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왕용계의 성덕체계와 강우 왕문의 비판

        이상훈(李相勳) 한국양명학회 2020 陽明學 Vol.0 No.56

        본 본문은 왕용계(王龍溪)의 성덕체계(成德體系)와 강우왕문(江右王門)의 비판을 본체와 공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유학에서 논하는 성덕은 사람들에게 선천적으로 부여된 덕성을 회복하고 이를 잃지 않음으로써 도덕적 인간으로서의 본연의 모습을 지켜나가는 것이다. 양명 후학인 왕용계도 유학에서 논하는 이러한 성덕의 방법을 자신이 이해하고 있는 본체로서의 현재양지와 이에 근거한 선천정심의 공부를 통해 설명한다. 이에 왕용계는 먼저 도덕실천 근거로서 양지본체를 논하면서 양지란 일념의 영명(靈明)이고 선천본유적이며, 기(氣)의 영명함인 자연천칙으로서 현재한다고 주장한다. 또 이 현재의 양지는 독지이자 덕성의지이고 직관의 지이어서 스스로 도덕상의 옳고 그름을 파악할 수 있는 본심양지의 실체로 간주하며, 아울러 양지란 순수하고 지선하여 그 자체에 의념을 드러내지 않으며 무욕하고 무잡하여 그 감응도 모두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고 본다. 따라서 용계에게 있어 이러한 양지본체의 내용은 모두 성덕을 위한 기본적인 근거가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공부의 관점에 있어 왕용계는 선천 본유하며 초월적인 양지에 근거하기 때문에 인위적이고도 후천적인 공부에 대해서는 부정한다. 즉 양지본체란 그 자체의 영명함에 주어진 자연스러운 능력으로 곧바로 현성되어 나타난다고 보기 때문에 굳이 후천적이고 경험ㆍ학습적인 노력을 가하여 양지본연의 모습을 회복하는 것에 대해서 무의미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러한 점으로 인해 왕용계는 공부를 무공부의 선천정심에다 그 중점을 두고 이를 강조한다. 왕용계는 유학의 성덕 과정에서 보편적으로 주장하는 공부를 통한 본체의 회복 과정을 논하지 않고, 오히려 곧바로 본체인 양지본체의 자연유행을 자각함으로써 공부의 문제를 자연스럽게 해결하려는 관점을 주장함으로써, 기존의 유학 체계에 대한 발상의 전환과 자신만의 독특한 성덕 관점을 논한다. 그러나 유학에서 보편적으로 말하는 ‘공부가 곧 본체’라는 관점에 보면, ‘본체가 곧 공부’라는 주장은 사람들이 쉽게 수긍하고 이를 실천할 수 없는 어려움도 함께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강우 왕문의 학자인 계팽산과 섭쌍강 등은 이를 비판한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보면 결국 이 문제는 왕문학자들 상호간 관점의 차이이면서 또한 왕용계의 성덕체계가 지닌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try to research Wang Longxi’s system of moral virtues completion and Jiangyou Yangming scholars’ criticism of it around the natural substance and the effort. The moral virtue completion of Confucianism is to preserve one’s true self as a moral person by restoring the virtues inherent in them and not losing them. Wang Longxi, a scholar of Wang Yangming school, also explains this method of moral virtues completion in Confucianism through the natural substance as the exposed state of innate knowledge of good as well as the restoring effort of innate good mind based on which he understands it. First of all, he explains that the innate knowledge of good is the distinction of the thought, the nature of the innate, and the spirituality of spirit as the basis of moral practice. In addition, the exposed state of the innate knowledge of good is considered to be a self-correctly knowledge, which is a self-righteousness, a knowledge of virtue, and intuition, and the innate knowledge of good is pure and very good-natured and shows no sense of self-intension, and all its reactions are natural because it is no purpose and impureness. For the Wang Longxi’s thought, therefore, the content of all of these the innate knowledge of good is found to be the basis for moral virtues comple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point of the effort, innate knowledge of good is inherently innate and based on transcendental knowledge, and for this reason Wang Longxi denies artificial and acquired effort. In other words, Longxi thinks it is meaningless to restore the innate knowledge of good’s original appearance by making generous, experienced and learned efforts because it is regarded as a natural ability given to its own spirituality. Therefore, Wang Longxi emphasizes the effort with an emphasis on the restoring effort of the innate good mind that there is no the effort. Wang Longxi does not discuss the restoration process of the natural substance through the effort that is commonly claimed in the process of moral virtues completion, but rather argues the view that it is to naturally solve the problem of the effort by conscious of the natural effect of the natural substance of the innate knowledge of good, thus demonstrating the change of ideas of the existing confucian system and its own unique view of the moral virtues completion.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ffort is the natural substance" of Confucian, the fact that " The natural substance is the effort " is also a challenge that people can easily accept and cannot practice. Therefore, Ji pengshan and Nie shuangjiang in Jiangyou scholar of Yangming Studies criticize this. In the end, this is a distinction between Yangming Scholar’s mutual views and also a feature of Wang Longxi’s the system of moral virtues completion.

