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푸코 후기 철학에서 "주체성(subjectivite)"과 "진실(verite)"의 문제

        안현수 ( Hyun Soo An ) 한국동서철학회 2011 동서철학연구 Vol.62 No.-

        이 논문은 푸코 후기 철학에서 주체성과 진실의 문제를 논한다. 푸코는 주체가 진실에 다가가기 위해 자신에게 필요한 변형을 가하는 일련의 실천 경험 전반을 영성적 실천이라고 말한다. 푸코는 진실에 접근하는 주체의 영성적 실천이 데카르트에 와서 자기 인식의 형상으로 변모되었다고 본다. 세네카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의 실존적 운동을 푸코는 살펴본다. 이곳에선 시선의 실존적 운동을 통한 주체의 이동의 문제가 중요하다. 주체의 이동의 목적은 세계와의 단절이 아니라 현재 자기 자신의 위치와 자기와의 관계를 정립하는 데 있다. 시선의 실존적 운동은 현재의 자기 자신을 정확히 볼 수 있게 하고, 그리고 진실의 효과에 의해 자신의 존재 방식 전반의 변화를 가능하게 한다. 근대적인 고백 장치는 주체에게 진실을 끊임없이 말하도록 요청함으로써 주체의 예속을 강화시킨다. 주체는 고백 담론 안에서 자신을 대상화한다. 푸코는 강요된 고백담론과는 달리 진실을 통해 자신을 구축함으로써 참된 담론의 주체가 되는 문제를 고대의 고행실천 속에서 찾는다. 진실을 자기 것으로 만드는 것, 참된 담론의 발화 주체가 되는 것이 바로 고대시대의 철학적 고행의 핵심이다. 그러한 고행의 대표적인 실천의 형식으로서 경청, 독서, 진실 말하기를 살펴본다. 진실을 경청하는 자는 침묵과 능동적인 주의가 요구된다. 독서를 통한 명상은 주체를 어떤 상황에 자신을 위치시키는 문제가 중요하다. 마지막 진실 말하기는 자기 삶의 배려와 자기 실천 간의 상호 작용이 중요하다. 푸코에게 진실의 문제는 주체에게 이론으로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생의 실천 기술로서 작용한다. 그리고 참된 진실을 자기화 한 주체는 올바른 행위의 주체가 된다. Dans cet article, je voudrais examiner la relation de la subjectivite a la verite a partir de la pensee du dernier Foucault. Ce que Foucault appelle pratique de spiritualite, c`est une serie d`experience pratique qui fait que le sujet se transforme en vue de d`acceder a la verite. D`apres Foucault, cette experience pratique tranmise est radicalment modifiee depuis Descartes, car c`est celui-ci qui transforme la pratique de spiritualite en conscience de soi. Dans mon travail, le point de le regard que Seneque et Marc Aurele porte sur le monde signifie le mouvement existeniel. Par cet mouvement, le sujet ne s`objective pas dans la mis a distance a l` egard du monde mais il etablie au contraire sa place et son relation avec soi. Le mouvement existentiel du regard a pour but au subjet de se voir et fait qu`il se laisser transformer sous l`effet de la verite. Et pourtant dans l`epoque moderne, l`appareil d`aveu renforce l`assujetissement du sujet en l`obligeant a parler la verite. Dans le discours de la verite, le sujet se fait objet. A la difference de le discours d`aveu oblige, Foucault cherche a trouver le processus de la subjectivation dans laquelle le sujet se forme par la quete de la verite? Ainsi l`essence de la subjectivite fondee sur la quete pratique de la verite et qui se fait le sujet de discours se touve dans la pratique antique de l` askesis. Si le sujet cherche approprier la verite dans cette pratique, c`est par qu`il trouve la possibilite de devenir le veritable sujet. Or ce processus n`est pensable hors de la pratique de askesis. Cette conjonction entre la subjectivite et la pratique constitue le noyau de la comprehension de la verite. Par la on peut dire que la pratique de askesis est philosophique plutot que religiouse. C`est pourqoui la question de la verite chez Foucault n`est pas donnee au sujet sous la forme de theorie mais au sens pratique. Cette pratique doit etre entendue depuis la techne de la vie. C`est a travers l`examin du concept de pratique antique que je veux trouver le point conjoint entre la subjectivte et la verite.

