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지식에 따른인식과 교수효능감 차이

        박주연 ( Ju Yeon Park ),이민정 ( Min Jung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5

        본 연구는 본 연구는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지식에 따른 인식과 교수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부산, 경남 지역에 거주하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교사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285부의 설문지를 본 연구의 자료로 사용하였다.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지식에 따른 인식과 교수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χ2)을 시행한 결과,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지식 하위문항 중 음악개념에 대한 지식, 현대음악이론에 대한 지식, 영역별 내용에 대한 지식, 통합적 방법에 대한 지식, 개별화 교수에 대한 지식 모두 유아음악활동의 인식에 대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지식 하위문항 중 음악활동의 개별화 교수에 대한 지식이 높은 교사가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개별 유아의 음악적 성장을 위해 교사의 음악활동에 대한 이해와 긍정적인 인식의 중요함을 시사한다. 그리고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지식에 따른 교수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지식하위문항 모두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교수효능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지식이 높은 교사는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교수효능감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음악개념에 대한 지식, 현대음악이론에 대한 지식, 음악활동 영역별 내용에 대한 지식, 음악활동 통합적 방법에 대한 지식, 음악활동 개별화 교수에 대한 지식은 유아음악활동에 교사의 교수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주요항목이라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among teachers in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ies and related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their knowledge of these activities.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20 kindergarten and daycare teachers who resided in Bu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285 respondents were analyzed. To examine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ies and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knowledge of the activities, x2-test was carried out.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eachers in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ies according to he subfactors of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y knowledge that were knowledge on the concept of music, modern music theories, contents of each area, integrated methods and individualized teaching. Specifically, the teachers who were more knowledgeable about individualized teaching of music activities, one of the subfactors of knowledge, took the best view of the activities. It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to have a perfect understanding and good perception of music activities to accelerate the musical growth of individual preschoolers.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 teaching efficacy of the teachers varied with their knowledge or no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ing efficacy in music activities according to every subfactor of the knowledge. In other words, the teachers who were better knowledgeable about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ies had a better teaching efficacy in that regard. Therefore, knowledge on the concept of music, modern music theories, contents of each area, integrated methods of music activities, and individualized teaching were revealved as major factors to boost the teaching efficacy of teachers in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ies.

      • KCI등재

        2015 개정 초·중등 음악교과서의 국악 창작 활동 구현 양상

        김민하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9 국악교육연구 Vol.13 No.2

        This study aimed to review the content related to the creation of Korean music in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examine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Korean music creation activities in light of the previous studies. It also analyzed patterns of Korean music creation activities embodied in the 2015 revised music textbook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n the area of expression in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the criteria for performing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musical elements of ‘lyrics, malbuchimsae, jangdankkol, and melody’ in relation to the creation activities of Korean music. These achievement criteria hav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developing a new singing culture by learning the language of Korean music and recreating it through imitation and transformation. Secondly, the analysis of Korean music creation activities in music textbooks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activities for lyric creation was the highest (45.92%), followed by jangdankkol creation(23.47%), melody creation(19.39%), and malbuchimsae creation (11.22%). After analyzing the contents and methods of Korean music creation activities according to each element, it is difficult to claim that the methods of Korean music creation presented in the previous studies have yet to be actively reflected. However, it should be avoided to illicit creation activities by relying solely on the characteristics of songs, without prior learning about types of malbuchimsae corresponding to the jangdan or various types of the melodic progression corresponding to the tori. Thirdly, the result of examining the technique of notation of Korean music creation activities revealed that the general use of pictorial scores, garakseon scores, Jeongganbo, jangdan symbol and oral sounds of janggu were widely used in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On the other hand, staff notation and rhythm notation along with Jeongganbo were used in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It is believed that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should also include various notation methods depending on students' levels and utilize them to help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It is indispensable that future studies of Korean music creation activities be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of sequence and continuity. The findings of the studies should offer a gradually extended activity by highlighting level-appropriate differentiation and preventing simple repetition while the experience of Korean music creation activities during elementary school is connected to that of middle schools.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국악 창작 관련 내용을 검토하고, 국악 창작 활동의 교육적 의미를 선행연구에 비추어 살펴보았다. 또한 2015 개정 초․중등 음악교과서에 구현된 국악 창작 활동의 양상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표현 영역에서는 국악 창작 활동과 관련하여 ‘노랫말, 말붙임새, 장단꼴, 가락’의 음악 요소에 따라 성취기준을 제시해 놓았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성취기준은 국악의 어법을 체득하고, 모방과 변형을 통해 국악을 재창조해 나감으로써 새로운 노래 문화를 만들어 나갈 수 있게 하는 교육적 의미가 있다. 둘째, 음악교과서에 구현된 국악 창작 활동을 분석한 결과 노랫말 창작 활동의 빈도(45.92%)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장단꼴 창작(23.47%), 가락 창작(19.39%), 말붙임새 창작(11.22%) 활동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각 요소에 따른 국악 창작 활동의 내용과 방법을 분석한 결과 각 창작 활동별로 그간의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국악 창작 방안이 아직 적극 반영되었다고 보기 어려운 면이 있다. 이는 음악교과서의 제한된 지면에 활동의 내용과 방법을 모두 담아내기 어려운 것에서 기인하기도 한다. 그러나 장단에 따른 말붙임새의 유형 또는 토리에 따른 가락 진행의 여러 유형에 대한 학습이 선행되지 않고 제재곡의 특성에만 의존하여 창작 활동을 이끌어 내는 등의 표면적인 활동은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국악 창작 활동의 기보법은 초등학교에서는 일반적으로 그림 악보, 가락선 악보, 정간보, 장구 장단 부호 및 구음이 많이 활용되는 반면, 중학교에서는 정간보와 더불어 오선보, 리듬보가 함께 활용되는 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중학교 음악교과서에도 학생의 수준에 맞게 기보법을 선택하고, 국악의 어법을 살려 표현할 수 있도록 기보법이 다양하게 활용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앞으로 국악 창작 활동에 대한 연구는 계열성과 연계성의 원칙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 때 경험했던 국악 창작 활동의 경험이 중학교 급에서도 연계성 있게 이루어지면서도, 그 수준에 있어서는 차별성을 두어 단순 반복되는 활동이 제시되는 것을 방지하고 점차적으로 심화되는 활동을 제공할 수 있도록 관련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음악 교과 역량의 국악 교육적 해석과 교수·학습 활동 사례

