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주부가 지각하는 사교육 인식과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대전광역시 초등교육기 가족을 중심으로-

        임신정 ( Sin Jung Rhim ),김양희 ( Yang Hee Kim ),박정윤 ( Jung Yun Park ) 중앙대학교 생활문화산업연구소 [ 구-생활과학연구소] 2005 생활과학논집 Vol.21 No.-

        The research is done to study the effects of the private education in family members especially on mothers as well as the stress of the mothers about the private education, allotting duties with the husbands and the level of stress by private education depending the mutual understanding by communication. This research is dune on 356 mothers of 5th graders by districts with the written inquiries. For the data analysis, SPSS v 10.0 was used, and for the statistic techniques, frequency analysis, t-test, variance analysis, regression, multi relat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 is like the below First-The results on the recognition about the private education by different age groups shows that younger practices the private education more for ability development reasons and they seemed to be satisfied with the private education. Second-The results on the recognition about the private education by the occupation of the parents shows that employed mothers put more weight on the education replenishment and making friends and housewives put more weight on artistic areas. Third- The results on the recognition about the private education by income shows that ones with more the income had more confidence in child education and had less stress and the younger initiate more private education on foreign languages. Fourth-Lack of confidence of the public education is shown to be the biggest reason of the stress and satisfaction of private education to the next and costs as the last rank which causes stress. Fifth-Confidence on child education, making friends and satisfaction on private education is shown to be the primary factor to reduce stress. And making friends could be the positive side which the private education can bring.

      • KCI등재

        대학교육의 법체계와 사립대학법의 제정

        임상혁 법과사회이론학회 2022 법과 사회 Vol.- No.69

        In Korea, the proportion of private schools is very large, especially in universities. According to the “Korean Educational Statistics Service,” 82% of general universities are private, which are in charge of educating 77% of university students. However, our university society has no problem-free day, and most of the complications happen in private school management. Here it is examined that legislative factors including the absence of laws regulating the private universities are mainly located in the operation of disruptive national public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egal system and review of legislative history. In fact, the legal system of education does not consistently regulate schools in charge of public education. This is because of the obstacle called the “Private School Act.” When the Acts relating to education were reorganized in 1997, it was neither dealt with together nor put into the system of public education legislation. In the enactment stage of the Private School Act, its attitude of pursuing the independence of private schools as an exception to public education pronounced and has been operated as such by granting the board of directors full personnel rights. Non-educational crimes such as corruption in entrance exams and teacher recruitment, which are constantly problematic in private schools, cannot exist without the fact that private schools are completely dominated. Now, we have to recognize the unrest in the university as a whole rather than a simple individual private problem. The legal system of our education includes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as the basic law on education, and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and the “Higher Education Act” are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regular education process, which is quite a systematic composition. The existence of the “Private School Act” as comprehensive special legislation, however, makes it difficult to figure out the education regulation. It controls even the universities in the same way as kindergarten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t inevitably makes even the operation of the university inferior, furthermore going against its characteristics. In the end, it is almost said that there is no practical law that regulates private universities, and that they may be excluded from the public education system by law. Now it is time to reorganize the public education legislation. Education in schools in charge of the regular curriculum should be public education which in nature cannot be changed depending on who the school founder is. The current system has a form of pursuing it, but it has not been implemented due to related laws and realities. First of all, legislation is needed to the extent that it is operated normally. Needless to say, the most urgent thing is to bring the most important university education into a normal public education system through the enactment of the <Private University Act>. For systematic harmonization, it is desirable to enact it in a form attached to the Higher Education Act which should restore the status as a basic university law under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대한민국은 사립학교의 비중이 무척 크며, 특히 대학은 80%가 넘는 수가 사립일 정도이다. 우리 대학사회는 분규 없는 날이 없고, 그 대부분은 사학 경영에서 일어난다. 이런 사태의 핵심에 사립대학에 관한 법률이 부재하다는 법제적 요인이 있다는 것을 법체계의 분석과 입법사적 검토를 통해 따져보았다. 교육 법령의 체계는 교육의 기본법으로 「교육기본법」이 있고, 그 부속 개념의 법률로 「유아교육법」, 「초・중등교육법」, 「고등교육법」이 유치원, 초・중・고교, 대학이라는 정규교육 과정에 맞추어 제정되어 있어, 나름의 일관된 체제를 갖춘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사립학교법」이 그와 별도로 존재하여 교육법의 체제가 제대로 작동하는 데 결정적인 걸림돌이 되고 있다. 1997년 「교육기본법」 중심의 체제로 개편할 때에 「사립학교법」을 함께 다루어 공교육 법제의 체제 안으로 집어넣는 작업을 하지 않았던 것이다. 「사립학교법」은 1963년의 제정 단계에서 이미 공교육의 예외로서의 사학의 독립을 추구하는 태도를 법조문에서 드러내었고, 재단 이사회에 전면적인 인사권까지 부여함으로써 실질적으로 그를 보장하였다. 입시부정, 교원 채용비리와 같은 비교육적 범죄들은 사학이 완전히 장악된 현실을 기반으로 하지 않고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더구나 「사립학교법」은 유치원과 초・중・고교까지를 포함하는 규율 방식으로 대학까지 다룬다. 이는 질적으로 다른 차원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 대학의 특성에 거스르는 운영을 부른다. 결국 사립대학을 그에 걸맞게 규율하는 실질적인 법제는 없다고 할 지경이고, 또한 공교육 체제에서 배제될 여지가 입법상 갖추어져 있는 셈이다. 사립대학 문제의 해결은 결국 공교육의 체제를 회복하는 데로 이어져야 한다. 정규교육과정을 담당하는 공교육의 실현을 현행 체제가 형식적인 마련은 하였으나, 구시대적인 특별법과 현실이 그를 가로막고 있다. 우선은 이를 정상 가동되도록 하는 정도의 입법이라도 필요하다. 가장 시급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이 사립대학법의 제정을 통해 가장 중요한 대학 교육을 정상적인 공교육 체제 안으로 끌어들이는 일이다. 현 체제에서 체계적인 조화를 위해서는 「교육기본법」 체제 하의 「고등교육법」이 대학기본법의 위상을 가질 수 있도록 일단 사립대학법을 그에 부속하는 형식으로 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

