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학생 부모의 부모참여에 대한 국내,외 문헌 분석

        양소현 ( So-hyun Yang ),이미숙(교신저자) ( Mi-suk Lee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6 열린부모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장애학생 부모의 부모참여(parent involvement)라는 주제로 국내ㆍ외에서 이루어진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국내ㆍ외학술연구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1992년도 이후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를 대상으로 "부모참여(parent involvement)"와 "장애(disability)" 혹은 "특수(special)"가 논문 제목에 명시된 논문 중 국내연구 8편, 국외연구 11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장애학생 부모의 부모참여 관련 문헌에서 제시된 부모참여의 개념, 형태, 영향요인 및 효과, 문제점 및 개선사항, 그리고 특별한 형태의 부모참여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을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장애학생 부모의 부모참여 관련 문헌에서 제시된 부모참여의 개념은 장애학생의 교육뿐만 아니라 모든 삶의 활동에 부모가 관여하여 자녀의 삶을 질을 높이는 것을 의미하였다. 둘째, 장애학생 부모의 부모참여 관련 문헌에서 제시된 부모참여의 형태는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부모들은 가정기반 부모참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학생 부모의 부모참여 관련 문헌에서 제시된 부모참여의 영향요인 및 효과는 다양하였으며, 자녀의 사회적 기술 향상 및 부모의 자녀에 대한 이해 등이 언급되었다. 넷째, 장애학생 부모의 부모참여 관련 문헌에서 제시된 부모참여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은 다양하였으며, 교사 및 부모의 상호작용과 협력이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장애학생부모의 부모참여 관련 문헌에서 제시된 특정한 부모참여에는 각 학령기에 적합한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개별화교육계획 관련부모참여, 전환 관련 부모참여, 다문화가정 부모참여가 제시되었다. This research attempted to analyze a recent trend of researches on parent involvement. Total of 19 researches, including 8 domestic and 11 international, were selected from a pool of researches published after 1992 with specific keywords in the title, such as ‘parent involvement’, ‘disability’, and ‘special’. Research questions were the definitions, forms, influential factors/effects, problems/developments and specific forms of parent involvement in these researches. First, the definitions of parent involvement were meant that the parents involved in not only their children’s education, but also every activities of their children’s lives. Second, the forms of parent involvement were varied, but parents preferred to home-based involvement. Third, the influential factors and effects of parent involvement were a lot, and those were separated by the aspects of students and parents. Fourth, the problems and developments of parent involvement were various.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parent and teacher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parent involvement. Fifth, the special forms of parent involvement in IEP, transition, and multi-cultural parent involvement were referred in this research. Regarding these results, the discussions were described.

      • KCI등재후보

        특수학교 교사의 장애학생 부모참여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

        이미숙,김경민,양소현,노진아 한국발달장애학회 2014 발달장애연구 Vol.18 No.2

        The study investigated how parent involvement implemented in special schools and how special school teachers perceived about parent involvement. The study included 129 special school teachers, and the study surveyed about the necessity and the current status of parent involvement, the executive level of parent involvement, the teachers’ perception on parent involvement, the controversial issues of parent involvement, and the ways to improve parent involve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pecial school teachers perceived the necessity of parent involvement, but the executive level was low, and the ways to involve the parents were not diverse. The special school teachers perceived that it was difficult to involve the parents due to the external factors such as a dual-income families or families’ economic status. As well, the special school teachers indicated the work adjustment and the activ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as the ways to improve parent invol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tudy discussed and suggested the ways to activate parent involvement. 본 연구는 특수학교에서 부모참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와 부모참여를 운영하는 특수교사들이 부모참여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총 129명의 특수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장애학생 부모의 부모참여 유형별 필요성 및 실태, 부모참여 실행정도, 부모참여에 대한 교사 인식, 부모참여의 문제점, 그리고 부모참여의 개선방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학교 교사는 부모참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지만, 실제 그 실행 정도는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장애학생 부모의 참여를 위한 방법이 다양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수학교 교사는 장애학생 부모의 참여가 어려운 이유로 맞벌이가정을 비롯한 가정형편 등의 부모 외적인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특수학교 교사들은 부모참여와 관련한 개선방안으로 교사의 업무조정, 학급과 가정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요구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학교 교육현장에서 장애학생의 부모참여가 활성화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직장어린이집 이용 영아 부모의 부모참여 현황 및 부모참여에 관한 인식 연구

