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자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 경험에 대한 탐색

        강희신(Hee shin Kang),박수경(Su kyoung Park)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예비보육교사들의 보육실습의 경험을 탐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A보육교사양성과정의 남자예비보육교사 3명을 대상으로 보육실습 전 · 후 면담을 실시하고 보육실습 동안 작성한 반성적 일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예비보육교사들은 보육실습을 통해 남자교사로서의 강점을 발견하며 교사로서의 자아상과 역할을 찾아가고 있었다. 둘째, 보육실습동안 유아와의 만남을 통하여 행복과 갈등을 경험하면서 역량 있는 교사가 되기 위해 노력하였다. 셋째, 남자예비보육교사들은 교사로서 스스로의 부족함을 발견하여 이를 채우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넷째, 남자예비보육교사들은 미래의 남자보육교사들에게 희망찬 남자교사로서의 발전과 성장을 조언하였다. 본 연구는 남자예비보육교사들의 보육실습 경험을 바탕으로 보육교사교육의 방향 및 보육현장에서 남자교사의 역할을 조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eaching practice of male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This study targets at three male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attending A child care teacher training course in Seoul who involved in-depth interviews before and after the teaching practice and then analyzes their reflective journals written during the teaching practice. The results are shown as follows. First, male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established their self-images and roles as teachers while finding their strengths as male teachers. Second, male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tried their best to be a competent teacher, experiencing happiness and conflicts by meeting children during the teaching practice. Third, male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found their own weakness as a teacher, and this leads them to feel the need of continuous self-improvement and their efforts to overcome it. Forth, current male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advised future male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on their development and growth as promising male teacher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reflect on the importance of male teachers’ roles in child care field as well as the path of male child care teachers based on the experience from the practicum of male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 KCI등재

        반성적 저널쓰기와 피드백을 통한 예비보육교사의 강의 수강 경험 의미와 교수자의 교수 방법적 의의 탐색

        노승희(Noh Seung-Hee),이영진(Lee Young-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4

        본 연구는 보육관련 강의를 수강한 예비보육교사의 반성적 저널과 피드백 내용을 분석하여 예비보육교사의 강의 수강 경험을 살펴보고 교수자의 수업의 질을 높일 수있는 방안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S시 S대학교의 영유 아교수법 강의를 듣는 예비보육교사 40명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 참여자 학생들이 2016년 9월부터 12월까지 15주 동안 강의 수강 후 작성한 11번의 반성적 저널과 교수자 피드백, 연구자의 반영적 저널을 범주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보육 교사들은 첫째, 저널쓰기와 교수자의 피드백을 통해 보육교사의 역할에 대해 알아가 고 있었다. 둘째, 예비보육교사들은 보육교사로서의 삶에 대해 느끼는 과정을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예비보육교사들은 이론적 지식과 보육교사의 삶에 대해 마음으로 느끼는 과정을 거쳐 좋은 교사상에 대해 고찰하며 본인이 교사가 되었을 때 어떤 교육을 할 것인지 다짐하게 되었다. 예비보육교사들은 반성적 저널쓰기와 피드백을 통해 소통하며 보다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학습을 경험하였으며 교수자로부터 정서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 또한 예비보육교사와 교수자 모두에게 스스로를 파악하여 보다 좋은 수업을 함께 만들어 가는데 도움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참고할 때, 예비보육교사의 전문성 확립을 위하여 보육 관련 강의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This study has its purpose on reviewing the experience of attending the lectures given by child care teachers and exploring the solutions of enhancing the quality of an instructor s lectures by analyzing the reflective journal and feedback of the child care teacher who took relevant courses of child care. The research subject was oriented to 40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taking classes of teaching methods for infants and children at S University of S City in Gyeonggi-do. For the purpose of study, this study analyzed reflective journals of the researcher as well as the journals written by research participants after each lecture for 15 weeks from Sep to Dec in 2016. First of all, the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are in the process of discovering the roles of child care teachers through journal writing and feedback of relevant professors. Next, the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perceive life as a child care teacher. Third, through the process of feeling the theoretical knowledge and the life of the child care teacher,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able to examine the good teacher s image and made a commitment to what kind of education I would do when I became a teacher. Through journal writing and feedback, the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have experienced more active and autonomous learning. Further, they have received emotional supports from the instructors. In addition, these methods have enabled the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and instructors to figure out themselves resulting in a better learning. From this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pre-service teachers lectures.

