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친환경농업정책 분야의 거버넌스 체계 구축방안

        김호 ( Kim Ho ),허승욱 ( Heo Seung-wook ) 한국유기농업학회 2006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14 No.2

        Governance systems are basically an autonomous cooperation type among the government, civil society and market, also a new paradigm for efficient and democratic administration of policies. The governance mainly consists of the central operating body, institutions, operating principles and so on. The constituents are the nation(government), civil society(NGO) and market(firm). Institutional conditions are a legitimate base, financial stability and independency. And as a operating principle, governance systems have common goals and issues from a national and social point of view. This governance has been recently emerged due to financial risk of government, diffusion of new liberalism going with the globalization, localization-decentralization, and development of civil society an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We have to grope for the framework of participatory agri-policy confronting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as well as developing our agriculture and rural village. This agri-policy governance should be theoretically focused on policy network or self-organizing network or multi-lateral governance (MLG) based on NPM. Also, it is proper to have connection of nation-central type and civil society-central type. And it is necessary to have a MLG type with local governance corresponding to loc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Governance should have the type whose participants have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as well. Basic direction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policy governance are as follows : first, its purposes are constructing the democratic and efficient framework of participatory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policy based on consensus of all the related groups, embodying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policy adjusted to local field, raising farmer’s real interest, and improving their position. Second, its form should have a council or an agreement system, not an advisory or a consultation organ. Thus, public sector(eg. government) and voluntary sector(eg. farmers’ organization) jointly execute agricultural policy and are responsible together.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policy governance is mainly made up of farmers’ organization, cooperative and civil society(NGO). And secondary bodies are agribusinesses and academic groups. Government interacts with the main bodies on administrative execution.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policy governance has MLG type with a central unit, province and county units.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policy governance has several main functions such as agri-policy partnership, speaking for farmer’s rights and interests, investigation and research on domestic and foreign agricultural streams, and etc. Especially, local unit will play roles in activation for regional agriculture, consulting on technique and management, education and training services, services entrusted by government, and so on.

      • KCI등재후보

        학교체육발전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방안

        박진경 한국체육정책학회 2011 한국체육정책학회지 Vol.9 No.3

        School sport policy in Korea has been formed in-between where the sport policy and education policy mee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ith a brief understanding of school sport governance and bench marking the cases of governance of national school sport policies, was to suggest the school sports governance establishment plans for developing school sport. The systems and criteria of governance in school sport policy have been studied in three areas: 1) inter-ministerial governance; 2) national and local governance; 3) public and private sectors governance. Two typical cases of governance in school sport policy are analyzed: 1) creating the "School Sport Law" as a case for inter-ministerial governance; 2) "institutional improvement of National Sports Festival" as a case for public and private sector governance. The construction plans for effective school sports governance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 1) setting explict policy purposes and disemination of chemistry; 2) Securing consistent leadership; 3) providing material and institutional resourcces for keeping up the governance School sport policy in Korea has been formed in-between where the sport policy and education policy mee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ith a brief understanding of school sport governance and bench marking the cases of governance of national school sport policies, was to suggest the school sports governance establishment plans for developing school sport. The systems and criteria of governance in school sport policy have been studied in three areas: 1) inter-ministerial governance; 2) national and local governance; 3) public and private sectors governance. Two typical cases of governance in school sport policy are analyzed: 1) creating the "School Sport Law" as a case for inter-ministerial governance; 2) "institutional improvement of National Sports Festival" as a case for public and private sector governance. The construction plans for effective school sports governance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 1) setting explict policy purposes and disemination of chemistry; 2) Securing consistent leadership; 3) providing material and institutional resourcces for keeping up the governance

      • KCI등재

        지역컨벤션산업정책에 있어 정책행위자의 역량, 거버넌스 형성, 정책성과 간의 관계구조 연구

        이연택,주현정,김경희 한국관광학회 2013 관광학연구 Vol.37 No.6

        This study aims to analyze a structural relationship of policy actors' capacity, governance formation, and policy outcome in local convention industry policy, especiall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governance form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local stakeholders' capacity and local government capacity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structural and operational factors of governance, and that the structural and operational factors of governance influence on policy outcome. Local stakeholders' capacity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on governance formation and its operational factors have a significant influencing relationship on policy outcome. The study also found that governance formation mediate the effect of the policy outcome. These results revealed that governance formation was important to deliver better policy outcomes, and that policy actors‘ capacity must be enhanced to form governance. The study suggested that policy actors' network be invigorated, local government's adjustment and support be strengthened, improving the operational factors of governance. 본 연구는 지역컨벤션산업 정책행위자의 역량과 거버넌스 형성, 정책성과 간의 관계구조를 설정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지역컨벤션산업발전을 위한 정책행위자의 역량배양과 거버넌스 구축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토대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구성하였으며, 서울과 부산의 지역컨벤션산업 정책행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컨벤션산업 정책행위자의 역량을 구성하는 세부요인인 이해관계자 역량과 지방정부 역량은 거버넌스의 구조적 측면과 운영적 측면을 형성하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거버넌스의 구조적 측면과 운영적 측면은 정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특히, 이해관계자역량과 운영 거버넌스의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간접효과 분석결과, 거버넌스 형성은 정책행위자의 역량과 정책성과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지역컨벤션산업정책의 정책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거버넌스 형성이 중요하며, 거버넌스 형성을 위한 선결조건으로서 정책행위자의 역량배양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정책이해관계자간 네트워크조직인 MICE Alliance의 활성화 및 지방정부의 조정과 지원역할 강화, 그리고 거버넌스의 운영적 요소 강화 등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친환경농업정책 분야의 거버넌스 체계 구축방안

