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부모의 영성이 장애아동 양육경험에 대한 긍정적 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수정(Soo Jeong Kim) 영남신학대학교 2014 신학과 목회 Vol.41 No.-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pirituality on parent’s positive perception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Data from 189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had used social service facilities and a school for the disabilities. There are the research results. The level of parent’s positive perception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y is different, based upon the sex of parent. Also the spirituality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whether respondent has a religion or not, the level of religious activity, education level of respondent and respondent’s health, and parent’s positive perceptio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spondent’s health, the level of religious activity, and education level of respondent. The spirituality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rent’s positive perception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y.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more middle level of parent’s positive perception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y and middle level of spirituality. Finally, the level of spirituality of parent and parents’ health provided a positive effect and whether respondent has a religion or not provided a negative effect on parent’s positive perception.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for social work practice for famil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However, to improve parent’s positive perception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y, social services and programs should be prepared to enhance the spirituality of parent. Besides that, further researches which is focused on various valuables which effect on parent’s positive perception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y should be conducted.

      • KCI등재

        장애아동 가족의 양육부담과 가족적응과의 관계에서 장애아동이 가족에 미친 긍정적 기여에 대한 부모 인식의 매개효과

        김수정 ( Su Jeong Kim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가족복지학 Vol.35 No.-

        There has been increasing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asking more positive questions about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However, this recognition has not yet had an observable impact on publication trend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parent`s perception of positive contributions made by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famil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ing burdens and positive contributions, and the impact of parent`s perception of positive contributions made by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family on the family adaptation,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s perception of positive contributions made by children with disabilities. Data from 189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had used social service facilities and a school for the disability. There are the research results. First, the level of parent`s perception of positive contributions made by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wed high level(2.66) and was different, based upon the kinds of the disabilities and the life span of disabled child. The parenting burde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parent`s perception of positive contributions made by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parent`s perception of positive contributions made by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d an direct effect on the family adaptation and more. On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 of parent`s perception of positive contributions made by children with disabilities as the mediator, parent`s perception of positive contributions revealed possessing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 KCI등재

        장애자녀 양육경험 인식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김수정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3 재활복지 Vol.17 No.4

        이 연구는 강점관점에서 장애자녀 양육경험에 대한 부모의 긍정적 인식과 임파워먼트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의 장애자녀를 둔 부모 189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해 장애자녀 및 가족의 일반적 특성과 양육부담을 통제하면서 장애자녀 양육경험에 대한 부모의 긍정적 인식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임파워먼트가 매개하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모들은 장애자녀의 양육경험을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장애자녀 양육경험에 대한 부모의 긍정적 인식과 임파워먼트는 가족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인식이 임파워먼트 보다 가족적응을 더 잘 예측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임파워먼트는 부모의 긍정적 인식과 가족적응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아동 가족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고 연구한계와 함께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positive perception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family adapt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on the relationship. For this research, data from 189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had used social service facilities and a school for the disability. There are the research results. First, the level of empowerment and positive perception are both high and were different between father and mother. The level of Self-efficacy is highest among sub-factors of empowerment. The parent's positive perception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powerment. The empowerment and parent's positive perception had an direct effect on the family adaptation. On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 of empowerment as the mediator, the empowerment variable revealed possessing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 for the practical promotion about empowerment and parent's positive perception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장애아동 부모의 낙관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양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대처행동의 매개효과

        박지연,장재윤 한국특수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학연구 Vol.49 No.3

        This study seek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positive perception of the impact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family, coping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692 parents of school-age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asked to report optimism, positive perception of the impact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family, coping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an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for optimism, positive perception of the impact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family, self-strengthening coping and life satisfaction. Self-strengthening coping had a partial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perception of the impact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family had a double mediated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self-strengthening coping. Also, si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athers and mothers, the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both fathers and mothers. Based on the results, various parent counselling and family support program were discussed to enhance life satisfaction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본 연구는 장애아동 부모의 낙관성, 장애자녀 양육이 가족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긍정적 인식, 대처행동 및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학령기 장애아동 부모 692명을 대상으로 낙관성, 장애자녀 양육이 가족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긍정적 인식, 자아 강화적 대처 및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낙관성, 장애자녀 양육이 가족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긍정적 인식, 자아 강화적 대처 및 삶의 만족도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낙관성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아 강화적 대처가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장애자녀 양육이 가족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자아 강화적 대처를 통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이중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집단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으므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은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에게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아동 부모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부모 상담과 가족지원프로그램에 대해 논의하였다.

