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전기 청요직(淸要職)의 위상과 인사이동 양상

        송웅섭 ( Song Woong Sup ) 한국사상사학회 2017 韓國思想史學 Vol.0 No.55

        본고는 조선시대 청요직이라 지칭되던 관직들이 조정에서 커다란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었던 이유를 밝히는 것을 장기적인 목표로 삼아, 일차적으로 청요직들의 인사운영에 대해 검토한 논문이다. 청요직은 고려시대에도 엄격한 신분 제한이 두어질 만큼 조정 내에서 높은 위상을 갖고 있던 관직들로서, 주로 왕명의 제작·시정기의 작성·실록의 편찬·간쟁을 위한 상소문의 작성·경연에서의 진강 등 뛰어난 문장 능력과 경전적 소양이 요구되는 관각·사관·대간(館閣·史官·臺諫) 계열의 관직들과, 의정부·이조·병조·예조·승정원 등 주요 관서들의 실무를 담당하는 낭관직(郎官職) 계열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청요직들은 인사에 있어서 여러 우대 조항들을 적용받고 있었다. 일반 관료들이 순자법의 적용을 통해 관직 이동과 승진에 제한이 두어지고 있었던 것에 비해, 청요직은 다수의 예외 조항들을 적용받으며 천관(遷官)과 거관(去官)이 비교적 자유로웠고, 그만큼 당상관으로의 승진이 빠를 수 있었다. 청요직들의 인사이동 양상을 검토해 본 결과, 청요직 역임자 중 일부는 고속으로 당상관에 진입해 가고 있음이 확인되며, 당상관으로의 진입 속도가 빠른 사람일수록 청요직군 내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인사이동을 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청요직들은 어느 한 관서를 중심으로 인사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청요직군에 속하는 여러 관서를 상호 교차해가는 인사운영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아울러 홍문관은 자천제적 선발과 차차천전(次次遷轉)의 규정을 적용받고 있었던 데다 당하관 관직 수에 있어서도 가장 많은 자리(11과)를 갖고 있어서, 구조적으로 청요직군 내에서 중심적인 위치에 서게 되었다. 결국 인사운영 면에서 볼 때, 청요직들은 관료조직 내에서 인사상의 특혜를 받으며 청요직군 내의 관직들을 두루 거쳐 당상관으로 진입해 가고 있던 엘리트 관료들로서, 홍문관의 등장 이후에는 홍문관이 구조적으로 청요직들의 구심점 역할을 담당하게 되면서 청요직들의 연대가 보다 공고해지고, 이를 바탕으로 국왕 및 대신들과 맞설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 나갔다고 생각된다. Examined in this article is how certain posts that were usually referred to as “Cheong`yo-jik posts”, which were generally -as a principle- filled with individuals who were acknowledged for their honesty, integrity and willingness to provide sincere counsel and advises for the king, were actually managed and operated in the early half period of Joseon, in order to determine how such posts were able to generate so much political influence. These Cheong`yo-jik posts had already been only open to a selected group of people who held a status much above average during the Goryeo period, and certainly required not only intelligence but also highly trained literary skills to serve their functions in the Joseon period as well. Posts that were categorized as “Cheong`yo-jik” posts included various types of governmental seats. For a start, heavily included in this category were posts that required particular talents in several assignments: drafting royal documents, writing proposals concerning current issues, generating daily records for historical compilations, crafting critical appeals for royal attention, and providing lessons at the royal Gyeong`yeon sessions. The next group of posts included in this category were posts such as academic counselors(館閣), historical recorders(史官) and remonstration officers(臺諫), which required expertise as well as deep understanding in Confucian classical texts. Also included were even posts of junior officials[郎官職], who served [in practical capacities] the Euijeong-bu(議政府) council, Ministries of Administration, Military and Rituals(吏·兵·禮曹), and the Seungjeong-weon(承政院) secretariat. Officials assigned to these Cheong`yo-jike posts enjoyed many privileges in terms of their own management. Ordinary officials were only allowed to be promoted or to change offices in a strictly sequential manner(according to the “Sunja” practice), but the “Cheong`yo-jik” officials were considered as exception and were authorized to freely depart current posts while aiming for others. In other words, they had much more leeway in terms of switching offices, and therefore could rise to the Dangsang-gwan much faster compared to other ordinary officials. Survey of trends spotted in their careers reveals that some of the officials who served at the Cheong`yo-jik posts were able to obtain the Dangsang-gwan seat rather quickly, while those who were -as continuing to advance their careers- somehow remained inside the pool of Cheongyo-jik posts. And they also did not remain in the same office, but instead moved from one Cheong`yo-jik office to another. In the process the Hongmun-gwan office, which occupied the most “Dang`ha-gwan” posts(eleven) and maintained certain unique practices (self-promotion, controlled shifting[次次遷轉], was eventually placed at the center of the entire Cheong`yo-jik pool. We can see that the officials who were assigned at the Cheong`yo-jik posts were elite officials who enjoyed several administrative privileges while aiming for the seat of a Dangsang-gwan. They expanded their career by leaping from one Cheong`yo-jik to the next. And as the Hongmun-gwan office gradually built the status of being the central figure amongst all Cheong`yo-jik-related governmental offices, strengthened was the cooperation and alliance between individual Cheong`yo-jik posts, which in turn enabled them to stand up against the king and other powerful ministers, who sat at the highest echelon of the government.