        아동 사교육 시장 및 사교육비 지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원준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2

        Traditionally, the importance and meaning of education has been highly evaluated in Korean society, and a great deal of efforts has come to depend on private education. Recently, the subject of private tutoring has been lowered to pre-school children. This paper describes the use behavior of private education and analyzes the antecedents of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of preschool children aged 3 to 7.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education cost factors and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is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s result shows that private education is already universalized for preschoolers, and the level of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is also very high. Thus, based on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private education experience of preschool children, it will be necessary to provide better private education services and policies to reduce the burden of private education. 전통적으로 한국 사회에서 교육의 의의와 중요성은 높게 평가되어왔으며, 교육의 상당 부분은 사교육에 의존하여 온 것이 사실이다. 최근에는 사교육의 대상이 취학 전 아동으로 낮아지고 있는 실정 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 대상의 실증분석을 통하여 2017년도 기준 만 3세~7세의 미취학 아동들의 사교육 이용 행동, 사교육비 지출, 그리고 사교육 서비스에 대한 태도와 사교육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사교육비 영향 요인과 사교육비 간의 관계를 다중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가정 내 학습량과 공교육 불안 태도가 사교육비 지출규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취학 전 아동들에게도 사교육이 이미 광범위하게 보편화되었으며, 사교육비 지출 수준 역시 매우 높은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취학 전 아동의 사교육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보다 나은 사교육 서비스 제공방안과 더불어 사교육 부담 경감을 위한 정책적 고민이 요청됨을 확인하 였다.