        김호,허승욱 한국유기농업학회 2006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14 No.2

        Governance systems are basically an autonomous cooperation type among the government, civil society and market, also a new paradigm for efficient and democratic administration of policies. The governance mainly consists of the central operating body, institutions, operating principles and so on. The constituents are the nation(government), civil society(NGO) and market(firm). Institutional conditions are a legitimate base, financial stability and independency. And as a operating principle, governance systems have common goals and issues from a national and social point of view. This governance has been recently emerged due to financial risk of government, diffusion of new liberalism going with the globalization, localization-decentralization, and development of civil society an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We have to grope for the framework of participatory agripolicy confronting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as well as developing our agriculture and rural village. This agri-policy governance should be theoretically focused on policy network or self-organizing network or multi-lateral governance (MLG) based on NPM. Also, it is proper to have connection of nation-central type and civil society-central type. And it is necessary to have a MLG type with local governance corresponding to loc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Governance should have the type whose participants have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as well. Basic direction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policy governance are as follows : first, its purposes are constructing the democratic and efficient framework of participatory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policy based on consensus of all the related groups, embodying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policy adjusted to local field, raising farmer’s real interest, and improving their position. Second, its form should have a council or an agreement system, not an advisory or a consultation organ. Thus, public sector(eg. government) and voluntary sector(eg. farmers’ organization) jointly execute agricultural policy and are responsible together.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policy governance is mainly made up of farmers’ organization, cooperative and civil society(NGO). And secondary bodies are agribusinesses and academic groups. Government interacts with the main bodies on administrative execution.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policy governance has MLG type with a central unit, province and county units.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policy governance has several main functions such as agri-policy partnership, speaking for farmer’s rights and interests, investigation and research on domestic and foreign agricultural streams, and etc. Especially, local unit will play roles in activation for regional agriculture, consulting on technique and management, education and training services, services entrusted by government, and so on.

      • KCI등재후보

        국민연금 기금운용 정책네트워크 분석

        이동호,서순탁 한국사회정책학회 2008 한국사회정책 Vol.14 No.2

        This paper examines a few questions on the causes and backgrounds of the reform in the fund management governance of the National Pension, the response and role of each organization in tha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cy goals and policy outputs. To answer this question, I have categorized the policy processes of the fund management governance reform of the National Pension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past administrations, and then compare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government's policy network as well as its policy outputs through analyzing the interaction among the policy making systems, policy processes and policy actors. In addition,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find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fund management governance reform by highlighting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government and various interested organizations. Based on the result of the above analysis, the policy network, the key part of the fund management governance reform which has brought on discussion whenever political power was transferred, has evolved from a closed and vertical to an open and horizontal structure, while a system based on elitism has been changed into one based on a combination of policy communities and issue networks. In other words, I found that the expansion of policy participation of various non-government organizations led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and scale of policy making participants, and the type of policy making has been institutionalized towards emphasizing democracy and representation. How the government control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at the time of fund management governance reform is the core analysis of this paper. I have concluded that the desirable direction for fund management governance reform is as follows; First of all, government intervention should be minimized; the independence of fund management should be secured; Secondly policy actors in the non-government organizations should promote their specialty and responsibility; Finally the Fund Operation Committee should be maintained as an ad-hoc committee, which allows representatives of insured persons to directly participate in it as at present, rather than as a specialist-centered standing committee. 이 논문은 정권이 바뀔 때마다 무엇이 국민연금 기금운용지배구조를 개편하게 하는지 그 이유와 배경에 대한 몇 가지 연구질문에서 출발하였다.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기금운용지배구조 개편 관련 정책과정을 정부별로 3기로 나누고, 정책결정시스템, 정책과정, 정책행위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각 정부별 정책네트워크의 성격과 정책산출 결과를 비교분석하고, 정부 및 참여단체의 역할과 기능을 재조명하여 기금운용지배구조 개편의 바람직한 발전방향을 모색하였다. 분석결과 기금운용지배구조 개편의 핵심인 정책네트워크는 폐쇄적 ․수직적 구조에서 개방적․수평적 구조로 발전하였고, 엘리트주의에서 정책공동체와 이슈네트워크가 혼합된 유형으로 변화되어갔다. 즉, 비정부부문 단체들의 정책참여가 확대됨으로써 정책결정참여자의 수와 규모가 증대되었고, 정책결정의 형태도 민주성, 대표성이 중시되는 방향으로 제도화가 이루어졌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분석 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기금운용지배구조 개편시 어떻게 정부견제시스템을 갖추느냐 하는 것이 핵심이다. 지나친 정부개입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기금운용의 독립성을 보장해야 하며, 또한 비정부부문 정책행위자들의 전문성․책임성을 제고하여 기금운용위원회를 전문가 중심이 아니라 가입자대표의 직접 참여를 보장하는 비상설기구로 운영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기금운용지배구조 개편방향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청년정책 거버넌스 체계 현안 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오수연(Oh, Su Yeon),김성엽(Kim, Sung Yeop),박성민(Park, Sung Min) 한국국정관리학회 2021 현대사회와 행정 Vol.31 No.4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사례분석을 비롯하여, 주요 OECD국가의 청년정책 동향 및 정부조직・기능체계 현황을 살펴보며 주요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청년정책 거버넌스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청년정책의 유형화, 청년조직의 유형화, 청년정책 거버넌스의 유형화를 통해 우리나라 청년정책 기능수행체계 및 거버넌스 현황분석을 진행한다. 3장에서는 해외 사례분석 및 국외 청년정책 거버넌스 사례를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청년정책의 현 위치 파악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어서 4장에서는 청년단체, 학계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한 초점집단인터뷰(FGI) 분석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보다 질적이고 심도 있는 개선안 도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마지막 5장에서는 위의 내용을 종합하여 청년정책 플랫폼 거버넌스 개선방안을 청년정책, 청년정책 전담조직 개편, 청년정책 거버넌스의 세 가지 관점에서 구조화하여 제시한다. 본 연구는 청년정책, 청년조직 개편 및 신설, 청년거버넌스 개선 등에 대한 새로운 통합적 접근방식을 사용하여 청년정책 거버넌스 개념을 확립하고 청년정책 제도 개선방안을 도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eeks to draw major implications by examining trends in youth policy and government organizations as well as functional systems in major OECD countries, including case studies in Korea,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youth policy governance in Korea. To this end, Chapter 2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youth policy performance and governance in Korea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youth policies, the types of youth organizations, and the types of youth policy governance. Chapter 3 trie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Korea s youth policy and suggest implications by analyzing overseas case studies and overseas youth policy governance cases. In Chapter 4, focused group interview (FGI) analyses of youth group practitioners and academic experts are conducted.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derive more qualitative and in-depth improvement plans. In the last chapter, the above contents are synthesized and the measures to improve the governance of the youth policy platform are presented in a structured way from three perspectives: youth policy, youth policy reorganization, and youth policy governa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stablishes the concept of youth policy governance, draws up measures to improve the youth policy system using new integrated and multi-dimensional approaches, and explore an effective way to restructure youth organizations and agencies as well as improve youth policy governance system.

