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 19 시기 체육수업 유무에 따른 남녀 중학생의 학교 영역 신체활동 특성 분석

        심판준,이규일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3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physical activity of boys and girls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school area (work and overall, rest time, physical education class) using a 3D accelerometer, and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gender.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17 students attending D Middle School in D Metropolitan City (boys: 62, girls: 55). The measured data were entered in Actilife v.6.11.9 and classified into physical activities by intensity (seated, low intensity, MVP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9.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ate of achieving the recommended standards for school work and overall physical activity was 23.5% (boys: 36.2%, girls: 9.1%). Second, in term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MVPA was meaningful in the entire school work(day of the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it was meaningful in the break time (day without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ird, in terms of gender, girls students' physical activity was negative compared to boys students in all areas of school (school work, whole, rest, and physical education classes), except for low-intensity activitie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conclusion,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eriod was generally reduced, and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areas and targets with severe decline were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girls students, respectively. Finally, a research topic in the future was proposed. Work area and break time area, and PE class In the domai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dentified only at the level of sedentary activity (male <female) and MVPA (male>female). In conclusi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was identified as a factor influencing physical activity in adolescenc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nd discussions, plans and research topics for improving physical activity in school work were proposed. 본 연구의 목적은 3차원 가속도계를 활용하여 남녀 중학생의 학교 영역(일과 전체, 쉬는 시간, 체육수업) 신체활동을 측정하고, 체육수업 유무와 성별에 따라 그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D광역시 D중학교에재학 중인 117명(남학생: 62명, 여학생: 55명)이었으며, Actigraph사에서 개발한 3차원 가속도계(GT3X 모델)을 활용하여 신체활동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자료를 신체활동 분석 프로그램(Actilife v.6.11.9)에 입력하여 신체활동을 강도별(좌식, 저강도, MVPA)로 분류하였으며, SPSS 29.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해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학교 일과 내 세부 영역별 신체활동권장 달성율은 일과 전체(23.5%), 쉬는 시간(18%), 체육수업(0.9%)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수업 유무측면에서, 학교 일과 전체(체육수업이 있는 날>없는 날)와 쉬는 시간(체육수업이 있는 날<없는 날)의 MVPA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성별 측면에서, 체육수업의 저강도 활동을 제외한 학교 내 모든 영역(학교일과 전체, 쉬는 시간, 체육수업)에서 여학생의 신체활동이 남학생에 비해 저조한 것(좌식 활동: 남<여, 저강도 활동: 남>여, MVPA: 남>여)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코로나 19 시기 중학생의 학교 전 영역의 신체활동 수준은 감소하였고, 특히 체육수업과 여학생에게서 신체활동 문제가 보다 심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향후 연구 주제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체육수업 유무와 성별에 따른 고등학생의 일상생활 신체활동 수준과 특성 분석

        이규일 ( Gyuil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3 체육과학연구 Vol.34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남녀 학생의 신체활동 실태를 파악하고, 체육수업 유무와 성별에 따른 강도별 신체활동(좌식활동, 저강도 활동, MVPA)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방법] 자료 수집은 서울시 소재 4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50명(남: 65명, 여: 85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신체활동은 3차원 가속도계를 활용해 일주일동안 측정되었다. 수집된 신체활동 자료를 강도별(좌식, 저강도, MVPA)로 분류 및 추출한 뒤,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해 기술통계분석, 체육수업 유무와 성별에 따른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05). [결과] 기술통계분석 결과, 전체 학생의 신체활동 기준 달성율(일일 MVPA 60분 이상)은 31%(남: 40.7%, 여: 23.4%)로 나타났다. 이원분산분석 결과, 좌식활동, 저강도 활동, MVPA 모두에서 체육수업 유무와 성별에 따른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상호작용 효과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체육수업 유무에 따른 신체활동 격차는 남학생에서 크게 나타났다. 남학생의 경우, 체육수업이 있는 날 저강도 활동과 MVPA가 크게 증가하였고, 좌식활동은 크게 감소하였던 반면, 여학생의 좌식활동과 신체활동 변화는 미비하게 나타났다. [결론] 국내 고등학생의 신체활동 수준은 상대적으로 저조하였으며, 체육수업의 일상생활 신체활동 효과는 남학생에게 한정되었다. 이에 따라, 고등학교 여학생의 체육수업을 통한 신체활동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physical activity (sedentary, light, and MVPA) of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physical education (PE) class (DWPE: days with PE class, DNPE: days with no PE class) and sex. METHODS Data were collected on 147 students (65 male and 82 female) from four high schools in Seoul city, and physical activity was measured using a three-dimensional accelerometer. The collected physical activity data were input into SPSS 25.0, and the descriptive analysis and two-way ANOVA according to PE class and sex were performed. RESULTS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31% (40.7% male and 23.4% female) of participants met the recommended physical activity durations (MVPA of 60 min/day). In the two-way ANOVA, sedentary activity, light activity, and MVPA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main and interaction effects according to PE class and sex.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interaction effect analysis, the gap in physical activity between DWPE and DNPE was large in male students. For male students, light activity and MVPA significantly increased on the day of the PE class, and sedentary activity significantly decreased. However, for female students, DWPE and DNP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all levels of physical activity. CONCLUSIONS In conclusion,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as relatively low, and the effect of daily-life physical activity in the PE class was limited to male students. Accordingly, an alternative should be introduced to increase the physical activity of female high-school students through PE classes.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신체활동의 성공과 실패 경험에 대한 학생의 인식

