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르텐스극구흡충에서 Alkaline Phosphatase 및 Acid Phosphatase의 특성

        양용석(Yong-Suk Ryang),김인식(Insik Kim),임지애(Jee-Aee Im),강성구(Sung-Gu Kang),박주연(Ju-Youn Park) 대한의생명과학회 1999 Biomedical Science Letters Vol.5 No.1

        호르텐스극구흡충 성충 (adult worm)을 재료로 하여 acid phosphatase (Acp)와 alkaline phosphatase (Alp)의 조직 세포에 대한 분포 및 동위효소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Gomori lead nitrate 및 Gomori calcium 방법 그리고 전기영동법 등을 시행하였다. 조직 내의 Acp 및 Alp의 분포는 충체의 소장 (intestine)과 난황선 (vitellaria) 그리고 인두 (pharynx)에서 강한 반응을 나타냈다. 동위효소 유형은 Acp에서 179.5 및 209.4 kDa 두 개의 분획이 분리되었고, Alp는 145.9, 207.5 및 220.8 kDa의 세 개의 분획이 분리되었다. 열에 대한 안정도는 Alp가 90℃에서 12초 경과 후에 완전히 불활성화 되었으며, Alp의 최적 온도 및 pH는 40℃와 pH 9이었고 Acp의 최적 pH는 5였다. 그리고 Acp 및 Alp의 최대 활성도 (unit)는 Acp가 71 범위였고, Alp는 189의 범위에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호르텐스극구흡충은 phosphatase가 소화관과 난황선에서 주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숙주 체내에서 소화관을 중심으로 대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nzyme-histochemical localiz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lkaline and acid phosphatase extracted from adult of Echinostoma hortense. Using the Gomori calcium stain and the Gomori lead nitrate satin method, we found that the alkaline and acid phosphatases were localized mostly in the intestine, vitellaria and pharynx of Echinostoma hortense. The three isozymes of alkaline phosphatase and two isozymes of acid phosphatase were separated from Echinostoma hortense by electrophoresis. The isozymes of alkaline phosphatase were 145.9, 207.5, 220.8 kDa and the isozymes of acid phosphatase were 179.5 and 209.4 kDa. The activity of alkaline phosphatase was denatured completely after heating at 90℃ for 12 seconds.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for activity of alkaline phosphatase were about pH 9 and 40℃, while the optimum pH for activity of acid phosphatase was about pH 5. The maximum activity of alkaline phosphatase was at 189 unit, but maximum activity of acid phosphatase was at 71 unit. As the result from above, we observed that alkaline and acid phosphatases funtion mainly in the alimentary tract and vitellaria. Echinostoma hortense performs the parasitism in the intestine of host by using proper isozyme of phosphatase.

      • KCI등재

        호르텐스극구흡충에서 Alkaline Phosphatase 및 Acid Phosphatase의 특성

        강성구,양용석,박주연,임지애,김인식 THE KOREAN SOCIETY FOR BIOMEDICAL LABORATORY 1999 Journal of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s Vol.5 No.1