      • KCI등재

        영유아권리존중보육에 대한 보육교사와 예비보육교사의 개념도 분석

        김수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4 No.5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content and level of care-giving of children’s rights perceived by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using concept map. A total of 222 subjects were selected, including 103 in-service and 119 pre-service teac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ere were 23 super ordinate concepts of the care-giving of children’s rights. The in-service teachers were 21 super ordinate concepts of the care-giving of children’s rights and they drew up the right to protection at the most. And pre-service teachers were 19 super ordinate concepts of the care-giving of children’s rights and they drew up the right to survival at the most. Second, In the subcategories of care-giving of children’s rights, in-service teachers made out the right to protection systematically. While pre-service teachers drew up the right to survival systematically. Third, the distribution of the concept level ranged from 1.00 to 4.15. In-service teachers showed 3.16, and pre-service teacher 2.23 in average on the understanding level of care-giving of children’s rights.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on the understanding level of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In-service teachers with more education and training experiences showed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are-giving of children’s rights.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education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in order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teachers’ care-giving of children’s rights.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도를 사용하여 보육교사와 예비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영유아권리존중보육에 대한 내용과 그 수준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보육교사 103명과 예비보육교사 119명으로 총 222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와 예비보육교사의 상위개념은 총 23개 유형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보육교사의 상위개념 유형은 21개로 보호권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예비보육교사의 상위개념 유형은 19개로 생존권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권리존중보육의 하위내용에 대한 개념형성은 보육교사는 보호권이, 예비보육교사는 생존권이 체계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권리존중보육에 대한 개념 수준의 분포는 1.00~4.15로 나타났고, 보육교사는 평균 3.16, 예비보육교사는 2.23으로 보육교사가 예비보육교사 보다 개념 수준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보육교사는 교육경력이 많고, 연수경험이 있을수록 개념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보육에 대한 전문성 향상을 위해 교육과 제도 마련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장애영유아를 위한 예비보육교사의 6주로 확장된 보육실습 경험

        남혜진,서경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9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9 No.4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that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go through during child care practicum at special 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ich have been expanded to 6 weeks. Research subjects were 6 students ages 20 to 24, attending special rehabilitation related departments in 3 year colleges. The research method was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interviews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an open coding method. As a result, the 5 major category themes of「a week before the practicum of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difficulties felt during practicum periods, points of improvement for practicum processes as felt by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after practicum,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s viewed by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sites as viewed by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and 13 sub-category topics were deduced from interview contents. Through this, it was shown that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feel fear and excitement before child care practicum and experience various difficulties during practicum periods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oposed that education for cooperating teachers in practicum processes must be reinforced, manuals must be produced according to training center characteristics, regular parent education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needed, support personnel must be increased at special education sites,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level of disability must be searched for. 본 연구는 장애영유아를 위한 예비보육교사가 장애아전문 어린이집에서 6주로 확장된 보육실습을 하면서 겪은 경험에 대해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3년제 전문대학, 특수재활관련학과에 재학 중인 만 20에서 만 24세의 학생 6명이다. 연구방법은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연구 참여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그룹 면담과 개별 면담으로 진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개방적 코딩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면담 내용에서「예비보육교사의 실습시작 일주일 전, 실습기간 중 느끼는 어려움, 실습 후 예비보육교사가 느낀 실습과정에 대한 개선점, 예비보육교사가 바라본 장애유아 부모와 예비보육교사가 바라본 특수교육 현장」으로 5개의 상위 범주 주제와 13개의 하위 범주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예비보육교사는 보육실습 전 두려움과 설렘을 동시에 느끼고 있으며 실습기간 중 다양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실습과정에서 실습 지도교사에 대한 교육 강화 및 실습기관 특성에 따른 매뉴얼 제작 등이 필요하며 장애유아 부모를 위한 정기적인 부모교육의 필요성과 특수교육 현장에 보조 인력 확충, 장애 정도에 따른 효과적인 교수방법 모색 등이 필요하다는 실질적인 함의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보육교사 되어 가기