        이승배(SeungBaeLee),박윤혁(YeounHyukPark),강신복(SinBokKang) 한국체육학회 2007 한국체육학회지 Vol.46 No.1

        본 연구는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신체활동의 성공과 실패 경험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검토 및 개방형 질문지를 활용한 예비조사를 토대로 총 113문항의 질문지를 구성하였고, 두 차례에 걸친 수정작업 후 6개 중학교 1ㆍ2ㆍ3 학년에 재학 중인 336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문항내적 일치도를 검사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신체활동에 대하여 학생들이 경험하는 성공 원인 39문항을 요인분석한 결과 총 7개의 요인(동료간 호흡, 우수한 운동 능력, 행운, 지속적인 노력, 교사의 긍정적 피드백, 동료의 격려, 과제 난이도의 적절성)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신체활동에 대하여 학생들이 경험하는 실패 원인 41문항을 요인분석한 결과 총 7개의 요인(동료의 비난, 운동 능력 부족, 열악한 수업 환경, 노력 부족, 불운, 교사 지도의 부족 및 비효과성, 과제 난이도의 부적절성)이 추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udent's perception on the success and failure experience of physical activity in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this study, the 336 middle school students responded to the cause on the success and failure experience of physical activity. To analyze the result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bout each factor were used in SPSS window version 12.0.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7 major success factors were consisted of 39 questions as causes of the success experience on physical activity in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success factors were positive relationship with classmates, superior physical fitness, luck, constant effort, teacher's positive feedback, encouragement with classmates, and relevance of task difficulty. Second, the 7 major failure factors were decided from 41 questions as causes of the failure experience on physical activity in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failure factors were negative relationship with classmates, inferior physical fitness, a poor of educational environment, effort insufficiency, unfortunateness, insufficiency and ineffectiveness of teacher's teaching, and irrelevance of task difficulty.

      • KCI등재

        중학교 체육수업에서의 학습소비시간패턴과 신체활동 수준 분석

        성헌제(HeonJeSeong),곽은창(EunChangKwak),심가연(GaYeonSim) 한국체육학회 2011 한국체육학회지 Vol.50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체육수업을 통하여 변인별 시간소비패턴과 신체활동수준을 파악하는데 있었다. 대,중, 소도시에 소재한 6개 중학교에서 학년과 학급별로 무선적으로 961명의 연구대상자가 선정되었으며 학생들은 실험에 앞서 실험취지에 대한 설명을 듣고 실험참여 동의서를 작성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하여 보도계가 활용되었으며 시간당 보수, 이동거리, 칼로리 소비량이 측정되었다. T-test와 one way ANOVA 분석결과 학교별 수업시간의 소비패턴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2학년이 1학년보다 대도시지역의 학생이 중, 소도시의 학생들보다 활발한 신체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형태별 비교에서는 남중이 남녀공학이나 여중보다 활동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종목별 비교에서는 농구가 가장 활동적인 종목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제 체육수업 현장에서 중학생들의 신체활동 수준을 보수, 이동거리, 칼로리 소비량으로 나누어 파악하였으나 체육수업 당 평균적인 신체활동의 적정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를 밝힐 수 있는 신체활동 지수나 기준의 마련은 과제로 남아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lass time patterns and students' physical activity levels in the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randomly selected 961 students from the metropolitan city, the mid-size city and the small town. All subjects were completed consent form before they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classes were pedometer was used to collect data. The number of walks, walking distance, and calory expenditure were three dependant variables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boys had higher physical activity levels than the girls in all three variables. The students in big city showed higher levels of physical activity than other cities. Boys' classes indicated highest level of physical activity than that of co-ed classes and girls' classes. Most of these factors are modifiable, and changes could improve the quantity and intensity of children's physical activity. Further study is needed to determine the average physical activity level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nation and establish the standard for physical activity levels for k-12 levels.