      • KCI등재

        우담 정시한의 인물성이론(人物性異論)- 사단칠정론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

        나대용 ( Dae Yong Na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5 No.-

        1) 퇴계학파 내에서 진행된 우담 정시한과 외암 이식의 인물성동이논변은 우담이 율곡철학의 핵심인 理通氣局說을 비판함으로써 시작되었다. 우담은 율곡의 理通氣局說을 朱子·퇴계의 ‘형이상자 체용과 형이하자 체용의 구분과 연결’을 부정하고, 형이상자의 체인 理의 본체가 형이하자에 유행한다는 주장이라고 비판하였다. 그러나 우담의 제자인 외암 이식은 율곡의 理通氣局說에서 형이상자의 체인 理의 본체가 형이하자에 유행한다는 주장 만큼은 긍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우담과 외암의 인물성동이논변이 시작된 것이다.2) 우담 인물성이론의 핵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핵심 1, “이미 그 體가 있으면 반드시 用이 있고, 그 用이 있으면 반드시 그 體가 있다.” [旣有其體則必有其用, 旣有其用則必有其體], 핵심 2, 형이상자의 체용[渾淪=人物性同論]과 형이하자의 체용[分開=人物性異論]의 구분과 연결. 핵심 3, 태극의 본연의 묘함[형이상자 체용]은 陰陽動靜의 기틀[형이하자 체용]을 탄다. → 理主氣輔. 핵심 4, 氣는 오히려 비슷하나[형이하자의 체] 理는 절대 같지 않다[형이하자의 용] =氣猶相近, 理絶不同. 이상의 우담의 인물성이론의 핵심 네 가지는 각각 중요한 특징이기도 하지만,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핵심 1은 핵심 2의 기초가 되며, 핵심 3은 핵심 1,2를 관통하는 일관된 원리이며, 핵심 4는 형이하자의 체용에 관한 것인데, 형이하자의 체용은 형이상자의 체용의 영향을 받으므로 핵심 1,2,3과 상호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3) 이상의 우담의 인물성이론의 핵심 네 가지 중에서 핵심 3, 즉 ‘태극의 본연의 묘함[형이상자 체용]은 陰陽動靜의 기틀[형이하자 체용]을 탄다. → 理主氣輔’가 우담 인물성이론의 중심 구조를 형성한다. 4) 우담의 인물성이론은 형이하자의 체용에 국한된 것이다. 우담은 형이상자의 체용 [渾淪]에서는 인물성동론을 주장하는 것이다. 5) 우담의 인물성이론은 형이하자의 체용에 국한된 것이며, 형이하자의 체용이 존재함을 실증하는 것이다. 그러나 형이하자의 체용의 존재는 그 자체만으로는 불완전하다. 형이하자에 유행하는 理의 用의 본질적 근거가 해명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궁구하면 형이상자의 체용의 존재를 긍정하지 않을 수 없다. 결국 우담의 인물성이론은 理主氣輔의 ‘형이상자 체용과 형이하자 체용의 구분과 연결’을 기본적 구조로 하는 이론임을 알 수 있다. 6) 외암 이식의 인물성동론(人物性同論)의 근원은 그의 太極陰陽理氣論 즉 ‘‘태극의 理가 실제로 陰陽의 動靜을 겸한다’는 이기이원설(理氣二源說)에 있다. 즉 외암의 理氣論은 이기이원설(理氣二源說)에 근거하기 때문에, 대소은현체용론(大小隱顯體用論)으로 귀결된 것이다. 대소은현체용론(大小隱顯體用論)은 외암 이식의 인물성동론의 근거이다. 이러한 외암의 대소은현체용론은 우담의 태극음양이기론 즉 태극[理]이 음양의 동정[氣]을 타고 주재하는 理主氣輔說과는 현격히 다르다. 때문에 외암의 대소은현체용론은 형이상자의 체용과 형이하자의 체용을 나누지 않는다. 7) 외암 이식의 인물성동론의 근거는 대소은현체용론이고 대소은현체용론의 구체적인 귀결처는 ‘한 점의 정혈(精血)’이다. ‘한 점의 정혈(精血)’은 결국 氣이다. 외암 이식의 철학은 결국 氣철학으로 귀결된다. 8) 외암 이식은 우담 정시한의 제자로써, 퇴계학파에 속하여서, 理의 능동성을 주장하지만, 우담 정시한과 人物性同異에 관하여 명백히 다른 입장을 드러낸다. 이러한 현상을 통하여, 같은 퇴계학파라고 하더라도 太極陰陽理氣論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Jung Si Han insisted that there are natural difference betweeen Human and animals. He insisted the theory of natural difference between Human and animals on the basis of following four key points. Key point 1. In case of being Substance[體], there should be Function[用], and in case of being Function[用], there also should be Substance[體]. Key point 2. The division and junction of super formal Substance-Function and formal Substance-Function. Key point 3. Super formal Substance-Function means that ``Tae kuk`` as Li[理] might get on and cotrol the fomal ``Umyang`` as Ki[氣]. Key point 4. Ki[氣] is almost same in the formal Substance, but Li[理] is absolutely diffenent in the formal Function Above key points are combined closely together. For example, key point 2 is on the basis of key point 1. Also key point 3 is penetrating key point 1,2. Moreover, key point 4 is limited on the formal Substance-Function, but the formal Substance-Function is influenced on the super formal Substance- Function. therefore, key point 4 has also close connection with key point 1,2,3

