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선거에 있어서 지방분권 실현 방안에 관한 연구

        권경선(Kwon, Kyoung-Sun)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18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18 No.2

        Whenever local elections are held, the local elections in the middle of the regime have been dominated by regime judgments. The same is true for this election. Indeed, local elections were dominated by local politics, and local elections were dominated by local politics. In the face of the fact that local autonomy is meaningless, many scholars are debating whether to abolish political nomination or at least to exclude it at the local level. However, there is still controversy about the view that party participation should be maintained because of the good functioning of the party. However, these problems are not caused by political parties participating in local elections, but are caused by opaque and undemocratic party nomination schemes, and by nomination methods that are monopolized by the central party only. Therefore, it needs to be developed into a bottom-up party system based on the region and residents, and it is a problem solved only when the party is decentralized. In fact, the views that claim abolition of party nomination also recognize the good function of party participation. However, there are many arguments that we should postpone political participation until our party culture and political consciousness mature. However, it is more fundamental to establish and build a system in which mature consciousness and culture are settled rather than choosing the next alternative while waiting for our political consciousness and political culture to mature. Specifically, the Election Commission should review whether the nomination is in line with the party nomination process. And the minimum requirements of the nomination procedure are not met, the Election Commission shall be authorized to refuse to apply for a candidate registration And each party should revise this law to specify naming procedures such as the method of competition, method of examination, and timing of nomination. We also need to revise relevant laws, such as the Public Election Law, to provide judicial remedies so that we can contest the nomination violations. And introduce a system of accountability to political parties to ensure that each party carries out rigorous verification of candidates. In order for local autonomy to be developed and decentralization to be practical, local elections should focus on local problems. In order to plan and implement appropriate policies for local conditions and the needs of residents, various political forces such as local political parties should be able to participate in local elec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se due process law and so on. May 2018. 6.13 Local elections will be a local election that will be hosted by local residents. 지방선거가 치러질 때마다 정권 중반에 있는 지방선거는 정권심판론이 대두되었다. 이번 선거도 마찬가지이다. 지방선거가 지방정부를 구성하는 축제이지만, 중앙 정치의 대리전과 같은 상황이 반복되어 오고 있다. 지방선거에의 정당참여로 인하여 지역주의구도가 심화되었고, 공천과정에서 공천헌금 등의 각종 비리가 발생하였고, 지역주민보다 당에 충성된 후보자들이 공천 되었으며, 지방선거가 중앙정치에 지배되고, 사실상 지방자치가 무의미해지는 현실 앞에서 많은 학자들은 정당공천을 폐지하거나 또는 최소한 기초자치단체 차원에서는 배제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정당참여가 가져오는 순기능이 있기에 정당참여를 유지하자는 견해가 계속 대립되어 오고 있으며, 여전히 이에 대한 논의가 정리되지 않은 상황이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들은 지방선거에 정당이 참여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가 아니라, 불투명하고 비민주적인 정당공천 방식, 중앙정당만이 독점하는 공천방식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인 것이다. 따라서 지역과 주민에 기초한 상향식 정당체제로 발전되어야 하며, 정당의 분권화가 이루어질 때 비로소 해결되는 문제이다. 사실 정당공천의 폐지에 대하여 주장하고 있는 견해도 정당참여의 순기능을 인정하지만, 우리의 정당문화와 정치의식이 성숙되기까지는 정당참여를 유예하여야 한다는 주장이 많다. 그러나 우리의 정치의식과 정당문화가 성숙되기를 기다리며 차선을 택하기 보다는 성숙한 의식과 문화가 정착되도록 제도를 마련하고 구축하는 것이 더욱 근본적인 방안이라고 생각된다. 구체적으로는 지방선거 공천과정이 투명하고 민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후보자의 추천이 정당 공천절차를 준수하였는지를 검토하고 공천절차의 최소한 기본요건을 갖추지 않은 경우에는 후보자등록신청의 수리를 거부할 수 있는 심사권을 선거관리위원회에 주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각 정당은 공천절차 즉, 경선방식, 심사방식, 공천완료시기 등을 명문의 규정으로 구체화하도록 정당법을 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당규에 위반한 공천의 효력을 다툴 수 있는 사법적 구제절차를 마련하여야 하고 또한 공천절차를 정한 당헌 당규에 대한 위헌심사가 가능하도록 공직선거법 등의 관련 법률을 개정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정당이 공천후보자에 대한 엄격한 검증을 하도록 공천에 대한 정당의 책임관리제를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지방자치가 발전되고 지방분권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지방선거가 지방의 문제에 집중함으로 지방정치의 본질적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것이 요구 된다. 그리고 이러한 지방의 상황과 주민의 요구에 대응하는 적절한 정책을 계획 하고 시행하기 위해서는 지방정당 등 다양한 정치세력이 지방선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정당법 등을 속히 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여성 지방의회의원의 정당공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공천자·낙천자 간의 경쟁력 인식을 중심으로

