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arenting as a Two-way Street

        Hwayeon Helene Shin(신화연)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5 이화젠더법학 Vol.7 No.3

        호주 최대의 아동 종단연구, Growing Up in Australia: the Longitudinal Study of Australian Children (LSAC)의 1회차부터 5회차 인터뷰 데이터[2004 (4~5세) 2012 (12~13세)]를 이용해, 아이들의 교우 괴롭힘양상(bullying status), 따돌림(victimisation)과의 관계 그리고 그들의 부모의 자녀양육형태(parenting practices)의 상관관계의 추이를 살펴보았다. 먼저 3,630명의 아이들을 그들의 괴롭힘 형태에 따라 네 그룹으로 나누었다. 1) 5회차의 인터뷰동안 다른 아이들을 거의 괴롭히지 않았다고 보도된 집단 (기준집단, No bullying group), 2) 처음 3회차까지는 괴롭힘양상을 보였으나 최근에는 괴롭힘 행위를 중단한 집단 (중단집단, Stopped bullying group), 3) 처음 3회차까지는 괴롭힘 양상을 거의 보이지 않았지만, 최근에 괴롭힘 행위를 보이기 시작한 집단(부상집단, Emerging bullying group), 그리고 마지막으로 4) 거의 모든 회차 인터뷰에서 다른 아이들을 괴롭혔다고 보도된 집단 (지속집단, Persistent bullying group)이다. 75%의 아동들이 기준집단에 속했고 부상집단은 가장 빈도가 적은 집단으로 26명이 배정되었다. 지속집단의 아이들은 다른 집단의 아이들에 비해 따돌림을 당하는 사례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 집단의 아이들은 기준집단에 비해 지속적 따돌림의 희생자가 될 확률이 8배 이상 높았다. 부모의 자녀양육형태 역시 아이들의 괴롭힘 양상과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나아가 자녀양육이 일방적이라기보다는 아이들의 행동과 부모의 양육형태가 상호반응적임을 암시했다. 즉, 양육괴롭힘의 상관관계가 자명한 한편, 아이들의 행동이 오랫동안 개선되지 않았을 때, 부모의 양육형태 역시 악화되는 경향이 있었다. 지속집단의 부모는 다른 집단에 비해 바람직하지 않은 양육형태를 보였고 (기준집단과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애정과 일관성; 높은 수준의 적대성) 특히 적대적 양육태도는 회차가 거듭될수록 악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지속집단의 부모는 자녀양육효율성(parenting efficacy)에 대해서도 스스로 낮게 평가했다. 중단집단 부모의 자녀양육과 자녀교육효율성은 지속집단과는 다르게 회차가 진행됨에 따라 개선을 보였다. 자녀양육은 누구에게나 도전이다. 특히 요즘같이 괴롭힘과 따돌림이 이슈화되고 있는 세태에 부모의 염려와 자녀를 따돌림이나 괴롭힘의 폐해로부터 보호하려는 열망은 이해할 만 하다. 그러나 Patterson(1982, 1986)이 말했던 것처럼 따돌림과 괴롭힘은 집에서 시작된다는 말에 주목해야겠다. 결국 이러한 행동은 인간상호작용의 문제점의 발현이라는 데 많은 사람이 동의하고 있기 때문이다(e.g., Pepler et al., 2008). 바람직하지 못한 자녀양육형태와 자녀의 반사회적 행동의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수 있는 지역사회 중재 프로그램 및 자녀양육 훈련의 중요성이 논의되어야 할 시점이다. Using the data from Growing Up in Australia: the Longitudinal Study of Australian Children (LSAC) Waves 1 to 5,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or continuity in children’s bullying behaviours and parents’ parenting practices. Children were assigned to one of four groups: No bullying group (i.e., children who did not bully others across all or 4 waves); Stopped bullying group (i.e., children who did not bully others for the last 2 waves although they did at least twice in first 3 waves); Emerging bullying group (i.e., children who bullied others in the last 2 waves although they did not bully or bullied just once in the first 3 waves); and Persistent bullying group (i.e., children who bullied others across all or in 4 waves). Children in the Persistent bullying group were more likely to be victimised by their peers compared to other groups while those in the No bullying group were least likely to experience victimisation among the four groups. The results of this paper support the reciprocal nature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in the context of child bullying status over eight years; that is, parents’ parenting practices were associated with children’s bullying statuses and, at the same time, the children’s constant engagement with bullying behaviours deteriorated parents’ parenting practices and their efficacy as a parent. Parents with children in the Persistent bullying group displayed the poorest parenting patterns across waves (i.e., relatively low parental warmth/low parental consistency/high parental hostility). In contrast, parents with children in the No bullying group showed more adaptive parenting patterns (i.e., high parental warmth/high parental consistency/low parental hostility). Children’s bullying statuses were also related to parents’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efficacy was lowest for parents of children in the Persistent bullying group while those of children in the No bullying group scored higher parenting efficacy compared to other groups. Children in the Stopped bullying group were differentiated from those in the Persistent bullying group in the context of victimisation experiences, the hostile and consistent parenting they received from their parents and their parents’ parenting efficacy in the later waves.

