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격 제시순서 효과와 제품의 추가속성 선택

        이성근,이성훈 한국상품학회 2014 商品學硏究 Vol.32 No.6

        Tiis study is to suggest some research propositions based on the price presentation order effect and on the add-on features. Suk et al(2012) insisted that price presented by descending order raise up the store sales. Their idea started from simple theory called 'price-quality relationship' . They thought that consumer would choose higher price brand worrying the loss of quality comapred to the quality when price is presented by descending order. We applied the alignable features concept(Bertini et al., 2009) to the price presentation effect order. Many stores sell only one brand with many trims. Their trims can be differentiated by their alignable features. Thus consumers judge the product quality by alignable features. If we apply the price presentation order effect in the stores selling one brand with many trims, the sales amount will be raised somewhat when the prices are presented in a descending order based on the trims. We proposed some propositions regarding the price presentation order effect and alignable fetures but did not test them because of the environment of research. 소비자의 선택 의사결정에는 가격 제시순서, 추가 속성, 소비자 지식이 모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연구는 소비자의 가격-품질 지각과 관련된 품질의 한 유형으로 제품의 추가 속성을 고려하고, 가격 제시순서가 추가 속성의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며, 이러한 가격 제시순서와 추가 속성 선택 간의 관계에 소비자 특성의 한 측면인 소비자의 제품 지식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추가 속성은 정렬가능성(alignability)에 따라 정렬가능한(alignable) 추가 속성과 정렬불가능한(nonalignable) 추가 속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들 추가 속성은 범위효과(range effect)나 후광효과(halo effect)를 통해 소비자의 선택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가격 제시순서가 전체 추가 속성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먼저 살펴보고 다음으로 추가 속성의 정렬가능성 유형에 따른 영향도 함께 살펴보았다. 가격 제시순서와 추가 속성 선택 간의 관계에 대한 소비자 특성, 특히 소비자의 제품 지식은 조절적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가격 제시순서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와 추가 속성 선택에 대한 선행연구는 모두 소비자 지식이 조절변수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입증했다. 예를 들면, 제품지식 수준이 낮은 소비자에게 가격 제시순서 효과는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소비자 지식은 가격 제시순서와 추가 속성 선택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소비자의 추가 속성 선택에 가격은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가격 요소를 제외한 추가 속성의 선택에 대한 연구는 현실 상황에서 소비자가 직면하는 선택 의사결정을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추가 속성 선택에 가격 요인을 동시에 고려함으로써 이론적 및 실무적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구매의사결정 과정에서 가격제시순서(오름/내림차순)와 정보처리목표 점화가 가격지각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

        박태희,김재휘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9 No.2

        The study investigated processing goal and price presentation on perceived price and consumer purchase intention. Processing goal will moderate price judgement process of price presentation order. Specifically, price judgement process assimilation effect is observed, when processing goal is generalization, however when processing goal is discrimination, price perceptions are influenced by contrast effect. This progress goal will be influence price presentation order. In study1 the effect of goal progress and presentation price order was examined. In order to test this hypothesis, randomly distributed in the 2(progress goal: generalization vs. discrimination) X 2(price order: ascendign vs. descending) between-subjects experiment. The result of study 1 shows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progress goal and price order. They find that reference point influence of presentation price order is more effective when goal progress is distribution, however, the influence of reference price is decrease when goal progress is generation. In study2. focal price perception by progress goal is contrast and assimilation effect. The design was processing goal(discrimination vs. generalization) by price context(control, mean shift, endpoint shift), with seven price rated. The result of study2. they find that assimilation effect when the processing goal was generalization and contrast effect when the processing goal was discrimination. 본 연구는 구매 전, 최종적으로 고려한 대안을 다른 제품과 가격 비교하는 상황에서 가격제시 순서와 제품에 대한 정보처리 과정이 가격판단과 제품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제품에 대한 정보처리과정에서 활성화되는 처리목표(변별/일반화)는 이후에 판단하는 가격정보처리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가격제시순서에 (내림/오름) 따른 효과를 조절할 것이라 가정하였다. 따라서 연구1에서는 2(처리목표 활성화 :변별/일반화) X 2(가격제시순서 :내림/오름) 집단 간 설계가 되었다. 분석결과, 변별처리 목표가 활성화 될 때, 가격제시순서로 인한 준거가격의 효과가 더 커지는 반면, 일반화처리 목표가 활성화 될 때는 가격제시순서에 따른 준거가격의 효과가 약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일반화처리 목표가 활성화 될 때 보다 변별처리목표가 활성화 될 때, 내림(오름)차순 에서는 고가격에 대한 준거가격의 효과로 인해, 타깃가격을 더 낮게(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가격지각이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타깃가격을 낮게 지각한 내림차순에서 더 고가격대의 제품을 구매하려는 의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2에서는 제품에 대한 속성정보를 통해 처리목표 활성화에 따른 효과차이를 좀 더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제품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 변별처리 목표와 일반화처리 목표가 활성화 되는데, 이러한 처리목표의 효과는 준거가격을 기준으로 일반화처리-동화효과, 변별처리-대조효과에 의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2에서는 제품정보를 제시하여 처리목표를 활성화 시킨 뒤, 실제로 동화 대조효과가 발생하는 지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가정한대로, 일반화처리목표가 활성화 됐을 때, 동화효과가, 변별처리 목표가 활성화 됐을 때, 대조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자료 유형(그림, 실물)과 제시 순서에 따른 3, 4, 5세아의 수세기 능력