        호르텐스극구흡충 성충 (adult worm)을 재료로 하여 acid phosphatase (Acp)와 alkaline phosphatase (Alp)의 조직 세포에 대한 분포 및 동위효소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Gomori lead nitrate 및 Gomori calcium 방법 그리고 전기영동법 등을 시행하였다. 조직 내의 Acp 및 Alp의 분포는 충체의 소장 (intestine)과 난황선 (vitellaria) 그리고 인두 (pharynx)에서 강한 반응을 나타냈다. 동위효소 유형은 Acp에서 179.5 및 209.4 kDa 두 개의 분획이 분리되었고, Alp은 145.9, 207.5 및 220.8 kDa의 세 개의 분획이 분리되었다. 열에 대한 안정도는 Alp가 90℃에서 12초 경과 후에 완전히 불활성화 되었으며, Alp의 최적 온도 및 pH는 40℃와 pH 9이었고 Acp의 최적 pH는 5였다. 그리고 Acp 및 Alp의 최대활성도 (unit)는 Acp가 71 범위였고, Alp는 189의 범위에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호르텐스극구흡충은 phosphatase가 소화관과 난황선에서 주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숙주 체내에서 소화관을 중심으로 대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nzyme-histochemical localiz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lkaline and acid phosphatase extracted from adult of Echinostoma hortense. Using the Gomori calcium stain and the Gomori lead nitrate satin method, we found that the alkaline and acid phosphatases were localized mostly in the intestine, vitellaria and pharynx of Echinostoma hortense. The three isozymes of alkaline phosphatase and two isozymes of acid phosphatase were separated from Echinostoma hortense by electrophoresis. The isozymes of alkaline phosphatase were 145.9, 207.5, 220.8 kDa and the isozymes of acid phosphatase were 175.9 and 209.4 kDa. The activity of alkaline phosphatase was denatured completely after heating at 90℃ for 12 seconds.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for activity of alkaline phosphatase were about pH 9 and 40℃, while the optimum pH for activity of acid phosphatase was about pH 5. The maximum activity of alkaline phosphatase was at 189 unit, but maximum activity of acid phosphatase was at 71 unit. As the result from above, we observed that alkaline and acid phosphatases funtion mainly in the alimentary tract and vitellaria. Echinostoma hortense performs the parasitism in the intestine of host by using proper isozyme of phosphatase.

      • Adriamycin이 랫트 신장조직의 Alkaline Phosphatase, Adenosine Triphosphtase와 Acid Phosphat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직화학적 연구

        배기원,양영철,하미혜 인제대학교 1987 仁濟醫學 Vol.8 No.2

        Anthracycline계 항암항생제인 adriamycin투여에 따른 랫트 신장 독성을 투여 시간 경과에 따라, alkaline phosphatase, adenosine triphosphatase와 acid phosphatase의 활성 변화로 관찰하였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riamycin on renal alkaline phosphatase, adenosin triphosphatase and acid phosphatase in rat.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administered with single dose of adriamycin, Img/kg, by the intravenous injection. The following result were obtained 1.Th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ppeared to be moderately decreased in the proximal convoluted tubules at the 8 hours. This decrease maintained by the second day and recovered to the normal state at the fourth day. 2.The adenosine triphosphatase activity appeared to be moderately increased in the proximal convoluted tubules at the 12 hours This increase maintained by the eighth day. 3.The acid phosphatase activity is moderately increased in the proximal convoluted tubules at the 4 hours. This in crease maintained by the 18 hours and recovered to the normal state at the first day.

      • 골절 환자 혈청내 Alkaline Phosphatase와 Osteocalcin의 변화에 관한 연구

        이호승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9 忠北醫大學術誌 Vol.9 No.2

        연구목적: 골절 후 비교적 측정이 용이한 골 형성 지표인 혈청 내 alkaline phosphatase와 osteocalcin의 변화를 분석하여 생화학적 측면에서 골절 치유 과정을 알아보고 이들이 골 형성 및 골 유합을 예측할 수 있는 객관적인 지표로 이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2예의 골절 환자에서 수상 직후, 수상 후 2주, 수상 후 4주, 수상 후 8주때의 혈청 내 alkaline phosphatase, bone specific alkaline phosphatase, osteocalcin 등의 골형성 지표의 증가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혈청 내 alkaline phosphatase는 수상 직후부터 오르기 시작하여 4주경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osteocalcin은 수상 후 1주 때부터 점차로 증가하여 8주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골절 치유 과정에서 혈청 내 alkaline phosphatase와 osteocalcin이 증가시기에 있어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먼저 골 기질이 성숙되는 시기에 alkaline phosphatase가 증가하고 이 후 무기질화가 진행되며 osteocalcin이 주로 발현되기 때문이며 이러한 골 형성 지표의 변화는 골절 치료에 있어 치료 방법을 결정하거나, 어떤 약물이나 치료 방법의 효과를 평가하는 또 다른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s of osteoblastic marker during fracture healing. Materials and Method: The study included 22 fresh fractured patients. Serum alkaline phosphatase, bone specific alkaline phosphatase and osteocalcin were analyzed at first day, 1st week, 2nd week, 4th week, and 8th week after injury. The bone specific alkaline phosphatase was quantified by electrophoresis. Osteocalcin was quantifi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Result: At the time of first week, second week, fourth week and eighth week after injury, mean values of serum alkaline phosphatase increased 1.26 times, 1.45 times, 1.63 times, and 1.2 times than values of first day after injury, respectively. During the same period, bone specific alkaline phosphatase increased 1.38 times, 1.33 times, 1.73 times and 1.25 times. And serum osteocalcins increased 1.32 times, 1.2 times, 1.64 times and 2.09 times than values of first day Conclusion: Serum alkaline phosphatase increased during early soft callus phase. But serum osteocalcins, a protein thought to be expressed only by osteoblastic cells, were not increased during soft callus phase but were increased during late hard callus phase during fracture healing. During the fracture healing, the differentiation of osteochondral progenitor cells into chondrocytes and osteoblasts is the first step. As being hypertrophy of these cells followed by mineralization of the cartilage, concomitant elevation of alkaline phosphatase level was known. As ossification proceeded, the expression of chondrocyte decreased, but expression of osteoblast increased. As woven bone converted to lamellar bone, expression of osteoblasts decreased. With further study, serum alkaline phosphatase and osteocalcin seemed to be useful prognostic indicators of fracture healing.