        한윤이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7 국악교육연구 Vol.11 No.2

        역량 중심 교육과정인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이 성공적으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역량을 고려한 교수․학습 활동 선정이나 역량 중심 수업 설계와 같은 실질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음악 교과 역량 교육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교과 역량의 의미와 요소를 고찰하고 음악 교과 역량의 국악 교육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역량 중심 국악 교수․학습 활동 선정 과정을 제안하고 구체적인 국악 교수․학습 활동의 사례를 일부 제시하였다. 음악 교과 역량의 의미와 요소를 고찰한 결과 대부분 일반적이고 포괄적으로 제시하고 있어 수업에의 직접적인 적용이 어려웠다. 특히 국악 교육에서 역량의 의미와 요소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진하므로 교과 역량의 의미와 요소의 국악 교육적 해석이 요구되었다. 역량의 국악 교육적 해석은 역량이 지시하는 의미를 국악과 관련지어 재해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에 제시된 음악 교과 역량에 대한 설명을 수단과 목적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구분하고 각 내용이 지시하는 것을 국악 교육적 측면에서 해석해보았다. 또한 국악의 특성을 반영한 역량의 하위 요소를 일부 예시하여 구체적인 해석도 시도하였다. 이어서 음악 교과 역량의 국악 교육적 해석을 바탕으로 음악 교과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국악 교수․학습 활동을 선정하였다. 교수․학습 활동의 선정은 ‘근거 파악, 내용과 방법 선정, 활동 선정, 역량 분석’ 등 4단계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제안하였다. 1단계는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활동의 근거를 찾는 것이고, 2단계는 1단계를 바탕으로 내용과 방법을 선정하는 것이다. 3단계와 4단계에서는 음악 교과 역량의 국악 교육적 해석을 근거로 교수․학습 활동을 선정하고 관련 역량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역량의 국악 교육적 해석을 적용한 교수․학습 활동 사례를 영역별로 제시하였다. 역량은 연계적이고 통합적인 성격을 지니기 때문에 국악 교수․학습 활동 사례에서 관련 역량의 분석은 통합적으로 이루어졌다. 특정 교수․학습 활동이 어느 특정 역량을 지향하지 않고 교수․학습 방법에 따라 관련 역량이 달라지므로 국악 수업 설계 시 이점을 고려해야함을 제안하였다. 이상의 내용은 교육과정이 의도하는 교과 역량 증진과 함양 교육을 독려하고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국악 수업의 질적 개선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namely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practical methods such as competency-based selection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competency-centered instructional design should be promoted.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meanings and elements of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in music represented in the music curriculum and interpret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in music from a Korea music education perspective to ensure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based music education. On this ground, it proposes a process of selecting subject-specific competency-based teaching․learning activities for Korean music and presents some of the specific examples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he result of examining the meanings and elements of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in music indicated that it was difficult to directly apply them to class because they are too general and comprehensive. In particular, research on the meanings and elements of competencies in Korean music education is relatively insufficient, so a Korean music education perspective is needed to interpret the meanings and elements of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To interpret competencies from a Korean music education perspective is to reinterpret the meanings indicated by competencies in relation to Korean music To this end, the descriptions of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in music are divided into means and objectives, and each content is interpreted from a Korean music education perspective. Also, some of the sub-elements of competencie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are illustrated for detailed interpretation.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in music from a Korean music education perspectiv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for Korean music are selected to cultivate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in music. The study proposes that sel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s made through a four-step process: “identifying grounds, selecting contents and methods, selecting activities, and analyzing competencies.” Step 1 is to identify the basis of activities in the music curriculum, and step 2 is to select contents and method based on the ground of step 1. Step 3 and 4 are to select teaching learning activities and analyze related competencies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in music from a Korea music education perspective. Cases of teaching- learning activities utilizing the interpretation in this process are presented by each area. Competencies have a connective and integrated nature, so the analysis of competencies regarding the cases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for Korean music is done in an integrative manner. In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that when teachers design a lesson for Korean music, they should keep in mind that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re not directed at any particular competency, yet relevant competencies change depending on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is paper is expec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 music education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 KCI등재