      • KCI등재

        로스쿨에서 공법 이론교육과 실무교육

        전학선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외법논집 Vol.42 No.3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교육 목적은 법조인 양성에 있고, 기존의 사법시험을 통한 법조인 선발이 아 닌 학교 교육을 통한 법조인 선발을 하겠다는 취지에서 법학전문대학원 체제가 출범하였으므로, 법학 전문대학원에서의 교육이 이론교육과 실무교육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이론교육은 기존의 법과대학 체제에서도 실시되었지만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이론교육은 교육목표 에 맞게 실시되어야 한다. 즉 실무교육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실무교육은 누 구를 양성하는 교육, 즉 법조인의 범위를 어떻게 이해하는가에 따라 달라질 것이고 실무교육을 어떻게 이해하는가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공법은 그 특성상 이론의 비중이 민사법이나 형사법의 경우보다 높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헌법재판 의 경우 사실관계를 다투는 경우는 거의 없고 법 이론적으로 다투는 것이 대부분이다. 법학전문대학원을 마치고 변호사 자격을 취득하고 법조인으로서 활동하는데 있어서의 실무교육은 단순히 소송실무만을 위한 교육이어서는 안된다. 법학전문대학원이 단순히 소송실무만을 위한 법조인 양성이 아니라 변호사 자격을 가지고 다양한 직역으로 진출하는 법조인 양성을 목표로 한다면 소송실 무 중심의 실무교육에서 탈피하여야 한다. 물론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실무교육 가운데 소송실무 관 련 실무교육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소송실무만을 위한 실무교육은 법학전문 대학원을 통한 법조인 양성 취지에 부합하지 않음은 물론 공법 영역에서는 이론교육을 바탕으로 한 실무교육이어야 실무교육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공법 영역에서의 실무교육은 소송실무 관련 교육과 더불어 입법이라든지 국가 기능과 관련된 다양 한 실무교육도 고려되어야지만 법학전문대학원 설립 취지에 부합하는 실무교육이 될 수 있을 것이다. L’idéologie éducative des facultés de droit professionnelles est de former des professionnels du droit qui ont une éthique professionnelle fondée sur une éducation riche, une compréhension profonde des personnes et de la société, et des valeurs qui valorisent la liberté, l’égalité et la justice. la résolution efficace de divers différends juridiques afin de fournir un service juridique de qualité répondant aux diverses attentes et demandes du peuple. L’éducation à l’école de droit devrait être équilibrée entre l’éducation théorique et l’éducation pratique. L’éducation pratique à l’école de droit dépend de qui éduque. Cela dépend de la façon dont vous comprenez le juriste, et dépendra de la façon dont vous comprenez l’éducation pratique. L’éducation à l’école de droit dépend de qui éduque. L’importance de l’éducation théorique en l’enseignment de droit public est plus élevée que celle du droit civil ou du droit pénal. L’éducation pratique pour obtenir un statut légal après avoir fait des études de droit et agir comme avocat ne devrait pas être une simple éducation à des fins pratiques. Dans le domaine du droit public, l’éducation pratique basée sur l’éducation théorique peut augmenter l’efficacité de l’éducation pratique. L’éducation pratique dans le domaine du droit public devrait être considérée comme une éducation pratique conformément à l’intention de créer une école de droit.

      • KCI등재

        서술적 이해comprehension narrative에 대한 고찰: 폴 리쾨르의 이론을 중심으로

        김휘택(Kim Hui-teak)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8 프랑스문화연구 Vol.39 No.1

        Nous avons examine le concept, l’utilisation et le statut de « comprehension narrative » dans la theorie de Paul Ricoeur ci-dessus. Au niveau de la mimèsis, c’est-à-dire à la pre-figuration, la comprehension narrative apparaît en croisant la comprehension pratique. Si la comprehension pratique indique une relation paradigmatique, la comprehension narrative constitue une relation syntagmatique. La relation paradigmatique de la comprehension pratique peut être comprise comme un système, mais elle n’a qu’un caractère statique de “structure”. La comprehension narrative sert ici à « transformer » le système. Et ce rôle permet egalement à la comprehension narrative d’avoir un statut du point de depart pour que la mimesis devienne dynamique. Nous avons suppose que la comprehension narrative possedait la même valeur que la mimèsis dans cet article. En particulier, la comprehension narrative, contrairement à l’explication historique, remplace le terme mimesis dans la deuxième partie de Temps et recit I. La comprehension narrative est comprise comme une structuration dynamique en remplaçant la mimèsis qui transforme la realite, façonne la composition de l’intrigue et englobe à la fois le spectateur et le lecteur. Par la suite, la comprehension narrative obtient un concept plus fondamental et plus large de « comprehension narrative » dans Temps et recit II. La comprehension narrative est utilisee ici pour contraster avec la rationalite semiotique. Ricoeur cherche à limiter la rationalite de la semiotique narrative au concept de structure même de la phase de configuration. En revanche, la comprehension narrative, en englobant le niveau de configuration, est comprise comme la capacite de se rendre compte de ce que la mise en l’intrigue se relie à la realite et ensuite s’oriente vers la realite du lecteur. Nous pouvons dire que grâce à cette comprehension narrative, les êtres humains peuvent donner un sens au monde qui les entoure.