      • 골흡수 증가시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양성세포의 동태 : in Initial Bone Resorption after the Cortical Bone Defect

        손승원,김익동,채종민,곽정식,손태중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4 慶北醫大誌 Vol.35 No.1

        목적 : 골흡수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파골세포의 유래에 대하여 아직도 많은 논란이 있는 바 최근 tartrate 내성 acid phosphatase라는 효소가 파골세포와 그 전구세포를 인지 할 수 있는 표지자로 사용하게 됨에 따라 파골세포의 분화를 촉진시킨 경우와 억제시킨 경우에서 tartrate 내성 acid phosphatase의 양성세포의 동태를 관찰하여 그 세포의 유래와 골 표면에서의 파골세포의 형성과정을 알아보고저 한다. 대상 및 방법 : Sprague-Dawley계 흰쥐의 경골 앞쪽 전반을 실톱으로 골결손을 만들어 골흡수를 유도한 다음 파골세포의 전구세포로부터 다핵의 파골세포로의 융합내지는 분화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부갑상선 조직을 골결손 부위에 이식시킨 군과 반대로 파골세포의 분화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국소적 prostaglandin생산 억제제인 indomethacin을 체중 1㎏당 2㎎을 국소에 매일 주사한 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하였다. 골결손을 일으킨 후 제 1 일, 제 2 일, 제 3 일, 제 4 일 및 제 5 일에 경골을 절취하여 광학현미경을 위한 tartrate 내성 acid phosphatase (AcP)염색과 투과전자현미경을 위한 AcP의 조직화학적 염색을 하여 관찰하였다. 결과 : 골결손을 일으킨 후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은 대조군에서는 tartrate 내성 AcP양성의 단핵을 가진 파골세포의 전구세포가 골결손 제 1 일 후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제 2 일 째 가장 많이 나타났다. 제 3 일에서는 다핵을 가진 파골세포가 출현하기 시작하여 제 4 일 째 가장 많이 관찰되었으며 5일 후에는 파골세포의 숫자가 적어졌으며 골결손 주위에 신생 유골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파골세포의 전구세포가 나타날 때 골내막의 골아세포 아래 세포층에는 tartrate 내성 AcP음성이면서 단핵의 탐식구들도 많이 출현하여 골결손 제 2 일 째 역시 가장 않은 숫적 증가를 보였다. 이 후 점차 소실되었다. 그리고 골결손을 일으킨 후 부갑상선 조직을 이식한 실험군에서는 골결손 제 1 일 후부터 tartrate 내성 AcP양성의 단핵을 가진 파골세포의 전구세포들과 그 주위에 단구 또는 대식구의 탐식구들이 왕성하게 나타나기 시작하여 제 2 일 째부터 다핵을 가진 파골세포의 출현을 보이며 피질골의 골흡수가 많이 일어났다. AcP의 조직 화학적반응을 한 후 투과전자현미경적 관찰에서 파골세포의 전구세포나 다핵의 이미 형성된 파골세포에 새로이 다른 종류의 탐식구로 보이는 세포들과 밀접하게 접촉내지는 융합하는 과정을 시사하는 소견도 관찰할 수가 있었다. 그러나 prostaglandin의 생산 억제제인 indomethacin을 국소에 매일 주사한 군에서는 골아세포들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이어 파골세포들의 형성 및 활성화가 매우 적어 골흡수가 현저히 억제되었다. tartrate 내성 AcP양성의 단핵의 파골세포의 전구세포들이 골결손 제 3 일 후부터 매우 드물게 출현되었다. 결론 : 골조직 표면에서 파골세포의 전구세포들이 혈구세포인 단구 또는 대식구들과 융합이 이루어질 것으로 추측되며, 부갑상선 호르몬이나 prostaglandin 등의 골흡수 촉진 인자들이 파골세포내의 tartrate내성 AcP의 활성도를 증가시키기며, 단구나 대식구와의 융합을 촉진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골조직 표면에서의 파골세포의 분화 융합에는 골아세포가 어떤 인자를 분비하여 매개할 것으로 생각된다. An electron microscopic cytochemical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rigin of osteoclast and the mechanism for differentiation of osteoclast precursor around the bone tissue during bone resorption after cortical bone defect. In the present study an incomplete cortical defect was made in the tibial shaft of rats using a bone saw, and thereafter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cell population examined under two conditions. When transplantation of the parathyroid tissue was done into medullary cavity of the tibia. For the other condition, indomethacin, one of prostaglandin inhibitors, was administered daily at a dose of 2 ㎎/1 ㎏/day. The animals were sacrified at 1, 2, 3, 4 and 5 days after bone defect. The tibial bones were extirpated and examined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cells by light microscopy and ultrastructural acid phosphatase-cyto-chemical stud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 In the control groups, the first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positive nultinucleated osteoclasts appeared along the endosteal surface 3 days after bone defect, and the highest number of these cells was found 4 days after boine defect.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negative mononuclear cells also incerased 1-2 days before the formation of osteoclasts. In the parathyroid transplantation group, the osteoblast converted to stellate shape and the bone matrix was exposed. Formation of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positive osteoclast precursors and multinucleated osteoclasts was markedly incresed. There were findings that macrophage has fused with preexisting osteoclast. In the indomethacin group, on day 2, the osteoblasts did not observed shape change, and osteoclastic bone resorption was inconspicuous. The maturation of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positive osteoclast precursors was delayed. The results suggested that macrophages fuse with pre-existing osteoclasts and/or osteoclast precursors around the bone tissue, and the bone resorbing agents stimulate fusion of the osteoclast precursors into multinucleated osteoclasts as well as the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activity of the preosteoclasts. The osteoblasts seem to mediate formation of multinucleated osteoclasts around the bone surface.