      • KCI등재

        周汝登의 心性論

        이상훈 대동철학회 2017 大同哲學 Vol.79 No.-

        본 논문은 주여등(周汝登)(호 : 해문海門)의 심성론(心性論)를 통해서 그가 가진 심(心)과 성(性)의 함의(涵義)와 이들 사이의 관계, 그리고 이 심성론을 바탕으로 한 실천 공부인 심성공부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고자 한다. 해문(海門)이 강조하는 심체(心體)로서의 현성(現成)의 양지는 수시로 영명(靈明)함을 드러내고, 그 감응(感應)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고 봄으로써 양지를 곧 도덕본심이자 인심(仁心)으로 이해한다. 또 양지의 지(知)는 자성(自性)인 명각(明覺)을 통해 상각상조(常覺常照)하는 무지(無知)의 지(知)로 간주하여, 견문(見聞)으로부터 이야기되는 지식인 정식(情識)의 지(知)와 구별한다. 성체(性體)에 관해서는, 성(性)이란 오직 본연(本然)의 성인 천성(天性) 하나만 있으며, 이 천부(天賦)의 성인 천성과 만물의 형색(形色)을 하나로 간주하여 기질의 성을 따로 설정하지 않거나 인정하지 않는다. 공부(工夫)에 있어서는 무선무악(無善無惡)한 심체(心體)와 성체(性體)에 대한 공부와 위선거악(爲善去惡)의 공부를 하나로 인식한다. 그리고 이러한 위선거악의 공부를 명심(明心), 연경(練境), 사상마련(事上磨鍊) 등의 일용(日用)과 실질적인 격물(格物)의 공부를 통해서 성색화리(聲色貨利)로 인해 야기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명심 등의 위선거악 공부는 양지심체와 성체의 본연을 회복하려는 격물(格物)의 치양지(致良知) 공부와 다르지 않다. This paper try to investigate his implication of mind and nature and its relationship through Zhou Ru-deng(Pen name: Haimen)’s doctrine of mind and nature and to examine the effort of mind and nature, practical effort, based on the doctrine of mind and nature. The manifest of innate knowledge as the original substance of mind that Haimen emphasized frequently exposed the distinction and by considering that its induction naturally was made, the innate knowledge has been understood as the moral mind or the nature mind of Humanity). The knowledge of innate knowledge defined as the knowledge of not-knowing which perceived and revealed at all times through the brilliant perception of personality and distinguished the knowledge of experience in the seeing and hearing. As to the original substance of nature, the nature meaned only the heaven-conferred nature of natural nature and not differentiated or not admitted the dispositional nature by integrating the Human Nature as a natural gift and the bodily organs with their functions of all things. In the effort, Haimen integrated the effort for the original substance of mind and the original substance of nature which was the state of having neither the good nor the evil and the effort to preserve the good and remove the evil. Also, the effort to preserve the good and to remove the evil try to solve the problem that aroused from voice and countenance, goods and profit through the effort for the investigation of things and the everyday use including the light Mind, the cultivate stage, the training in actual affairs. Therefore, the effort to preserve the good and to remove the evil including the light Mind is equal to the effort for the doctrine of the extension of knowledge to the investigation of things that tried to recover the natural situation of the original substance of innate knowledge and the original substance of Nature.