      • KCI등재

        중년 성인 원가족의 부모자녀관계가 자기효능감, 자녀양육과 노부모부양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

        박영신,안자영,남인순,유효숙,이영남,차연실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4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orean adults' perception of parent-child relation on their self-efficacy, child rearing practices, elderly parent care practices, and happiness. In this study the parent-child relation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adults' parents and the adult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adults (2,632; male=1,275, female=1,357) with children in primary, secondary, and/or university, with an average age of 45.44-years-old (male=46.96-years-old, female=44.10-years-old). The results showed a direct influence of the adults' perception of parent-child relation on their self-efficacy and their child rearing practices, and an indirect influence on their happiness. This indicates that a more positive adult's perception of parent-child relation leads to higher self-efficacy and greater devotion to their child rearing practices. And furthermore, an elevated self-efficacy enhanced their happiness.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for the influence of adults' perception of parent-child relation on elderly parent care practices. For Korean male adults, a more positive perception of parent-child relation lead to a more active participation in elderly parent care practices. However, for Korean female adults no direct influence was found. Based on these results, a discussion of the influence of adults' perception of parent-child relation on the adult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family-members relationships is provided.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중년 성인 원가족의 부모자녀관계가 성인의 자기효능감, 자녀양육과 노부모부양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초, 중, 고, 대학생 자녀를 둔 성인 2,632명(남 1,275명, 여 1,357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45.44세(남 46.96세, 여 44.10세)였다. 분석 결과, 원가족의 부모자녀관계는 성인의 자기효능감과 자녀양육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었고, 행복에 대해 간접적인 영향이 있었다. 즉 원가족의 부모자녀관계를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자기효능감이 높고, 자녀양육에 헌신적이었으며, 높아진 자기효능감은 행복감을 증진하였다. 원가족의 부모자녀관계가 노부모부양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로 차이가 있었다. 남자는 원가족의 부모자녀관계를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노부모부양에 적극적이었으나, 여자는 직접적인 영향이 없었다. 이러한 결과에 토대하여 원가족의 부모자녀관계가 중년 성인의 심리특성 및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농촌지역 결혼이민자의 양육행동에 관한 인과모형 탐색

        김도희,박영준,이경은 한국농촌사회학회 2007 農村社會 Vol.17 No.2

        경북 농촌지역의 결혼이민자와 이들의 자녀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농촌지역 결혼이민자가 가질 수 있는 양육과 관련된 어려움에 도움을 주고자 양육에 관련된 변인 즉 사회적 지지,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에 관한 요인들을 살펴보고, 이들의 인과관계 모형이 성립되는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경북 농촌지역 결혼이민자 102명을 본 연구의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회수된 질문지는 상관관계분석 및 공분산 구조분석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농촌지역 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지지,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간에 상관관계가 있으며 특히 사회적 지지는 양육효능감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나, 사회적 지지와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과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농촌지역 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지지,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의 인과모형으로 살펴보면 연구의 직접적 효과는 사회적 지지,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양육행동이 상호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적 지지는 양육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며, 양육효능감을 통해 과잉반응과 방임을 감소시키는 간접적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The foreign wive and their child in Kyung- Buk province has been increasing. However, they has many difficulties to settle down in korea due to communication, culture and economy issues as well as racism and prejudgement in Korea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invested on examining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ir social support,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dysfunction discipline practice for helping their parenting well. 102 foreign wive having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EM(Structural Equation Model) by the AMOS 5.0 Program.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ocial support,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dysfunction practice. Especially, social support positively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parenting efficacy but social support negatively relationship with parenting stress, overactivity , laxness. second, regarding path analysis of effect on social support,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practice, direct effect has correlation between them. More detail, social support has negatively correlation with parenting stress reducing and it shaw indirect relationship with overactivity , laxness reducing through parenting efficacy.

