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디어 교육 경험에 따른 청소년의 뉴스 수용 양상 분석

        양길석 ( Yang Kilseok ),서수현 ( Seo Soohyun ),옥현진 ( Ok Hyounji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1

        디지털 미디어 기반의 사회 속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그동안 학교교육 안팎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적 노력이 있었지만, 그러한 교육적 노력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검증하려는 시도는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2019년 6∼7월에 수행한 ‘2019 10대 청소년 미디어 이용 조사’의 원본 데이터를 활용하여 미디어 교육 경험과 우리나라 10대 청소년들의 미디어리터러시, 특히 그중에서도 뉴스 리터러시 수준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 분석해 보았다. 우리나라 10대 청소년 2363명이 응답한 데이터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교육 경험과 뉴스 리터러시의 관련성을 뉴스 이용 양상, 유목적적 뉴스 이용, 비판적 뉴스 읽기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미디어 교육 경험은 뉴스 리터러시의 향상에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미디어 교육 경험의 여부와 상관없이 우리나라 10대 청소년들의 뉴스 리터러시 점수는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뉴스 리터러시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교육이 시급하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결론 및 제언에서는 향후 뉴스 리터러시에 대한 교육 개선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importance of media literacy is increasing in a digital media-based society. There have been various educational efforts to reinforce media literacy education both inside and outside school education, but attempts to objectively verify the effectiveness of such educational efforts have been relatively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using data from the '2019 Teenage Media Use Survey' conducted between June and July 2019 by the Korea Press Foundation, we analyzed how the media education experience is related to the level of media literacy, especially news literacy among teenagers in Korea. Based on the data from 2363 teenagers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education experience and news literacy in terms of news use patterns, purposeful news use, and critical news read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media education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news literacy overall. However, regardless of media education experience, Korean teens' news literacy scores were generally low, confirming the urgent need for more systematic education on news literacy in the future. In conclusions and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discussed ways to improve education and research on news literacy in the future.

      • KCI등재

        뉴스비평 교육이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뉴스미디어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김영석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21 사회과교육연구 Vol.28 No.4

        This study explored an educational method to cultivate critical news consumption capabilities.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reveals that news consumers are responsible for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biased news media. For balanced news consumption, news consumers need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news media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nd its impact on themselves. This ability can be conceptualized as 'news media literacy'. Also, previous studies show that participation in news media education is essential in the accurate judgment of news information. This study presented a handy model named HEAP by which we can easily analyze the bias of news articles and engaged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in analyzing actual news articles according to the model. The news media literacy of the HEAP mode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ison group in the mean scores. The effect siz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above the middle level. In addition, all of the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news critique education were able to complete the news analysis as suggested by the HEAP model within a short time. 본 연구에서는 편향적 뉴스미디어의 생산과 유통에 뉴스소비자의 역할과 책임이 중요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비판적 뉴스소비역량을 기르기 위한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우선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비판적 뉴스 소비를 위해서는 뉴스미디어 생산의 사회적·경제적·정치적 맥락과 뉴스미디어가 뉴스소비자에 미치는 영향을 비판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았다. 이러한 능력은 '뉴스미디어 리터러시'로 개념화될 수 있는데, 뉴스미디어 리터러시를 기르기 위해서는 개인의 정치지식보다 뉴스미디어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더 중요하다는 기존 연구결과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손쉽고 간편하게 뉴스 기사의 편향성을 분석해볼 수 있는 HEAP 모형을 구안하였으며, 사회과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HEAP 모형에 따라 실제 뉴스기사를 분석하게 하였다. HEAP 모형에 따른 뉴스분석을 경험한 집단과 비교집단의 뉴스미디어 리터러시를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의 평균이 더 높았으며, 두 집단 간 평균 차이의 효과 크기는 중간 수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뉴스비평교육에 참여한 예비교사 모두가 짧은 시간 내에 HEAP 모형이 제시한 대로 뉴스분석을 마칠 수 있었다.