      • KCI등재

        중학교 통합체육수업의 교수적합화가 경도지체장애학생의 신체활동수준과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윤형준 ( Yyung Jun Yun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4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2 No.3

        본 연구는 중학교 일반학급에 입급되어 있는 경도지체장애학생을 대상으로 교수적합화된 통합체육수업이 신체활동수준과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통합학급에 재학 중인 중학교 1학년 지체장애학생 3명을 대상으로 체육교과 도전활동 영역의 단거리 달리기 단원과 경쟁활동 영역의 간이 활동인 플로어볼 활동, 건강활동 영역의 줄넘기 활동을 대상학생의 특성과 능력에 맞게 교수적합화된 통합체육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연구 방법은 기초선, 중재와 유지 회기로 구성한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연구방법설계를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은 2013년 9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경도지체장애학생의 역동적 신체활동수준의 발생 빈도를 증가시켰으며, 신체활동수준의 유형별 변화에서도 걷기와 매우 활동적인 움직임 신체활동수준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였다. 둘째, 경도지체장애학생과 일반학생과의 상호작용활동의 발생빈도를 증가시켰으며, 상호작용행동 유형별 변화에서도 학생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문제행동이 아닌 상호작용과 급우와의 의사소통행동이 증가되었다. 그 밖에 시범을 보여주거나 요청 행동도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도지체장애학생과 교사와의 상호작용활동의 발생빈도를 증가시켰으며, 상호작용행동 유형별 변화에서도 다양하게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별 변화의 빈도를 보면 변형과 적용과 지도가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이 외에도 급우와 의사소통 유도, 언어적 의사소통, 보조, 분위기 전환, 심리적 안정유도 등이 중재기간에 발생하거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교수적합화된 통합체육수업은 경도지체장애학생의 역동적 신체활동수준, 일반학생과의 상호작용, 교사와의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일반학교에서 통합체육수업의 적용에 있어서 실제적 어려움을 파악하고 교수적합화된 통합체육수업실행의 가능성 또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현장 실천적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ain what effects instructively adapted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es targeting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ild physical disabilities placed in ordinary middle school classes had on their physical activity and interaction level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re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ild physical disabilities in Grade 1 who were attending inclusive classes in an ordinary middle school. This study developed an instructively adapted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program which was composed of floor ball, as a simple and easy activity, and jump-rope as a healthy activity depending on the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capabilities and applied them to real classes.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test by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the paricipanrs. The program was applied from September 2013 to December 2014.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suggested in this study increased the frequency of dynamic physical activity levels in the subjects. As for the changes in types of physical activity levels, the occurrence frequency for walking and physical activity with very active movement levels was increased. Second, the program increased the frequency of interactive activities between the subjects and ordinary students. And although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changes of types of interactive activities according to different students, interaction and communicative behaviors with classmates increased. In addition, exemplary demonstrations or request behaviors increased. Third, it increased the frequency of interactive behaviors between the subjects and teachers, and as for changes in types of interactive behavior, various sub-behaviors of the interaction appeared. With respect to the frequency of changes in types, modification, application and instruction increased steadily. In addition, induction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subjects and fellow classmates, verbal communication, helping, a change in moods and induction of psychological stability occurred or increased during the intervention. Through the results above, it was concluded that instructively adapted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es had a positive effect on dynamic physical activity levels in the subjects, interaction with ordinary students and teachers, and it has practical meaning in that it discovered that there is real difficulty in application of th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for ordinary schools and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instructively adapted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 KCI등재