        황정숙(Hwang jeong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8 No.3

        본 연구는 만3. 4. 5세 유아의 수서기가 자료 유형(그림 실물)과 제시 순서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S. Y유치원 유아 177명을 대상으로 그림카드와 실물을 사용하여 개별 면접으로 수세기를 관찰하여 점수화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그림과 실물의 두 가지 자료 유형과 연령에 따른 수세기에서 유아들은 자료 유형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연령별로는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또한 그림자료 중 같은 종류의 그림과 다른 종류의 그림을 제시하였을 때도 수서기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제시 순서에 따른 수세기에서 유아들은 연령별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는에 3. 4세아는 1→10까지 정순으로 제시될 때와 10→1까지의 역순, 무작위 순으로 수세기를 잘했으나 5세아는 10→1까지의 역순 1→10까지 정순 무작위 순으로 수세기 점수가 높았다.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the differences that three, four, five year-old children's counting will result in, in terms of material type and order of presentation. The method of th is study is scoring the result of observation for counting using pictures and concrete materials in form of individual interviews. The subjects are 177 children in S, Y kindergartens located in Songpa-Gu, Seoul. This study showed two meaningful results. First, they didn't show significant statistic differences in counting by two kinds of material type, pictures and concrete materials. And when the same kind of pictures and different kinds of pictures were given, they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counting. But according to their age the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 older they were, the higher their scores were. Secondly, in counting by order of presentation the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ree, four year-old children got the highest scores in counting by materials given in order (from 1 to- 10) and the lower scores in reverse order (from 10 to 1), and the lowest scores in random order. Five year-old children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reverse order (from 10 to 1) and the lower scores in order (from 1 to 10), and the lowest scores in random order.

      • KCI등재

        광고의 협찬 고지 순서와 소비자의 인지욕구가 SNS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 조작적 의도에 대한 추론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증거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지현,김한구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21 마케팅관리연구 Vol.26 No.1