      • KCI등재후보

        朝鮮時代 三公의 官歷分析 - 엘리트 코-스 추적의 일단 -

        정만조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9 한국학논총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racing of elite course in the official system of Joseon dynasty. Elites of Joseon are civil officials who filled official posts in the State Cousil(議政府), the Six Ministries(六曹), the Royal Secretariat(承政院) and the Three Censorates(三司). Because target was so extensive, target was limited to people who was former the Prime Minister(領議政)·the Second Minister(左議政)·the Third Minister(右議政). Official posts of 298 people who was the Three Ministers(三公) for 408 years(1456-1863) from Sejo(世祖) to Cheoljong(哲宗) was pursued and analyzed. Statistical results of this reconciliation is as follows. First, they entered official posts as Jeongja(正字) of the Office of special Counselors(弘文館) and an Office drafted diplomatic documents and notes(承文院), Geumyeol(檢閱) of an Office drafted literary arts(藝文館) and Juseo(注书) of the Royal Secretariat(承政院) when they were successful on civil examination(科擧) about 30 years old. They filled the lowest group of the third grade(參下官) in the Office of special Counselors(弘文館), an Office drafted literary arts(藝文館) and the Royal Secretariat(承政院) by turns. They promoted from seventh rank to sixth(出六) through this official posts. After that, they took course of the Post of honorable and king's trusted vassal(淸望近侍職) mostly as the office of Inspector-General(大司憲) Jeongeon(正言)·Jipui(執義) and the Office of special Counselors(弘文館) Suchan(修撰)·Gyori(校理)·Eunggyo(應敎). Subsequently, they entered high officials of the road through promoted as a upper first of the third grade(堂上官), when they reached Jikjehak(直提學) of the Office of special Counselors(弘文館) and Jipui(執義) of the Office of Inspector-General(大司憲). After they promoted as a the lowest secretary of the Royal Secretariat(同副承旨), they were filled the Third Minister(右議政) with career which was served as the minister of Personnel Ministries(吏曹判書) through the head office of Inspector-General(司憲府 大司憲) or the vice minister of Personnel Ministries(吏曹參判). That was most representative promotion course. Geumyeol(檢閱)·Juseo(注書) of the lowest group of the third grade(參下) was the official post drafted Recording and Compilation of History(史官職) and the Office of special Counselors(弘文館) Suchan(修撰)·Gyori(校理)·Eunggyo(應敎) was the Post of honorable and king's trusted vassal(淸望近侍職) which collected public opinion of confucianists to be reflected in national office and reported it to lord. And the Seungji(承旨) was king's secretary and