      • KCI등재

        영재교육 참여경험이 지난 10년 중학생의 사교육과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친 영향 분석

        박순흥,한기순 한국영재학회 2019 영재교육연구 Vol.2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gifted education participation experience in the last 10 years on the private education and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2005~2007, research period 1) and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ELS 2010~2012, research period 2, SELS 2013~2015, research period 3) data, we analyzed the influence of participation experience of gifted education in hierarchical linear model (HLM) on academic achievement and private education for the past 10 years. The hierarchy linear model (HLM) used in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level-1 model included school year variables, recognized teacher’s passion, weekly learning time alone, private education variables at three measurement points such as private education participation, log private education time, log private education cost, and interaction variables between school year and private education. The level-2 model included gifted education participation, father academic background, log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parental support variables. As a result, the effects of academic growth by school year in mathematics and the effects on the slope of the private education terms on academic achievement of the gifted changed from negative correlation in period 1 to positive correlation in period 2. 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f private education inefficiencies on academic performance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chool year and private education terms changed from positive correlation in period 1 to negative correlation in period 2 unlike the previous two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study period 1 to the study period 2, gifted students have learning characteristics that help students to improve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have more private education experience, Second, this indicates that the more gifted group experienced in the research period 2, the more inefficiencies in private education investment. First of all, the improvement of gifted selection and operation system to overcome private education discourse on gifted education is revealed as a result of unintentional selection results that stimulates another inequality discourse about gifted education. The possibility that the empirical validity of gifted selection system was totally hindered was confirmed. 본 연구는 영재교육에 대한 사교육 담론과 관련하여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2005~2007년-연구시기①)와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2010~2012년-연구시기②, SELS 2013~2015년-연구시기③) 10년간의 종단자료를 이용하여 위계선형모형(HLM)으로 영재교육 참여경험이 지난 10년간 수학 교과의 학업성취도와 사교육에 미친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위계선형 조건모형 1-수준 모형은 측정 시점을 나타내는 학년변수와 세 측정시점에서의 로그 수학 사교육 시간, 수학 사교육 참여 여부, 로그 수학 사교육 비용과 같은 사교육 변수, 학년변수와 사교육 변수간의 교호작용변수, 그리고 학생들이 인식한 교사열정 변수와 주간혼자공부한 시간(수학)을 포함하였고, 2-수준 모형에는 영재교육경험, 아버지학력, 로그 월평균 가구소득, 부모지원 변수를 포함하였다. 분석결과, 영재교육 참여경험의 학년에 따른 수학 학업성취도 향상 효과와 영재교육경험의 학업성취에 대한 사교육 경험항의 기울기에 대한 효과 모두 연구시기①의 부적상관에서 연구시기②의 정적상관으로 반전되었다. 이에 비해 영재교육 참여경험의 학업성취에 대한 사교육․학년 교호작용항의 기울기에 대한 효과는 연구시기①의 정적상관에서 연구시기②의 부적상관으로 반전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시기①에서 연구시기②로 이동하면서 영재로 선발된 학생들이 영재교육에 참여함으로써 학업성취도가 향상되는 학습특성을 갖고 있었으며, 영재교육 참여경험이 있을수록 사교육을 더 받는 사교육 조장 효과와 사교육의 투자 비효율성이 커지는 사교육․학년 보완효과에서 강화효과로의 전환이 있었을 가능성을 나타낸다. 무엇보다 영재교육에 대한 사교육 담론을 극복하고자한 연구시기②와 ③에서의 영재선발 및 운영제도의 개선이 총론적인 의도에서 벗어나, 영재교육에 대한 또 다른 불평등 담론, 즉 영재교육이 교육기회의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있다는 일부의 우려를 자극할 선발 결과의 상이함으로 드러나 영재선발 제도의 타당성이 전체적으로 저해되었을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전문대학 재학생의 사교육비 결정요인 분석