        최근 광고가 브랜드로부터 금전적 지원 또는 제품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되었음을 알리는 ‘협찬 고지’가 소비자들의 광고태도를 결정짓는 단서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과거에는 SNS 광고 의 협찬 메시지가 소비자들의 설득지식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는 주장이 다수였으나, 최근 상업성이 명 확하게 제시될 때 오히려 부정적인 인식이 완화될 수 있다는 주장 또한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협찬 메 시지의 제시 유형이 광고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이에 본 연구는 협찬 고지의 순서와 소비자의 인지욕구가 SNS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효과가 발생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해 조작적 의도에 대한 추론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소비자의 부정적 인식을 완화하기 위한 사회적 증거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인지욕구가 강한 소비자 의 경우, 협찬 고지가 뒤에 위치할 때보다 앞에 위치할 때 광고태도가 호의적인 반면, 인지욕구가 약한 소비자의 경우 협찬 고지가 앞에 위치할 때보다 뒤에 위치할 때 광고태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협 찬 고지 유형과 소비자의 인지욕구가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조작적 의도에 대한 추론에 의해 매개 되었으며, 조작적 의도에 대한 추론의 매개효과는 사회적 증거에 의해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 로, 사회적 증거가 약한 상황에서는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나, 이러한 효과는 사회적 증거가 강한 상황에 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SNS 협찬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메시지의 제시 유형과 소비 자의 인지적 성향의 영향력을 포괄적으로 다루었으며, SNS 기능의 역할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협찬 광고 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안하였다. 또한 실제 SNS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광고 전략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SNS 플랫폼 관리자와 광고 제작자 모두에게 유용한 실무적 지침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a ‘sponsorship presentation’ in SNS, which informs consumers that advertisement was written with financial support from the brand has served as a clue to determine consumers’ advertising attitude. Previous researches argued that sponsorship presentation in SNS advertisement can activate consumers' persuasion knowledge; however, it has been argued that negative perceptions can be alleviated when the sponsorship message is clearly presented recently. Thu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type of sponsorship presentation.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 of sponsorship presentation order of SNS advertisement and consumers’ need for cognition(NFC) on ad attitude. In addition, in order to verify the mechanism by which these effects occur, we investigated the mediating role of inferences of manipulative intent, and how the mediating effect vary with social proof. The results showed that for consumers’ NFC was high, the advertising attitude was higher when sponsorship presentation was placed at the top than was placed at the bottom (primacy effect). However, for consumers’ NFC was low, the advertising attitude was higher when sponsorship presentation was placed at the bottom than was placed at the top (recency effect). Also, it is verified tha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sponsorship presentation type and NFC on advertising attitude was mediated by inferences of manipulative intent,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moderated by social proof.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of SNS sponsored advertisements, this study comprehensively dealt with the order effect of message and consumers' cognitive tendencies. Also we identify the role of SNS function to reduce consumers’ negative perception toward advertisemen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provide useful practical guidance for both SNS platform managers and advertising producers by proposing an advertising strategy that can be applied to the actual SNS environment.

      • THE EFFECT OF PRESENTATION ORDER IN AN INSTAGRAM AD AND TOLERANCE FOR CONTRADICTION ON TOURISM CONSUMERS’ BEHAVIORAL INTENTIONS

        Jung Min Jang,Eunyoung Park 글로벌지식마케팅경영학회 2023 Global Marketing Conference Vol.2023 No.07

        Instagram marketing is a popular tool for communication in the tourism industry. However, research into effective execution tactics has been limited to the content, recipient characteristics, and sender types (e.g., celebrities) (i.e., Ferwerda & Tkalcic, 2018; Jin et al., 2019; Singh, 2020). The layouts of Instagram ads themselves have received little scholarly attention. Instagram ads typically convey multiple pieces of information in a single advertisement unit, raising concerns about the significance of the order in which the information is presented. Specifically, we must understand how different orders of presenting information affect a firm’s performanc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presentation order on consumer behavioral intentions toward tour programs promoted on Instagram.

      • KCI등재

        한국어 교재에서의 자모 제시 순서 연구

        유소영 반교어문학회 2019 泮橋語文硏究 Vol.0 No.51

        This study began with a worry over, how the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would be presented with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Foreign learners who are native speakers of the target language should not only have the general curriculum modified, but the starting point of the teaching of Hangul should also different. A native speaker of the target language in the education of the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will be taught literal education, while students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will be taught Hangul as well as and pronunciation education is to be made at the same time. Therefore, presenting a flowchart of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and pronunciation, literacy training taking place at the same time of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at literacy centers will be different. In this study,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18 kinds of textbooks developed for training in order of consonants and vowels were presented and examined. The current textbook presented in alphabetical order with the purpose of providing an effective review and suggestions to the problems. In this discussion, pronunciation and text at the same time without removing the case to faculty and learners assume Hangul alphabet is easy to learn in the order of presentation of the proposal. In other words, the place of articulation and manner of articulation is easy to understand and learn when presented. Through education of the sound and characters of Korean Hangul together for Korean learners as foreigners can easily give a sense of stability to provide effective learning; and Korean textbooks for developers considering accessibil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earner. 본고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한글의 자모를 어떤 순서로 제시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하였다.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은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하는 국어교육과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내용뿐만 아니라 한글 자모 교육에서도 그 출발점이 다르다.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하는 국어교육에서의 한글 자모 교육은 문자 교육이 될 것이고, 외국어로서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교육에서의 한글 자모 교육은 문자 교육과 발음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한글의 자모 제시 순서도 문자 교육과 발음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한국어교육은 문자 교육 중심인 국어교육과 달라야 할 것이다. 본고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을 위하여 개발된 교재 18종에서 자음과 모음의 제시 순서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현재 교재 내에서 자모 제시 순서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효과적인 자모 제시 순서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논의는 발음과 문자를 분리하지 않고 동시에 교수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학습자들이 습득하기 쉬운 한글 자모의 제시 순서를 제안하는 것이다. 즉,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을 이해하고 습득하기 쉬운 순서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들에게는 한글의 소리와 문자를 쉽게 습득할 수 있다는 안정감을 제공해 주고 효율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한국어 교재 개발자에게는 학습자의 입장에서 접근성을 고려한 교재를 개발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 발음 교육 내용의 계열화 : 자음과 모음을 중심으로