minister·vice minister was key positions of power which was in charge of administration. After all, theory that the official post of the Honorable and the most Important was represented of bureaucracy of the Joseon dynasty was confirmed. Official post which directly connected to inner circle of king and confucianists that was two sovereign powers of the Joseon dynasty was elite course. Because tracking official post which he served from first to the third minister each per person is so vast, process of the statistics that tracking official post of 198 for analysis will require a lot of time. Opportunely,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ookmin University finished "The Study on the constitution of databases in bureaucracy and its Management system in Korean history" that performed with the financial support of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So take advantage of the results and could save a lot of time and effort. 이 논문의 목적은 조선시대 관직체계 내의 엘리트코스 추적에 있다. 조선시대의 엘리트라면 의정부·육조·승정원·삼사란 관청에 소속된 관직을 역임한 관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대상이 너무 넓어서 여기서는 의정부의 三公, 즉 영의정ㆍ좌의정ㆍ우의정을 지낸 인물에 국한시켰다. 세조에서 철종에 이르는 408년간(1456~1863)의 기간에 삼공을 지냈던 298인을 대상으로 처음 받은 관직에서부터 三公에 이르기까지 역임하였던 관직을 일일이 추적하고 분석하여 통계화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그들은 30세를 전후한 나이에 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이나 승문원의 正字, 예문관의 檢閱, 승정원 注書 등의 관직을 받아 처음 벼슬길에 나선 것으로 파악되었다. 叅下官의 시절에도 初入仕職으로 받았던 홍문관, 예문관, 승정원의 참하직을 돌아가며 역임하던 그들은 이들 관직을 근거로 出六하여 중견관료의 과정을 대개 사헌부 正言-홍문관 修撰-홍문관 校理-홍문관 應敎-사헌부 執義를 중심으로 한 淸望近侍職의 코스를 밟았다. 이어 홍문관 直提學이나 사헌부 執義에 이르러 당상관으로 승진하여 고급관료의 길에 들어선다. 동부승지로 당상에 오른 후에는 사헌부 대사헌이나 이조참판으로서의 경력을 쌓고 이조판서를 거쳐 우의정에 선임되는 것이 가장 대표적인 승진코스였음이 통계 분석을 통해 알게 된 결과였다. 叅下의 검열ㆍ주서는 史官職이며, 叅上~堂下의 홍문관에 속하는 수찬·교리·응교 등은 淸望近侍職이라는 말 그대로 사림의 공론을 수렴하여 군주에게 전하고 국정에 반영하도록 하는 관직이다. 그리고 승지는 왕의 비서직이며, 참판·판서 등은 말할 것도 없이 임금을 보필하여 국정운영을 담당한 권력의 핵심직이다. 결국 조선시대 관료조직이 淸華要職으로 대표된다는 통설이 확인된다고 하겠다. 조선시대 권력 상의 두 개의 축이라고 할 군주와 사림의, 측근과 핵심에 직접 연결된 관직이 이른바 엘리트코스였다. 분석의 대상인 298인에 대하여, 한사람마다 그가 처음 받은 관직에서부터 삼공에 이르기까지 역임하였던, 수십 개에서 때로는 백 개가 넘는 관직을 일일이 추적하여 통계화하는 작업은 방대하여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마침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에서 한국학술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하여온 연구과제인 “한국사상 관인관직 DB구축”사업이 일단 완료되었다. 그래서 그 결과물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시간과 노력을 크게 절약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고려전기치사제(高麗前期致仕制)의 운영(運營)과 관인(官人)의 인년치사(引年致仕)

        이진한 ( Jin Han Lee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民族文化硏究 Vol.58 No.-