        김지하,김한경 한국교육행정학회 2019 敎育行政學硏究 Vol.3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mount of the private education expenses for 2~3 years college students and to suggest the implications for related policies. The private education expenses are composed of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and general expenditure for college education. The expenditure for private tutoring is divided into private tutoring fees for English and other languages and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for job preparation. The general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is divided into directly education-related expenses and indirectly education-related expenses. This study applies the method of the Probit and regression for analyzing the private tutoring expense and quintile regression for analyzing the general private expens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ollege major, student’s grade, parents’ income, participation in job, college location and siz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job support program of the college, the amount of the government funding program. On the other hand, general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directly related with college education is strongly affected by the gender, major field, parents’ income, college location and size, the amount of scholarship and government funding programs. The general education expenditure indirectly related with college education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major, parents’ income, college size and location.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here. 본 연구는 전문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과외사교육비와 일반사교육비 지출 실태를 파악하고 결정요인을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2014년 11월부터 2015년 4월까지 2-3년제 전문대학 114개교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1,805명의 표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과외사교육 참여여부 및 사교육비 결정요인 분석을 위해 프로빗과 토빗모형을 사용하고 일반사교육비 결정요인 분석을 위해서는 분위회귀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186천원이며 이중 156천원(83.8%)이 일반사교육비이고, 세부항목별로는 교통비(29.2%), 주거비(26.2%), 주교재비(17.3%)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생 1인당 월평균 과외사교육비는 30.3천원으로 영어 관련 사교육비가 14.5천원(47.9%), 취업관련 사교육비는 15.8천원(52.1%)이었다. 또한 과외사교육 참여와 사교육비 지출 결정요인 분석 결과, 휴학 경험, 성적, 직장 소득 유무, 가계 소득, 대학 소재지, 대학 내 취업지원 만족도, 학생 1인당 재정지원 사업 수혜액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일반사교육비 중 교육관련 사교육비는 성별, 전공계열, 학자금 대출 유무, 대학소재지, 학생 1인당 장학금 수혜액 등에 유의미한 영향을 받았고, 교육관련 외 사교육비에는 가계소득, 부모와의 동거 여부, 대학 소재지 및 규모, 학생 1인당 장학금 수혜액과 대학 재정지원 사업 수혜액 등이 영향을 주었다. 이상의 결과에 기초한 정책적 시사점으로서 과외사교육 수요를 완화하기 위해 대학 내 취업지원 활동의 내실화와 학생 맞춤형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운영, 대학 재정지원 사업 수혜 범위의 확대 및 비수혜 대학과의 연계 협력 강화를 제안하였고, 저소득층 학생의 일반사교육비인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한 대학 내 기숙사 시설 확충, 대학 소재지와 부모와의 동거 여부 등을 고려한 생활비 대출 한도액 설정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부패적인 교육: 한국에서 사교육의 권세와 영향

        George Baca 한국부패학회 2013 한국부패학회보 Vol.18 No.2

        이 논문은 한국의 사교육의 논쟁적인 역할을 분석하는 것이다. 1945년 일본으로부터 해방 후에, 교육담당 정부 당국자들은 국민들에게 기회의 평등을 마련하는 현대교육시스템을 설립하기 위해 사교육의 기능과 역할의 제한을 추진하였다. 여러 가지 평등화와 균일화 정책들과의 관계에서 사적 가정교사의 증가적인 요구가 있어 왔다. 이 논문은 세계화의 과정에서 시장자유주의의 출현과 권위주의 정권의 붕괴에 따른 사교육의 변천과정을 고찰하였다. 1980년과 1990년대의 시장자유주의와 함께 사교육은 불법적인 교육시장의 현상에서 양성화의 과정을 경험하였다. 이 과정에서 사교육의 사업의 증가는 영어교육의 역할을 강조하였고, 영어의 숙련 화와 능숙화는 세계화의 시대에서 성공의 중요한 요소로써 인식되었다. 사교육 사업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실재들은 부패적인 교육의 조달업자의 기능을 수행하였고 공인된 시험들에 대한 공교육의 시스템을 훼손 시키고 있다고 분석될 수 있다. This paper exams the controversial role of private education in Korea. Since liberation from Japan in 1945, government leaders and educational planners have sought to limit the role of private education in order to build a modern educational system that provided equality of opportunity to all Koreans. This paper examines the ways in which the demand for private tutoring expanded in relationship to various equalization policies. The paper will be primarily concerned with the transmutation of private tutoring following the collapse of the dictatorship and the rise of market liberalism in terms of the rhetoric of segyehwa(globalization). I will emphasize the manner in which private education, with market liberalization of the 1980s and 1990s, moved from the shadows of the illicit education market into a dominant position. In this way private education transformed themselves from purveyors of corruption to leaders in education. This explosion of the private education industry has coincided with the expansion of English education. In this way proficiency in English has been presented as the key to Korea’s success in the new age of globalization. Thus the various entities that comprise the private education industry have become purveyors of a corrupting education that has systematically denigrated public education in terms of standardized exams like TOEIC and TOFEL.