        조양민 ( Jo Yang Min ),남재걸 ( Nam Jae Geol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7 地方行政硏究 Vol.31 No.2

        Most studies on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are approaching from an institutional point of view. However, in the view that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is determined by their own capacity, we tried to analyze women`s nomination determinants from the viewpoint of integrating elitism theory, rational choice theory, agent theory, and new institutionalism theory.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178 former and current female local councilors who had party nomination experien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candidate nominated by a party is younger than a failure in an nomination, has more wealth, and is more active in party activity. Second, age, wealth, political career, counselor`s career, morality, achievement desire, leadership, and party contribution were found to be the determinants of nomination. These results confirm that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can be explained by various theories such as elite theory, rational choice theory, and agent theory as well as new institutionalism theory. In addition, it psychological capacity building such as morality and leadership, As well as to the extent that it is necessary to do so.

      • KCI등재

        정치 참여를 통한 여성의 정치 세력화에 대한 고찰

        김형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8 여성학논집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litical strengthening of women on the basis of their political participation. This study assumes that political attitudes of individuals influence political participation, and that the political participation has direct effects on the political strengthening of women. It also assumes that the political strengthening of women influences gender consciousness and women policies, and ultimately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female voters.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which was based on data collected in the 2002 presidential election, the 2004 National Assembly election, and the 2006 local election, there a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of political attitudes between males and females. First, female voters have been inclined to be more moderate than male voters in terms of political ideology. For female voters, the portion of moderates was only 22.2% in the 1997 presidential election. However, it expanded to 47.1% in the 2006 local election. Second, male voters has more 'strata' with an active interest in the election than the female voters. For male voters, the portion of activists who were much concerned with the election was 50.1% in the 2002 presidential elec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only 37.2% for the female voters. Third, the male voters have stronger political efficacy than the female voters. For example, 40.4% of the male voters had a strong political efficacy that means political confidence in the 2004 National Assembly election, whereas the percentage for the female voters was 33.8%. Especial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2006 basic local election, female voters did not vote for the female candidate because she was the same gender.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solutions for strengthening the political forces of women; reinforcing ideological inclination, raising political interest, and enhancing political efficacy. In addition, it suggests not only the need for reinforcing the speciality of women politicians but also introducing the 30% nomination quota system for women candidates in regional districts. 본 연구의 목적은 정치 참여를 통한 여성의 정치 세력화를 고찰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정치 태도가 정치 참여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정치 참여는 여성의 정치 세력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한편, 이러한 정치 세력화는 여성의 정치의식과 여성 정책 수립에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여성의 정치 참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치 참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정치 이념, 정치 효능감, 정치 관심 등 정치 태도에서 남녀 간에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를 경험적인 자료를 통해 고찰한다. 대선, 총선, 지방선거 등 전국 선거 직후 실시된 각종 국민의식조사에서 수집된 실증적 자료들을 활용해 남여의 정치 참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첫째, 남성보다 여성의 ‘이념적 중도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둘째, 남녀 간에 선거 관심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남성들이 여성보다 ‘적극적 선거 관심층’이 많았다. 셋째, 남성이 여성보다 남성이 정치 효능감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적 분석을 토대로 여성의 정치 세력화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사회화 과정을 통한 여성 유권자들의 정치 이념 성향을 강화시키고, 여성들의 선거 및 정치 관심을 높이며, 정치 효능감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이외에 여성 정치인의 전문성을 강화시키고, 동시에 ‘지역구 여성 후보 30% 할당제’를 법제화 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후보