        고려시대 관인들이 69세까지 관직에 종사하고 70세에 물러나는 것을 치사라고 한다. 그 가운데 3품 이상의 관인이 치사를 하게 될 경우에는 현직에 절반에 해당하는 녹봉을 지급하였는데, 복무하지 않고도 녹봉을 받는다는 점에서 국왕이 고위 관인에게 베푸는 혜택이었다. 그런데, 고려전기의 국왕들은 거기에서 더 나아가 70세가 되지 않아 치사의 대상이 될 수 없는 재상들에게 ‘나이를 앞당겨 치사[引年致仕]’하도록 허락하였다. 그들은 늙거나 병든 것을 사유로 벼슬에서 물러 나고자 했으며, 국왕은 관인이 정상적으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당연히 해직해야 하지만, 그들에게 인년치사를 허락하거나 현직인 채 졸하도록 해주었다. 이러한 점은 현직 정승도 나이를 따지지 않고 언제든지 교체되고 뒤에 재기용되었던 조선시대와 대비되는 것으로, 고려시대 3품 이상-특히 재상-관인들은 사실상 지위가 보장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국왕이 그들이 관직에 복무하며 이바지 한 공을 인정해주는 것이었다. 치사제의 운영과 인년치사의 광범위한 시행을 보면, 고려전기의 고위관인이 국왕에 대해 일방적으로 충성을 요구받는 관계에 있지 않았다고 생각된다. Resignation refers to public officials` resigning from their government posts in the year they became 70 years old. The resignation system in China was accepted and implemented in the Goryeo Dynasty. Those who had a grade three or higher government post were preferentially treated and given resignation pays corresponding to approximately half of pays for current posts. Because of this privilege, public officials at grade three or higher posts underwent a procedure to request for dismissal and receive posts after resignation from the king at the end of the year in which they became 69 year old. However, public officials at grade four or lower posts without resignation pays were dismissed in a lump by the Ministry of Interior Affairs and the Ministry of War based on ages on government lists. As this system was operated, the subjects of resignation in the early days of the Goryeo Dynasty resigned from their government posts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in most cases. However, there were cases where premiers who became 70 year old received a chest and a stick and continued working at current posts and cases where public officials did not request for resignation intentionally even when they became older than 70 years and the king and the Ministry of Interior Affairs did not take actions to make them resign by force. As such, the resignation system that was originally made to restrict public officials` service to a certain age was not applied to all public officials. This can be positively understood since this means that the king wanted to utilize the experience in state affairs of premiers healthy enough to continue working even when they were older than 70 years. A problem was that the resignation system was deteriorated to become a means to preferentially treat public officials who could not serve at public posts due to diseases. Since the resignation system was originally not related with diseases but was only indented to restrict ages of those who were at public posts, the king should dismiss public officials with diseases and if the king wanted to give them posts after resignation, the king should have reinstated them immediately before they became 70 year old to give them posts after resignation. However, in the early days of the Goryeo Dynasty, ``advanced resignation(引年致仕)`` was frequently implemented so that when public officials younger than 70 years requested for resignation due to diseases, the king gave them posts after resignation at younger ages.

      • KCI등재

        신라 직관명 ‘史’에 대한 검토

        최일례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22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 No.63

        The official post of Silla Dynasty, Sa was almost over 40% of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The Sa was allowed to be appointed from Daesa(大舍) ranked as 12 to Seonjeoji(先沮知) ranked as 17 in all the official ranks of Silla Dynasty. There was no post that the Sa was appointed as the manager of central government offices. 史 was not appointed to a place that requires a high degree of academic knowledge, a place that requires a high degree of professionalism, a place that provides mainly men's physical labor, and a place where labor power of women were usually used or women were required. The Sa were increased, total of 52 staffs at nine government posts. Of those, 31 were added in the 10th to 20th year of King Moonmu.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countries, it was necessary to maintain the national system and operate the government department to effectively carry out the Silla-Tang War. In the process, the increase of the lower rank officials Sa, was a natural result. In ancient China, Sa had meanings of recording, a recorder, officers and a history book. In Silla Dynasty, it was used as the post name of petty official in central government(Sa in Dongsijeon under the regime of King Jijeung), followed by meanings of recording and history(a history book titled Guksa(國史) published under the regime of King Jinheung). Based on the results above, it was discovered that the Sa, an official post of Silla Dynasty, was usually alloted for man, a petty official who was in charge of indoor administration service, of recording[a recorder], handling, storing and transcribing documents at central government offices, and of entry and accounting of articles at posts they belonged to. 신라의 직관 史는 중앙 관원의 40%에 가깝다. 史의 임명 가능 관등은 신라의 17관등제에서 12등 大舍부터 17등 先沮知까지이다. 직관 史는 중앙 관부의 책임자로 배치된 곳이 단 하나도 없었다. 직관 史는 학문적으로 높은 식견을 요구하는 곳, 고도의 전문성을 요구하는 곳, 주로 남성의 육체적인 노동력을 제공하는 곳, 여성의 인력을 주요한 노동력으로 사용하는 곳, 여성이 직임을 맡은 곳에서는 배치되지 않았다. 직관 史는 9개의 관부에서 총 52명이 증원되었다. 그 중 문무왕 10년-20년에 31명이 추가되었다. 삼국통합 이후 국가체제의 정비와 나당전쟁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관부의 운용이 필요했고 그 과정에서 하부 관원 史의 증원은 당연한 결과였다. 고대 중국에서 史는 기록, 기록하는 사람, 사관, 역사서와 같은 의미였다. 신라에서는 史가 중앙 관부의 하위 관원(지증왕대 東市典의 史), 이후에는 기록, 역사(진흥왕대 역사서 國史 편찬)의 의미로도 사용되었다. 검토를 통해 신라에서 직관 史는 주로 중앙 관부의 내근직 남성 하위 행정 관료로서 해당 관부의 문서 작성[기록자] 및 소속 관부에서 관할하는 물품의 출납 및 회계를 담당한 관원으로 판단하였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신라(新羅) 관명(官名) “대사(大舍)”의 운용(運用)과 그 성격(性格)