      • Comprehensive Literature Evaluation of the History of South Korean Private Education

        Seong-Gon KIM Korea Koreanology Association 2023 Journal of Koreanology Reviews Vol.2 No.1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history of private education in Korea. By delving into the historical aspects of private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uncover key developments, trends, and transformations that have shaped the private education landscape in Korea. By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private education in Korea, educational practitioners can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hallenges, opportunities, and potential areas for improvement within the private education industry. The literature analysis has shown that there are four significant historical events for developing private education industry in South Korea. First,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its Impact on private education in Korea background and context. Second, education reforms in the 1960s and the rise of hagwons in Korea background and context. Third, the role and impact of private education on the Korean education system. Fourth, Education reforms in the 21st Century and the regulation of private education background and context. In sum, this research provides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history of private education in Korea, examining four key historical events and their impact on the private education landscape. The findings reveal important insights into private education's development, role, and impact in Korea.

      • Comprehensive Literature Evaluation of the History of South Korean Private Education

        Seong-Gon KIM(Seong-Gon KIM) 한국한류학회 2023 한류연구 Vol.2 No.1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history of private education in Korea. By delving into the historical aspects of private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uncover key developments, trends, and transformations that have shaped the private education landscape in Korea. By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private education in Korea, educational practitioners can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hallenges, opportunities, and potential areas for improvement within the private education industry. The literature analysis has shown that there are four significant historical events for developing private education industry in South Korea. First,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its Impact on private education in Korea background and context. Second, education reforms in the 1960s and the rise of hagwons in Korea background and context. Third, the role and impact of private education on the Korean education system. Fourth, Education reforms in the 21st Century and the regulation of private education background and context. In sum, this research provides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history of private education in Korea, examining four key historical events and their impact on the private education landscape. The findings reveal important insights into private education's development, role, and impact in Korea.