      • KCI등재후보

        부모효능감 및 부모역할수행이 아동의 문제행동과 내면적 증세에 미치는 영향: 이혼가정과 양부모가정의 학령기 아동에 관한 연구

        이혜승,이순형 한국인간발달학회 2003 人間發達硏究 Vol.10 No.1

        Using a sample of 248 school-aged children and their mothers,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of parental efficacy and practices between divorced and non-divorced mothers. Also, this study examine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internalized symptom of children from divorced and non-divorced families. Results suggest that divorced mothers have lower parental efficacy and show more authoritarian parenting practices than non-divorced mothers do. Generally, children from divorced families show more adjustment problems than children from non-divorced families. Differences in children's adjustment problems between divorced and non-divorced families can be explained by parental efficacy and practices. Discuss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addressed.

      • KCI등재

        몬테소리 일상생활영역 중심 부모교육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과 부모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성명위(Seong, Myoung-Wui),박화윤(Park, Wha-Yo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몬테소리 일상생활영역 중심 부모교육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과 부모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실험과 통제집단 각각 유치원 만 3세반 유아와 그들의 부모 20명씩으로 총 유아 40명과 부모 40명이다. 부모교육은 9개 주제로 강의, 모둠별 발표 및 토의, 극놀이, 시범 등의 교수 학습방법과 평가로 구성하고 각 주제는 일주 단위로 2시간씩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가정에서는 물론 유치원에서의 유아기본생활습관과 부모의 양육효능감의 증진에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부모가 가정에서 자녀에게 직접 실행하고 지도할 수 있는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부모역할능력을 기르기 위해 반성적 사고와 실재 경험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부모교육운영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Montessori practical-life-centered parent education effects the basic life habits of 3-year-old children as well as their mothers" parenting efficacy.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children and their 40 mothers at D kindergarten in J city in Jeonbuk provinc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20 one serving as experiment group and one as the control group. The tool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rating scales of basic life habits(National Board of Educational Evaluation, 1995) and parents" parenting efficacy(Choi Hyngsung & Jeong Oakbun, 2001). The parents" education, two hours each session, was implemented a total of nine time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COVA using SPSS 18.0 program. This study found that Montessori practical-life-centered parent education was effective at improving children"s basic life habits and their parenting efficacy. These results could be utilized with teaching sources for parents who train the basic life habits of their children, and also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resources for the parent education of childhood education centers.

      • KCI등재

        사회적지지가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양육방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부모효능감을 중심으로 -

        정명희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8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이 자녀양육에 있어 긍정적이고 효율적인 양육방식을 택하는데 사회적지지가 양육방식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 결혼이주여성의 양육방식과 사회적지지 간 그리고 부모효능감 간의 매개적인 경로와 인과관계를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210명의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자료에 기초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지지는 자녀양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온정적인 자녀양육은 부모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회적지지를 받는 결혼이주여성들은 부모효능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녀양육에 있어 온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가 의미하는 것은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지지가 자녀양육에 긍정적이고 효율적인 양육태도를 보였으며, 자녀의 양육에서 부모효능감이 높게 나타나 자녀와의 상호교류가 잘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저출산 고령화의 한국적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차세대 주역이 될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교육과 양육에 관한 정부의 지원책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Result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210 immigrant women perform an empirical analysis based on survey data, The result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of immigrant women,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child-rearing.Second, compassionate parenting, parent effic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Third ,marriage migrant women receiving social support, parenting parents showed higher efficacy, showed a compassionate attitude. Immigrant women's social support means that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showed a positive and effective parenting attitudes, and child throat-efficacy of parents in the rearing of the children show a higher mean what is the interaction of children and well done. Therefore, it suggested to be the protagonist for the next generation of Korean society to solve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degree on parenting and education of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need the government's support.