        김희만 ( Heui Man Kim ) 동국사학회 2013 동국사학 Vol.54 No.-

        신라의 17관등 중에서 12번째 관등이며, 또한 관직체계로서 令-卿-大舍-舍知-史 중에서 세 번째에 해당하는 官名인 大舍의 운용과 그 성격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사실 신라사회에서 大舍라는 官名은 大奈麻와 奈麻,大舍와 舍知,大鳥와 小鳥 등의 한 부류로서, 이들 관등과 관직 가운데 그것이 未分化로 인해 그 운영에 있어서 실체 파악에 어려움이 있었다. 大舍의 運用을 검토하기 위해서 관직으로서의 대사를 규명하고자 『三國史記』職官志에 보이는 각 관부의 관직체계 가운데 그 대표적인 예로 執事省을 중심으로 이 관부에 보이는 令-卿-大舍-舍知-史라는 관직체계 가운데 大舍와 인원과 건치연혁 등의 변동사항 등을 고찰하였으며, 또한 각 관부마다 각기 다른 점도 상호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大舍는 主書 와主事 그리고 主薄 등의 명칭에서 문서(書), 일(事), 장부(薄) 등을 주관하는 업무를 담당하거나, 또는 錄事 곧, 사원성전의 실무 관직으로 소속되어 어떠한 사항을 기록(錄)하는 업무를 담당하였으며, 설치시기는 진평왕 11년이 가장 이르며, 신라 행정 관부에서 실무를 전담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관등으로서의 대사는 신라 관등 가운데 대아찬과 대나마는 아찬과 나마가 분화하여 그 접두사로 大자를 관칭하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는 반면에, 大舍와 小舍, 大鳥와 小鳥는 그 분화의 성격이 다른데, 이는 대사와 소사는 舍知라는 관명에서 분화하여 대사와 사지는 대사가 먼저 설치되고, 이후 지덕왕 5년 내지 신문왕 5년에 사지가 설치되어 비로소 5등 관직체계가 마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관직에서는 대사→사지로 분화하였다면, 관등에서는 사지→대사로 발전하였다고 볼 수 있다. 대사의 성격에서는 법흥왕 때의 色服志에 보이는 大舍와 황룡사찰주 본기에 보이는 대사를 비교하여 赤位에서 靑位, 黃位로 그 격에 변화가 수반되고 있음을 살표보았으며, 관등으로서의 大舍가 어떻게 성립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기 위해서 신라 관등의 말미에 보이는 餐系와 奈麻系 그리고 大舍이하의 知系를 구분하여 이해하고자 하였다. 인는 지금까지 餐系와 奈麻系에 대해서는 그 상층의 중요성을 반영하듯이 여러 연구가 있었으나, 知系라 할 수 있는 大舍 이하의 관등과 관직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취급되어 왔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大舍와 舍知, 또는 大舍와 小舍, 그리고 韓舍 등이 각기 기재된 자료뿐만 아니라, 관직으로서의 作韓舍와 관등으로서의 大舍를 동시에 볼 수 있는 자료를 소개하면서 그 성격에 주목해보았다. Silla`s official name(官名), Daesa大舍 is one of central administrative systems(5 step systems-Ryung(令)-Kyung(卿)-Daesa(大舍)-Saji(舍知)-Sa(史) and also official ranks and posts mixes themselves` name. Therefore this Daesa(大舍) stands for Silla` important office rank(官等) and office post(官職) but this article(particularly contents) not achieved many study better than other topics for a longtime Specially, Daesa(大舍) is in management of official post system(管職體系), 3rd main post systems and roles practical management in the central administrative systems(中央行政體系). Daesa(大舍) consists of Jige(知系), Daesa(大舍) and Saji(舍知). Jige(知系). Was distinguished three groups-Change(餐系)-Namage(奈麻系)-Jige(知系). Especilly Jige(知系) is 3rd official system of below Daesa(大舍) and Daesa(大舍) was a medium-administer or a working-level official. Daesa(大舍) calls Hansa(韓舍), that means office rank and office post. This study lasting continued new excavate many materials together.