      • KCI등재

        시와 정체공능(整體功能)의 미학 : 박목월의 「나그네」와 「윤사월」을 중심으로

        이재복 ( Lee Jaebok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8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6 No.3

        박목월에게 자연은 시인으로서의 정체성뿐만 아니라 그의 시의 성격을 규정짓는 중요한 덕목이다. 이런 맥락에서 목월의 자연은 ‘시인의 개인적인 이상과 상상이 만들어낸, 자연과의 합일이라는 전통적인 자연과는 다른 새로운 자연’까지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하지만 목월의 자연이 개인적인 이상의 산물이라는 해석은 하나의 실체로서의 자연을 넘어 허공으로서의 자연, 다시 말하면 정체공능으로서의 자연을 인식하지 못한 차원에서 내려진 해석이라고 할 수 있다. 목월의 「나그네」와 「윤사월」이 드러내는 자연은 이 정체공능으로서의 자연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그의 시의 자연은 ‘이상적’이고 ‘초월적’인 성격을 띠게 된다. 하지만 여기에서의 이상과 초월은 우주 전체 혹은 전체로서의 우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인간의 이성이 만들어낸 실체 차원의 세계와는 다른 것이다. 정체공능의 차원에서 보면 이러한 실체 차원의 세계는 일종의 도구적인 것에 불과하다. 서구의 실체론에 입각해 자연이나 우주를 이해하고 해석해온 사람이면 누구나 이런 식의 규정을 손쉽게 내릴 수 있으리라고 본다. 정체공능으로서의 자연이 한국, 중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의 사상, 철학, 문화, 예술 등에 일정한 토대로 작용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그것과의 단절과 망각 위에서 자연이나 우주를 해석해 왔다는 것은 어쩌면 그 역사가 왜곡과 오류의 역사일 수도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 망각은 자연을 중요한 존재 기반으로 하는 시의 경우와 깊은 연관이 있다. 우리가 망각한 정체공능으로서의 자연에 대한 발견은 곧 시에 대한 새로운 발견이 될 것이다. 한국, 중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에서의 시는 자연에 은폐된 도(道)의 현현으로 볼 수 있다. 자연이 도구나 대상이 아니라 인간의 의식과 삶 그리고 제도에 기본적인 공능으로 작용하면서 그것이 은폐하고 있는 미묘하고 신비한 세계를 하나의 양식을 통해 구현한 것이 바로 시인 것이다. 시에 대한 이러한 생각은 천지인이 분리되어 있지 않고 그것이 정체공능의 세계 내에 있다는 것을 잘 말해준다. 인간의 성품, 감정 그리고 사상까지도 모두 천지 혹은 우주(자연)의 법을 본받고 또 승순(承順)하는 과정에서 생겨나고 만들어진다는 것은 정체공능을 통한 새로운 시적 지평의 가능성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 nature is the important virtue as well as the identity to prescribe the characteristic of Park Mok-Wol’s poetry. Along this his nature was understood in that the poet’s individual ideal and imagination made the nature and it is the new one including unity with the nature. But it is not perfect to consider that his nature is individual product. It is to be considered that the nature is Jeongchegongneung in some space not just as substance. His poems, “Traveler”, and “the Second April” are based on the nature as Jeongchegongneung. Therefore his nature has the ideal and transcendental character. But the ideal and transcend are different from the substantial world made by human rationality in the state separated with the whole world. The substantial world is just kind of a tool in the level of Jeongchegongneung. Those who have understood and interpreted nature and space within the Western substantialism could have prescribed like this easily. Although the nature as Jeongchegongneung has worked as the definite base on the thought, philosophy, culture and arts in the northeast Asia such as Korea, China and Japan, the nature and space has been interpreted, being cut off and forgotten. It tells us the history could have been distorted. The oblivion is related with the poems based on the nature. The findings on the nature as Jeongchegongneung forgotten will be the new findings on the poetry. The poetry of the northeast Asia such as Korea, China and Japan is the evidence of Tao hidden by the nature. As the nature works as basic Gongneung within human consciousness, life and system, the subtle and mysterious world hidden by the nature is embodied to one style. It is the poetry. All the human character, emotion and thought appear, while imitating and following the universe and the space (nature). It shows the possibility of new poetic breakthrough.