      • SCOPUSSCIEKCI등재

        지속적 및 간헐적 가압력이 MC3T3-E1세포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송혜섭,경희문 대한치과교정학회 1996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6 No.4

        교정력에 의한 치아이동은 세포반응의 결과로 나타난다. 이에 힘의 양상에 따른 세포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MC3T3-E1세포를 24well 배양접시에 배양한 후 밀생상태가 되었을 때, incubator 속의 특수 제작된 사각상자에 배양 접시를 넣고 타이머에 연결된 Diaphram pump를 이용하여 300 gm/㎠의 압력을 10분간 가압후 10분간 가압이 중지되도록 한 간헐적 가압군과 지속적으로 가한 가압군으로 하여 각각 실험 24시간, 28시간, 72시간후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도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가압 24시간 후에서는 각 군간에 alkaline phosphatase 활성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가압 48시간 후에서는 간헐적 가압군과 지속적 가압군 모두 대조군 보다 alkaline phosphatase 활성도가 증가 되었다. 3. 가압 72시간 후에서는 간헐적 가압군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도 증가가 대조군에 비하여 더욱 현저하였으나 지속적 가압군에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가압 72시간 후에서는 간헐적인 가압군이 지속적인 가압군에 비하여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도가 증가되었다. 5. 가압에 의한 세포의 뚜렷한 형태학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The pro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 of cellular activity dependent on intermittent compressive force by determining th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was measured o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every 24, 48, 72hours. Experimental groups consisted of continous and intermittent compressive group which were compressed by 300g/㎠ of diaphram pump. The intermittent compressive group was connected by timer which was worked on 10 minutes an off 10minut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showed not significant difference at compressed 24 hours. 2. Th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f experimental groups were more increased than control group at compressed 48 hours. 3. Th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f intermittent compressive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d to control group. Whereby continuous compressive group showed not significant difference to control at 72 hours. 4. Th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f intermittent compressive group were stringly increased than continuous compressive groups. 5. Between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 no other morphologic changes were detected by microscopic findings.