        여론조사 공천이 정당 정치에 미치는 영향

        문우진(Woo-Jin Moon)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1 사회과학연구 Vol.50 No.1

        이글의 목적은 위임문제라는 분석틀로 여론조사를 통한 후보자 결정방법의 문제점들을 논의하고, 여론조사 정당공천이 초래하는 효과들을 설명하는 것이다. 이글은 먼저 여론조사 공천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부정적인 측면들을 정치적인 문제와 방법론적 문제로 설명한다. 다음은 여론조사 공천이 가지고 있는 간접적인 파급효과에 대한 이론적인 논의를 제시한다. 이글은 여론조사 공천 방법이 정당을 약화시키고 인물투표를 촉진시킨다고 주장한다. 이글은 또한 여론조사 공천이 위임실패, 정치거래의 시장거래화, 정치참여의 감소 및 불평등한 정치참여 촉진, 그리고 책임정치의 약화라는 문제들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The goals of this paper are to discuss the problems of the candidate selection method using public opinion polls with an analytical framework of the delegation problem, and to explain the effects of public poll nominations. This paper first explains negative aspects of poll nominations in terms of political and methodological problems. Next, this paper offers a theoretical discussion of the indirect ripple effects of the poll nominations. This paper argues that poll nominations weaken political parties and facilitate the personal vote. This paper also points out that poll nominations could cause delegation failure, marketization of political transaction, a decrease in political participation, facilitation of unequal political participation, and weakening of responsible politics.

      • KCI등재

        지방정치와 정당의 역할 : 연구의 범위와 쟁점

        김용복(Kim Yong Bok) 한국지역사회학회 2009 지역사회연구 Vol.17 No.4

        The local self-governing has an aspect of citizen-direct participation and local political aspect of an authoritarian allocation function for social values. An autonomous local politics is essential for development and establishment of democracy in Korea. The local politics includes various aspects such as central-local government relations, local government-assembly relations, local election, and citizen-direct participation. The party participation has merits and demerits on the development of local autonomy. For example, The 5.31 local election in 2006 was just like the proxy war of central political parties. The public nomination system of political party in this local election was expanded into the local assembly election of the base local government. which caused many negative effects. Many scholars insisted the party exclusion in local election. Instead, this study claims that the roles of party are very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politics, so the democratization of the political parties is essential to the local self-government development.

      • KCI등재

        지방선거 정당공천제의 한계와 과제 - 지방의회의 활성화를 중심으로 -

        육동일 한국지방자치학회 2006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18 No.1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new local election system by seeking solutions for more effective and democratic public nomination of the political party of local councilor. The success of local autonomy depends on the right local elections. However, the elections executed during the 1950s and four times local elections executed since local autonomy system has been reimplemented were not proper, owing to political party's lacking willingness for clean election, distorted public nomination system, and immature citizenship so far. Under the revised new election law passed by Nation Assembly unilaterally, not only the local councils but local autonomy will be subordinated to political parties which can't be seen still the democratic parties.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ublic nomination of political party of basic-level local councilors should be excluded in 2006 local election in the last way at least. In the long run, the exsiting simultaneous local election must be separated in two different days, and that public nomination of political party should be eliminated in basic-level local elections while public nomination of political party can be permitted in wide-level local elections.

      • KCI등재

        국어 명사화된 절과 관련된 단위에 대한 연구 - 언어 유형론적 연구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김건희(Kim, Keon-hee) 우리말글학회 2022 우리말 글 Vol.92 No.-