      • KCI등재

        국민연금 기금운용 정책네트워크 분석

        이동호(Dong Ho Lee),서순탁(Soon Tak Suh) 한국사회정책학회 2007 한국사회정책 Vol.14 No.2

        이 논문은 정권이 바뀔 때마다 무엇이 국민연금 기금운용지배구조를 개편하게 하는지 그 이유와 배경에 대한 몇 가지 연구질문에서 출발하였다.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기금운용지배구조 개편 관련 정책과정을 정부별로 3기로 나누고, 정책결정시스템, 정책과정, 정책행위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각 정부별 정책네트워크의 성격과 정책산출 결과를 비교분석하고, 정부 및 참여단체의 역할과 기능을 재조명하여 기금운용지배구조 개편의 바람직한 발전방향을 모색하였다. 분석결과 기금운용지배구조 개편의 핵심인 정책네트워크는 폐쇄적·수직적 구조에서 개방적·수평적 구조로 발전하였고, 엘리트주의에서 정책공동체와 이슈네트워크가 혼합된 유형으로 변화되어갔다. 즉, 비정부부문 단체들의 정책참여가 확대됨으로써 정책결정참여자의 수와 규모가 증대되었고, 정책결정의 형태도 민주성, 대표성이 중시되는 방향으로 제도화가 이루어졌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분석 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기금운용지배구조 개편시 어떻게 정부견제시스템을 갖추느냐 하는 것이 핵심이다. 지나친 정부개입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기금운용의 독립성을 보장해야 하며, 또한 비정부부문 정잭행위자들의 전문성·책임성을 제고하여 기금운용위원회를 전문가 중심이 아니라 가입자대표의 직접 참여를 보장하는 비상설기구로 운영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기금운용지배구조 개편방향으로 사료된다. This paper examines a few questions on the causes and backgrounds of the reform in the fund management governance of the National Pension, the response and role of each organization in tha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cy goals and policy outputs. To answer this question, I have categorized the policy processes of the fund management governance reform of the National Pension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past administrations, and then compare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government`s policy network as well as its policy outputs through analyzing the interaction among the policy making systems, policy processes and policy actors. In addition,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find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fund management governance reform by highlighting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government and various interested organizations. Based on the result of the above analysis, the policy network, the key part of the fund management governance reform which has brought on discussion whenever political power was transferred, has evolved from a closed and vertical to an open and horizontal structure, while a system based on elitism has been changed into one based on a combination of policy communities and issue networks. In other words, I found that the expansion of policy participation of various non-government organizations led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and scale of policy making participants, and the type of policy making has been institutionalized towards emphasizing democracy and representation. How the government control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at the time of fund management governance reform is the core analysis of this paper. I have concluded that the desirable direction for fund management governance reform is as follows; First of all, government intervention should be minimized; the independence of fund management should be secured; Secondly policy actors in the non-government organizations should promote their specialty and responsibility; Finally the Fund Operation Committee should be maintained as an ad-hoc committee, which allows representatives of insured persons to directly participate in it as at present, rather than as a specialist-centered standing committee.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의 소방정책에서 거버넌스의 적용 가능성

        김중구 한국정책개발학회 2010 정책개발연구 Vol.10 No.1

        본고는 우리나라의 소방정책에서 거버넌스의 적용 가능한 범위를 살펴봤다. 화재진압정책은 국가중심 거버넌스를 견고하게 적용하고 있으나 소방력수급에 비탄력적인 점을 지적하였다. 화재예방정책은 국가중심 거버넌스를법의 보호아래 잘 적용되고 있으나 시장중심 거버넌스의 잠재성이 가장 큰 부문으로 지적하였다. 향후 소방검사는 민영화를 통하여 부족한 소방인력을 전문성을 가진 인력으로 확보함으로써 거래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소방검사와 다중이용업소에 대한 소방정책은 정책수행의 효율성과 능률성을 고양시키기 위하여 시장중심 거버넌스가 적용될 잠재성이 가장 큰 부문으로 지적하였다. 구조 및 구급정책은 거버넌스 적용을 통한 준정부조직(QUAGO)과 준비정부조직(QUANGO)이 소방정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부문으로 지적하였다. 구급정책에서 응급환자 이송을 위한 119서비스는 무임승차(free ride)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의료시장에 비순수공공재를 순수공공재로 취급해서는 발생하는 자원의 비효율적 배분 문제를 지적하였다. This paper surveys not only general theory of governance developed since 1990 to make a theoretical foundation of this study, but also reviews major fire service policy in Korea. Fire services policy focuses on the extinguishing fire policy, the fire prevention policy, and the rescue and emergency policy in Korea. In view of governance, this paper analyzes national centered-governance, market centeredgovernance, and NGO centered-governance in Korea. In order to find out applicable governance for fire policies, this paper tried to match three governance and each fire policy such as the extinguishing fire policy, the fire prevention policy, the rescue and emergency policy. As a result, this report shows that the fire extinguishing policy adopts well national centered-governance, but national centered-governance seems too solid to adopt the fire man-power plan. Therefore the fire extinguishing policy shows unelasticity aspect to deal with supply and demand of the fire man-power. The fire prevention policy has a great potential to realize market centered-governance to push with fire inspection. This report suggests new institutions such as QUAGO and QUANGO in order to raise efficiency and expertise of the fire policy. This paper points out the rescue and emergency policy remains free-rider problem.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119 emergency has not to play the role of free-rider because the fire service is not pure public goods but quasi-public goods.