      • KCI등재

        Phosphatase의 활성이 E. coli P90C의 β-galactosidase 생성에 미치는 영향

        최동원,심창환 한국식품영양학회 1995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8 No.1

        E. coli P90C 배양액중의 phosphatase는 ATPase로 대표될 수 있고 phosphatase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반응액과 30분이상 반응시켜야 안정된 발색도를 나타내었다. β-galactosidase의 생산을 위해 전배양에서 본배양으로 접종하는 시기는 phosphatase의 활성이 급증하기 직전(3hr)이 가장 좋았으며, 본배양에서 phosphatase 활성은 대수증식기에서 최고였으며, β-galactosidase가 생성되기 시작하면 phosphatase의 활성이 떨어지기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TPase was the most available phosphatase in culture broth of E. coli P90C. To measure the stable phosphatase activity it was necessary to react with reaction reagent over 30min and then we can get stable optical density at 410nm. Transfer time from preculture to main culture for the production of β-glactosidase was good after 3 hrs cultivation. Phosphatase activity was highest at log phase in main culture and as the cell begins to make β-galactosidase phosphatase activity begins to decrease.

      • KCI등재

        CTD 탈 인산화 효소의 기능과 역할

        김영준(Youngjun Kim) 한국생명과학회 2017 생명과학회지 Vol.27 No.3

        단백질 탈 인산화는 단백질 탈 인산화 효소에 의해 매개되는 과정으로 세포 생존에 매우 중요하다. 단백질 탈인산화 효소 중에서 최근 CTD (carboxy-terminal domain) 탈 인산화 효소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새로운 생물학적 역할이 밝혀지고 있다. 이 효소의 그룹에는CTD 탈 인산화 효소 1(CTDP1), CTD 소형 탈 인산화 효소1(CTDSP1), CTD 소형 탈 인산화 효소 2(CTDSP2), CTD 소형 탈 인산화 효소 유사(CTDSPL), CTD 소형 탈 인산화 효소 유사 2(CTDSPL2), CTD 핵 탈 인산화 효소(CTDNEP1) 및 유비퀴틴 유사 도메인 함유CTD 탈 인산화 효소 1(UBLCP1)들이 존재한다. CTDP1은 RNA 중합 효소 II (RNAPII)의 CTD의 두 번째 인산화 된 세린을 탈 인산화 시키고, CTDSP1, STDSP2 및 CTDSPL은 RNAPII의 CTD의 다섯 번째 인산화 된 세린을 탈 인산화 시킨다. 그리고 CTDSP1은 SMAD들, CDCA3, Twist1, 종양억제 단백질인 PML, c-Myc과 같은 새로운 기질을 탈 인산화 시키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CTDP1은 유사 분열 조절 및 암세포 성장과 관련이 있다. CTDSP1, CTDSP2 및 CTDSPL은 종양 억제 기능 및 줄기 세포 분화와 관련이 있다. CTDNEP1은 LIPIN1을 탈 인산화 시키고 핵막 형성과 관련이 있다. CTDSPL2는 조혈 줄기 세포 분화와 관련이 있다. UBLCP1은 26S 프로테아좀을 탈 인산화 시키고 핵 프로테아좀 활성 조절과 관련이 있다. 결론적으로, CTD 탈 인산화 효소의 새로운 기능과 역할은 최근의 연구에서 밝혀지고 있으며, 이 리뷰는 CTD 탈 인산화 효소의 새롭게 밝혀진 역할들을 요약하고자 정리한 것이다. Protein dephosphorylation is important for cellular regulation, which is catalyzed by protein phosphatases. Among protein phosphatases, carboxy-terminal domain (CTD) phosphatases are recently emerging and new functional roles of them have been revealed. There are 7 CTD phosphatases in human genome, which are composed of CTD phosphatase 1 (CTDP1), CTD small phosphatase 1 (CTDSP1), CTD small phosphatase 2 (CTDSP2), CTD small phosphatase-like (CTDSPL), CTD small phosphatase-like 2 (CTDSPL2), CTD nuclear envelope phosphatase (CTDNEP1), and ubiquitin-like domain containing CTD phosphatase 1 (UBLCP1). CTDP1 dephosphorylates the second phosphor-serine of CTD of RNA polymerase II (RNAPII), while CTDSP1, STDSP2, and CTDSPL dephosphorylate the fifth phosphor-serine of CTD of RNAPII. In addition, CTDSP1 dephosphorylates new substrates such as mothers against decapentaplegic homologs (SMADs), cell division cycle-associated protein 3 (CDCA3), Twist1, tumor-suppressor protein promyelocytic leukemia (PML), and c-Myc. CTDP1 is related to RNA polymerase II complex recycling, mitosis regulation and cancer cell growth. CTDSP1, CTDSP2 and CTDSPL are related to transcription factor recruitment, tumor suppressor function and stem cell differentiation. CTDNEP1 dephosphorylates LIPIN1 and is related to neural tube formation and nuclear envelope formation. CTDSPL2 is related to hematopoietic stem cell differentiation. UBLCP1 dephosphorylates 26S proteasome and is related to nuclear proteasome regulation. In conclusion, noble roles of CTD phosphatases are emerging through recent researches and this review is intended to summarize emerging roles of CTD phosphatases.