        이부미(Lee, Boo-Mi),임현숙(Lim, Hyun-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보육교사 교육원에 입학한 예비 보육교사들의 삶을 통하여 보육교사가 되어가는 과정을 탐색하였다. 경기도 G 보육교사 교육원에 입학한 예비 보육교사 12명을 대상으로 교육원 1년 동안의 삶과 경험에 대하여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하였다. 보육교사가 되어가는 과정에 대한 이야기는 학습자로서 자기 존재 인식, 초보 예비 보육교사로 담금질하기, 보육교사 이미지 구성하기, 보육실습을 통해 예비 보육교사로 거듭나기, 예비 보육교사로 단단해지기로 구성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학생으로서의 존재적?관계적 경험을 통해 자신이 살아있다는 존재감을 느끼게 되었다. 이렇게 시작된 예비 보육교사의 삶은 수업, 과제, 실습의 어려움에 봉착하지만 배우는 맛, 이론?실천적 지식의 획득과 실천적 능력의 확장을 통해 예비 보육교사로서의 삶을 역동적으로 살아낸다. 이러한 역동적 삶의 경험으로 다져진 예비 보육교사들은 어린이집 취업을 앞두고 좋은 교사가 될 수 있으리라는 희망을 갖고 기대를 하였다. In this study, a process of becoming a child care teacher was explored from the time when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enrolled in the education center for child care teacher training. The narratives of the life of 1 year in the education center for 12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at the child care center was exami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story on the process of becoming child care teachers consisted of recognition of themselves as a learner, quenching as a beginner’s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 image construction as a child care teacher, child care practices to reborn as a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 and firming as a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 The participants felt their presence through their existential and relational experience as a learner. The lives started as a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 confronted difficulties such as classes, assignments, or practical trainings. However they survived their dynamic progress through authentic taste of learning, acquisition of theoretical knowledge, and expansion of ability to practice. The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expected to become good child care teachers with hope.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영유아통합보육 및 장애영유아보육교사의 자격과 역할에 관한 인식

        이찬숙,윤수진,성영화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0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inclusive child care and care teachers’ qualifications and roles for disabled children according to the experiences of subject related to disable and care practic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4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department of young children education and child care at 2-3 year university located in G-do.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research through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χ²-test,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for inclusive child care for disabled children and the it was appropriate to carry out inclusive child care at 3-years old.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inclusive child care showed an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t according to the experiences of subject related to disable and care practice. Also,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e those who majored in child care should be a care teacher for disabled children. And they were recognized when an opportunity to observe children was given in the inclusive child care classroom for disabled childrens during the university’s training course. These findings we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effective training of curriculums related to inclusive child care in institute that tra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영유아통합보육과 관련한 수업 이수와 실습경험에 따른장애영유아통합보육 및 장애영유아보육교사의 자격과 역할에 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대상은 G도에 위치한 2~3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및 아동보육과에 재학 중인 340명의 예비유아교사들이었다. 예비유아교사들은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에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χ² 검정, 기술 통계치, 그리고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장애영유아통합보육의 필요성을 인식하며, 만 3세부터 통합보육을 실시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장애영유아통합보육에 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은 수업을 이수한 경험 및 실습경험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들은 보육을 전공한 사람이 장애영유아보육교사를 해야 하고, 대학의양성과정 시, 장애영유아통합보육 교실에서 영유아를 관찰할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예비유아교사를 양성하는 기관에서 장애영유아통합보육과관련한 교육과정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보육헌신에 미치는 영향: 교직윤리의식의 매개효과

        좌승화,이해정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9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self-leadership, child care commitment, and teaching ethic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particula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ethic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the child care commitmen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04 pre-service teachers in B city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data.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levels of self-leadership, child care commitment, and teaching ethic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relatively high.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levels of child care commitment amd teaching ethic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high when self-leadership was high, and the level of child care commitment was high when teaching ethics were high. Third, teaching ethic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shown to have a mediation effect on self-leadership and child care commitment.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nsight into the right direction of educat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hild care commitments.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보육헌신과의 관계에서 교직윤리의식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으로는 예비유아교사 404명이 참여했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적률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교직윤리의식, 보육헌신의 인식 수준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교직윤리의식, 보육헌신 간의 상관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이 높으면 교직윤리의식과 보육헌신이 높아지고, 교직윤리의식이 높으면 보육헌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교직윤리가 보육헌신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직윤리의식은 셀프리더십과 보육헌신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과정에서 보육헌신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어린이집 남자 예비영유아교사의 대학생활 및 보육실습 경험 탐색