        보육일지에 기록된 유아음악활동 실시현황 분석

        이옥주(Ock Joo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는 어린이집 보육일지에 기록된 유아음악활동을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 및 현직 유아교사들이 음악활동 질 제고를 할 수 있도록 음악활동의 현황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서울에 위치한 공립어린이집의 3 ~ 5세 담임교사의 보육일지 열람에 대한 연구동의를 서면으로 받은 후 1,516일 분량의 보육일지에 기록된 3,529개 음악활동을 추출하여 음악활동 분석준거(3개 영역, 6개 범주)에 따라 분석하였다. 각 음악활동은 분석기준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결과 첫째, 유아음악활동의 내용에 대한 전반적 기술 현황은 음악적 요소를 기술함 277개(7.8%), 음악적 요소 기술하지 않음 3,252개(92.2%), 음악활동 유형을 기술함 3,529개(100.0%), 음악활동 유형을 기술하지 않음 0개(0.0%), 누리과정 영역 기술함 1,182개(33.5), 누리과정 영역 기술하지 않음 2,347개(66.5%)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음악활동의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전반적 기술 현황은 하루일과를 기술함 3,529개(100.0%), 하루일과를 기술하지 않음 0개(0.0%), 음악활동 자료를 기술함 2,774개(78.6%), 기술하지 않음 755개(21.4%)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음악활동의 평가에 대한 전반적 기술 현황은 음악수업활동 평가를 기술하지 않음 3,264개(92.5%), 기술함 265개(7.5%)로 나타났다. 결론 유아교사들은 유아음악활동의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에 대해 보육일지에 기술하지 않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유아음악활동의 질적 제고를 위한 효율적인 기록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data on the current status of music activities so that pre- and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improve the quality of musical activities by analyzing early childhood musical activities recorded in childcare journal at chldcare center. Methods After obtaining written consent for the reading of the childcare journal from the 3 to 5 year old teachers at a public childcare center located in Seoul, 3,529 musical activities recorded in the childcare journal were were extracted for 1,516 days and analyzed on the music activities analysis creteria(3 areas, 6 categories). For each musical activity,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creteria. Results First, the overall descriptive status of the content of early childhood musical activities was that 277 (7.8%) were describe musical elements, that 3,252 (92.2%) were not describe musical elements, 3,529 (100.0%) were describe the type of musical activity, 1,182(33.5) were describe the Nuri Curriculum area, and 2,347 (66.5%) were not describe the Nuri Curriculum area. Second, the overall descriptive statu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of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ies was that 3,529 (100.0%) were describe the daily routine, 0(0.0%) was not describe the daily routine, that 2,774 (78.6%) were describe the music activity materials, and that 755 (21.4%) were not describe the daily routine. Third, the overall descriptive status of the evaluation of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ies was that 3,264(92.5%) were not describe the evaluation of music class activities, and that 265(7.5%) were describe the evaluation of music class activities. Conclusions It have suggested that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ies were found to be many cases in which the nursery journal does not describe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of them, and that efficient methods of recording them should be sought to improv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ies.