      • 발달장애인의 개별화가 주는 주변환경의 변화

        오상택(Oh Sang Teack) 한국장애인재단 2021 장애의 재해석 Vol.2021 No.-

        본 연구는 연구자가 종사하는 장애인이용시설을 이용하는 발달장애인의 도전적행동으로 인해 발달장애인 가족의 삶이 불균형해지고 안정적인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게 된 사례를 계기로 발달장애인의 개인적 생활의 안정화가 가져다 주는 발달장애인 가족의 삶의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하고자 시작되었다. 발달장애인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의 삶을 이용시설 종사자로서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기 시작했고, 그에 따른 사회복지실천개입이 발달장애인 개별화였다. 발달장애인의 개별화로 인해 발달장애인 가족의 일상생활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관찰하게 되었고, 이에 가족 뿐만 아니라 종사자, 지역사회에서의 장애인식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게 된 것이다. 본 연구자는 이용시설을 이용하는 발달장애인 중 인지적 · 기능적 능력에 맞는 개별화 계획을 성립하고 그에 따른 관찰일지를 2021년 8월 16일부터 11월 5일 까지 8주간의 시간동안 발달장애인을 관찰하고 기록하였다. 또한 8주간의 시간을 지나면서 발달장애인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이용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사회복지실천 영향평가를 통해 발달장애인의 개별화로 인한 주변환경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발달장애인 개별화를 통해 발달장애인이 경험한 지역사회이용시설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장애인식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인의 개별화를 통해 나타나는 주변환경의 변화를 5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는데, 발달장애인의 일상생활의 변화, 발달장애인의 자립화, 욕구해소로 인한 활동범위 확대, 적응력강화, 지역사회이용시설 이용빈도가 미치는 장애인식의 변화이다. 본 연구를 통해 발달장애인의 개별화로 주변환경 즉 발달장애인의 가족, 이용시설, 지역사회 시설에서의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가족의 돌봄부담완화, 이용시설 종사자의 사회복지실천개입의 최소화에 따른 스트레스 감소, 지역사회에서의 장애인식개선의 긍정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started with the fact that the life of the family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ecame imbalanced and difficulties in daily life due to the accidental behavior of the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 the facility for the disabled where the researcher is engag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positive changes in the lives of familie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rought about by the stabilization of the liv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 thought about ways to help the life of the family that affects the life of the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intervention was individualized for the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ue to the individualization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ositive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daily life of families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us a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changes in perception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not only in their families but also in the workers and the local community. This researcher established an individualized plan suitable for the cognitive and functional abilities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using the facilities, and observed and recorded the observation log for 8 weeks from August 16 to November 5, 2021. In addition, after 8 weeks,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family, and chang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ere evaluated and confirmed for workers. In this study, the chang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rough individualiz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summarized into five categories: changes in daily lif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xpansion of the scope of activities due to self-reliance and resolution of needs. Through this study, positive chang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family, use facilities, and community facilities, were confirmed by individualiz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지적장애 청소년 어머니의 자녀양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 수준과 영향 요인