        본 연구의 목적은 명사화된 절(nominalized clause)의 대표적인 유형인 ‘것’ 구문에 대해 범언어적인 관점의 문법 단위들인 내핵 관계절, 핵없는 관계절 등 관계절 부류와의 연관성과 변별성을 고찰하고 한국어 명사화된 절을 명사구로 보아야 하는지 아니면 보절로 보아야 하는지도 논의하여 궁극적으로 국어 명사화된 절의 범언어적인 정체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첫째 본 논의에서는 관형사절과 명사절이 명사화된 절(nominalized clause)이라는 포괄적인 단위로 언어보편적인 관점에서 논의되고 있음을 보였고 국어에서도 다양한 내부 구조를 가진 절들을 명사화된 절로 포괄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특히 핵없는 관계절 및 내핵 관계절의 경우, 일반 ‘관형사절+것’ 구성 관점에서 분석하기보다는 ‘명사화된 절’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 더 설명적이라는 점도 주장하였다. 둘째 주지하다시피 다양한 절들은 ‘사건(event)’, ‘개체(entity)’를 나타내는 중의성을 보인다. 그러나 ‘개체’를 나타내는 경우도 결국 사건과 관련한 ‘개체’를 나타낸다는 것을 고찰하였고 따라서 관형사절로서 피수식어를 제한한다는 관점보다는 ‘명사화’ 관점에서 ‘명사화된 절’로 보아야 그 중의성을 적절하게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중의성에 대해 살펴보면서 국어 명사화된 절의 부류에서는 ‘-음, -기’ 명사절이 아니라 ‘것’ 구문이 대표형이라는 점도 재확인하였다. 셋째, Dryer(1985/2007), Dixon(2006), Noonan(1985/2007) 등을 토대로 이질적인 내부 구조를 가진 국어 명사화된 절의 경우 보절보다는 명사구로 포괄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presentative type of nominalized clause, ‘ges’ construction and the related language-typological category, ‘internally headed relative clause, headless relative clause’ and also establish the language-universal status of the Korean nominalized clause by studying whether the Korean nominalized clause is complement clause or noun phrase. There is exhibited that the nominalized clause embrace the various relative clauses and noun clause in the basis of language typology, in particular, even internally headed relative clause, headless relative clause must be considered as nominalized clause, not ‘relative clause+ges’ The clauses show ambiguity, ‘event’ or ‘entity’ but even if a clause exhibits the entity, the entity is related with event, so the ambiguity is suitably explained in the viewpoint of nominalized clause, not relative clause which restrict an inferred head. Additionally in studying these ambiguities, there is confirmed that the ‘ges’ construction is the representative type of nominalized clause, not ‘-eum’, ‘-ki’ noun clause. The Korean nominalized clause which has different inner construction can be subsumed under the noun phrase, not complement clause in the basis of Dryer(1985/2007), Dixon(2006), Noonan(1985/2007).

      • KCI등재

        대기업 사무직 종사자가 인식한 의사결정 참여,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 및 비판적 성찰 업무 행동의 조직문화 프로파일에 대한 영향 관계

        최지원,정진철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2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leader-member exchange, and critical reflective work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ulture profiles in Korean conglomerates. The data were collected by mail, e-mail and visiting. A total of 379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from 36 corporations, of which 354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Both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To investigate organizational culture profiles and its relationship with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leader-member exchange and critical reflective work behavior, K-cluster group analysis and multi-nominal logistic analysis were used. An alpha level of 5% was established prior for determining significa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leader-member exchange, and critical reflective work behavior were moderate. Among organizational culture, clan, adhocracy, market culture were moderate and hierarchy was high. Second, four organizational culture profiles(powerfully balanced culture, hierarchy oriented culture, market oriented culture, and moderately balanced culture) were identified in Korean conglomerates. Third,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had a high probability to predict powerfully balanced culture than hierarchy oriented culture and market oriented culture. Fourth, leader-member exchange had a high probability to predict powerfully balanced culture than hierarchy oriented culture and moderately balanced culture. Fifth, critical reflective work behavior had a high probability to predict powerfully balanced culture than moderately balanced culture.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기업 조직문화의 프로파일을 분석하고, 조직문화 프로파일과 의사결정 참여,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 및 비판적 성찰 업무 행동의 관계를 구명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대기업 사무직 종사자 500명을 표본으로 하여 354개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활용하여 군집분석, 다항 로지스틱 분석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대기업 사무직 종사자가 인식한 의사결정 참여,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 비판적 성찰 업무 행동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고, 조직문화 중 관계지향문화, 혁신지향문화, 시장지향문화는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위계지향문화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리나라 대기업 조직문화는 4개의 조직문화 프로파일(강한균형문화, 위계지향문화, 시장지향문화, 보통균형문화)로 군집화 되었다. 셋째, 의사결정 참여가 1수준 증가할 때 조직문화 프로파일 2(위계지향문화)보다 조직문화 프로파일 1(강한균형문화)을 0.634의 확률로, 조직문화 프로파일 3(시장지향문화)보다 조직문화 프로파일 1(강한균형문화)을 0.735의 확률로 더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가 1수준 증가할 때 조직문화 프로파일 2(위계지향문화)보다 조직문화 프로파일 1(강한균형문화)을 0.950의 확률로, 조직문화 프로파일 4(보통균형문화)보다 조직문화 프로파일 1(강한균형문화)을 0.954의 확률로 더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비판적 성찰 업무 행동이 1수준 증가할 때 조직문화 프로파일 4(보통균형문화)보다 조직문화 프로파일 1(강한균형문화)을 0.977의 확률로 더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대기업 조직문화의 프로파일 규명과 조직문화 프로파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규명을 통해, 현재 조직이 처한 조직문화에서 조직의 유효성을 높일 수 있는 조직문화 구축을 위해 필요한 개입이 무엇인지에 대해 시사한다.