        이미현(Lee, Mi hyun),김계중(Kim, Gye Jung)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2016 영유아교육지원연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참여 활동을 실시하고 있는 직장어린이집 부모참여 현황을 알아보고 부모참여에 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을 질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분석함으로써 부모참여의 실제와 요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직장 어린이집 영아부모의 참여 형태는 면담, 가정통신문, 참관 및 참여 수업이 가장 활발하였고 전화대화, 강연회, 운영결정참여, 워크숍, 부모회 순으로 실시되었다. 가정방문, STEP·PET는 실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참여 횟수는 부모참여 유형에 따라 한학기에 1번 실시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모참여에 관한 인식은 부모와 교사 모두 꼭 필요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고 부모는 개별면담, 알림장, 간담회가 가장 효과적이라는 인식을, 교사는 알림장, 자원봉사자로의 부모참여, 보조교사로의 부모참여가 효과적이라고 인식하였다. 영아 부모의 부모참여를 돕기 위해서 현대사회의 맞벌이 부모 특성을 이해한 맞춤형 부모참여 형태를 고안, 진행할 필요가 있고 직장어린이집의 전문성에 대한 기대에 부응하는 부모참여 프로그램 개발, 소셜 네트워킹 및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를 통한 협력 및 체험으로 확장되어야 한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parent involvement in the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practices and demands regarding the parent involvement by analyzing par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parent involvement through the qualitative researc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active methods were the face-to-face talk and schools newsletter, followed by telephone conversation, class observation and parent involvement class, lecture, participation in operating decision, parent association, volunteers, home visit, and STEP ․ PET. Also, most of the parents involved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once a semester according to the type of parent involvement. With regard to the perceptions of parent involvement, both parents and teachers recognized that it was essentially necessary. However, parents regarded the one-on-one talk, announce note and meeting as the most effective while teachers did the announce note, parent involvement as volunteers and teaching assistants as effective. In order to promote the parent involvement of infants parents, it is necessary to devise and implement the customized parent involvement type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double-income parents. In addition, the current parent involvement must be extended by developing the new parent involvement programs which come up to the expectation regarding the specialization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providing the opportunity of cooperating and experiencing through the social networking and ICT.

      • KCI등재

        특수학교 학부모의 교육 참여에 대한 학부모 인식

        이미숙 ( Mi Sook Lee ),양소현 ( So Hyeon Ya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특수학교 학부모의 교육 참여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하여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자녀를 둔 어머니 1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 학부모의 교육 참여 실태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교육 참여 활동이 매 학기 1회 정도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전화, 문자메시지 등의 의사소통 방법이 수시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특수학교 학부모의 교육 참여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문항에서 높은 인식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가정의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부모참여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학교 학부모의 부모참여 개선방안을 살펴본 결과, 모든 개선방안 문항에서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부모의 교육 참여를 저해하는 학교 요인으로는 교육 참여의 내용과 방식이 다양하지 못하다고 응답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arents` perception on a parent involvement in special schools. The study included 108 mothers who had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for the surve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involvement activities were usually implemented once a semester, and the communication with teachers were frequently implemented by using a telephone and a message. Second, the level of the parents` perception on a parent involvement was high. Especially, when the income of the family was high, the level of the parents` perception on a parent involvement was high. Finally, the level of the parents` perception on the improvement ways for a parent involvement was high. Especially, the factors hindering a parent involvement in special schools were the scarce of the contents and methods to implement a parent involvement.

      • KCI등재

        어린이집 부모참여와 부모역할 만족도-부모참여 만족도의 매개효과

        이혜순,이완정 한국아동권리학회 2016 아동과 권리 Vol.20 No.4

        This study examined parents’ involvement to with a child care center for their children,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involvement, and their parental role satisfaction and analyzed how the parents’ involvement to with a child care center impacted on their parental role satisfaction. To perform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mothers whose young children were attending child care centers in metropolitan area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ath analysis as well a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showed that parents’ involvement was high on in regards to communication part, and relatively low in the regards to decision-making part. The higher parents' involvement in a child care center for their children, the higher their involvement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higher.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 involvement at a child care center and the satisfaction of participation and their parental role satisfaction. Also, parents‘ involvement in a child care center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ir overall parental role satisfaction. 본 연구는 어린이집 부모의 어린이집 참여 현황을 살펴보고, 어린이집에의 부모참여 정도 및 부모참여 만족도가 이들의 전반적인 부모역할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수도권 어린이집의 유아반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경로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이집에의 부모참여는 어린이집과의 의사소통 부분에서 가장 높았고, 어린이집 운영에 대한 의사결정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에의 부모참여 정도가 높을수록, 부모의 어린이집 참여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린이집에의 부모참여와 부모참여 만족도 및 부모역할 만족도의 변수 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린이집에의 부모참여는 부모참여 만족도를 매개로 전반적인 부모역할 만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 KCI등재