      • KCI등재

        라이프니츠의 「새로운 체계」와 기계 형이상학

        이상명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8 철학탐구 Vol.5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 Leibniz’s metaphysics as a machine metaphysics by reading his metaphysics in focusing on the concept of machine instead of substance. The substance was the central concept of modern metaphysics, but it was not the main concern of philosophy since the 17th century. Thus, substance became a concept showing the break of modern metaphysics. But ‘machine’ can be a connection concept that keeps connecting modern metaphysical thoughts. For Machine or mechanistic thinking is also valid in modern times. This is why I want to see Leibniz’s metaphysics as a machine metaphysics. In order to do this, I will show that the conditions of substance, ‘true unity’ and ‘active force’ described in Leibniz’s substance theory, are applied to natural machines introduced in his “Système Nouveau”.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structure of the world explained through the concept of corporeal substance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world explained through the concept of natural machine. Leibniz’s new mechanistic system was constructed by reintroducing of the concept of substantial form and through the distinction between natural and artificial machines. And he reveals that substance in his metaphysical system is ultimately life-bearing, living being, by calling ‘living bodies’ or ‘organisms’ as natural machines. Thus, it is revealed that living being is a constituent of nature and that the principle of life is an essential element of such being. 이 논문은 라이프니츠의 형이상학을 실체 개념 대신 기계 개념을 중심으로 읽음으로써 그의 형이상학을 기계 형이상학으로 해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실체는 근대 형이상학의 중심 개념이었지만 17세기 이후에는 철학의 주된 관심사가 되지 못했다. 따라서 실체는 근대 형이상학의 단절을 보여주는 개념이 되었다. 하지만 ‘기계’는 근대 형이상학적 사고를 이후에도 계속 이어주는 연결 개념이 될 수 있다. 기계 혹은 기계론적 사고는 현대에도 유효하기 때문이다. 내가 라이프니츠의 형이상학을 기계 형이상학으로 보려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라이프니츠가 실체 이론에서 설명한 ‘참된 일체성’과 ‘능동적 힘’이라는 실체의 조건들이 「새로운 체계」에서 소개되는 자연 기계에도 그대로 적용된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또한 물체적 실체 개념을 통해서 설명하는 세계의 구조가 자연 기계 개념을 통해서 설명한 세계의 구조와 동일하다는 것도 그것의 논거로 제시된다. 라이프니츠의 새로운 기계론 체계는 실체적 형상 개념을 재도입하고 자연 기계와 인공 기계의 구별을 통해서 구축되었다. 그리고 그는 ‘살아 있는 물체’ 혹은 ‘유기체’를 자연 기계라고 부름으로써 자신의 형이상학 체계에서 실체란 궁극적으로 생명을 가지고 있는 것, 살아 있는 존재라는 것을 드러낸다. 이로써 살아 있는 것은 자연을 구성하는 존재이며 생명의 원리는 이러한 존재의 필수 요소가 된다는 것이 밝혀진다.