        이유리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지적장애 청소년을 양육하고 있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녀양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 수준을 알아보고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장애자녀 관련 요인(연령, IADL), 어머니 개인적 요인(결혼상태, 가족수입, 종교유무), 어머니 관계적 요인(장애자녀와의 친밀감, 전문가 지지, 비공식적 지지)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전남, 전북 지역에 있는 정신지체 특수학교 중학부와 고등부에 재학 중인 학생의 어머니 337명이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 청소년 어머니의 자녀양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 수준은 5점 척도에서 중간점수(3점)에 근접하는 2.981점으로 나타나 자녀양육의 긍정적 측면이 실재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어머니의 자녀양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 수준의 영향요인을 예측하기 위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유의한 영향력을 가진 변수는 어머니-자녀 친밀감, 가족수입, 비공식적 지지, 결혼상태, 전문가 지지, IADL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적장애 청소년 어머니의 양육과정에 대한 긍정적 인식 증진을 위한 개입에서 돌봄제공자-돌봄대상자 사이의 친밀감, 전문가 및 주변 사람들과의 교류를 통한 지지 그리고 어머니의 개인적인 측면, 장애자녀의 기능수행 수준 등이 다양하게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mothers' positive perception level of rearing adolesc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nalyzed the factors impacting on mothers' positive perception of rearing. This study subjects were 337 mothers who rear their adolescent-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n of mothers' positive perception of rearing was 2.98 in 5 rating scale and mothers with intellectually disabled adolescent-children perceived there were some positive effects of rearing their children. Second, in the final regression model,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mpacting on mothers' positive perception of rearing adolesc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the intimacy between mothers and the intellectually disabled adolescent-children', 'family income', 'informal support from family, friends and significant others', 'marital status', 'professional support', 'IADL'. Through this research, comprehensiv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직장인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인식과의 관계에서 장애인 접촉경험의 매개효과 : 장애인 고용 사업체와 미고용 사업체의 비교

        박수경(Sookyung Park),조재환(Jaehwan Cho),남혜령(Hyeryeong Nam),임정우(Jungwoo Lim)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21 재활복지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에 대한 직장인의 사회적 거리감이 장애인과의 알상적, 긍정적, 부정적 접촉경험을 매개로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장애인 근로자 재직 여부별로 구분하여 검증하고 이 결과를 토대로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을 위한 차별화된 개입 방안을 제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사업체에 재직 중인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68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미고용 사업체와 장애인고용 사업체 직장인들 모두 장애인과의 사회적 거리가 멀다고 느낄수록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접촉경험의 하부영역 중 긍정적 접촉경험은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였고 이러한 매개효과는 장애인미고용 사업체 직장인에게만 유의하였다. 셋째, 장애인고용 사업체 직장인의 경우 장애인과의 부정적 접촉경험이 긍정적 접촉경험보다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인식에 상대적으로 더 강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인식개선을 목표로 한 개입 시, 장애인미고용 사업체와 장애인고용 사업체 모두 사회적 거리감과 같은 장애인에 대한 차별적 태도를 줄이는 데 초점을 두어야 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장애인미고용 사업체의 경우 장애인과의 긍정적 접촉의 빈도를 높이는 데, 장애인고용 사업체의 경우 비장애인 근로자와 장애인 근로자 간의 부정적 접촉을 줄이는 데 집중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diation effects of contact experiences (daily, positive, and negative contact experienc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employees social distance from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erception toward employees with disabilities by firms employ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not. The 368 participants are employees working at firms located in Gyeonggi-do.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the farther the social distance from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more negative the perception of employees with disabilities. Second, among the types of contact experiences, positive contact experie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distance from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perception toward employees with disabilities only in the employees of firms not employing people with disabilities. Third, in the employees of firm employing people with disabilities, any type of contact experiences did not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distance and perception toward employees with disabilities. Interestingly, the negative contact experience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had a relatively stronger nega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employees with disabilities compared to the positive contact experience. These findings show that it is needed to focus on strategies for increasing positive contact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firms that do not employ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on strategies for reducing the negative contact between employees without disabilities and employees with disabilities in the firms that employ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장애 인물의 대응 - 나도향의 “벙어리 삼룡이”를 중심으로 -