      • KCI등재

        우리나라 초중고 학교급별 뉴스 리터러시 수준은 어떠한가? : NIE 경험 및 뉴스 매체 경험과의 관계

        박민애(Park, Minae),이빛나(Lee, Bit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5

        다양한 매체의 발달로 인해 많은 뉴스 정보를 손쉽게 접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자신에게 유용한 뉴스 정보를 선별하여 수용하고 심층적으로 활용하는 능력인 뉴스 리터러시는 현대사회에서 필수적인 역량이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시점에서 뉴스 리터러시를 진단하고 뉴스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마련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제공하는 ‘2016 10대 청소년 미디어 이용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2019년 7월~9월동안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뉴스 리터러시를 다국면 요인(선별적 추구, 이해 추구, 다양성 추구)으로 정의 내려 뉴스 리터러시 하위 요인의 수준을 학교급별로 비교하고자 하였다. 또한 다집단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NIE 경험과 뉴스 리터러시와의 관계에서 뉴스 매체 경험의 매개효과를 탐색하고, 구조모형의 경로계수를 학교급별로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우리나라 학생들의 뉴스 리터러시 수준은 고, 중, 초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급내 비교에서는 초, 중, 고 모두 선별적 추구, 이해 추구, 다양성 추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 중, 고 학교급 모두 NIE 경험이 뉴스 매체 경험을 매개하여 뉴스 리터러시에 미치는 직, 간접적인 긍정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NIE 경험, 뉴스 매체 경험, 뉴스 리터러시 간 관계에서 경로계수를 초, 중, 고 학교급별로 비교한 결과, NIE 경험의 효과는 초등학교급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media, news literacy, which is the ability to select, accept and use news information, is an essential capability in modern society.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diagnose news literacy,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news literacy to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s. So, we used the ‘2016 Teen Youth Media Use Survey’ data provided by the Korea Press Foundation. This study defined news literacy as multi-faceted factors(selective pursuit, understanding pursuit, diversity pursuit)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s of news media experi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IE experience and news literacy using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compared the path coefficients of structural models by school grad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news literacy was higher in the order of high school, middle school and elementary school. Also, all students showed high priority in the order of selective pursuit, understanding pursuit, and diversity pursuit. Second, all school grades showed that the news media experience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NIE experiences and news literacy. Also, positive direct and indirect mediating effects of the news media experience on NIE experience and news literacy were identified. Finally, the path coeffici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IE experience, news media experience, and news literacy were compared by school grades. As a result, the effect of the NIE experience was the greatest at the elementary school. Finall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 KCI등재

        페이스북을 통한 뉴스 이용행위의 다차원성: 이용동기, 습관, 그리고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의 역할을 중심으로

        ( Md. Asraful Alam ),김균수 ( Kyun Soo Kim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社會科學硏究 Vol.31 No.1

        본 연구는 방글라데시 성인들의 페이스북을 통한 다양한 뉴스 이용행위와 이들의 뉴스이용동기, 습관, 그리고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가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조사했다. 연구결과, 페이스북 이용자들의 뉴스 이용행위는 훑어보기(checking), 정독하기(reading), 글쓰기(posting), 지지하기(endorsing)의 네 가지 차원으로 구분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러한 구분을 바탕으로, 뉴스 이용동기 측면에서, 사회적 연결과 정보추구 동기가 네 가지 뉴스 이용행위와 밀접하게 관련된 주요동기로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습관 측면에서도 전통 미디어 보다는 디지털 미디어 습관이 페이스북을 통한 뉴스 이용행위와 폭넓게 관련되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의 두 가지 차원인, 디지털 미디어 기술과 콘텐츠 리터러시가 페이스북을 통한 뉴스 이용행위의 다차원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페이스북을 비롯한 소셜미디어 뉴스 이용행위의 다차원성이 갖는 향후 저널리즘 연구와 관련한 학술적 의의와 방글라데시에서의 소셜미디어를 통한 뉴스 생산과 소비의 실무적 함의를 논의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news use behaviors to individual’s motivations to use news via Facebook, news media habits, and digital media literacy in a sample of Bangladeshi adults where Facebook has evolved as a vibrant platform with unprecedented popularity. Based on a quantitative approach, a surve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300 adult Facebook users in Dhaka city of Bangladesh. This study found four distinctive SNS news use behaviors (i.e., checking, reading, posting, and endorsing) particularly for Facebook users that were not only associated with participants’ motives based on the demand-supply basis, but rather complemented by the habitual use of media, digital media skills, and content literacy. Despite the exploratory nature of this study, explaining various ways of how social media influence the pattern of news consumption and people’s news related behaviors offers a new understanding of the new media. It also provides future areas for studying the consequences of multidimensional news use on Facebook. The findings contribute new interpretation to news consumption pattern in the new media environment where digital media literacy skills facilitate people to be more engaged with news use behaviors.