        과체중 및 비만 남자 청소년의 학교체육수업 참여정도와 신체활동 및 좌식행동, 주관적 건강인지와의 관련성

        김정현(Junghyun Kim),정인경(Inkyung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9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과체중 및 비만 남자 청소년들의 학교체육 수업의 참여 정도와 신체활동 및 좌식행동, 주관적 건강인지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2016년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SPSS 23.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본 조사대상 과체중 및 비만 남자 청소년들의 경우 신체활동량이 매우 부족하였고 앉아서 보내는 시간이 많았으며 학교체육수업에 소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었다. 평소 규칙적인 신체활동 및 좌식행동 지침을 실천하는 비만 청소년들은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지하고 있었다. 학교체육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생은 격렬한 운동과 근력운동의 실천율이 높았으며 스포츠활동 팀 수가 많 았다. 또한 학교체육수업 참여 횟수에 따라 좌식행동 시간 및 인터넷 사용 시간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긍정적 건강상태 및 행복감, 수면에 대한 충족감을 느낄 확률이 높았다. 반면 평소에 스트레스를 적게 느끼고 우울감에 대한 경험은 적었다. 이를 통해 학교체육수업의 적극적인 참여는 다양한 신체활동을 규칙적으로 실천하는 습관형성 및 좌식활동량 감소를 통해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교체육수업에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체육교사 및 관련 지도자의 지속적인 노력 및 전략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physical education class participation,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behavior in overweight and obese male adolescent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related factors depending on participation level of physical education class in school. Data from the 2016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program. Overweight and obese male students showed lower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participation in school but had higher sedentary behavior. Students who practice all of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behavior guidelines showed higher rate of better self-rated health perception, more satisfied with their lives, and lower stress. Obese male students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physical education class had higher practice rate of vigorous and resistance exercise and after-school sports activities. And they had lower sedentary behavior and internet using time and felt less stress and depression.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actively practice of physical education class had positive effects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in adolescents. Therefor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relevant leaders should be developed strategy and programs to help adolescents participate actively in physical education class.

      • KCI등재

        대학 교양체육 수업에서 비대면수업 재미와 수업만족도 사이에서 신체활동 즐거움의 매개효과

        김현우 한국체육과학회 2023 한국체육과학회지 Vol.32 No.5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activity enjoy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joyment of virtual classes and class satisfaction during the transition from virtual to face-to-face classes, i.e., whether a blended class, i.e., a combination of face-to-face and virtual classes, is more appropriate than a fully face-to-face class when students have adapted to virtual classes for a long period of time. To obtai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pril 24 to May 8, 2023, with a total of 264 students taking a liberal arts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virtual classroom fun positively influenced class satisfaction. Second, virtual classroom fun positively influenced physical activity enjoyment. Third, physical activity enjoymen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virtual class enjoyment and class satisfac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blended learning, a combination of virtual and face-to-face instruction, has a greater impact on class satisfaction than single modalities of either face-to-face or virtual instruction. This study make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teaching methodology of liberal arts and physical education, which has been disrupted by the shift to in-person classes this year.

      • KCI등재

        신체활동 솔루션 앱을 활용한 체육수업 사례 연구

        유창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2 교과교육학연구 Vol.2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future physical education by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on-sports apps for physical education. Two physical education teachers used the on-sports app, and explored the preparation, planning, and operation process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with in-depth interviews and literature data.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mposition and utilization method of the on-sports app was presented, and the original technology of the app was introduced. It also described the motivat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 using the on-sports app,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plan considering the on-sports app, and the experience of using the on-sports app in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In the educational sense of this physical education experience, suggestions were made based on the possibility of direct physical activity education and evaluation in remote physical education classes was expanded, and that student’s capacity of self-direction in physical activity could be enhanced. In order to improve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on-sports app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physical activity apps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upgrade their function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types of movement to can be used in remote physical education classes, depending on the type of physical activity and the level of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에 온체육 앱과 같은 디지털 기술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여 미래 체육교육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2명의 체육교사가 온체육 앱을 활용하였고, 심층 면담과 문헌 자료를 통해 체육수업 준비 및 계획, 운영 과정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로 온체육 앱의 구성 및 활용 방법을 제시하고, 앱의 원천 기술을 소개하였다. 온체육 앱을활용한 체육교사의 동기, 온체육 앱을 고려한 체육수업 계획, 체육수업 운영 과정에서의 온체육 앱 활용 경험을 기술하였다. 이러한 체육수업 경험의 교육적 의미로 원격 체육수업에서 직접 신체활동 교육 및 평가의 가능성이 확대되었고, 신체활동에대한 학생의 자기 주도성이 강화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미래 체육교육의 발전을 위해 온체육 앱과 같은 디지털 기술이 개선되기 위해서는 첫째, 체육수업용 신체활동 앱을 다양하게 개발하고 기능을 고도화해야 한다. 둘째, 신체활동 유형과 학생 수준에 따라 원격 체육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동작을 개발해야 한다.