      • KCI등재후보

        인명표기방식을 통해본 포항 중성리신라비

        선석열(Seon Seok-Yeol)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학논총 Vol.14 No.3

        이 글은 최근 2009년 5월 중순에 포항에서 발견된 중성리신라비에 대하여 인명표기방식을 통해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비문의 내용은 왕경인이 지방의 물산을 탈취한 사건에 대한 것으로서 그 처리과정을 네 문단으로 나누어 각 문단의 특성을 교시집단, 쟁인집단, 조사집단, 조처집단 등으로 규정하였다. 비문의 인명표기방식은 일반적으로 관직 출신지 인명 관등의 순서로 기재하였다. 그러나 이 비는 관등이 없거나 관직이 없는 등 다양한 방식을 보이고 있어 아직 중앙집권체제가 정비되지 않고 왕경 육부의 부체제를 이루고 있었다. 본 비는 501년에 건립된 것이지만, 표기방식의 특성을 보면 5세기 신라마립간시기의 지배체제를 보여주고 있는 귀중한 자료다. Jungseongri Silla stone monument was discovered from Pohang in 2009, it was erected at 501. This paper deals with marking method of name in the epitaph, its character was as follows. Firstly, the contents of the epitaph was to solve the event which the Royal capital person seized the product of the region person, its contents divided with four sentences. There appeared the order group, the lawsuit group, the investigation group and the management group in this epitaph. Generally, the name marking method of Silla recorded in order of official post, hometown, name, official rank. The Shilla bureaucracies were various type. For example, there were bureaucracies which had an official rank and had not an official post, and the bureaucracies which had not an official post and had an official post. In 5th century, the political system of Shilla was not centralized, it was indigenous setups which consist of 6 groups, namely 6 Bu(部). Therefore, this gravestone is the valuable data which shows a study of Shilla.

      • KCI등재

        대한제국기 의정부대신의 동향과 국정운영론

        현광호 서울역사편찬원 2014 서울과 역사 Vol.- No.88

        King Kojong reinforced royal authority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Great Han Empire in October 1897. Since the dissolution of the Independence Club, Cabinet ministers of Great Han Empire waged adopt of Government-centered a political structure for checking political intervention of Emperor. First, Cabinet ministers recommended to Prime Minister should be authorized. Second, Cabinet ministers propelled abolition of household for management of the Ministry of Finance. Third, Cabinet ministers tried abolition of routine of trafficking of official posts. Fourth, Cabinet ministers of Great Han Empire tried to reinforce right of a local Government official. Fifth, Cabinet ministers objected routine of correspondent management. Sixth, Cabinet ministers tried to taking the leadership in state management by liquidating aide. Seventh, Cabinet ministers tried the dissolution of peddler. Great Britain concluded a treaty of Anglo-Japanese alliance with Japan in January 1902. Japan reinforced aggressive policies toward the Great Han Empire after the conclusion of a treaty of Anglo-Japanese alliance. Cabinet ministers tried to taking the leadership in state management by coalition of Japan. On the eve of Russian-Japanese War in January 1904, Cabinet ministers tried waged adopt of Government- centered state management. First, Cabinet ministers tried to dissolution routine of correspondent management. Second, Cabinet ministers tried to taking the leadership in state management by liquidating aide. Third, Cabinet ministers tried to management of the Ministry of Finance. Fourth, Cabinet ministers tried abolition of routine of trafficking of official posts. ifth, Cabinet ministers tried to foundation of the modern system of Cabinet Government led by a Prime Minister to institutionalize Government- centered state management. 고종은 1897년 10월 대한제국 수립 후 황제권을 강화했다. 독립협회 해산 이후 의정부 대신들은 국왕의 정치관여를 제한하고자 의정부 중심의 정치체제를 추구했다. 첫째, 의정부 대신들은 고종에게 의정에 대해 실권을 부여할 것을 건의했다. 둘째, 의정부 대신들은 탁지부의 재정권 주관을 위하여 내장원의 폐지를 추진했다. 셋째, 의정부 대신들은 황실의 매관매직 관행을 청산하고자 시도했다. 넷째, 의정부 대신들은 지방관의 권한을 강화하려 했다. 다섯째, 의정부 대신들은 황실의 특파 관리 관행을 반대했다. 여섯째, 의정부 대신들은 국정에 영향력을 행사하고자 황실측근파를 숙청하고자 시도했다. 일곱째, 의정부 대신들은 보부상의 폐지를 기도했다. 일본은 러시아와의 대립을 거듭하던 중 1902년 1월 영일동맹을 체결했다. 영일동맹으로 한국에서는 일본의 영향력이 크게 증대됐다. 의정부 대신들은 의정부 중심의 국정 운영을 실현시키고자 일본과의 제휴를 추구했다. 의정부 대신들은 1904년 1월 러일전쟁설이 유포되자 의정부 주도의 국정 운영을 도모했다. 첫째, 의정부 대신들은 황실에서 보내는 특파관리의 폐지를 추진했다. 둘째, 의정부 대신들은 황제의 국정 관여의 통로였던 황실측근파를 숙청하고자 했다. 셋째, 의정부 대신들은 모든 재정 수입의 탁지부 주관을 시도했다. 넷째, 의정부 대신들은 매관매직의 폐지를 시도했다. 다섯째, 의정부대신들은 의정부 중심의 국정 운영을 제도화하고자 내각제도의 수립을 기도했다.