      • SCOPUSKCI등재

        옻나무 추출물의 생리활성 이용에 대한 연구 : 옻나무 추출물의 생물학적 기능

        임계택,이정채,Lim, Kye-Taek,Lee, Jeong-Chae 한국식품과학회 1999 한국식품과학회지 Vol.31 No.1

        옻나무에서 극성이 큰 물과 에탄올로 추출한 물질을 생쥐 뇌세포를 배양하여 glucose oxidase에 의해 생성되는 hydroxyl radical에 대한 항산화 효과와 암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먼저 항산화 효과에 있어서, $7{\sim}10$일 정도 배양된 생쥐 뇌세포에 20 mU/mL GO system을 처리한 후 물 및 에탄올 추출물 (30 mg/mL)을 일정량 첨가하여 hydroxyl radical에 대한 옻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GO 20 mU/mL만을 처리한 구에서는 생쥐 뇌세포의 생존률이 52.0%인데 반하여, 옻나무 물 추출물을 1, 2, 4, 7, $10\;{\mu}L$ 첨가시 각각 60.0, 66.0, 72.0, 84.0 및 90.1%로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매우 높은 생존률을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에탄올 추출물의 첨가시에도 유사하였는데, $1\;{\mu}L$과 $2\;{\mu}L$ 첨가시 생존률은 55.0%와 64.0% 였고, 4, 7, $10\;{\mu}L$에서는 각각 70.0, 79.0, 91.0%로서 나타났다. 항산화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잘 알려진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를 50, $100\;{\mu}M$ 첨가시 쥐의 뇌세포의 생존률은 대조군에 대해 각각 87.0%와 90.0%이었는데 이것은 각각의 옻나무 추출물 10% $(10\;{\mu}L/well)$ 첨가시 나타났던 항산화 효과와 비슷한 결과였다. 따라서 이러한 항산화 효과에 관여하는 주요 성분을 전기영동과 작용기 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 laccase라는 물질이 주성분이라는 것과 그것은 구리를 함유한 당단백질로서 크기는 약 210 KDa과 230 KDa으로서 dimer로 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옻나무 추출물의 HeLa cell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in vitro 방법으로서 HeLa cell에 대해 물 및 에탄올 추출물(30 mg/mL)을 최고 10% 농도까지 첨가하여 시간별로 측정한 결과 $10\;{\mu}L$(10%) 첨가 후 12시간에는 40.0%가, 48시간에는 60.0% 정도의 HeLa cell이 사멸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에 대한 결과는 in vivo 방법에 있어서도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즉 BALB/c의 복강에 CT-26 $(1{\times}10^6\;cells/mL)$을 접종한 후 종양을 발생케 한 후 옻나무 추출물을 주입시 주입 7일 후 대조군에 비해 종양크기가 현저하게 작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Antioxidative effects of the water or ethanol extracts from Rhus verniciflua Stokes (RVS) were measured by protection against hydroxyl radicals in mouse brain tissue culture. In the water extracts from RVS, cell viabilities were estimated 60.0, 66.0, 72.0, 84.0 and 90.0% at addition of 1, 2, 4, 7 and $10{\mu}L$, respectively, compared with GO (20 mU/mL) alone. The cell viability in the ethanol extracts was similarly with water extracts. In the antitumor effects, the results showed that percentages of the HeLa cell death were approximately 24% for 12 hrs, 57% for 48 hrs at addition of 10%/well ethanol extracts respectively. To know inhibition of tumor growth, in vivo, mice (BALB/c) were inoculated with 0.25 mL CT-26 $(1{\times}10^6\;cells/mL)$ subcutaneously. After the generation of tumor, the results of RVS extracts (ethanol, water) injection showed generally that the tumor size in BALB/c was reduced. For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he RVS extracts, purified substances of water or ethanol extracts were analized with SDS-PAGE and ICP spectrometer. In electrophoresis, gel showed 2 bands (210, 230 KDa). The results of ICP verified that RVS extracts contain $Cu^{2+}$ in both samples. Conclusively, this substance might be a laccase which has a biological effective function, as a natural bioactive substance.