      • KCI등재

        ‘프랑스 역사와 문화’ 플립러닝 기반 비대면 체험 강의 사례

        황혜영 ( Hwang Hye-young )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20 프랑스문화연구 Vol.47 No.1

        Le but de cette étude est de partager des cas de plans de cours expérientiels et pratiques à travers l’apprantissage inversé dans le cours d’art libéral < Histoire et culture françaises >. Dans la première moitié du semestre, les étudiants ont étudié la géographie de la France, l’histoire française de la préhistoire au XXe siècle et l’ensemble de la société française d’aujourd’hui tandis que le contenu du cours de la seconde moitié du semestre se compose d’une variété de culture et d’arts français, y compris la capitale Paris et les histoires locales, la musique classique et les chansons, les premiers films, les peintures et les arts plastiques et les architectures. À l’origine, cette classe était conçue comme une classe hors ligne, mais elle a été remplacée par une méthode sans face à face en raison de l’incident soudain du virus corona 19 depuis le premier semestre 2020. Par conséquent, le professeur a conçu la conférence vidéo comme une expérience et une pratique. En outre, le professeur a présenté un plan pour surmonter les cours à sens unique et revitaliser les interactions étudiants-professeurs et étudiants-étudiants dans des cours en ligne à travers l’apprentissage inversé, par exemples, havruta, écriture et expression logiques, discussion en temps réel et petit groupe, lecture à haute voix de la liettérature française, chœur en écrivant des paroles en coréen d’une chanson française, sélections des meilleurs films, etc. Ce plan de cours expérientiel devrait aider à développer un nouveau paradigme éducatif dans l’ère post-corona.

      • KCI등재

        프랑스어 예비교사의 수업실행 능력 향상을 위한 연구 -성찰적 실천 능력을 중심으로-

        이송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24 프랑스어문교육 Vol.84 No.-

        주로 학문적인 지식 전수와 수업 기법에 한정되어 있던 전통적인 교사교육은 오늘날 성찰적 실천을 통한 교사교육으로 전환되는 추세이다. 프랑스어 교사의 전면적인 세대교체 시기인 지금은 앞으로의 중등 프랑스어 교육을 견인해나갈 예비교사 교육에 대한 관심이 더욱 필요한 때이다. 프랑스어 예비교사의 수업실행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수업실행 경험의 양적 부족을 보완할 만큼 수업실행 경험의 질을 높이는 접근이 필요해 보이고, 동시에 교사의 전 생애에 걸친 평생학습의 도구로서 지속가능한 성찰적 실천 능력 배양에 중점을 두는 교사교육이 양성과정에서 특별히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 프랑스어 예비교사의 수업실행 능력 제고 방안의 일환으로 성찰적 실천 능력 배양에 중점을 둔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먼저 예비교사의 체계적인 성찰적 실천 과정을 도와주는 학습도구로 선택한 ‘ALACT 모형’의 원리를 살펴본 후, 성찰도구의 내용을 구성하는 9가지 수업사태를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는 실제 수업실행 경험에서 출발한 성찰을 통해 이루어진 프랑스어 예비교사들의 교수활동 개선 양상의 사례를 점검함으로써 성찰적 실천 과정의 유용성을 확인할 것이다. La pratique réflexive est considérée comme une compétence centrale dans la formation d’enseignants au sein de nombreux pays. Les programmes de formation initiale ne peuvent pas entièrement préparer les futurs enseignants à toutes les situations complexes qu’ils pourraient rencontrer en classe. Il est donc préférable de les aider à devenir des praticiens réflexifs, qui apprennent tout au long de la vie. Cette étude a pour but d’examiner l’efficacité d’un programme de formation initiale d’enseignants axé sur le développement des compétences de pratique réflexive afin d’améliorer les compétences de pratiques d’enseignement des futurs enseignants de français. Pour ce faire, en fournissant aux futurs enseignants 9 questions de réflexion basées sur 9 étapes d’enseignement, nous les avons invités à réaliser un processus de pratique réflexive systématique suivant le «modèle ALACT». Ensuite, nous avons analysé les améliorations réalisées significatives dans la pratique d’enseignement à travers ce processus de pratique réflexive individuelle et collective.