      •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정부대응체계 구축 : 녹색거버넌스 구축을 중심으로

        김정해,조성한,윤경준,이혜영,김도균,정래권,나태준 한국행정연구원 2009 기본연구과제 Vol.2009 No.-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연구의 배경 ○ 기후변화정책을 통해 경제위기를 극복하고자 하는 움직임들이 많은 OECD국가들을 중심으로 발생함. 대표적인 선도적 국가로는 영국, 프랑스, 독일, 네델란드 등을 꼽을 수 있음. - 최근 기후변화정책에 다소 소극적이었던 미국에서도 오바마 정부의 출범을 계기로 기후변화에 대한 선도적이고 국가적인 전략을 추진하고자 노력하고 있음. 이들 국가들은 기후변화와 관련된 입법을 개정하거나 마련하여 보다 적극적인 대응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음. ○ 이명박 대통령은 2008년 8. 15경축사에서 신성장동력과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청정에너지, 녹색기술에 대한 총력투자를 강조하며 `저탄소 녹색성장`을 국가비전으로 제시하고 이를 국가적 아젠다로 추진하기로 천명하였음. □ 연구의 목적 ○ 본 연구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정책형성과 집행을 위한 수평적 정책조정메카니즘과 협력적 거버넌스의 구축을 주요 내용으로 한 정부의 녹색거버넌스 구축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임.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음. - 기후변화협약에 대응하는 정책의 정부내 수평적 정책조정체계 및 협력적 거버넌스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수행 - 우리나라 기후변화협약에 대응한 여러 가지 대응 현황과 실태를 파악 - 선도적인 국가인 영국, 프랑스, 일본에 대한 벤치마킹 - 기후변화협약에 대한 정부내 협력 및 정책조정체계의 구축과 중앙과 지방정부는 물론이고 민간 및 기업간 협력적 녹색거버넌스 구축 방안 제시 ○ 본 연구는 현황분석과 벤치마킹을 위한 분석틀을 <그림 1>과 같이 제시하였음. ○ 우선, 각 국가의 녹색거버넌스 체계에 대한 사례 비교에 앞서 국가별 기후변화대응정책(I)의 내용과 맥락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였으며 기후변화대응정책은 정책의 기본원칙, 주요정책, 종합계획으로 구분하여 살펴 보았음. ○ 다음으로 녹색거버넌스 체계 구축에 대한 사례를 검토하였으며 정부내 정책조정메카니즘과 이해관계자의 참여와 협력을 분석의 초점으로 삼았음. 이를 구체적으로 구분해 보면 <그림 1>의 중앙정부간 정책조정(II), 중앙-지방간 정책조정(III), 중앙-지방간 협력(IV), 민-관 협력(V)으로 나누어 볼 수 있음. Ⅱ. 주요 연구문제와 분석 결과 □ 한국 기후변화 정책추진체계와 녹색거버넌스의 문제점 ○ 기후변화 정책조정체계의 효과성이 미흡함. - 녹색성장위원회는 종전의 기후변화대책위원회, 국가에너지위원회, 지속가능발전위원회가 통합하여 2009년 초에 대통령 직속으로 설치되어 외관상으로는 강력한 정책조정기구의 형태를 지니고 있음.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체제 하에서의 정책조정은 그다지 효과적이지 않음. 녹색성장정책의 컨트롤타워인 녹색성장위원회 내부에 컨트롤타워가 없다는 것, 그리고 녹색성장위원회가 권위 있는 정책조정수단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임. - 아울러 녹색성장위원회를 구성하고 있는 위원들의 전문성 부족 역시 향후 개선되어야 할 것임. ○ 녹색성장위원회의 지속가능성이 취약함. - 당분간은 대통령의 강력한 드라이브와 국무총리의 전문성에 의해 녹색성장위원회가 어느 정도의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조만간 이전 정부의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마찬가지로 쇠락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움. ○ 녹색성장과 관련된 법과 계획의 중복 및 상충성 문제로인한 일관된 계획추진의 어려움. - 현재 녹색성장기본법에는 녹색성장5개년계획 수립에 대한 논의조차 없으므로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함. - 또한 계획들 중 수립주체가 불분명해진 계획들에 대해서는 수립주체를 명확하게 지정할 필요가 있음. ○ 중앙정부-지방정부 간 기후변화 정책연계성 취약. - 기후변화 및 녹색성장 정책의 추진에 있어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중요하고, 중앙과 지방의 연계성 확보가 중요함. - 그러한 연계업무를 담당하는 주요 경로가 필요하다면 현재와 같이 개별 사업에 따라 이루어지는 중앙정부-지방정부 간 정책연계만으로는 부족할 수있음. - 중앙정부-지방정부 간 협력체계 구축은 행정안전부의 역할이 강화되는 동시에 환경문제에 있어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환경부와의 연계를 통해 이 문제에 접근하는 시각이 필요할 수 있음. ○ 기후변화 정책에 대한 대국민(시민사회) 캠페인 또는 홍보의 효과성 부족. - 기후변화정책의 성공은 개인 및 시민사회의 적극적 동참에 크게 의존할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여러 정부부처들이 각종 캠페인이나 홍보활동을 추진하여 왔음. - 우리나라의 캠페인 및 홍보 전략은 해외 선진국에 비해 동기유발 측면, 효율성 측면, 능동적 실천 유도 측면 모두에서 취약성을 드러내고 있음. □ 선진국의 기후변화 정책추진체계와 녹색거버넌스의 분석 ○ 문제점 해결을 위하여 영국, 프랑스, 일본의 기후변화 정책, 정책기구 및 조정체계, 협력적 거버넌스에 대한 벤치마킹을 수행하고 이를 비교하여 보았음. 그 결과를 요약하면 <표 1>과 같음. Ⅲ. 정책대안 □ 중앙정부 수준의 녹색거버넌스 개편방안 ○ 본 연구에서는 환경 분야의 대표적인 선진국이면서도 서로 다른 정책조정체 계를 구축하고 있는 영국, 프랑스, 일본의 사례를 분석함. 분석 결과 중앙부처간 정책조정과 관련하여, 두드러진 특징은, 세 국가 모두에서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환경 부처와 산업 부처의 정책조정 문제가 핵심적 사안으로 다루어져 왔고, 이에 따라 최근 새로운 형태의 정책조정체계를 구축하고 있다는 점임. 이상의 세 국가들과 우리나라의 정책조정체계가 지니는 특징을 제시하면 <그림 2>와 같음. ○ 위와 같이 다양한 정책조정체계에 입각하여 향후 우리나라에서 중앙정부 간 기후변화정책의 조정체계를 개선한다면 <표 2>와 같은 대안들이 도출될 수 있음. ○ 대안1:기존 부처의 관련 기능 통합에 의한 전담부처 신설 - 중앙정부 수준에서의 정책조정능력 강화를 위해 기후변화정책과 에너지정책을 전담하는 새로운 부처를 신설하는 대안. 이는 영국의 기후변화ㆍ에너지부를 모델로 하는 부처신설 방안이라 할 수 있음. - 우리의 경우 영국과 유사한 방식으로 부처를 신설한다면 <그림 3>과 같이 두 가지 형태를 생각해 볼 수 있음. 첫 번째 안(1-1안)은 환경부의 기후변화관련 기능, 지식경제부의 에너지 관련 기능을 묶어 `(가칭)기후변화에너지부`를 신설하는 방안임. 두 번째 안(1-2안)은 환경부와 지식경제부의 관련 기능뿐만 아니라 차재에 교육과학기술부의 원자력정책 기능까지 묶어 `(가칭) 기후변화에너지부`를 신설하는 방안임.1) - 이와 같은 개편이 현재 체제에 비해 갖는 장점은 첫째, 하나의 부처에서 기후변화정책과 에너지정책이 수행됨으로써 대부분의 국가에서 제기되고 있는 환경 부처와 산업 부처 간 정책갈등은 크게 감소할 수 있을 것이며 둘째, 자체의 예산, 인력, 조직을 갖춘 중앙부처에서 정책이 수행됨으로써 정책의 전문성과 정체성을 바탕으로 일관성 있고 강력한 정책 추진이 가능해진다는 것을 들 수 있음. 반면 단점은 첫째, 현재 관련 기능(기후변화, 에너지, 원자력)을 수행하고 있는 기존 부처의 반발이 예상되기 때문에 대통령의 강력한 의지 없이는 개편작업이 표류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 둘째, 부처신설이라는 대안이 현 정부의 `작은 정부, 대부처주의` 기조에 역행할 수 있다는 점 등이 지적될 수 있음. ○ 대안2:기존 유관 부처의 통합에 의한 부처 신설 - 기후변화정책의 효과적 조정을 위해 유관 부처들의 전면 통합 방안도 검토해 볼 수 있음. 