      • KCI등재

        수학 사교육 실태 파악 조사 및 사교육 경감 방안 모색 연구

        박경미,김현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status of private education by conducting a large scale survey for elementary/middle/high school students and parents, and contrive educational policies to reduce mathematics private education. The survey consists of questions to probe participation time and rate of mathematics private education, reasons to take mathematics private education, the comparison between satisfaction of public education and that of private education, and effects of mathematics private education. The numbers of participating mathematics private educations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2.55, 1.87, and 1.32 respectively. Typical types of private education are private institutes for advanced learning, and those for repeating school contents. The main reasons to engage in private education are not the dissatisfaction of public education but concrete and practical purposes such as advanced learning, preparation for test, and acquiring problem solving skills. Contrary to conventional idea, students perceive that public teachers are more eager to teach and have more profound mathematical knowledge compare to private lecturers. Students perceive that the strengths of private education are the variety of problems handled in lesson, and the access to lecturers for individual questioning. Based on the survey results, five educational policies were suggested to alleviate private education; the reduction of mathematical contents and the lower adjustment of contents level, providing a database of mathematics items and problem solving video clips, enhancement of public teachers' professionalism, implementation and expansion of differentiated lessons, and change in the recognition of learning in advance.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초등학교 4~6학년,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대규모 설문조사를 통해 수학 사교육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사교육 경감 방안을 모색하였다. 설문조사는 수학 사교육 참여율과 참여 시간, 수학 사교육 참여 이유, 수학 공교육과 사교육의 만족도, 수학 사교육의 영향을 파악할 수 있는 문항 등으로 구성된다. 학생들이 참여하고 있는 수학 사교육 유형은 초등학생이 1인당 평균 2.55개, 중학생이 1.87개, 고등학생이 1.33개이며, 학생들은 주로 선행학습 위주의 학원과 학교 진도에 맞추면서 학교 수업 내용을 반복해 주는 학원에 다니고 있다. 학생들이 사교육을 받는 이유는 공교육에 대한 불만 요인보다는 선행학습, 내신 대비, 다양한 문제풀이와 요령 습득과 같이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목적 때문이다. 일반적인 통념과 달리, 학생들은 공교육 교사들이 더 열의를 가지고 수업하고 깊이 있는 수학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사교육이 공교육에 비해 우위를 갖는 측면은 수업에서 다루는 문제의 다양성과 교사에게 질문을 쉽게 할 수 있는 여건이다. 수학 사교육에 대한 실제와 인식에 기초하여 사교육 경감 방안으로 수학 내용의 양과 수준의 적정화 및 교육과정 운영의 정상화, 다양한 수준과 유형의 수학 문제와 동영상 강의 데이터베이스 제공, 공교육 수학 교사의 행정 업무 경감 및 수업 전문성 신장, 수학 수준별 수업의 활성화, 수학 선행학습에 대한 인식 제고의 다섯 가지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중국 유아의 사교육 경험, 필요성 및 가족 간 갈등 인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호약각(Ho, Yak-gak),김현수(Kim, Hyun-su),이성희(Lee, Sung-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중국 유아의 사교육 경험을 밝히고, 유아의 사교육 경험, 사교육 필요성, 가족 간 갈등인식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만3세~5세 유아를 둔 북경, 상해, 중경 지역 부모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44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 대부분 사교육 경험이 있었고, 사교육 시작시기는 만 4세가 가장 많았으며, 월평균 10~15만원을 사교육비로 사용하고 있었다. 둘째, 사교육으로 인한 가족 간 갈등인식이 높을수록 유아의 외현적 문제행동과 하위요인인 활동/충동성, 공격/반항성이 높아졌다. 셋째, 사교육 경험이 적고 사교육으로 인한 가족 간 갈등인식이 높을수록 유아의 내재적 문제행동과 하위요인인 분리불안이 높아지고, 우울/위축, 일반적인 불안수준, 새로운 것에 대한 거부에는 가족 간 갈등인식이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유아 문제행동에는 사교육 경험보다 가족 간 갈등인식이 더 중요한 변인으로, 유아 양육 및 교육을 위한 가족 간 긍정적 상호작용의 환경구성이 유아 문제행동을 해결하는데 효과적인 접근임을 시사하고 있다.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e private education experiences of young children in China and analyzed how their private education experiences, parental perception of the need for private education, and conflict between family members due to private education affect their external and internal behavioral problems. To this end, the study conducted online surveys for parents of young children aged three to five years living in the Beijing, Shanghai, Chongqing, and Tianjin area, and the final data of 441 subjects were analyzed.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young children in China had private education experiences, and the reason for private education appeared to be for the potential and aptitude development. Young children most commonly began private education at 4 years old, and they spend an average of 100,000 to 150,000 KRW per month for private education expenses. Second, an increase in conflict between family members due to private education led to an increase in external behavioral problems and its subfactors, specifically, activity/impulsivity and aggression/defiance. Third, less private education experiences and an increase in conflict between family members due to private education led to an increase in internal behavioral problems and its subfactors, specifically, separation anxiety. Depression/withdrawal, general levels of anxiety, and a rejection of new things served as key variables that affect conflict between family members due to private education. In the present study, conflict between family members due to private education appeared as a more important variable with regard to the behavioral problems of young Chinese children than private education experiences, and thus parental education regarding communication and conflict resolution can be an effective approach toward resolving the behavioral problems of young children by reducing conflict between family members with the purpose of rearing and educating young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