      • KCI등재

        미국 코커스제도의 이상과 현실적 한계: 한국적 함의

        임성호 세종연구소 2014 국가전략 Vol.20 No.3

        The caucus system, a method to nominate major parties' presidential candidates in some U.S. states, has not much attracted Koreans' attention. In contrast, its more popular alternative, the primary system, has been at the center of recent academic as well as political debates in Korea. This article examines the theoretical ideal and real-life problems of the relatively unfamiliar caucus system and attempts to find comparative implications for reforming the Korean party candidate nominating process. Main arguments are twofold. First, the U.S. caucus system reflects the ideal principles of grass-roots participation and public deliberation, but in reality is marred by such flaws as low participation, distorted popular will, and lack of genuine deliberation. Second, considering the caucus system's experiences, a secret-ballot primary that opens the candidate nominating process to general constituents seems more desirable in Korean contexts. A caucus featuring public deliberations and open votes by active participants is instead more adequate to forming in-party or society-wide discourses on campaign promises or policy proposals. 이 글은 그간 큰 주목을 받지 못한 미국 코커스제도의 이론적 취지와 현실적 한계를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에는 어떠한 모습의 당내 경선제도가 적절할지 탐색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핵심 주장은 둘로 정리된다. 첫째, 미국 코커스제도는 풀뿌리 참여와 공적 숙의의 접목이라는 이상을 반영하고 있지만 현실상 참여의 저조, 민심의 왜곡, 진정한 숙의의 부재 등 여러 문제점을 노정하고 있다. 둘째, 미국 코커스제도의 경험을 미루어볼 때 한국의 개방적 정당공천은 일반유권자 중심의 비밀투표인 프라이머리 방식을 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극적 참여자 간의 공개토의 및 공개표결 방식인 코커스제도는 후보선출보다는 정책현안과 선거공약에 대한 정당 내 혹은 사회적 공론을 형성하는 데 더 적절해 보인다.

      • KCI등재후보

        정당공천의 민주화와 투명성 제고방안에 대한 재조명

        조재현(Cho Jae Hyun) 한국부패학회 2006 한국부패학회보 Vol.11 No.2

        According to the article 8, clause 2 in Korean Constitution, Political Party Act article 29 and Public Office Election Act article 47, Korean political party's candidate nomination should be performed democratically. Despite the existence of Korean Constitution, Political Party Act and Public Office Election Act, the reality of the nomination procedures in Korea is far away from these laws, and the political party representatives has forced the nomination of candidates. As a result of undemocratic process of political party's candidate nomination, corruption in election is prevalent, including a large donation to political funds. This paper has focused on the candidate nomination system of political parties including the new system of citizens' participation in election process (to nominate candidates) and to conclude, the proper methods to guarantee a democratic process of political party's candidate nomination are suggested here, (ⅰ) a direct election by party members, (ⅱ) citizenry's opposing to nomination, (ⅲ) the exclusion of candidate nomination by political parties in a local el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