        Rethinking Parental Involvement: A case of a U.S. Public Kindergarten

        Yoo Seon Bang 한국유아교육학회 2009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5 No.1

        Over the past decade there has been increased attention to the topic of parental involvement in school. However, little research has examined Korean American parents‘ involvement in the U.S.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administrators, teachers, and Korean American parents of parental involvement in a U.S. public kindergarten.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observations, and school documents,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perceptional disparity regarding parental involvement between the school personnel and the Korean American parents. While all the participants regardless of their positions supported the significance of parental involvement, the perceptional gap has been revealed regarding the meaning and expected types of parental involvement between the two groups. Moreover, the school personnel were fully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provision of the parent involvement program without much consideration of the barriers or needs that the Korean American parents faced in their participation. Thu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critical for teachers and administrators to recognize the possible struggles and disadvantages that Korean American parents and other minority parents might experience in their schools and make conscious efforts to respond to the needs of minority parents.

      • KCI등재

        지식 자본 이론(Funds of Knowledge)이 국내 학부모들의 학교 참여 논의에 주는 함의 : 다문화 및 탈북 학부모를 중심으로

        이은혜,임고운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unds of knowledge theory’(hereafter, FoK theory) in the context of parent involvement and to investigate what implications this theory can give to Korean parents’ school involvement, particularly, multicultural and North Korean defector parents.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a total of 82 kinds of existing studies related to parental involvement in Korea through literature analysis to derive its features and limitations in the aspects of Multicultural and North Korean defector parents. As a result, the study shows the following three features and limitations of the established discussion about Korean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 First, special parents excluded from the equal participation discourse in educational communities; Second, emphasis on operational participation rather than education; Third, overlooking the collaborated effort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for parents’ participation. Additionally, in the case of FoK Theory, it was characterized by the three perspectives; providing an alternative perspective to understand alienated parents, emphasizing empowerment for parents’ active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enhancing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Consequently, based on these three characteristics, this study concluded how FoK Theory could give indications for the discussion about Korean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 in three ways: the expansion and empowerment of understanding for multicultural and North Korean defectors’ parents, the practical efforts for extending the range of parents’ involvement, especially, aiming to more educational involvement, rather than operational involvement, and finally the need of mutual understanding and partnership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for the academic growth of students. 본 연구는 학부모 학교 참여의 맥락에서 지식 자본(Funds of Knowledge) 이론을 재조명하고, 이 이론이 국내 학부모의학교 참여 논의 중 다문화 및 탈북 학부모들의 학교 참여에 어떠한 시사점을 줄 수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 분석 방법으로 국내 학부모 참여 관련 선행연구물 총 82편의 내용을 비교・분석하여다문화 및 탈북 학부모를 중심으로 한 학부모 참여 논의의 특징과 한계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학부모 참여 관점에서지식 자본 이론의 내용과 특징을 검토한 후에, 지식 자본 이론이 국내 학부모 참여 논의에서 다문화 및 탈북 학부모들에대해 주는 시사점을 학문적, 실천적 차원에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기존의 국내 학부모 참여 논의의 특징 및 한계로는첫째, 교육공동체의 동등한 참여자 담론에서 배제된 다문화 및 탈북 학부모, 둘째, ‘학교 교육’보다 ‘학교 운영’ 참여의강조, 셋째, 학부모 참여를 위한 교사와 학부모 간 공동의 노력 간과가 있었다. 다음으로 지식 자본 이론의 경우첫째, 주변화된 학부모를 이해하기 위한 대안적 관점 제공, 둘째, 학부모의 능동적인 학습에의 참여를 위한 임파워먼트강조, 셋째, 교사-학부모 관계 및 소통의 중요성 제고를 특징으로 하고 있었다. 이 세 가지 특성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지식 자본 이론이 국내 학부모 참여 논의에 줄 수 있는 시사점으로 첫째, 다문화 및 탈북 학부모에 대한 이해의확장 및 임파워먼트, 둘째, 학부모의 참여 범위 확장을 위한 실천적 노력으로서 ‘운영’보다 ‘학습 및 교육’에의 참여를도모하는 것, 셋째, 학생의 학업적 성장을 위한 교사-학부모의 상호 이해 및 파트너십의 필요를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재미한인가족 내 부모의 학습관여행동의 양상과 청소년기 자녀의 학업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은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6 한국청소년연구 Vol.17 No.1