      • KCI등재

        자전거 교육활동이 초등학생의 건강․여가활동과 체육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조필환,김중형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교과교육학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체육수업 중 자전거 교육활동이 초등학생의 건강․여가활동과 체육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G광역시 초등학생4, 5, 6학년 31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이를 위해 건강․여가활동과 체육수업 만족도 측정은 이호일(2009), 박세준(2014)의 질문지를 신뢰․타당도를 검증한 후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일원변량분석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그 결과첫째, 자전거교육활동 정도에 따라 초등학생의 여가활동 요인 중 흥미, 친밀감, 건강체력, 안전의식,사회성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전거 교육활동 정도에 따라 초등학생의 체육수업 만족도면에서는 체육수업환경과 학생 개인의 운동능력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셋째, 자전거 교육 활동이 참여정도 따라 초등학생들의 건강․여가생활과 체육수업만족도에 영향을 주는것으로나타났다. 이러한 점을 종합해 볼때 자전거 교육활동이 초등학생의교통안전 인식과 건강한 여가 생활 문화정착을 위해서라도 학교체육수업에서 적극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3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wanju to analyze the effects of an educational biking activity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It examined the effects of the activity on the students' health, leisure activities, and satisfaction levels. To measure these three concepts, the study used the questionnaire form of Lee Ho-Il (2009) and Park Se-Jun (2014) after verifying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underwent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had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depending on its level, the biking activity had an effect on the students' interest, familarity, health, safety awareness, and sociability - all elements of the leisure activ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their physical education classes, depending on the level, the biking activity had an effect on the environment of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students' mobility abilities. Third, depending on the participation level, the biking activity had an effect on the students' health, leisure activities, and satisfaction with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summary, the study indicates that a biking activity needs to be actively encouraged for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lasses with a view to enhancing the students' good health and knowledge of traffic safety, as well as a sound leisure culture.

      • KCI등재

        펜데믹 시대의 교양체육 수업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위드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며

        유원용 ( Ryu Wonyong ),이지환 ( Lee Jihwan ),김승환 ( Kim Seunghwa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6

        본 연구는 위드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여 교양체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질적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팬데믹 시대에 진행된 교양체육 수업의 경험에 관한 연구물을 고찰하였고, 체계적 문헌고찰의 과정을 거쳐 최종 6편의 질적 연구물을 선정하였다. 이후 선정된 연구물을 통해 팬데믹 시대의 교양체육 수업과 관련된 다양한 경험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교수자의 경험’, ‘학생의 경험’, ‘대학의 조치에 대한 경험’의 세 가지로 분류되었다. 첫째 교수자의 경험에서는 온라인 교육에 대한 두려움, 적응과 극복을 위한 노력, 온라인 수업 운영의 역량강화의 세 가지 하위 범주로 분류되었다. 둘째, 학생의 경험에서는 대면수업 제한에 대한 걱정, 온라인 수업으로의 적응, 실기수업에 대한 열망의 축적 등 세 가지 하위 범주로 분류되었다. 셋째, 대학 조치에 대한 경험으로는 미숙한 대응과 책임회피, 운영의 진화 등 두 가지 하위 범주로 분류되었다.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위드 코로나 시대에 교양체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실기수업과 온라인 수업이 동시에 제공되며 조화를 이뤄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둘째, 교양체육은 학생의 여가생활, 생활체육 및 평생체육으로의 연계를 중점에 두고 운영되어야 할 것을 제시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제시한 방안에 대한 검토와 사회적 협의, 이를 근거로 한 가이드라인 개발 등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direction for Liberal Physical Activity Classes education to move forward in preparation for the With Corona era and to suggest practical measures. To this end, research on the experience of Liberal Physical Activity Classes conducted in the Pandemic era was reviewed using the qualitative meta-analysis method, and the final six qualitative studies were selected throug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process. Afterwards, various experiences related to Liberal Physical Activity Classes in the Pandemic era were examined, and as a result, they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Professor's Experience', 'Student’s Experience', and 'Experience with University Action'. In the first instructor's experience, it was classified into three subcategories: fear of online education, efforts to adapt and overcome it, and capacity building of online class management. Second, in the student's experience, it was classified into three subcategories: worry about restrictions on face-to-face classes, adaptation to online classes, and accumulation of aspirations for practical classes. Third, as for the experience of university measures, it was classified into two subcategories: immature response, transfer of responsibility, and evolution of operation. Based on the derived results, the direction in which Liberal Physical Activity Classes should move forward in the With Corona era was sought and a plan was suggested. First, it was suggested that practical and online classes should be provided at the same time and harmonized. Second, it was suggested that Liberal Physical Activity Classes should be operated with a focus on linking students' leisure life, daily sports, and lifelong sports. In future studies, it was suggested that a review of the proposed plan, social consultation, and development of guidelines based on this should be carried o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