프랑스의 경우 2007년 기존의 부처들을 통합하여, 생태·에너지·지속가능발전·도시계획부(MEEDDAT)를 신설하였음. - 우리나라의 경우 만일 프랑스와 같은 부처 통합을 시도한다면, 그 통합 대상은 환경부,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등이라 할 수 있을 것임. <그림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후변화정책의 핵심 부처인 환경부와 지식경제부를 통합하거나(2-1안), 환경부,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등 세 부처를 통합하는 안(2-2안)을 생각해 볼 수 있음. - 장점으로는 부처 간 정책갈등은 상당 부분 제거될 수 있을 것이며 부총리급 장관의 임명에 따라 여타 부처와의 정책조정도 수월해 질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음. - 반면, 실현 가능성이 적고 기후변화정책과 관련이 적고 그 성격도 판이한 많은 기능들이 한 부처에 혼재됨으로써, 이른바 `분업`에 의한 `전문성 향상`이 훼손될 수 있음. 또한 물리적 통합으로 인한 부처 간 정책갈등이 부처내부의 정책갈등으로 전이될 가능성도 충분히 예측됨. 본질적인 측면에서 현재 우리나라 중앙 부처들의 위상을 고려할 때, 이와 같이 통합이 이루어질 경우 `친환경적` 정책 추진은 크게 훼손될 가능성도 존재함. ○ 대안3:부처 신설 없이 관련 기능의 이관에 의한 통합 - 물리적 통합에 따르는 후유증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기후변화정책을 하나의 부처에서 전담하게 하는 방안으로는 부처 신설 없이 기능만 이관함으로써 관련 기능을 통합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음. - 환경부나 지식경제부가 핵심부처라는 점에 입각하여 <그림 5>와 같이 환경부의 기후변화정책 기능과 교육인적자원부의 원자력정책 기능을 지식경제부에 이관하는 안(3-1안)과 지식경제부의 에너지정책 기능과 교육인적자원부의 원자력정책 기능을 환경부에 이관하는 안(3-2)을 생각해 볼 수 있음. - 이러한 통합 부서는 일반 실국보다는 그 위상이 높은 `본부` 급으로 설치하고 차관급을 본부장으로 임명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예를 들면 외교통상부의 통상교섭본부와 같은 형태를 의미함. - 이러한 방안은 부처 신설 등과 같은 구조적 개편 없이도 부처 신설과 유사한 수준의 정책조정능력 강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 반면, 이러한 방안이 지니는 단점은 다음과 같음. 첫째, 기능을 이관하게 되는 부처의 반발이 예상됨으로써 정치적으로는 현실화되기가 쉽지 않다는 것임. 둘째, 기후변화 또는 녹색성장 정책 추진에 있어 가치의 쏠림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음. 환경부에 기후변화본부가 구성될 경우에는 `환경`이라는 가치가, 지식경제부에 기후변화본부가 구성될 경우에는 `성장`이라는 가치가 각각 정책추진 상의 지배가치로 부상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른 사회적 합의가 전제되어야 할 것임. ○ 대안4:녹색성장위원회의 정책조정능력 강화 - 구조적 개편 없이 조정기능을 강화하는 방안으로 현재 대통령 소속으로 설치되어 있는 녹색성장위원회의 정책조정능력을 강화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음. 이와 관련한 방안은 크게 나누면 녹색성장위원회 내부에 현재보다 효과적인 조정기구를 두고 합당한 조정권한을 부여하는 안(4-1안)과 녹색성장위원회가 좀 더 강력한 조정능력을 지닐 수 있도록 위원회의 조직적 위상을 강화시키는 안(4-2안)이 있음. - 대안 4-1:녹색성장위원회 내에 강력한 정책조정기구 설치 - 녹색성장위원회 내부에 컨트롤타워 기능을 수행하는 정책조정기구를 설치하고 합당한 권능을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문제는 이러한 정책조정기구의 구성주체를 누구로 할 것 인가임. 비록 녹색성장정책이 범부 처적 성격을 띠고 있기는 하지만, 정책조정기구는 이른바 `선택과 집중` 논리를 적용하여 핵심 부처를 중심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 환경부, 국토해양부, 지식경제부 이상 세 부처들로 구성된 정책조정협의회를 두고 공식적인 정책조정 권능을 부여하는 방안(4-4-1안)을 일단 생각해 볼 수 있음. 공식적인 정책조정 권능 부여와 관련하여 고려될 점은 다음과 같음. - 첫째, `녹색성장위원회의 구성과 운영에 관한 규정`에 이들 세 부처로 구성되는 `(가칭)정책조정협의회`를 규정하고, 협의회에 의한 정책조정을 명시해야 할 것임. 둘째, 녹색성장 추진에 있어 핵심계획들을 재규정하고2) 세 부처들이 이러한 핵심계획의 수립주체임을 명시해야 할 것임. 현재 `녹색성장기본법(안)` 제15조에는 기후변화대응기본계획, 에너지기본계획, 지속가능발전기본계획 등 세 가지가 핵심계획으로 규정되어 있음. 이 중 그 의미가 퇴색되었고 수립주체도 명확하지 않은 지속가능발전계획은 그 수립을 중단하고, 대신 현재는 연관계획으로 되어 있는 국토종합계획을 핵심계획으로 규정한 후에, 기후변화대응기본계획은 환경부가, 에너지기본계획은 지식경제부가, 국토종합계획은 국토해양부가 각각 주무부처임을 명시할 필요가 있음. - 이와 같은 방안은 선택과 집중의 논리에 따라 부처의 설치목적이나 현재 추진 중인 사업과 예산 측면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처 중심으로 조정기구를 설치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일단 비용-효율적인 대안이라 할 수 있음. - 하지만 좀 더 깊이 들여다보면 이러한 세 부처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주요정책 또는 관리영역이 존재함을 알 수 있음. 온실가스 감축목표관리, 온실가스 종합정보체계 구축, 기관평가를 통한 공공기관의 녹색성장 노력 유도, 녹색성장에 필요한 예산의 획득 및 배분, 진정한 녹색성장사업을 구분하기 위한 녹색인증제도 실시, 투자를 촉진하기 위한 녹색금융제도, 지방자치단체의 녹색성장 노력 유도 및 지방추진체계 구축, 국제사회의 기후변화레짐 협상 수행 등의 업무들은 이러한 세 부처에 의해 독자적으로 수행되기 어려운 영역들이라 할 수 있음. - 이러한 기능들은 대략 모니터링, 재정계획, 지방거버넌스, 국제 기후변화레짐 등의 네 가지로 분류될 수 있을 것임. 따라서 이와 같은 기능들을 국무총리실(monitoring), 기획재정부(finance), 행정안전부(local government), 외교통상부(global regime)에 부여하고, 이들 네 부처와 앞서 제시한 핵심부처를 포함하여 모두 7개의 부처가 조정협의회를 구성하는 방안(4-1-2)을 생각할 수 있을 것임. - 이처럼 7개(3+4)로 정책조정협의회를 구성할 경우, 3개 핵심 부처에 의해 커버될 수 없는 주요 정책영역이 함께 논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3개 부처의 독주를 막을 수 있는 제도적 수단을 겸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반면 당초 의도했던 선택과 집중 논리는 다소 희석될 수 있음. 이상과 같은 두 가지 대안은 <그림 7>과 같이 표현될 수 있음. - 대안 4-2:녹색성장위원회를 장관급 행정위원회로 전환 - 현재 녹색성장위원회와 같은 대통령 소속의 자문위원회정부 출범 초기에는 기존 중앙행정부처를 능가하는 권위를 갖지만 대부분 정권 말기로 갈수록 점차 형식화되는 모습을 보여 왔음. 따라서 녹색성장위원회 역시 그 지속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는 것임. - 따라서 만일 녹색성장정책이 국가의 한 단계 도약을 위해 지속되어야 하는 정책이라면, 현재 자문위원회로 되어 있는 녹색성장위원회를 행정위원회로 개편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음. 현재 국무총리 산하에 합의제행정기관으로서 설치되어 있는 공정거래위원회, 금융위원회, 국민권익위원회와 유사한 방식으로 설치하고 대통령령인 직제에 의해 그 조직을 구성하는 것임. - 이와 같은 방안이 지니는 최대의 장점은 정권의 변동과 관계없이 정책의 연속성과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임. 아울러 이처럼 행정위원회로 환 되고 자체의 조직, 인력, 예산을 가지게 될 경우, 녹색성장위원회는 현재보다 훨씬 높은 전문성을 지닌 단위조직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을 것임. 반면, 이러한 방식을 통해 녹색성장정책이 효과적으로 추진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할 것임. 기존의 공정거래위원회, 융위원회, 국민권익위원회의 공통적 특징은 이러한 위원회들이 공히 규제기구라는 점임. 그렇다면 녹색성장위원회가 녹색성장정책의 조정을 위해 규제`라는 수단만으로 충분할 것인가에 대한 사전적 검토가 필요하다는 뜻임. ○ 대안들의 평가 - 실현가능성 측면에서 다른 대안들에 비해 특히 높게 평가될 수 있는 것은 안4-1-2, 4-1-1라 할 수 있는 반면 대안2, 대안3은 실현가능성 면에서 매우 약할 것으로 평가됨. - 정책조정능력 향상 효과는 대안3과 대안1이 높을 것으로 판단됨. 