      • KCI등재

        건강한 폐경기 여성에서 Total Alkaline Phosphatase의 골대사 지표로서 유용성 연구

        양윤석 ( Yang Yun Seog ),박준숙 ( Park Jun Su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7

        목적 : Total alkaline phosphatase는 얼마 전까지 임상에서 이용할 수 있는 유일한 골형성 지표였으나 paget씨 병 등과 같이 골대사가 매우 증가되어 있는 질병이외의 골다공증 등의 질병에는 특이도 및 민감도가 떨어져 그 이용이 제한되어 왔다. 최근 뼈 특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Bone specific alkaline phosphatase (bALP)는 조골세포의 활성을 평가할 수 있어 골형성 지표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Total alkaline phosphatase가 bALP을 잘 반영하는 보고가 있어 간질환 등이 없는 경우 건강한 폐경기 여성에서 골대사 지표로 이용할 수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하였다. 연구 방법 : 혈중 Osteocalcin치와 Total alkaline phosphatase치 및 요중 Deoxypyridinoline 배설 량을 검사하였다. 골밀도 검사는 이중 에너지 흡수방사선계측기 (DEXA) 방식의 Hologic (R)사의 QDR-2000 (R) 기종으로 요추 부위 (L2-L4) 골밀도를 측정하여 골다공증, 골감소증, 정상골밀도 군으로 분류하였고 폐경상태에 따라 폐경전, 폐경주변기, 폐경후 군으로 구분하였다. 통계학적인 분석은 SPSSWIN 9.0을 사용하였으며 각 변수간의 상관분석 (Pearson correlation analysis)과 분산분석 (ANOVA test) 후 다중비교 (multiple comparison)를 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05 미만으로 하였다. 결과 : 골대사 표지물질 (DPD, OC, TALP)은 연령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요추 골밀도 (BMD)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가졌다. 골다공증군의 DPD, OC, TALP는 정상골밀도 군 및 골감소증 군보다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폐경후 군의 DPD, OC, TALP는 폐경전 군뿐만 아니라 폐경주변기 군보다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골대사 지표간에는 서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Total alkaline phosphatase는 연령 및 골밀도와의 상관계수 값이 Osteocalcin과 Deoxypyridinoline보다 높았고, 골대사 지표 서로 간에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어, 이와 같은 연관성으로 볼 때 검사 비용 및 효율성 측면에서 Total alkaline phosphatase을 골대사 지표로 고려할 수 있으며 향후 전향적인 방법에 의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Objective : Total alkaline phosphatase (TALP) has been common bone formation marker of managing individual cases of highly abnormal bone remodeling, such as paget`s disease. However, the lack of bone specificity of TALP balances such as bone loss resulting from postmenopausal estrogen deficiency and osteoporosis. This study investigated usefulness of TALP as a biochemical markers of bone turn over in healthy menopausal women. Methods : The levels of urinary deoxypyridinoline (DPD), serum total alkaline phosphatase (TALP), osteocalcin (OC) were determined. Bone mineral density (BMD) were also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We compared the biochemical markers of bone turnover and serum TALP among 3 group classified by menopausal state, and among 3 groups classified by WHO classification of osteoporosis. Also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bone markers with BMD and bone markers with age. Results : All biochemical markers of bone turnover (TALP, DPD, OC)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age.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Biochemical markers of bone turnover and spinal BMD (TALP; r=-0.440, p<0.01, DPD; r=-0.380, p<0.001, OC; r=-0.328, p<0.001, respectively). Biochemical markers of bone turnover (TALP, DPD, OC) in osteoporosis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steopenia and normal BMD group. The TALP significantly increased in osteopenia group compared normal BMD group but not DPD and OC. Biochemical markers of bone turnover (TALP, DPD, OC) were increased from premenopause to postmenopause.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PD and OC (r=0.365, p<0.001). TALP correlated well with DPD (r=0.490, p<0.001) and OC (r=0.433, p<0.001). Conclusion : Because of these association, we concluded that total alkaline phosphatase is a useful biochemical markers of bone turnover and reflects the bone turnover in healthy menopausal women characterized by more subtle remodeling imbalances such as bone loss resulting from postmenopausal estrogen deficiency and osteoporosis.