      • KCI등재후보

        부여 구아리 319 유적 출토 편지목간의 이해

        심상육(Shim, Sang-yuk),김영문(Kim, Young-moon) 한국목간학회 2015 목간과 문자 Vol.0 No.15

        백제 후기 사비도성지인 부여의 시가지 유적(부여 구아리 319 유적)에서 2010년에 수점의 목간이 출토되었다. 그중 422번 목간은 지금까지 발견된 백제시대 목간 중 최초로 확인된 서간문이며, 그 내용은 “보내주신 편지를 받자오니, 삼가 과분하옵니다. 이 곳에 있는 이 몸은 빈궁하여 하나도 가진 게 없어서 벼슬도 얻지 못하고 있나이다. 좋고 나쁨에 대해서 화는 내지 말아 주옵소서, 음덕을 입은 후 영원히 잊지 않겠나이다”이다. 즉, 가난한 선비로 추정되는 자가 벼슬을 청탁하기 위해 신분이 높은 고관에게 보낸 편지로 이해된다. 이를 통하여 당시 관리 추천 제도의 이면을 확인할 수 있다. 본 글의 구성은 목간이 출토된 유적과 함께 출토된 목간을 간략하게 소개한 후 422번 목간의 글자 판독과 표점, 번역을 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목간이 ‘인사말-자신의 처지와 청탁 목적에 대한 축약된 표현-양해의 말과 마무리 인사’로 이루어진 서간문임을 밝히고 목간의 필자와 당시 관리 추천제도의 이면을 살펴보았다. In 2010 numerous wooden tablets were excavated from an inner-city site (Gua-ri 319 Site, Buyeo) of the ancient capital city Sabi of the Baekje Kingdom. Amongst these wooden tablet No. 422 is the first wooden tablet letter to be confirmed from the Baekje period. The letter reads “It is an undeserved honor to behold the letter that you have sent. As I stay here in this place I am destitute without any means to obtain an official post. Please do not trouble yourself with good or bad, I will never forget your virtuous help.” It appears to be a letter of request sent by a poor scholar to a high level official asking for an official post. The tablet vividly portrays the realities of recommendation system for official posts during the times of Baekje. This article briefly introduces both the site and the wooden tablet from where it was excavated, and deciphers and translates the characters written on wooden tablet No. 422. Through the translation it proves that the tablet was a letter filled with contents forming ‘greeting - stating the writer’s situation and objective of writing - apologies and farewell’. It also studies the realities of the recommendation system for official posts and possible conjectures on the author of the tablet.