        이승왕,이병운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9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9 No.-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국어과 말하기·듣기 교과서에서 자음과 모음의 음가라는 학습 내용을 대상으로, 학습 내용을 선정하는 기준과 학습 순서를 구성하는 기준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다. 학습 요소의 선정은 학습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학습 요소를 어떻게 선정하는가? 에 대한 문제이고, 학습 요소의 배열은 ‘어떻게 배열하고 순서를 정하면, 효과적으로 학습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이다. 자음의 경우 자음 체계를 기준으로 학습 요소를 선정하여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ㅈ, ㅉ, ㅊ>, <ㅅ, ㅆ>, <ㅎ>, <ㅁ, ㄴ, ㅇ, ㄹ>로 배열할 수 있다. 모음의 경우 학습 내용의 선정은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나누고, 모음 체계를 기준으로 학습 요소를 선정하여 단모음은 <ㅏ, ㅣ>, <ㅜ, ㅗ>, <ㅔ, ㅐ>, <ㅡ, ㅓ>, <ㅟ, ㅚ>로 학습 순서를 배열할 수 있으며, 이중모음은 <ㅑ, ㅕ>, <ㅛ, ㅠ>, <ㅒ, ㅖ>, <ㅘ, ㅝ>, <ㅙ, ㅞ>, <ㅢ>로 배열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vide a basis for constructing effective learning activities with the parts dealing with the phonetic values of consonants and vowels among other parts of learning related to the standard pronunciation, which the speaking-listening textbook for the subject of Korean in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address the education of pronunciation with respect to the standard pronunciation, one should be first engaged in the discussion of the way of selecting learning elements and setting the order of presenting the selected learning elements. The selection of learning elements is related to how consonants and vowels should be interrelated and dealt with, while the establishment of the ordering of presentation is in regard of which arrangement is effective for the order of the selected learning elements. As for consonants, we can select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ㅈ, ㅉ, ㅊ>, <ㅅ, ㅆ>, <ㅎ>, <ㅁ, ㄴ, ㅇ, ㄹ> as learning elements. As for monophthongs among other vowels, we can select <ㅏ, ㅣ>, <ㅜ, ㅗ>, <ㅔ, ㅐ>, <ㅡ, ㅓ>, <ㅟ, ㅚ> on the basis of the felicity of learning. As for diphthongs, we can select <ㅑ, ㅕ>, <ㅛ, ㅠ>, <ㅒ, ㅖ>, <ㅘ, ㅝ>, <ㅙ, ㅞ>, <ㅢ> as learning elements and set the ordering of presentation in that order.

      • KCI등재

        한국어 교육을 위한 조건 연결어미 제시 순서 연구

        유혜선 이중언어학회 2019 이중언어학 Vol.75 No.-

        This Study is about Korean conditional connectiveendings. Conditional relations are semantic relations that appear in alllanguages, and there are grammatical means of expressing them. The Koreanconnective endings have a very complex function of expressing the feelingssuch as the wishes, hopes and suspicions of the speaker when looking at thefunctions and events of connecting events. However, the grammatical form ofexpressing it varies from language to language, and the Korean language hasconditional connective endings that show detailed meaning differences, makingit difficult for learners to fully understand and use the meaning of theconjunctive. This study aims to summarize the semantic relations and the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connective endings based on the existing discussionon conditional connective endings. In addition, I want to extract the connectiveendings in Korean textbooks and analyze the order of presentation. Finally, Iwill arrange connective endings based on semantic marked. This Study willsummarize these discussions and conclude with suggestions for Koreanconnection endings education. 본 연구는 효과적인 한국어 조건 연결어미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재에서의 제시 순서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조건 연결어미에 대한 기존 논의를 살펴보고, '-면, -거든, -다면, -라면, -았/었더라면, -느라면, -아/어야'와 같은 조건 연결어미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의미 자질을 통해 정리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재에서 나타나는 조건 연결어미를 추출하고 제시 순서를 분석하여, 한국어 교육에서 조건 연결어미 교육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국립국어원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의 오류 분석을 통해 조건 연결어미의 오류 양상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정리하여 유표성(有標性)을 기반으로 하는 조건 연결어미의 제시 순서를 제안하였다. 의미적 유표성에 의한 연결어미 제시 순서는 학습자아 연결어미의 의미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유아의 이행추론과 오류에 관한 연구

