fortified assessment, but do not implement it in actual assessment situations. In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competencies, it is found that the expertise of the assessment tool development and the application of assessment results are somewhat insufficient. Competencies in developing standardized assessment items were the most likely factor of explaining teachers' expertise.

      • KCI등재

        체육과 과정중심평가의 이해와 활용

        오수학,권민정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0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8 No.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help understanding and usage of Process-fortified Assessment(PA) when teachers evaluate their students. The main issues wer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assessment and PA, meaning of teacher PA, the main emphasis of assessment in PA, the usage of existing evaluation method such selective evaluation, types of assessment for PA and psychomotor domain in PE, the subject of an assessment. The case of usage for PA in PE were presented by planning of assessment through achievement standards analysis,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ssessment tools, and usage of assessment results. The conclusion presented the following: the need to enhance the teacher’s competence in PE, the need for organic linkage between achievement standards of national level curriculum-PE class-assessment, and the need for implementation of a PA that reflects PE’s own characteristic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s important for PE teachers to correctly understand and actively implement the concept and direction of the PA, a state-led education policy.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현장에서 강조되고 있는 과정중심평가에 대하여 체육교사들이 정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주요 쟁점을 논의하고 체육과 활용 사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주요 쟁점으로 수행평가와 과정중심평가의 관계, 교사별 과정중심평가의 의미, 과정중심평가에서 평가의 주안점, 선택형 평가와같은 기존의 평가 방법 활용, 과정중심평가와 체육과 심동적 영역용 평가 유형, 평가의 주체를 제시하고 논의하였다. 체육과 과정중심평가의 현장 활용 사례는 성취기준 분석을 통한 평가 계획 수립, 평가 도구 개발및 실행, 평가 결과의 활용으로 제시하였다. 결어에서는 개별 체육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체육수업 및 평가의 유기적 연계, 체육과 고유의 특성을 담아내는 과정중심평가 실행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체육교사들이 국가 주도의 교육 정책인 과정중심평가의 개념과 방향을 바르게 이해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체육과 평가 실태 분석

        오중근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0 교과교육학연구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us of the assessment of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o determine the requirements to ensure process-oriented evaluation based on the analysis. To that end, it was reviewed how the physical education assessment was conducted by analyzing the “physical education assessment plan” subject to the revised 2015 curriculum, for eighth graders in 57 middle schools in the J area. The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many schools were found to select performance—oriented evaluation methods. Second, most schools applied achievement standard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but for some schools, developed items did not match with the selected achievement standards. Third, five areas and the evaluation weight of content elements of each area tended to be disproportionately reduced or biased toward a specific area. Fourth, physical education assessment lacked the valid association between lessons and assessment, and the ratio of result-based assessment was high. Fifth, as for the method of physical education assessment, it was mainly focused on the assessment by teacher and skill test. Sixth, the validity and fairness of the assessment was achieved through the presentation of a reasonable assessment standard. Seventh, the evaluation results were used either formally or informally. Based on these findings, for process-based assessment to settle, it was suggested as follows; facilitation of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that can foster physical education ability; adoption of various evaluation methods; maintaining the balance of the assessment content of physical education; and the necessity to increase the expertis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the curriculum and evaluation and institutional complement.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체육과 평가의 실태를 분석하는데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과정중심의 체육과 평가가 실행되기 위해 필요한 부분이 무엇인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J지역 소재 57개 중학교를 대상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2학년의 ‘체육과 평가 계획’문서를 분석하여, 체육과 평가가 어떻게 시행되고 있는지를 알아 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다수의 학교에서 수행평가 중심의 평가방식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부분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을 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학교에서는 개발된 문항이 선정된 성취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5개 영역과 영역별 내용 요소의 평가 비중은 특정 영역에 치우치거나 축소되는 경향이 있었다. 넷째, 수업과 평가의 연계성이 부족하고 결과 중심의 평가 비율이 높았다. 다섯째, 주로 교사에 의한 평가와 실기평가 방법이 활용되었다. 여섯째, 타당한 평가 기준을 제시하여 평가의 공정성을 확보하였다. 일곱째, 공식적 혹은 비공식적으로 평가 결과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과정중심 평가의 정착을 위해서는 체육과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교수ᄋ학습과 평가 지향, 다양한 평가 방법의 활용, 체육과 평가 내용의 균형성 유지, 체육교사의 교육과정 및 평가에 대한 전문성 신장과 제도적 보완이 필요함을 제기하였다.