      • KCI등재

        프랑스 마크롱 정부의 학교 문화예술교육의실천과 방향- 유치원에서 고등학교까지(2017-2022) -

        이용주 한국프랑스학회 2018 한국프랑스학논집 Vol.103 No.-

        Cette recherche a pour objectif d’analyser et de présenter le cas de la France en termes de perception publique et d’expérience de l’éducation artistique et culturelle à l'école. La France et la Corée que le nouveau gouvernement est né en même temps 2017 tentent de révolutionner. Il y a beaucoup de différences de la politique de l’éducation artistique et culturelle à l’école entre La France et la Corée. Nous n’avons pas le ‘Guide pour le parcours d’éducation artistique et culturelle à l’école’ proposé par le ministère de l’éducation nationale. Ainsi, nous avons commencé cette recherche dans la petite espectative de pouvoir présenter la direction de la politique d’éducation artistique et culturelle à l’école en France en introduisant et en analysant la direction de la politique d’éducation artistique et culturelle à l’école en Corée. Nous avons examiné la pratique et la direction d’éducation artistique et culturelle à l’école du gouvernement français de Macron sur la base de l’éducation artistique et culturelle de la maternelle au baccalauréat qui est présentée sur le site officiel sur internet ministère de l’éducation nationale. Nous avons découvert que la politique de l’éducation artistique et culturelle à l’école en France se développe avec la continuité et la durabilité de la politique antérieure en se dirigeant vers la démocratisation culturelle et l’égalité des chances constamment. Pour l’excécution de l’éducation artistique et culturelle à l’école, le gouvernement français de Macron met en pratique les enseignements musicals à l’école et au collège ―la pratique du chant en classe, les chorales et les pratiques orchestrals à l’école― qui commence à l’école maternelle et se poursuit à l’école élémentaire et au collège pour tous et au lycée pour ceux qui le souhaitent. Il généralise l’enseignement d’histoire des arts et forme les enseignants à l’éducation artistique et culturelle. Il augmente l’éducation au cinéma pour donner la chance que les élèves peuvent découvrir des films de qualité et le Pass Education de la mesure de gratuité d’accès aux musées pour permettre à tous les membres des équipes éducatives des établissements scolaires de participer à la construction de projets éducatifs et culturels.