        임환미 ( Hwanmi Im ),육길나 ( Gilla Yu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목적은 남자 예비영유아교사들의 대학생활과 보육실습 과정을 탐색하여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보육실습을 마친 남자 예비영유아교사 2인을 대상으로 포커스 인터뷰를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보육실습일지, 연구참여자 저널, 전사본으로 귀납적 분석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남자 예비영유아교사들은 여초집단에서 지내며 어려움을 경험하지만 적극적이고 긍정적으로 생활했고, 보육실습을 통해 자신을 향한 타인의 시선 변화, 제한된 실습경험, 이론과 다른 현장으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했다. 그리고 자신의 장단점을 발견하며 진로선택에 확신을 갖게 됐다. 이런 결과는 교사양성기관과 어린이집에 남자 예비영유아교사가 다양한 연령과 상황에서의 실습경험을 할 수 있는 체계적인 커리큘럼 제공, 남자교사를 위한 물리적 환경을 고려한 어린이집 설립기준 확립 등의 시사점을 주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support measures by examining the college life and child care practice process of mal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focu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o mal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completed child care practice and data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consisted child care practice diary, journal of participant, and transcription and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inductive procedure. As a result, mal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while living in a female group but they were get along active and positive. Through child care practice they experienced a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others towards him, limited practical experience, difficulties due to situations different from the theory. And through child care practice, they discovered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became confident in their career choice.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giving implications to teacher training institutes and day care centers that providing a systematic curriculum for mal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experience child care practical experiences for various infant, establishing standards for establishing a day care center considering the physical environment for male teachers.

      • KCI등재후보

        현장 경험에 따른 예비보육교사의 보육교사 역할에 대한 지식 변화

        성원경(Sung, Wonky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개념도와 저널을 통해 보육현장 참여 이후 예비보육교사들의 보육교사 역할에 대한 지식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예비보육교사 18명을 대상으로 보육현장 참여 전과 후에 보육교사의 역할에 대한 개념도를 그렸고, 자신이 작성한 두 번의 개념도를 보고 개념도가 변화한 이유에 대한 저널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현장 참여 전에 비해 참여 후에 예비보육교사들의 개념도는 깊이와 상위 개념이 증가하였고 종속개념의 수는 감소하였다. 둘째, 보육교사 역할에 대한 예비보육교사들의 개념도 주제어는 ‘가르치는 역할, 돌보는 역할, 부모를 교육하는 역할’로 나타났으며, 보육현장 참여 이후 부모교육자의 역할에 대한 주제어 빈도가 높아졌고 ‘교수 능력’과 ‘교사의 지식’에 관한 내용이 추가되었다. 셋째, 예비교사들이 인식한 현장참여 후 보육교사 역할에 대한 지식 변화의 이유는 ‘영유아를 직접 대해 본 경험’, ‘학급에서 내가 실제로 해본 것’,‘현장에서 관찰한 교사의 일’ 등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plore the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knowledge about the child care teachers' role. The subject was 18 third year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They composed concept maps on 'child care teachers' role two times, that is before participate day care center, after participate day care center. And write journal about these concept maps and the causes of knowledge change.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concepts increased and the depth of concept map was deeper after participate day care center. Second, in respect of knowledge contents, the most frequently used concepts ere 'teaching', 'caring', 'educating parent', and the frequent of concept about 'educating parent' was increased and added the 'teaching ability', 'teacher knowledge' after participate day care center. Third, it turns out that 'contacting young children', 'actual experience of assisting teaching children', 'observing and monitering the teacher'.

      • KCI등재후보

        보육실습 경험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직 전문성에 대한 인식 변화

        김남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09 생태유아교육연구 Vol.8 No.4

        This qualitative research aimed to identify the changes i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ing professionalism through practical teaching experience in a child care center.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nine pre-service teachers. To achieve this study's purpose, data(interview contents, reflective journals, pictures, practice journals, and so on) were collected and categorized. Results showed that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changes in terms of teaching professionalism. Before practical teaching, they recognized that teaching young children in a child care center did not constitute professionalism. But after practical teaching, they recognized that teaching young children in a child care center constituted professionalism. This change means that pre-service teachers are constructivists of practical knowledge and that teachers are creative specialists and are motivated internally. 본 연구는 4년제 예비유아교사들이 보육실습 경험을 통해 보육교사직에 대한 교직 전문성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고, 그 변화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9명의 예비유아교사들과 실시한, 보육실습 전 면담과 실습 후 면담의 2회 면담자료, 실습동안 작성한 반성적 저널, 실습일지, 관찰노트 등을 심층적으로 검토하여 내용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예비유아교사들은 보육실습 전에는 보육교사직이 전문직이 아니며 아이들을 가르치는 교사이긴 하나 인정받지 못하는 교사라고 인식하였으나, 실습 경험을 통해 보육교사직은 다른 전문직에 비해 좀 더 힘든 전문직이며 보다 가치로운 전문직이고 교사 중에서도 진정한 교사라는 인식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보육실습 경험을 통해 예비유아교사는 실천적 지식 구성자이고, 유아교사는 창조적 전문가이며, 내재적 동기에 의한 교육자라는 의미로 재해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