      • KCI등재

        실천공동체에 기반을 둔 부모교육 프로그램 운영모델의 개발 및 적용

        이성아(Yi, SungA),정효정(Hyojung Jung) 한국가족학회 2016 가족과 문화 Vol.28 No.2

        본 연구에서는 실천공동체에 기반을 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운영모델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천공동체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부모교육 프로그램 운영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전문가 검토를 통하여 타당화하였다.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총 107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운영하였으며, 프로그램 운영모델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양육 스트레스, 부모 효능감, 가족관계 건강에 대한 사전-사후 검증,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참가자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실천공동체 기반 부모교육 프로그램 운영모델은 첫째, 참가자들의 양육 스트레스를 낮추고, 부모 효능감과 가족관계 건강을 증진시키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프로그램 운영모델은 참가자들이 자기 탐색의 기회, 관점 전환의 기회를 마련해줌으로써 근본적으로 양육 문제, 관계 문제를 개선해나가는 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of parent education program based Community of Practice(CoP) and to analyze of outcome of the model. Through the preceding research, the model was developed and verified by expert-opinion data. The parent education model were implemented to 107 participants. The effects of the developed program were analyzed using experimental studies of pre-post test. The program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ing Stress, Parent efficacy, Family Strengths. The model showed that improve parenting problems, relationship problems by providing the opportunity of self-exploration, and the chance of switching the perspective on the famil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중년 남성과 여성의 부모와의 친밀성이 노부모수발실천의지에 미치는 영향

        신성자(Sung Ja Shin),이원준(Won June Lee) 한국노인복지학회 2012 노인복지연구 Vol.0 No.56

        본 연구는 중년남성(318명)과 중년여성(456명)을 연구대상으로, 노부모 ``수발실천의지``의 관련요인을 탐색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Amos와 Mplu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성별비교를 위한 다집단분석(multi-group analysis)의 선행조건인 측정동일성(measurement invariance test)이 기각되어, 남성집단과 여성집단의 모형을 별도로 분석하여 인과관계를 제시하였다. 표본의 남성과 여성이 척도의 내용을 동일하게 지각하지 않는다는 것은, 사회문화적 규범이 성별 간의 지각형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해주는 측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분석결과, ``친밀성``은 ``수발실천의지``뿐만 아니라, ``정서적 수발헌신``과 ``수발효능감``에도 정적직접효과를 미쳤다. ``정서적 수발헌신``과 ``수발효능감``은 부모와의 ``친밀성``이 ``수발효능감``에 정적 효과를 미칠 때, 각각 유의한 매개역할을 하였을 뿐 만 아니라, 매개의 매개효과인 이차매개(second order mediator) 역할을 하였다. 주요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는 남성집단과 여성집단 모두 상당히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성인자녀의 부모와의 ``친밀성``은 성인자녀들이 노부모를 위해서 수발을 실천하려는 의지를 갖게 하는데 강력한 동인이 될 뿐 만 아니라, ``정서적 수발헌신``과 ``수발효능감`` 향상에도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주요 발견점을 토대로 젠더를 초월한 성인 아들 딸들의 노부모 수발 역할공유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모색을 논의하였다. With increasing social issues of related to the provision of care-giving services for the elderly who can not perform activity of daily living,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n the willingness of adult-children to provide care-giving services for their parents and its correlates. The primary concerns of the study focus on: (1) the direct effects of the individuals` intimacy toward the parent on their willingness to perform care-giving practices, their emotional commitment to care-givng, and efficacy in care giving roles; (2) the mediating effects of an individual commitment to care-giving and their self-efficacy for care-giving roles on their willingness to provide care-giving practice resulting from their intimacy towards their intimacy towards their parents;(3) the second order mediating effects of the two mediating variables. Research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with middle aged married males(318) and females(456) who have at least one living parents, residing in Daegu or Kyungpook province. In order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is explored. Total indirect effect, each individual mediator`s effect and the second order effect of two mediators (emotional commitment to care-giving and self efficacy of care-giving roles) are verified based on bias-corrected bootstrapping analysis using Mplus.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study finding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