      • KCI등재

        고려후기 致仕制 운영의 변화 양상과 원인

        李貞薰(Lee, Joung-Hoon) 고려사학회 2016 한국사학보 Vol.- No.65

        본 논문은 고려후기의 치사제를 다룬 것으로, 고려후기에 치사제의 다양한 양상 및 변화되는 원인을 고찰하고, 치사제의 변화로 耆老會와 封君制등이 어떻게 변화되는가를 검토하였다. 고려시대에는 관료의 요청을 전제로 70세 치사가 원칙이었다. 또한 오랫동안 복무를 한 관료를 우대하는 차원에서 질병으로 인해 관직생활을 유지할 수 없을 경우 引年致仕토록 하였다. 그러나 무신집권기부터 관료의 요청 없이 치사가 되거나, 질병이 없는데도 70세 이전에 치사하는 관료들이 등장하였다. 특히 원간섭기에는 인년치사가 보편화되어 60세 이전에 치사하는 관료도 있었다. 반면 几杖을 받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70세를 넘어서까지 관료생활을 이어가는 관료들도 등장하였다. 심지어는 치사한 관료가 재기용되거나 재치사하는 경우(2차 치사)도 있었다. 무신집권기에는 무신 및 무신집정자, 원간섭기 및 고려말기에는 국왕의 측근들이 국정 운영을 주도하였다. 관료들의 인사도 특정인 또는 정방에서 담당하였다. 그 결과 무신집정자 또는 국왕 측근들의 자의에 의해 관료들의 치사가 이뤄지게 됨에 따라, 나이와 질병, 관료의 自請, 궤장하사와 관료생활 연장이라는 치사제의 기본 원칙들이 무너지게 되었다. 고려후기에 인년치사가 보편화되면서, 빨리 치사한 관료들은 기로회를 조직하여 친목을 다지며 여가생활을 즐겼다. 원간섭기에는 重祚, 親朝, 국왕의 억류 등 이전과 다른 정치적 양태들이 등장하게 되면서, 치사 관료들이 都評議使司회의에 참여하거나 국왕의 자문에 응대하는 등 국정 운영에도 참여하였다. 또한 70세 이전에 치사한 관료들이 증가함에 따라, 고려 정부는 치사 관료들의 정치적 참여를 유도하고 더 많은 경제적 혜택을 주기 위하여 치사 관료들을 封君하기도 하였다. This study, which deals with the resignment system in the latter period of Goryeo, considers its diverse aspects and causes of changes and reviews how the club of resigned and elderly officials(耆老會) and the post appointment system(封君制)varied as the resignment system varied. In the period of Goryeo, it was a principle to allow to resign in 70 years old upon the request of the officials. In addition, when it was impossible for an official to maintain his official position due to illness, it was allowed to retire in advance in order to give special treatment to officials who had worked for a long time. However, in the period of seizure of political power by military officials, often did appear the official who retired without their request or before 70 years without illness. In particular, the advance resignation(引年致仕) was generalized in the Yuan intervention period, and there were the officials who retired before 60 years old. On the other hand, did appear the officials who continued their official positions beyond 70 years old, although they were not granted the hutch and stick from the King(几杖). Further, there were some cases in which resigned officials were employed again or resigned again(2nd resignment). In the period of seizure of political power by military officials, military officials and military politicians led the administration of state, and in the period of seizure of political power by military officials and in the end of Goreyo, people close to the King led the administration of state. Authority over human resources was exercised by some certain people or Jeongbang(the political office, 政房). As a result, the resignment system on the officials was arbitrarily operated by military politicians or persons close to the King, which collapsed the principles such as age, illness, request of the official, grant of the hutch and stick from the King(几杖下賜), and extension of the official position. While the advance resignation was generalized at the latter period of Goryeo, the officials who resigned at the earlier age, organized the club of resigned and elderly officials(耆老會) to promote friendship and enjoy leisure. In the period of seizure of political power by military officials, as the different political aspects such as Kingship(重祚), governing by the King(親朝) and , detainment of the King appeared, the resigned officials participated in the meeting of the Dopyeongwisasa(都評議使司) or in the political operation including response to the consultation for the King.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officials who retired earlier than 70 years old increase, the Goryeo government was used to appoint them for posts(封君) in order to induce political participation of officials and to give more economic benefi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