      • SCIESCOPUS

        Antifungal performance of BFS mortar with various natural antifungal substances and their physical properties

        So, H.s.,Jang, H.s.,Lee, B.r.,So, S.y. Butterworth Scientific ; Elsevier Science Ltd 2016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108 No.-

        This study discusses the basic physical properties, as well as the durability and antifungal performance of blast furnace slag (BFS) mortar with various natural antifungal substances. As a series of basic experiments, the antifungal performances of various natural antifungal substances extracted from Marjoram, Phytoncide, Thyme, Ginkgo leaves, and Chitosan were investigated on five types of mold: Chaetomium globosum, Aspergillus niger, Aureobasidium pullulans, Gliocladium virens, and Penicillium pinophilum. Marjoram and phytoncide extracts, which showed excellent antifungal performance in the basic experiment, were selected and applied to the antifungal mortars. The physical properties in addition to the durability and antifungal performance of the antifungal mortar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clearly showed that the antifungal mortars with the marjoram extract had excellent antifungal performance compared with other antifungal mortars with natural antifungal substances. Their antifungal performance was at an equivalent level to that of the mortars with organic chemical antifungal agents. It was also shown that the optimum addition rate of marjoram extract in the mortar was 3% by mass of binder, considering antifungal performance and durability. The adverse effect of marjoram and phytoncide extract on the consistency and strength of antifungal mortars was insignificant.

      • Extraction of effective substances from persimmon leaf by using ultrasound-solvent extraction method

        김수인,전길송,이승범,홍인권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1

        Recently, increasing interest in antioxidants, many studies are being made to extract the effective ingredients from a natural substance. Several new extraction methods are appeared to reinforce a low extraction efficiency of existing traditional extraction method. In this study, by applying ultrasound-solvent extraction method, pulled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solvent used, saving energy, reducing processing times. Finally tried to quantify the optimized extraction efficiency of ultrasound-solvent extraction.