      • KCI등재

        禪수련과 人間실존의 문제 ― 實相念佛禪수련법을 바탕으로

        박선자 대동철학회 2008 大同哲學 Vol.44 No.-

        인간은 의식으로서 세상을 매개로 하여 초월적 세계로 지향하는 잠재적 존재이다. 그러므로 인간존재는 완성된, 되어진 존재가 아니기 때문에 항상 불안의식을 지니고 살아가야 하며 미래지향성을 띄고 살아가는 것이 그 특징이라 하겠다. 이러한 미래지향적인 잠재적 존재인 인간은 그래서 항상 선택의 여로에 놓이게 되고, 그 선택의 과정에서 자신의 의지가 작용하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앞으로 어떻게 되어질 것이냐는 우리가 처해있는 현실 속에서 어떠한 자세로,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 있는 것이다. 우리는 우리의 선택과 결정에 의하여 참자아 자체인 대(大)존재에로 지향하여 자기존재의 완성을 이루거나 혹은 허무를 향하여 참자아와는 더욱 멀어진 삶의 형태 속에서 소모적인 삶을 살아가거나 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누구나 행복해지기를, 자유로워지기를 간곡히 갈망하며 살아가고 있다. 그렇다면 참다운 행복과 자유는 어느 세계 속에서 존재하는 것인가. 그리고 어떠한 방법의 삶이 우리에게 참자아를 각성하게 해주고 진리를 인식할 수 있는 삶이 될 수 있는 것인가를 묻게 된다. 왜냐하면 우리가 참다운 진리에 의식이 열리지 않게 되면, 그래서 우리의 참자아의 진면목(眞面目)을 모르고, 또 모든 존재와 생명의 근원이 무엇인지를 모르면서 삶을 살아간다면, 올바른 인식활동이 발현되지 않아 모든 일을 하는데 있어서 가치관의 혼돈으로 오류를 범하게 되어 불행한 삶속에 떨어지게 되고 나아가서는 사회의 혼란을 야기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간 고뇌의 문제로부터 벗어나 참다운 삶을 살아가는 길을, 그래서 영원히 행복할 수 있고 자유로워질 수 있는 삶의 진로를 여러 선각자들은 여러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그들 모두가 지향하는바 삶의 목표는 진리를 추구하는, 즉 참자아를 깨닫는 것으로 통일되고 있음은 그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어떤 방법에 의하여 우리는 진리를 인식할 수 있고, 참자아를 깨달을 수 있을까라는 문제를 제기하게 된다. 진리의 인식은 인간정신활동에 있어서 창조적 활동성을 불러일으키는 형이상학적 직관에 의하여 가능할 것이라 본다. 우리로 하여금 이러한 직관력을 열리게 하여 참다운 진리에 대한, 우주만유의 근원에 대한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 가장 탁월한 길은 명상, 즉 참선(參禪)수행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禪수행은 무엇보다도 인간이 무엇인가를 깨닫게 해주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우리로 하여금 인격의 변화를 가져다주어 우주만유가 하나의 생명으로 되어져 있음을 자각케 해준다. 따라서 모든 존재의 근원적 생명인 진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열리게 되므로 참다운 가치관 확립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인간이 고통의 바다에서 헤매게 되는 원인은 무지(無知)에서 오는 것이다. 즉 참다운 진리에 대한 인식을 못하고 현상적인 차원에서만 인식을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모든 존재의 근원에 대하여 무지하고, 참다운 자아가 무엇인지에 대해 무지하기 때문에 삶에 있어서 올바른 인식이 불가능하여 오류를 범하게 되고, 그로 인해 인간은 고통 속에 빠지게 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그러므로 본고에는 잠재적 존재인 인간실존을 완성시켜가는 방법으로 철학에서 초월성을 사유하는 내적(內的)행위인 명상을, 명상의 가장 대표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는 禪수행을 통하여, 어떻게 인간존재의 의식이 우리에게 이미 내재된 참자아를 자각하게 되고, 우주만유의 근원의 세계를 인식할 수 있게 되는가를, 그래서 한 개인의 삶이, 그 사회의 삶이 참되고 행복하며 자유로운 삶이 가능하게 되는가를 탐구하고자 한다. L'homme est existence virtuelle, qui, s'oriente dans le monde en tant que conscience en générale et par la médiation du monde, se rapporte à la transcendance. L'homme doit donc vivre dans la condition de la douleur et tend vers l'avenir, puisqu'il n'est pas l'être achevé. Alors, ce qui est important, c'est notre décision dont dépend notre mamière de saisir consciement notre condition humaine en tant qu'homme. On pourra donc, s'acheminer vers son être, ou bien s'éloigner vers le néant, par choix et décision. Par conséquent, il y a beaucoup de monde, aujourd'hui qui ont perdu leur chemin véritable et souffre par la confusion de la vérité dans le réel. Devant ce phénomène social, quel sera donc le chemin véritable de la vie? Quel sera donc le chemin qui va nous faire sortir de ces problèmes? C'est-dire quelle manière de vie élèvera notre conscience pour bien agir devant cette difficulté? Le chemin qui nous ouvre une vision claire pour la vie présente et l'avenir, on pourra, ainsi, dire que la pratique du Zen est ce qui ramème au centre oū l'homme devient lui-même(soi-même), en s'insérant dans la réalité, parceque, la pratique du Zen nous révèle, devant les faits et les choses pour qu'on puisse avoir le bon jugement du réel. Pratiquer le Zen, c'est donc éclairer son être, c'est s'acheminer vers la révélation de l'être essentiel par le mouvement qui nous fait venir a nous-même. C'est alore, nous allons voir comment l'être humain pourra réaliser son existence et élever sa conscience par la pratique du Zen, et par lã, ainsi, devienera être heureu et libre dans la condition du phénoène social de le vie.