      • KCI등재

        음악-신체 연계활동에서 나타나는 만 3세 유아의 음악개념 형성과정 탐색

        방은영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music concept of three-year-old young children’s during articulated music-body activiti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eight selected Young Children’s in a class for western age 3 in a childcare center located in a district of Seoul. Articulated music-body activities were conducted for eight weeks, twice a week, 40 minutes each. The activities were recorded with a camcorder, and a qualitative study was implemented by piecing together the transcribed data of the recording file, the teaching plan and the individual interview data of the young children’s. As a result, there were several aspects i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music concept of the young children’s: "diverse verbal expressions of what they sensibly understand and feel about music concept," "the elaborateness and fluency of physical expressions based on music concept," "the development of sensitivity to music concept," and "displaying continuing expectations for the articulated music-body activities and will to do them."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aid to suggest that the articulated music-body activities could be effective at formulating the music concept of young children’s and that physical activities should effectively be carried out in conjunction with music activities. 본 연구는 음악-신체 연계활동에서 나타나는 만 3세 유아의 음악개념 형성과정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 K구에 위치한 S어린이집의 만 3세반 유아 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후 8주간 주 3회 각 30분씩 음악-신체 연계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음악-신체 연계활동 현장을 캠코더로 녹화하였으며 녹화파일을 전사한 자료와 함께 교육계획안 및 유아 개별 면담자료 등을 종합하여 질적 연구의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유아들의 음악개념 형성과정에서는 ‘감각적으로 느끼는 음악개념에 대한 유아수준의 다양한 언어표현’, ‘음악개념에 기초한 신체표현의 정교함과 유창성’, ‘음악개념에 대한 민감성 발달’, ‘음악-신체 연계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기대감과 의지 보이기’의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음악-신체 연계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음악개념 형성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유아들을 위한 음악활동에서 신체활동이 효과적으로 연계되어 실시되어야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초·중등 교육의 음악창작활동에 대한 현황 및 방향성 모색

        김강원 ( Kangwon Kim ) 세계음악학회 2023 음악과 문화 Vol.- No.4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usic-creating activities in South Korean elementary and secondary music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Korean music textbooks and music teachers’ practices and perceptions, and to discuss potential challenges and explore its future directions. The realm of music-creating activities had been more poorly presented than other musical activities in Korean school music textbooks and also rarely taught in the music classroom. The researcher discussed the phenomenon of this poor music-creating education and its potential reasons, challenges, and difficulties.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s. First, music teachers’ understanding of music-creating activities and creativity should be developed as well as related musical competences through teacher education. Second, music teachers’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music-creating activities besides its importance is related to whether they teach them or not. Third, Korea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s well as music teacher education should develop both a systematic curriculum and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promote music-creating activities. Lastly, Korean school music textbooks should incorporate a higher proportion of music-creating activities than present.

      • KCI등재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의 국악기 수록 현황 및 관련 활동 분석

        조경선 ( Kyoung Sun Cho ),김민하 ( Min Ha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6 한국초등교육 Vol.27 No.1