        조선희(Jo Seon-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논리적 사고교육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하여 유아의 이행추론의 성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유아의 이행추론과 오류에 미치는 과제유형과 전제제시순서의 효과가 어떠한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6세 유아 76명의 이행추론 정답수행 정도와 오답수행에 나타난 오류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과제유형에 따라 유아의 이행추론에 차이가 있으나, 전제제시순서별 과제유형의 효과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제제시순서에 따라 유아의 이행추론에 차이가 있으나, 과제유형별 전제제시순서의 효과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행추론 과제에 대한 오답수행에 나타난 오류를 분석한 결과, 과제 자료에 내포된 서열적 특성에 기인한 오류, 과제자료 구성에 기인한 오류, 과제자료의 표면적 특성에 기인한 오류, 문제 이해 부족에 기인한 오류 등을 나타내었다. 넷째, 과제유형에 따라 이행추론과정에 나타난 오류 유형에 차이가 있으나, 전제제시순서별 과제유형의 효과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s transitive inference in order to provide basis for young children's logical thinking education. In this study, 76 six-year-old children were asked to answer four transitive inference tasks[two types of task(the ABC task & the Color task) × two presentation orders of premises(X>Y, Y>Z & Y>Z, X>Y)] and to give the verbal report for the solving processes. The degree of correct transitive inference performance and the errors in the wrong transitive inference performance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the effects of the task types on the degree of correct transitive inference performance. Specifically, in the presentation order of premises 1(X>Y, Y>Z), the degree of correct transitive inference performance of the ABC task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lor task. But in the presentation order of premises 2(Y>Z, X>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ABC task and the Color task. Second, there were the effects of the presentation orders of premises on the degree of correct transitive inference performance. Specifically, in the ABC task, the degree of correct transitive inference performance of the presentation order of premises 1(X>Y, Y>Z)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resentation order of premises 2(Y>Z, X>Y). But in the Color task,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tation order of premises 1 (X>Y, Y>Z) and the presentation order of premises 2(Y>Z, X>Y). Third, the errors in the wrong transitive inference performance were analyzed as 4 types: the error coming from the order connotation of the task items, the error coming from task construction, the error coming from the superficial characteristics of task items, and the error coming from the shortage of task comprehension. Fourth, there were the effects of the task types on the error types in the wrong transitive inference performance. Specifically, in the presentation order of premises 1(X>Y, Y>Z),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ABC task and the Color task. But in the presentation order of premises 2(Y>Z, X>Y), the error types in the wrong transitive inference performance of the ABC task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lor task. In the ABC task, the errors coming from the order connotation of the task items and the errors coming from task construction were the most often appeared. But in the Color task, the errors coming from task construction and the errors coming from the superficial characteristics of task items were the most often appeared. It seems that these results could suggest reference to development of programs for logical thinking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s.

      • KCI등재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자모 제시 순서

        번웨이샤 ( Wei Xia Fan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39 No.-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presentation order and its methods of Korean alphabet in order to teach Chinese students effectively. Although the published reports and basic Korean materials have shown the teaching method of Korean alphabet, it is insufficient in the research field of presentation order of Korean alphabet. In the language teaching,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special language backgrounds since a non-native learner is easily influenced by their mother-tongue.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Korean and Chinese phonology, and then rearranged the presentation order for Chinese learners according to pronunciation similarities, pronunciation differences, and mispronunciations. Based on our research, we built the standard presentation order of Korean alphabet, and tried to present the most suitable presentation order of Korean alphabet for Chinese learners. This study will be very useful for Korean alphabet presentation, and well be helpful to publish Korean textbook about pronunciation for Chinese learners. (Sangmyung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