        김보민 인문사회 21 2017 인문사회 21 Vol.8 No.6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are people with disabilities perceived and how the main character with disabilities react in the novel of Sam-lyong with deafness by Na Do-hyang. In details, it examined negative perceptions to body, positive perceptions to sexual desire, and Sam-lyong’s reactions to the negative perceptions. The negative perceptions to body in the chapter II were described as ugly appearance, mockery, contempt, violence and abuse to it. This showed deep prejudice and feeling of aversion to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n society. The positive perceptions to sexual desire in the chapter III showed that physical disabilities don’t mean mental disabilities through sexual desire and active attitudes to love. Sam-lyong’s reactions to the negative perceptions in the chapter IV were divided into passive ones and active ones. The passive reactions through patience and conformity to unfairness was due to steady and conventional obsession to the master. The active reactions through arson and death were shown as abolition of discrimination and class consciousness, and completion of love, to people with disabilities. 이 연구는 나도향의 소설 “벙어리 삼룡이”에서 장애인을 어떻게 인식하고, 장애인 주인공이 어떻게 대응하는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신체에 대한 부정적 인식, 성적 욕망에 대한 긍정적 인식, 부정적 인식에 따른 삼룡이의 대응에 대해 고찰하였다. 먼저, Ⅱ장 신체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서는 추한 외모, 조롱과 멸시, 신체에 대한 폭력과 학대 등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한국 사회의 장애인에 대한 뿌리 깊은편견과 혐오감을 읽어낼 수 있었다. Ⅲ장 성적 욕망에 대한 긍정적 인식에서는 성에 대한욕망과 사랑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를 통해 육체적인 장애가 정신의 장애를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 Ⅳ장 부정적 인식에 대한 삼룡이의 대응 양상에서는부당함을 당하여도 인내하고 순응하는 소극적 대응의 경우 상전에 대한 고정적이고 관습적인 집착 때문으로 나타났다. 방화와 죽음을 통한 적극적 대응의 경우 장애인에 대한 차별과 신분, 계급의식의 파괴, 사랑의 완성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발달장애인 부모의 양육부담과 장애자녀에 대한 긍정성 인식의 관계 : 사회참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미옥 ( Mi Ok Kim ),박현정 ( Hyun Jung Park ),이은실 ( Eun Sil Yi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6 사회복지연구 Vol.47 No.2

        This research purport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participation in therelationship of positive perceptions and parenting burdens in parents of children with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the research method, 190 parents of children with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surveyed, and a structural equation was used for analysis.The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the parenting burdens on parents of children withdevelopmental disabilitie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positive perceptions about theirchildren, and the parent``s social participation didn``t have a direct influence on positiveperceptions about their children. However, the parent``s social participation was proven tobe an important moderator between parenting burdens and positive perceptions about theirchildren. As a result, this research has implied the necessity for social work practices topromote social participation in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직장인 대상 장애인식개선교육의 질적 지표 개발: 장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구체적 기준

        박승희,양여경,이현주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2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6 No.56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장애인복지법과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 의해 요구되는 ‘직장인 대상 장애인식개선교육’의 향상을 위해 ‘장애인식개선교육의 질적 지표’ (quality indicators)를 개발하는 것이다. ‘직장인 대상’ 장애인식개선교육이 법제화된 것에 비해 질 높은 프로그램의 구성요건, 실행 실태조사, 정기적 점검 및 효과 평가에 대한 엄격한 연구는 미미한 경향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식개선 관련 문헌연구와 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수정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장애인식개선교육의 질적 지표를 개발하였다. 델파이 조사지 문항은 연구자들의 선행문헌 분석 및 예비문항 작성과 전문가 협의를 통해 추출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1차와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장애인식개선교육의 질적 지표가 4가지 하위영역의 25개 지표로 최종 개발되었다. 둘째, 최종 25개 질적 지표의 내용타당도 값(CVR 값)이 모두 0.73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수렴도는 0.00-0.50, 합의도는 0.77-1.00으로 전문가들 사이의 25개 질적 지표 내용에 대한 높은 타당도와 합의도가 도출되었다. 이는 국내에서 연구에 기초해 최초로 개발된 25개 질적 지표로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현재와 미래의 질 높은 장애인식개선교육의 개발, 선택 및 실시를 위해 최소한의 질적 기준과 지침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직장인의 장애인식개선교육을 어떻게 향상시킬 것인가에 대해 전문가 패널로부터 최소한의 합의점을 처음으로 이끌어낸 의의가 있다. 이에 직장인 대상 장애인식개선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4가지 하위영역: ‘교육목표 및 기대효과’, ‘장애에 대한 관점’, ‘교육내용’, ‘교수방법 및 평가’의 25개 질적 지표에 기반해 장애인식개선교육의 최선의 실제(best practices)를 향한 프로그램 질 제고를 촉구할 것이 기대되며, 장애인식개선교육의 성과로 기대하는 장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란 과연 ‘무엇인지’ 구체적 기준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제시하는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