특히 대안3은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중앙부처로 기능의 수직적 통합(일원화)이 이루어지는 형태라는 점에서 대안2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보임. 실현가능성과 정책조정능력 향상 측면에서 각 대안의 점유하고 있는 개념적 지형은 <그림 9>와 같이 표현될 수 있음. □ 지방정부 수준의 녹색거버넌스 개편방안 ○ 중앙-지방 연계를 위한 선도부처의 역할 강화 - 지방정부 수준의 정책조정체계 개선방안으로 중앙-지방 연계를 위한 선도부처의 역할 강화를 제안하였음. 녹색성장위원회 산하에 선도부처를 두고 이들 부처를 통해 부처간 협력이나 지방과의 공식적 연계를 추진하도록 전달체계를 보다 명확하게 하는 작업이 필요함. - 선도부처를 정한다면 행정안전부가 주도적으로 녹색성장책임관 임명 등 지방과의 연계작업을 녹색성장의 협조요청 없이도 당연히 주어진 업무가 될 수 있으며 훨씬 효율적인 전달체계가 만들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임. 선도부처로 3개 부처가 중심이 되면 기후변화와 녹색성장과 관련된 정책집행의 컨텐츠는 환경부,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가 책임지고 중앙-지방간 연계에 대한 채널은 행정안전부가 담당하여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정책조정과 연계가 용이해 지고 공식화될 수 있음. ○ 기후변화 및 녹색성장 정책의 모니터링을 위한 지방평가제도 - 지방정부에서 중앙정부와 일관된 정책수행을 이끌기 위한 제도적 수단 중가장 비용-효과적인 것 중 하나는 평가 제도를 활용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음. 방정부에 대한 평가제도로는 합동평가가 있는데 이는 행정안전부 및 관계앙행정기관이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추진 노력과 추진성과를 종합적으로 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도록 되어 있음. - 녹색성장의 경우 분명한 정책영역이 존재하고 여기에 다양한 중앙부처가 관련되는 정책이라는 점에서 자치단체의 전반적 수준과 삶의 질을 측정하는 존의 합동평가 방식이나 지표 속에 포함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으로 보임. 즉 기존의 합동평가 지표 중 하나로 녹색성장지표를 포함시키는 방식보다는 녹색성장위원회가 주관하는 새로운 형태의 합동평가(가칭 녹색경쟁력평가, 녹색성과평가 등)가 도입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며, 평가위원회는 행정안전부를 간사로 하여 선도 부처들(환경부,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을 중심으로 구성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음. - 다음으로 평가지표의 문제임. 이와 관련하여 최근 제시된 바 있는 여러 지표들을 활용할 수 있음. 예를 들면 삼성경제연구소가 국가들을 평가하기 위해 제시한 녹색경쟁력지수, WEF의 지속가능성지수(ESD), 독일 Greenwatch의 기후변화성과지수(CCPI) 등에 포함된 지표들을 지방자치단체에 맞게 선별하여 활용하는 것임. 또 다른 예로는 영국의 국가지표(National Indicator) 중 관련지표를 활용할 수도 있을 것임. ○ 지방정부를 위한 지침서와 안내서 작성 - 현재 지방자치단체를 위한 [지차체 기후변화 대응 업무안내서](환경부, 2008)가 환경부에서 발간됨. 그러나 이 안내서는 기후변화에 대한 세계적인 동향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관련 지식 및 용어에 대한 정리에 그치고 있어 실질적인 정책수행을 위한 지침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지 못함. - 중앙정부는 정부종합대책을 수립하거나 예산 지원 및 지역 온실가스 배출통계를 제공하는 등의 기본적인 역할을 수행하지만 중요한 것은 정책이 잘 전달될 수 있는 지침서와 안내서를 개발하여 배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방안 ○ 사안별ㆍ지역특성별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의 필요성을 제안 - 기후변화협정을 위한 거버넌스는 산업별로 구분되며 산업 밑에는 분야별로 세분화되고 각 분야별 협회 등에 개별 사업자나 기업들이 협정에 가입하는 형태로 조직화하여 치밀하게 연계된 거버넌스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 이러한 그물망과 같은 네트워크가 형성될 때 실질적인 참여와 협력이 가능할 수 있으며 사안별 이슈별 대응이 가능할 수 있음. 이러한 대안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음. ○ 지역특성을 살린 실질적 협력적 거버넌스의 구축 - 기업들뿐 아니라 일반시민들과의 협력적 거버넌스에 있어서도 대도시, 소도시, 공업도시, 상업도시, 농어촌 등을 구분하여 협의체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주택형태, 지역에너지공급, 수자원의 효율적 활용, 기타 에너지소비생활패턴이 지역의 특성마다 다르기 때문임. ○ 협력적 거버넌스 구성의 내실화 - 협력적 거버넌스를 위한 위원회나 단체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현재와 같이 기업의 CEO나 연구소의 소장, 시민단체장들과 같은 명망가 위주로 위원들을 구성하는 것은 실익이 없음. 영국이나 프랑스의 경우에 있어서는 그 분야의 실질적 전문가와 이해관계자들을 중심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야 할 것임. ○ 지역 간 협력적 거버넌스의 구축 필요 - 현재 16개 시도를 대상으로 추진되고 있는 지방녹색성장협의회는 기존의 지방자치단체장협의회(시도지사협의회, 시군구청장 협의회 등)의 성격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 따라서 이를 통해 지역 간 협력적·실천적 노력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임. 중앙정부의 정책을 전달하는 형식적 자리가 될 가능성도 높음. - 이와 같은 형식적 협력체보다는 단위 지역 내에서의 소규모 협력체제를 구축하는 것임. 이러한 협력체제가 더 현실적으로 유용함.3) 특히 도시지역과 인근 농어촌지역 간에는 MOU체결 등을 통해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노력을 같이 협력적으로 할 수 있음. 탄소포인트제도, 탄소캐쉬백 등 최근 탄소감축량에 대한 개인에 대한 인센티브제도가 대표적인 수단으로 적용되고 있음. 거주지가 달라지면 이전 거주지에서의 포인트를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음(행정안전부 인터뷰). ○ 기후변화정책에 대한 전국적 홍보 및 캠페인을 위한 네트워크 체계확립 및 홍보강화 - 분산된 각 부처의 협력적 거버넌스 네트워크를 통합하여 단순화시킬 필요가 있음. 이를 위하여 단일화된 네트워크 통합안, MOU체결안, 환경부와 지식경제부가 네트워크의 역할을 분담하는 안을 제시하였음. ○ 초정부적이고 거국적인 환경담론의 형성하는 (가칭) `4천만의 환경라운드` 형성 -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각국의 사례를 볼 때도 각 나라들이 지속적인 협력과 대화를 통해 초정부적인 거버넌스 (governance)를 지향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음. - 우리의 경우도 향후 거국적인 환경라운드의 형성을 제안해 볼 수 있다. 지속가능한 환경 발전에 국가, 사회, 지역, 노조, 전문가 및 환경보호연합 등 일상적으로 관계된 모든 행위자들을 연합하는 것임 ○ 환경 인센티브의 활성화 필요 - 각국의 사례와 우리나라의 현황을 통해 볼 때, 우리의 경우 환경 주체들의 행위를 변경시킬만한 유인이 다양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됨. 에코 마일리지 등 환경관련 인센티브 수단들이 이제 막 도입되고 적용되고 있으나 그 범위와 방법은 제한적임. - 따라서 우리의 경우도 좀 더 다양한 환경 인센티브제도를 발굴하고 도입 및 활용할 수 있을 것임. 이를 통해 거버넌스 주체의 자발적인 협력을 유도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해 나갈 수 있을 것임. - 그 중에서도 `환경대출제도`의 도입을 제안하고자 함. 