      • KCI등재

        청소년의 시민 미디어 리터러시가 정파적 가짜뉴스에 대한 판단 행동에 미치는 영향

        송미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4 시민교육연구 Vol.56 No.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effect of adolescent’s civic media literacy on the judgment behavior in the context of partisan fake news. For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students from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o the third year of high school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1,344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Research was divided into two parts. First, the impact on the judgment behavior in the context of partisan fake news by civic media literacy sub-competencies was examined, and second, after confirming the type of civic media literacy of adolescents, the difference in the judgment behavior in the context of partisan fake news by types was confirm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competencies of civic media literacy, the ability to exclude harmful media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judgment behavior regarding partisan fake news, while public participation had a negative effect. Second, the types of civic media literacy of adolescent are ‘average type(group 1)’, ‘active participation type(group 2)’, ‘risk coping type(group 3)’, ‘risk-vulnerable type(group 4)’, and ‘critically excluding participation type(group 5)’ and ‘self-centered participation type(group 6)’.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differences in the judgment behavior in the context of partisan fake news by types of civic media literacy of adolescent, the critically excluding participation type(group 5) was better than the average type(group 1), the active participation type(group 2), the risk-vulnerable type(group 4), and the self-centered participation type(group 6). These research findings lead to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a specific educational discussion should be held to address the issue of partisan fake news, focusing on building competencies to exclude harmful media.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ublic participation’, a competency recommended in civic education, when using media. Third, customized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civic media literacy.

      • KCI등재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뉴스 리터러시 특성 분석 - 학년, 성별, 지역, 포털 이용 행태를 중심으로 -

        옥현진,서수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3 No.-

        As the age of media users is getting lower and their media use rate is rapidly increasing, there is a growing nee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news literacy in learners through systematic and verified education as early as possibl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news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grade, gender, region, and portal usage behavior based on the data of the "2019 Teenage Media Usage Survey" and provide them as basic data for future news literacy programs. To analyze the level of news literacy, the items presented in the ‘News usage behavior’ category of the survey were selected and us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ews literacy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was not generally high. The resul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ckground variable and news literacy showed that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news literacy by grade was mainly noticeable between 4th and 5th graders. The only difference by gender was that female stude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question related to ‘social participation’. Also, the scores of students in large cities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students in the other two region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with news literacy by divid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portal use behavior into four groups showed that the group using various contents and using it frequently showed relatively high news literacy.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planning and implementing news literacy education were drawn, and the areas that should be improved in the survey were also mentioned for better investigation in the future. 미디어 이용자의 연령대가 점점 낮아지고 이들의 미디어 이용률도 급증함에 따라 가능한 한 조기에 체계적이고 검증된 교육적 중재를 통해 학습자의 미디어 리터러시 전반에 대한 발달을 촉진해야 할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2019 10대 청소년 미디어 이용 조사’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년, 성별, 지역, 포털 이용 행태에 따른 우리나라 초등학생(4∼6학년)의 뉴스 리터러시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뉴스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하는 데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뉴스 리터러시 수준 파악을 위해서는 조사도구의 ‘뉴스 이용 행태’ 항목에 제시된 문항들을 선별하여 활용하였으며, 분석 결과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뉴스 리터러시 수준은 전반적으로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변인에 따른 뉴스 리터러시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우선 학년별 뉴스 리터러시의 수준 차이는 4학년과 5학년 사이에서 두드러졌다. 또 성별 차이는 크게 두드러지지 않았으나 ‘사회 참여’와 관련된 문항에서 여학생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지역별 분석에서는 대도시 학생의 점수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초등학생들의 인터넷 포털 이용 행태를 네 개의 집단으로 범주화한 뒤 이들과 뉴스 리터러시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하고 이용 빈도가 높은 집단의 뉴스 리터러시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뉴스 리터러시 교육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데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뉴스 리터러시를 보다 입체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조사도구에서 개선되어야 할 부분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 KCI등재