        본고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의 국악기 수록 현황을 살펴보고, 교육과정의 각 영역별로 국악기와 관련된 활동을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국악기의 종류는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교과서에 수록된 국악 제재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들에게 국악기를 다양하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교과서에 국악 관련 제재 및 활동을 다채롭게 구성할 수 있는 교육과정 상의 근거가 전제되어야 한다. 국악기가 수록된 형태는 사진, 옛 그림, 삽화, 붙임 딱지 유형으로 나누어볼 수 있으며, 이러한 유형들은 각기 나름의 교육적 의미가 있으나 개선되어야 하는 점도찾아볼 수 있었다. 대부분의 학교 현장에서 국악기를 실물로 지도하지 못하는 교육적 환경을 고려할 때 국악기 사진을 올바르게 수록하는 것이 중요하며, 국악기 관련 자료를 다양하게 제시하여 국악기에 담긴 사회·문화적 맥락에 대한 내용도 통합적으로 다룰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의 각 영역별로 국악기와 관련된 활동을 분석한 결과 첫째, 표현 영역에서는 바른 자세로 국악기 연주하기, 음악 요소 및 개념을 이해하며 국악기로 연주하기, 국악기를 연주하며 신체 표현하기, 혼자 또는 여럿이 국악기 연주하기, 창의적으로 음악을 만들어 국악기로 표현하기의 활동이 수록되어 있었다. 둘째, 감상 영역과 관련된 활동은 국악기의 음색 구별하기, 소리의 어울림 알기, 시김새 구별하기, 각 악곡에 편성되는 국악기에 대한 이해 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셋째, 생활화 영역에서는 음악을 즐기는 태도 갖기, 우리 음악의 가치 인식하기의 내용 체계에 따라 활동이 구성되어 있었다. 생활화 영역에서 다루고 있는 국악기 관련 내용은 표현 및 감상 영역에 비해 그 비중이 매우 적으며, 독립적으로 구성된 경우도 찾아보기 어려웠다. 그러나 표현·감상 영역과 연계하여 국악기 관련 활동을 다양한 각도에서 수록함으로써 학습자들의 국악기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생활 속에서 국악기 연주를 즐기는 태도를 형성시키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look into how Korean musical instruments are featured in music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llowing the music curriculum revised in 2009 and activities related to those instruments according to each area of the curriculum. Korean musical instruments to be included in the textbook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system of the music curriculum and Korean music materials contained in those textbooks. To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experience diverse musical instruments, the grounds for diversifying songs and activities related to Korean music in textbooks should be prepared, in the first place. Korean musical instruments are featured in textbooks in various forms, such as photos, a genre painting, illustrations and stickers. Those forms have educational meanings of their own, but there are also aspects related to them that should be improved. Considering that most schools can``t teach students by using actual musical instruments, it is important to prepare books with proper related photos and to offer diverse materials in order to teach students how to tak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related to Korean musical instruments into consideration. Results of an analysis of activities related to Korean musical instruments for each field of the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activities with regard to expression are designed in order to play instruments while understanding the right position for playing instruments and the elements and concepts of music, to express the body by playing Korean musical instruments, to play instruments alone or with several persons together and to create songs and express them with Korean musical instruments. Second, activities with regard to appreciation are designed to distinguish the tones of instruments, to know the consonance of sound, to distinguish sigimsae and to understand instruments adopted for each piece of music. Third, in the field of familiarization, activities are designed according to the content system so as produce an attitude where music can be enjoyed and the values of Korean music recognized. In the field of familiarization, contents related to Korean musical instruments are rarely devised independently compared with the fields of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s contents about Korean musical instruments are featured in textbooks in various respects in relation to the fields of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ctivities related to the field of familiarization also should be diversified so that students can enjoy these activities and develop an interest in Korean musical instruments.

      • KCI등재

        중학생의 가정배경, 문화활동이 예술체육교과흥미 및 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경훈,한수정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2

        This study utilizes the KEEP(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data to explore the effect and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background and cultural activit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interests and achievements in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features of Family background are set as parent education level, family income and parental care, and features of cultural activities are set as the enjoyment of art and leisure activities experienced together with their family. This study was performed on 1,760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particular fields of the curriculum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are subjects of music, art and physical education. The analytical method of this study used the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 of family background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cultural activities, and programs of SPSS and LISREL were used in this proces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dicates that, firstly, the family background has a significant effect over cultural activities, whereas its effect on interest and achievement in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is only partial. Especially, parent education level and family income do not have a direct effect over interest and achievement in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and it shows a significant effect when mediating cultural activities. Only, parental care is exhibiting direct effect and mediative effect on cultural activities as well as interest and achievement in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Secondly, the variable of cultural activities directly exerts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est in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as well as 'achievement in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It also has an indirect effect on 'achievement in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through 'interest in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Thirdly, 'interest in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achievement in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학생의 가정배경과 문화활동이 예술체육교과의 흥미와 성취에 미치는 영향과 그 인과관계를 탐색하고자 한 것이다. 가정배경은 부모학력, 가구소득, 부모관심이며, 문화활동은 가족과 함께 경험하는 예술관람, 여가활동이다. 연구 대상은 중학생 1,760명으로서, 탐색하고자 하는 세부 교과 영역은 음악, 미술, 그리고 체육교과 영역이다. 연구의 분석방법은 가정배경이 문화활동을 매개하여 예술체육교과의 흥미와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위해 SPSS와 LISREL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가정배경의 특성은 문화활동에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예술체육교과의 흥미와 성취에 대한 효과는 부분적이다. 특히 부모학력과 가구소득은 예술체육교과의 흥미와 성취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문화활동을 매개할 때 유의한 정적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다만 부모관심은 문화활동, 예술체육교과의 흥미와 성취에 직접효과와 매개적인 영향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문화활동변인은 예술체육교과흥미와 예술체육교과성취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예술체육교과의 흥미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예술체육교과의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술체육교과의 흥미는 예술체육교과의 성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대학생들의 음악에 대한 관심, 음악을 통한 정서변화 및 음악활동에 관한 조사 연구