        As opposed to the unidimensional construct, this study seek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e multidimensional framework for the analysis of parental involvement with respect to the Korean immigrant family in the US. The four components of parental involvement considered were ‘parental academic aspirations on children’, ‘communication with children’, ‘home supervision’, and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 activities’. Parental involvement in the Korean American family is characterized by a very high level of ‘parental aspiration on children’, which indicates Korean American parents still uphold the value of education. It also finds a low level of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 activities. Among measures of parental involvement, ‘parental aspiration’, ‘communication with children’ and ‘home supervision’ have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educational achievement. ‘Parents’ school contact'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children's educational achievement, so it is not a strong indicator of parental involvement to predict children's educational achievement in the Korean American family. This study explains multiple dimensions of parental involvement in the Korean immigrant family by examining how family background influences parental involvement, assessing the effects of different dimensions of parental involvemen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Korean American children. 본 연구는 재미한인부모들의 학습관여행동의 다양한 양상(부모기대, 부모와 자녀사이의 의사소통, 부모의 훈육방법, 부모의 학교접촉)을 고찰하고, 부모의 학습관여행동이 자녀의 학업성취에 어떠한 효과를 갖는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는 미국 로스앤젤레스와 그 근교에 거주하는 재미 한인 가정 중 8학년에 재학 중인 자녀를 둔 가족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8학년에 재학중인 12-13세 재미한인 학생 312명과 그들의 부모들이다. 연구도구는 Keith 등(Keith et al., 1993)의 부모의 학습관여행동 설문지를 재구성하여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WIN 1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ANOVA,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재미한인가정 내 부모의 학습관여행동의 각 변수들은 가정환경 변수 중 영어구사력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었다. 이민 일세 부모들의 영어구사수준이 높을 때, 미국에서 나고 자란 자녀들과 관계형성이 보다 용이하고 친밀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부모기대, 의사소통, 훈육방법 등 가정 내 부모의 학습관여행동은 자녀의 학업성취에 긍정적 효과를 가지고 있었으나 가정 밖의 학습관여 행동, 즉 부모의 학교접촉은 별다른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 같은 결과는 부모의 학습관여행동이 다양한 하위변수로 이루어진 다차원적 개념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Rethinking Parental Involvement: A case of a U.S. Public Kindergarten

        방유선 한국유아교육학회 2009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5 No.1

        Over the past decade there has been increased attention to the topic of parental involvement in school. However, little research has examined Korean American parents’ involvement in the U.S.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administrators, teachers, and Korean American parents of parental involvement in a U.S. public kindergarten.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observations, and school documents,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perceptional disparity regarding parental involvement between the school personnel and the Korean American parents. While all the participants regardless of their positions supported the significance of parental involvement, the perceptional gap has been revealed regarding the meaning and expected types of parental involvement between the two groups. Moreover, the school personnel were fully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provision of the parent involvement program without much consideration of the barriers or needs that the Korean American parents faced in their participation. Thu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critical for teachers and administrators to recognize the possible struggles and disadvantages that Korean American parents and other minority parents might experience in their schools and make conscious efforts to respond to the needs of minority parents.

      • KCI등재

        유아교육과 부모참여의 의미와 실제에 대한 문화기술적 탐구

        배지희 한국유아교육학회 2002 유아교육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효과적인 부모참여와 가정-학교 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유치원들의 사례를 통하여 부모참여의 의미와 실제 및 어려움에 대한 유아교사와 부모의 목소리를 반영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와 부모가 생각하는 부모참여의 의미는 자원봉사자로서의 참여나 부모교육의 차원을 넘어서는 광범위한 개념으로 다양한 형태의 참여가 존재하며, 모든 형태의 부모참여가 바람직한 결과를 가지고 오는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가정-학교 협력의 혜택을 극대화하려면 획일화된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보다는 유아, 부모, 유치원 및 지역사회의 상황을 모두 고려하여 개별 유치원에 적합한 형태의 참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various meanings of and practices in parent involvement from school staffs and parents' points of view. The concept of parent involvement in early schooling is socially constructed and continually negotiated by school staff and parents. In search of what it means to involve parents in early schooling, I conducted an extensive ethnographic inquiry at three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known for their efforts to work effectively with parents. I observed parent involvement programs at these three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I interviewed teachers, family support staff, administrators, and parents to understand meanings constructed from the daily interactions among the constituents of family-school partnerships. Teachers and parents have a broad definition of parent involvement which encompasses various types of parental participation outside of as well as inside school walls and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schools and families. Providing diverse parent involvement activities is an important element of effective family-school partnerships. Teachers and parents also encounter a number of challenges to parent involvement. Results indicate that considerations should be given to diverse situations in which parents, children, and school staff function in order to benefit from parent involvement and family-school partnershi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