환경대출제도는 고효율에너지형 건물 건축에 있어서 제로금리 또는 저금리로 일정부분 대출을 허용하는 것으로 주거, 건축 및 생활 부문에서의 거버넌스 주체들의 자발적인 협력을 유도할 수 있음. The release of greenhouse gases from human activities has contributed to global warming. As a result, global temperatures will increase 2 ℃ higher than pre- industrial times by 2050, and 4- 6 ℃ higher by 2100. Because climate results in wide economic and environmental uncertainties and risk, many countries try to tackle it with cooperative approaches and policy instruments. The British government put in place the world`s first ever legally binding target to cut emissions 80% by 2050 and a set of five year "carbon budgets" running to 2022 in order to keep the UK on track. Japan proposed to share globally the long- term goal of halving total global greenhouse gas emissions by 2050 from their current level of emissions to achieve a lowcarbon society. Many OECD countries such as France, Germany, and the Netherlands also have tried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At the 6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Republic of Korea on August 15, 2008, President Lee Myung- bak proclaimed "Low Carbon, Green Growth" as Korea`s new national vision. For achieving this vision, the Presidential Commission on Green Growth was established in February 2009 and a National Strategy for Green Growth was adopted along with the Five- Year Plan for Green Grow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responsibility for an inter- governmental coordination system and to build cooperative green governance for effectively implementing the national vision of green growth. Climate change policy cannot succeed without cooperative governance that horizontally coordinates policies of various public institutes.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include in- depth focus group interviews, a literature review, and benchmarking. The key elem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roblems of the climate change policy coordination system in Korea ○Insufficient measures to coordinate climate change policies -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Green Growth is working as a control tower on the climate change issue. However, the committee does not possess effective measures to coordinate multi- level governance on this policy issue. ○Structural vulnerability of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Green Growth - For now, the Green Growth Committee leadership is supported by the President`s strong drive and the professionalism of the Prime Minister. However, we have learned from past experience that a change in regime inevitably leads to discontinuities with the former president`s agenda and committee structure. ○Overlaps and conflicts of laws and regulations concerning climate change - There are many duplications and conflicts within the regulations, laws, and institutions in this sector. This situation would tend to hinder government from implementing climate change policy effectively. The Government should resolve these problems and harmonize the regulations and plans for green growth. ○Insufficiency of the policy linkage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 Korean governments have insufficient and token climate change policy delivery systems. A more effective delivery system and broader engagement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re needed to address climate change effectively. ○Lack of PR and campaign activities for climate change policy - More PR activities to gain public support on climate issues need to be executed to proactively reduce CO2 emissions. Finally, the following is suggested to improve the inter-governmental coordination system and to build green governance in Korea. □Four alternatives for effective policy coordination at the central government level □Three alternatives for good policy coordination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Choosing leading departments and empowering them to coordinate local governments ○Introducing an assessment system for local governments to monitor climate change policy implementation ○Providing a manual and guidance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 It is important for the central government to prepare the guidelines or information book for better understanding of policies by local parties. □Seven alternatives to build cooperative green governance ○Building green governance by issue, nature, field, etc. ○Building regional green governance according to the size of citi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ies. ○Insuring substantiality of structures and members of green governance ○Building intra- regional green governance ○Enlarging the network of campaign and public information about climate change policy ○Making “The Whole National Environmental Round” to discuss climate change issues ○Introducing environmental incentives for green growth