      • KCI등재

        GeoGebra의 ‘구성단계 네비게이션 바’와 ‘구성단계’ 기능을 활용한 과정 중심 평가 가능성 탐색

        양성현 대한수학교육학회 2023 수학교육학연구 Vol.33 No.1

        In this study, process-fortified assessment materials utilizing GeoGebra, a mathematics learning software,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an experimental class. Using GeoGebra’s “Navigation Bar” and “Construction Protocol” functions enabled us analyze the performance results of students’ assignments in a process-oriented manner. Moreover,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experimental class using the assessment materials was effective in inducing students’ confidence and interest in mathematics. Additionally, examining the students’ reviews revealed that this experimental class exerted positive effects in terms of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and the possibility of process-fortified assessment utilizing GeoGebra’s “Navigation Bar” and “Construction Protocol” functions was confirmed. 교육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교수ㆍ학습 상황에서 공학 도구의 활용을 독려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평가적 측면에서도 공학 도구의 활용을 강조하고 있으나 학교 현장에서 평가적 측면에서 공학 도구의 활용은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 학습 소프트웨어의 일종인 GeoGebra를 활용한 과정 중심 평가 자료를 개발하여 실험수업에 적용하였다. GeoGebra의 ‘구성단계 네비게이션 바’와 ‘구성단계’ 기능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제출한 과제의 수행 결과를 과정 중심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으며, 평가 자료를 활용한 실험수업이 학생들에게 수학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를 유발하는 데에도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후기를 통하여 본 실험수업이 인지적ㆍ정의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하였으며, GeoGebra의 ‘구성단계 네비게이션 바’와 ‘구성단계’ 기능을 활용한 과정 중심 평가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의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학습자의 절차적 사고를 신장시키기 위해 과정 중심 평가를 기반으로 한 수업설계 및 적용

        임화경,안형모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2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2

        Classes for the concept of procedural thinking in software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based on process fortified assessment that observes the procedural thinking of students rather than the evaluation of implemented software. This is because it is important to observe changes in thinking to evaluate the concept. This study designed and applied classes based on process-fortified assessment to guide the area of computational thinking in Practical Art courses for 5th and 6th grade students at elementary school. It analyzed whether the classes were effective in enhancing the procedural thinking of students by observing and tracing the student’s learning data and communication process and made suggestions.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절차적 사고를 위한 수업은 프로그램 구조와 프로그래밍 결과물 중심의 평가보다 학습자의 절차적 사고의 변화를 관찰하는 과정 중심 평가를 기반으로 설계해야 한다. 학습자의 절차적 사고의 신장은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 사고를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5, 6학년 실과교과 내 컴퓨팅 사고영역을 지도하기 위해 과정 중심 평가를 기반으로 수업을 설계하고 적용하였다. 그리고 학습자의 학습자료와 토의‧토론 과정을 관찰하면서 나타난 사고의 변화를 추적하여 제안한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고 제언하였다.

      • KCI등재

        과정중심평가의 학교조직 내 확산요인 탐색: Rogers의 확산이론을 중심으로

        김진희(Kim, Jinhee),박소영(Park, So-Yo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21 敎育行政學硏究 Vol.39 No.2

        본 연구는 학교조직 내 혁신확산의 요소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Rogers(2003)의 혁신확산이론을 이론적 틀로 삼아 단위학교의 학생평가 방법의 혁신이라고 할 수 있는 과정중심평가의 확산요인을 탐색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교육청의 평가 선도 학교로 학생평가의 혁신을 이루고 있다고 평가받는 A학교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Rogers가 제시한 혁신확산의 요소 4가지 요소인 혁신의 속성, 커뮤니케이션 채널, 시간, 사회체계 등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해 인터뷰 결과를 통해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Rogers 이론의 과정중심평가에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논하고, 총제적 관점의 학교 혁신에 대한 관점과 혁신을 지원하는 학교조직 차원의 이해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elements of the diffusion of innovation within school organization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Rogers" Innovation Diffusion Theory(IDT) is employed a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study, Process-Fortified Assessment, which can be called innovations in student evaluation methods is selected. School “A” that is designated as "Evaluation Leading School" b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is considered as a successful innovation model in student evaluation is selected for a case study. At the research results, the four elements that are characteristics of innovations, communication channels, time, social system are displayed based on teachers’ interview. Based on these findings, the applicability of Rogers IDT to Process-Fortified Assessment is discussed. It also suggested that school innovation requires a holistic perspective rather than a single innovation focus, and understanding of the school organization that supports inno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