      • 생쥐 부정소 정자의 성숙과정에서 Phosphatase 활성도 변화

        김문규,윤현수,김종흡,김성례 한국통합생물학회 1990 동물학회지 Vol.33 No.1

        The change of phosphatase activities of the epididymal spermatozoa has been examined during epididymal maturation in mouse.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phQsphatase activities have been carried out using the method modified by Emst(1975). The results of experiment we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s. Total protein of the caput epididyrnal spermatozoa(CPS) was measured as 59.1 $\pm$8.4(mg/10 9 spermatozoa), and that of the cauda epididymal spermatozoa(CDS) was 14.0$\pm$12.3(mg/10 9 spermatozoa). When phosphatase activities of the CDS in basic reaction medium were 29.2% in alkaline phosphatase, 44.9% in ATPse and 53.8% in acid phosphatase. The activities were eminently decreased in all CDS in contrast to those of CPS. The alkaline phosphatase and ATPase activities of K+ -dependent were decreased in CDS when compared with caput epididymal spermatozoa, and alkaline phosphatase, ATPase and acid phosphatase activities of $Ca^2$+ -dependent were increased in homogenized spermatozoa when compared with intact spermatozoa. From these results,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decrease of phosphatases activities in spermatozoa during epididymal maturation may play some significant roles in acquiring fertilizing capability. 생쥐의 정자가 부정소에서 성숙하는 동안 Phosphatase 활성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효소의 활성도는 Ernst(1975)의 방법을 변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부정소으 두부내 정자와 미부내 정자으 단백질 함량은 각각 59.1 $\pm$8.4(mg/10 9 sperm), 14.0$\pm$12.3(mg/10 9 sperm)으로 나타났다. 기본 반응액에서 나타난 두부내 정자의 효소 활성도를 100%로 할 때, 미부내 정자의 활성도는 ALPase가 29.2%, ALPase가 44.9% 그리고 ALPase가 53.8%였으며, 초음파로 정자를 분쇄하였을 경우에 ALPase는 16.5%, ALPase는 33.3% 그리고 ALPase는 38.7%였다. 따라서 미부내 정자의 phoshatase 활성도는 두부내 정자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하였다. 그리고 부정소의 미부내 정자에서 K+ -dependent ALPase와 ALPase의 활성도는 두부내 정자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초음파로 정자를 분쇄하였을 때 $Ca^2$+ -dependent phoshatase의 활성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생쥐의 정자가 부정소에서 성숙하는 동안 phoshatase의 활성도가 감소하는 것은 성숙과정에서 정자가 수정능력을 획득하는 데 어떤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