      • KCI등재

        지역사회 다문화 정책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우양호(Woo, Yang Ho) 한국지방정부학회 2013 지방정부연구 Vol.17 No.1

        이 연구의 주제는 우리나라 대표 국제도시이자 해항도시(海港都市)인 부산을 대상으로 현 단계 지역사회 다문화 정책의 문제점과 발전방향을 다문화거버넌스 구축의 관점에서 새롭게 다루어 보는 것이다. 현재 지역수준의 다문화 정책은 정부와 시민, 내국인과 외국인간의 소통의 부재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관련자들의 다양한 의사와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거버넌스 방식으로의 변용과 창조가 필요하다. 이론적으로 다문화거버넌스는 현재 우리나라의 모든 거주외국인과 관련된 규범, 제도적 장치, 그리고 실제적인 정책들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외국인노동자, 결혼이민자, 북한이탈주민의 대상적 범주로 구분되었다. 실제적 측면에서는 우리나라 대표적 다문화 도시이자 해외교류도시인 부산시에 대한 사례를 통해 현 단계 지역수준의 다문화 행정조직과 예산, 최고관리자와 관료의 다문화에 대한 관심 및 의지, 시민사회의 역량과 의식, 거주외국인의 조직화 및 네트워킹 등에서 여러 문제를 발견하였다. 실제 각 이해관계자의 참여, 협력, 공동의사결정 요인을 유형화하여 다문화거버넌스의 구축정도를 조사한 결과에서도 아직 다문화 정책과 행정은 거버넌스 현상보다 전통적 정부중심 행정의 특성을 그대로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주요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는 향후 우리나라 도시와 지역차원에서 바람직한 다문화거버넌스를 구축할 당위성과 몇몇 실천방안들을 제안하였다. In the last decade the study of multicultural policy(multiculturalism) has become an established field in public administration theory in Korea. This study focuses on public policy and the dilemmas faced by the governments of increasingly diverse societies. This study aims at contributing to the discussion of multicultural policy by developing a framework of democratic governance. The governance structure of multicultural policy in local government has emerged as an important policy agenda. Despite the substantial contribution to understanding the multicultural governance in Korea,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veals some weakness in the study of emerging forms of governance in local government. S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multicultural governance and draw alternatives in applying appropriate multicultural governance structure of policy in local government.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multicultural governance in relation to an ongoing deconcentration of policy and administration for foreign residents. The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governance level of multicultural policy was not high in some factors such as participation, cooperation, collective decision making. This is caused by the lack of a multicultural governance structure in local government. From the perspective mentioned above, some policy implications were largely derived from this results which may improve quantity and quality of governance for successful policy within local gover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