        정파적 수용자의 적대적 매체 지각과 뉴스 미디어 리터러시

        김경모(Kyungmo Kim),이승수(Seung Su Lee),김상정(Sang Jung Kim) 한국언론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2 No.3

        이 연구는 자기범주화와 인지정교화의 접점에 주목해 적대적 매체 지각현상을 분석했다. 한국사교과서 국정화 논란을 다룬 뉴스기사(찬성 vs 중립 vs 반대)를 무선배치 피험자 집단에 제시하고 정파적 수용자의 정치이념성향, 자기범주화, 뉴스 미디어 리터러시가 상호작용하면서 뉴스 지각편향이 일어나는 심리과정을 탐색했다. 온라인 실험 결과, 중도(중립)기사를 접한 정파적 수용자가 기사 출처(보도매체)를 내집단 범주화할 때는 동화편향이, 외집단 범주화할 때는 적대적 매체 지각이 일어났다. 보수(찬성)와 진보(반대)로 편향된 기사에 각각 노출됐을 때도 자기범주화를 통한 상대적인 적대적 매체 지각이 관찰됐다. 다음으로, 뉴스 미디어 리터러시가 뉴스 지각편향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분석했다. 중도기사를 접한 경우 뉴스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이 높은 정파적 수용자의 뉴스 지각편향이 증폭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수편향기사에 노출됐을 때 리터러시 수준이 높은 진보 수용자의 상대적인 적대적 매체 지각은 변화하지 않았지만, 리터러시 수준이 높은 보수 수용자의 동화편향은 증폭됐다. 그러나 진보편향기사에 노출된 정파적 수용자에겐 리터러시의 차이에 따른 지각편향의 유의미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파적 수용자의 뉴스 지각편향이 저널리즘에 시사하는 함의를 논의했다. This research analyzed hostile media perception focusing on the crossing point between self-categorization and cognitive elaboration. We randomly assigned people into three groups and suggested news articles about the state approved Korean history textbook issue(agree/neutral/disagree). Then we examined psychological mechanism that evokes news perception bias through interaction between partisan audiences’ political ideologies, self-categorization and news media literacy. The result of online experiments showed that partisans who were exposed to neutral news article had assimilation bias when they categorized the news as their in-group. When partisans were exposed to articles that were conservative biased(agree) and liberal biased(disagree), relative hostile media perception by self-categorization was observed. We then analyzed how media literacy affects news perception bias. When partisans encountered neutral news article, news perception bias was amplified with partisans who had high news media literacy. Relative hostile media perception did not change when liberal partisans who had high media literacy were exposed to conservative biased article. Relative hostile media perception was amplified when conservative partisans who had high news media literacy were exposed to conservative biased article. However, when partisans were exposed to liberal biased news article,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news media perception by different levels of news media literacy was observed. Lastly, we discussed about implications of partisans’ news perception bias on journalism based on our experiment results.