      • KCI등재

        TRADUIRE LE THÉÂTRE CORÉEN

        Cathy Rapin(카티 라팽)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04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10 No.-

        필자는 번역(공역) 경험을 토대로 한국 연극의 번역(불역) 문제를 연극 미학면에서 살펴보고자 했다. 한국 현대 연극이 불어권 연극과는 다른 특수성이 있다는 전제하에 우리의 번역 작업 과정, 작업의 방법, 난이점 등을 점검해 보았다. 사실, 한국 희곡사나 한국 현대 연극 공연사는, 연출과 연기의 실제에서도 마찬가지로, 불어권 연극과 같은 원천과 같은 배경에서 만들어진 것은 아니다. 한국 연극 번역은 까다롭고 어려운 과정 속에서 한 텍스트가 만들어지며, 불어권 연극에서 볼 때 여러 가지 문제를 제기하게 한다. 첫 단계에서는 공역자로서, 또한 한국연극 연구자로서, 연극 번역을 하는 행위와 번역하고자하는 욕구에 대한 자문이 들어 있다. 한국에서 특히 연극 번역은 별로 가치가 인정이 되지 않은 분야이고, 번역 작업의 결과는 각색자나 드라마 트루그, 연출가나 배우들의 손에서 쉽게 훼손되어 왔기 때문이다. 두 문화, 두 언어 사이에서 그리고 두 연극 현실 사이에서 겪은 실제 경험을 토대로 하면서, 문학적인 이 작업에서 만난 제반 문제들을 살펴 보았다. 공역자인 두 사람이 작업을 분담하며 작업한 과정을 설명하면서 이 연극 번역의 특수성과 이러한 공동 작업의 필요성을 설명하였다. 논점을 전개하기 위해 필자는 크게는 Ⅰ부, Ⅱ부로 나눠, 번역할 텍스트 마다, 장르 마다 만나게 되는 문제점을 설명하였다: Ⅰ부은 연극 번역자의 역할, Ⅱ부는 각 희곡 텍스트의 상태를 다루고 있다. 그 속에 작품 선택 이유, 원 텍스트의 가치, 연극 전통에서 볼 때 원 텍스트와의 연관 관계, 프랑스 공연 가능성에 대한 고려, 프랑스 취향과는 다른 이 텍스트를 어떻게 패스할 수 있게 할 것인가, 이 희곡의 현재 한국에서의 공연 여부, 그래서 어떻게 번역할 것인가, 이 희곡의 리듬을 어떻게 살려낼 것인가, 그리고 음악은? 모국어의 소리는 어떻게 살려낼 수 있을 것이가, 번역은 “재창작”인가? 등의 문제를 전반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희곡 번역의 엄격한 방법론이나, 보편적인 테크닉을 발표하고자 한 것은 아니다. 그 반대로 오히려 각 텍스트는 매번 그 자체가 도전이며, 그 해결은 매번 다르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문제가 달리 제기되는 고유한 영역이라는 사실과 문화적이고 문학적인 선택 뿐만 아니라 한국에서의 일상 생활의 일부인 개인적인 선택이라는 것도 보여주고자 했다.

      • KCI등재

        La traductologie, une réflexion sur une pratique

        Franck Barbin 한국프랑스학회 2011 한국프랑스학논집 Vol.76 No.-

        a 번역분야에서 경험과 인식은 독특한 관계를 이루고 있다. 번역의 역사가 명확히 보여주고 있듯이 조상들의 관습이라 할지라도 그 자체로서의 과정보다는 맺어진 결과와 평가에 항상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 왔다. 그에 대한 증거로 번역학의 용어는 최근(1972년)에야 나타났다. 이는 언어학, 비교문체론, 번역의 예술적 통찰력과는 구분되는 것으로 정체성과 인식을 추구하는 새로운 학문이다. 이 학문내부에서조차 대학번역가들과 직업번역가들 사이에 경쟁관계와 일부 상호이해 부족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번역실무가들이 시도한 이론화는 번역학자들에 의해 무시되었고, 반대로 번역학자들이 이루어낸 이론화는 번역실무가들에 의해 무시되었다. 경험상 번역의 순수한 언어학적 접근에는 한계가 있다. 번역과정을 묘사하 는것은 복잡하다. 부분적으로 직관적이면서 거의 순간적이고 불연속적이며 감동과 창작력으로 가득하여 흔히 우리의 오성을 벗어나게 되는 작용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에 답을 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은 번역가 자신이 번역학자의 연구와 실험대상이 되는 것이리라.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