      • KCI등재

        스피노자의 신과 불교의 마음

        정진우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1

        Spinoza saw that we need to understand ourselves and the nature and capabilities of the human mind in order to achieve ultimate full happiness. But because humans are part of nature, we must first understand nature. Spinoza sought to avoid the dichotomous view of human beings and nature by choosing god as a comprehensive amalgamation of man and nature. Spinoza begins the overall planning of Ethics by proving the metaphysical truth about God and nature in Part 1 of Ethics about God. He comes to the amazing conclusion that God and nature are actually one and the same. 'God' and 'nature' are conceptually distinguished, but in reality they are one and the same. So these two concepts, which are equations of God, Nature (Deus sive Natura), are just another way of referring to one being. God, or the ultimate being (or truth), is something that cannot be defined. But nature, the world we experience as a manifestation of God, which is unregulated, is interpreted as a means of explaining God. Spinoza describes the concept of nature with such ambivalent aspects as “Natura naturans; naturing Nature” and “Natura naturata; natured Nature.” The implications of Spinoza’s ‘God, Nature’ are compared to buddha-dhatu of late Buddhism (the nature of the Buddha; the mind). In particular, Spinoza's “Natura naturans; naturing Nature” and “Natura naturata; natured Nature” are very similar to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representation of the fundamental meaning of Buddhism that systematizes the mind into one-mind and two-doors in the Mahayana-shraddhotpada-shastra, which represents Mahayana sutras. This paper compares Spinoza's God with the mind of Buddhism from this point of view. 스피노자는 우리가 궁극적인 완전한 행복 ―지복―을 위해서는 우리 자신을, 그리고 인간 마음의 본성과 역량을 이해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런데 인간은 자연의 일부이기 때문에 우리는 우선 자연을 이해해야 하는 것이다. 스피노자는 인간과 자연의 포괄자로서 신을 선택함으로써 인간과 자연이라는 이분법적 시각을 지양하고자 했다. 스피노자는 『에티카』의 제1부 ‘신에 관하여’에서 신과 자연에 관한 형이상학적 진리를 증명함으로써 『에티카』의 전체적 기획을 시작한다. 그는 신과 자연이 실제로 하나이자 동일하다는 놀라운 결론을 내린다. ‘신’과 ‘자연’은 개념적으로는 구별되나 실제로는 하나이자 동일하다. 그래서 ‘신, 즉 자연’(Deus sive Natura)이라 등식화한 이들 두 개념은 단지 하나의 존재를 언급하는 다른 방식의 언명인 것이다. 신, 즉 궁극적 존재(또는 진리)란 규정되거나 정의할 수 없는 그 ‘어떤 것’이다. 하지만 규정할 수 없는 것인 신의 현현으로 우리가 경험하는 세계인 자연은 신을 설명하는 수단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양가적인 측면을 갖는 자연 개념을 스피노자는 ‘능산적 자연’(Natura naturans; 자연 하는 자연 naturing Nature)과 ‘소산적 자연’(Natura naturata; 자연 된 자연, natured Nature)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스피노자의 ‘신, 즉 자연’이 함의하는 바는 후기 불교의 불성(부처의 성품; 마음)과 비교된다. 특히 스피노자의 ‘능산적 자연’과 ‘소산적 자연’은 대승경전을 대표하는 논서인 『대승기신론』에서 마음을 일심과 이문으로 체계화시켜 불교의 종지를 밝힌 개념적 틀과 매우 유사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에서 스피노자의 신과 불교의 마음을 비교하고자 한다.

      • 감귤추출물을 활용한 피부의 자연치유에 관한 연구

        김수연(SooYeon Kim),이강군(Kang Goon Lee) 지속가능과학회 2013 지속가능연구 Vol.4 No.1

        피부는 인체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체온조절, 분비, 배설, 흡수 등의 다양한 작용을 하고, 몸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며 외부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외부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피부는 환경적 스트레스로 인하여 피부의 노화를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고 손상된 피부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하여 비타민과 미네랄을 섭취하거나 외부에서 공급하는 것은 피부의 정상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오늘날 현대인들이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피부질환 및 노화를 방지하기 위해 손상 받은 피부를 빠르게 회복하기 위한 기능성 화장품이나 팩, 마사지, 전문적인 시술 등으로 피부 관리를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천연물질인 감귤의 과피(果皮)를 이용하여 기능성 화장품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감귤의 과피(果皮)를 마쇄하여 효소반응을 일으킨 감귤류(온주밀감, 오렌지, 자몽)에서 온주밀감의 착즙액으로 부터 얻은 바이오 겔은 보습, 미백, 재생효과 면에서 기능성 화장품 천연성분으로의 사용이 우수할 것으로 사료된다. Skin which occupies most of the body performs various actions including regulation of body temperature, secretion, excretion, and absorption and has function of protection against external environment due to its outermost location in the body. Given the nature of skin that is continuously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skin is vulnerable to aging due to environmental stress. Intake or external supply of vitamins and minerals is essential in order to prevent such aging and recover the function of damaged skin, thus maintaining the skin with normal condition. Today, with increased interest of people on appearance, people care their skin by applying various measures that facilitate rapid recovery of damaged skin such as use of functional cosmetics, use of mask packs and receiving massage or professional treatment in order to prevent skin diseases and aging. This study provides fundamental data for development of functional cosmetics that is composed of citrus peel, one of natural substances. The biogel obtained from the juice of Satsuma Mandarin, one of the citrus (Satsuma Mandarin, oranges, grapefruits), in which the enzymatic reactions were placed by using grind citrus peel is thought to have excellent function as functional cosmetic containing natural ingredient in the context of hydration, whitening, and recov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