      • KCI등재

        가짜뉴스 대응을 위한 「미디어교육지원법」 입법에 관한 논의

        전윤경 대한교육법학회 2018 敎育 法學 硏究 Vol.30 No.3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the legisla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coping with fake news.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discussion is as follows. First, this article discussed the concept of fake news and the basic elements of media literacy. Specifically, article discussed three variables of the concept of fake news for legistlation discussion. Second, this article discussed the current situation of media education. Media center and school media education were specifically discussed separately. With this, article tried to find the implications for discussing the legislation related to media literacy. In detail, social media education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of media education of the public institutions, and school media education analyzed that of today’s schools with curriculum. Third,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is article presented a discussion point for legislative legislation. The conclusion of discussion emphasized the need for attention to The Digital Civic Education Act in the direction of legislation related to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coping with fake news. 본 논문은 가짜뉴스 대응을 위한 미디어교육지원법 입법에 관한 논의를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인 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짜뉴스 개념과 미디어 리터러시의 기본요소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법안 입법 논의를 위하여 가짜뉴스 개념의 세 가지 변수를 논의하였으며, 미디어교육과 미디어 리터러시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둘째, 미디어교육 현황을 사회 미디어교육과 학교 미디어교육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사회 미디어교육은 현재 미디어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공공기관의 미디어교육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학교 미디어교육은 교육과정을 통해 현행 학교 미디어교육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미디어교육지원법 관련 입법에 관한 논의의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셋째, 앞선 논의를 바탕으로 법안 입법을 위한 논의거리를 제안하였다. 마지막, 논의의 결론으로 가짜뉴스 대응을 위한 미디어교육 관련 법제의 방향으로 디지털 시민교육법에 대한 관심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뉴미디어 리터러시가 뉴스 팩트체크 행동에 미치는 영향: 불확실성에 대한 민감성의 조절효과와 가짜뉴스 태도 및 사실확인 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병관,노환호,이태준 한국PR학회 2021 PR연구 Vol.25 No.4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new media literacy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news fact-check behavior to identify the attitude of information users to the continuously spreading fake news about newly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New media literacy is a concept that includes the ability to judge whether to confirm facts beyond consumption of information and will increase negative awareness of fake news and increase intention and behavior to confirm facts. In addition, through the moderating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we tried to review that people'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news whose information is not clear.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company. A study was conducted on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60s. Participants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through e-mail and then answered the questionnaire organize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higher the new media literacy, the higher the news fact-check behavior, which was mediated by the attitude toward acceptance of fake news and the fact-checking motivation.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mediating effect is moderated by intolerance of uncertaint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creasing media literacy can be a way to increase the fact-check behavior of information users to prevent the spread of fake news.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mediating effect is more effective in people with low intolerance of uncertainty.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언어와 매체〉 교과서의 뉴스 리터러시 교육 내용 요소 분석

        송보라(Song, Po-ra),최숙기(Choi, Sook-ki) 우리말글학회 2022 우리말 글 Vol.93 No.-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기반한 〈언어와 매체〉 5종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차원에서 뉴스 리터러시와 관련한 학습 활동을 매체의 본질, 매체의 수용, 매체의 생산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국어 교육 내의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언어와 매체〉 5종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뉴스 매체의 본질에 관한 학습 활동은 메시지 구성방식의 측면과 복합 양식성의 구현에 집중되어 있었다. 둘째, 뉴스 리터러시의 비판적 수용 활동이 5종 교과서에서 모두 구현된 반면, 뉴스 생산 활동은 단 2종에서만 구현되어 뉴스의 비판적 수용에 학습 활동이 집중되어 있었다. 셋째, 뉴스 생태계와 생산 맥락을 충실히 이해하며 뉴스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생산하는 활동이 충실히 구현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뉴스 리터러시 관련 성취기준의 설정과 체계화를 통해 교육내용과 교수 학습의 방향을 체계화하고 교육 내용을 개선하는 방안 등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news literacy from the perspective of media literacy education by targeting the five textbooks of 〈Language and Media〉 based on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nature of the medium, the acceptance of the medium, and the production of the medi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spect and to find ways to improve news literacy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his. 〈Language and Media〉 The results of analyzing five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 the learning activities on the nature of news media were focused on the aspect of message composi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complex modalities. Second, the critical acceptance activity of news literacy was implemented in all five textbooks, whereas the news production activity was implemented in only two types, so that learning activities were concentrated on critical acceptance of new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activities of critically accepting and producing news while faithfully understanding the news ecosystem and production context were not faithfully implemente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systematize the educational content and the dir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to improve the educational content through the establishment and systematiz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news liter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