        유명의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3 조형미디어학 Vol.16 No.1

        음악은 인류의 시작과 함께 존재했으며 인류 역사에서 음악이 없었던 인간 사회는 없었다. 이러한 음악의 특성은 음악에 전문적으로 관여된 사람이나 그렇지 않은 사람 모두에게 관심의 대상이 아닐 수 없을 것이다. 또 음악에 대하여는 지금까지 수 없이 많은 사람들에 의해 인간생활에서의 음악의 중요성과 여러 가지 기능은 물론 음악이 인간에게 주는 기쁨과 희열에 대하여 다양한 시각에서 논하여 오고 있다. 그러나 음악을 잘 알고 또 이해하여 인간생활에 이롭게 되기까지는 어느 정도의 노력이 필요하다. 우선 사람들의 음악에 대한 전반적인 생각과 활동에 관한 정확한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한편 대학은 자유로우면서도 다양한 접근이 가능하고 또 가장 일반적인 대중성을 가진 시기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실태 조사를 통해 음악 경험, 음악 감상, 음악 연주 등의 다양한 음악활동을 파악하기에 적절한 시점이라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음악에 관련된 생각과 활동들을 조사하고자 한다. 학문을 익히는 것과 동시에 사회성을 배워가는 대학 생활에서 음악에 대한 관심과 음악을 통한 정서변화 및 음악활동 경험의 실태에 대하여 설문 조사하고 이를 분석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조사 분석 결과, 대학생에게 음악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그들의 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학생들의 음악활동들은 정신적인 그리고 정서적 측면에서 그 영향력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학생들에게 음악활동은 단순한 여가 활동을 넘어 정신적, 사회적 그리고 도덕적적 가치를 가진다고 인정하고 있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대학 입학 이후 대학생들의 음악 활동은 심신의 안정 및 다양한 사회성을 향상시키는 대 일정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본다. 대학 생활을 하는 동안 전문적인 전공에 대한 학습뿐만 아니라 음악관련 수업, 음악활동 등을 통해 교양의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욕구가 있다는 사실을 잘 보여주는 결과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음악 감상 방법이나 공연관람과 같은 적극적인 음악 관여의 기회를 만들어서 자주 접하게 한다면 음악으로부터 많은 정서적 혜택을 얻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대학교에서는 음악 관련 교양 강의들을 잘 활용할 필요가 있고 바람직한 내용으로 전개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와 함께 가정 또는 사회에서도 지속적으로 음악과 가까이 할 수 있는 문화적 교육적 프로그램 개발과 아울러 관련 정책의 연구와 지원이 매우 절실하다고 본다. Music is always be together since the beginning of mankind. In that musical quality, all the people whether they are engaged in music or not, are interested in music. For that kind of reason, people discuss not only the importance and variety functions of music but also the joy with differing perspective. However, it requires much effort to be beneficial for human life through understanding of music. College life in the music associated with a wide range of cultural activities are free and can be accessed. also because of its common popularity, it is time to give effective direction for a variety of music activities such as music experience listening to music, playing music on the exact survey through overall thoughts and activities for students of music. The study intend to do the research about the opinion and activities on music of university student. It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overall music such as attention of music, emotional changes through music and experience of music activities in college life which makes the student to learn both professional majors and socialization. The analysis shows that the music is very important for university student. They are affected a lot in their life by music. Especially music activities of university student influenced in their mental health and emotional stable. Also, it places a value on psychology, social and morality over leisure activities in their mind. In this aspect, music activity of university student plays a certain role to relax their physically and mentally and to improve their sociality. The survey prove the student is being desired to increase the level of refinement through activities, such as music-related lessons, music learning as well as learned professional majors during college life. Therefore teaching how to listen to music properly or giving a chance to musical activity frequently, it will be good opportunity to get emotional benefits from music. There is a need to make good use of music-related educated lectures that need to be deployed to the desirable content. For this, home or in society, constantly be closer to the music and the development of cultural and educational programs, as well as related research and policy support is very urgent need.

      • KCI등재

        다성부 음악활동의 가치와 접근 위계에 관한 기초연구

        홍승연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9 음악교육공학 Vol.0 No.38

        본 연구의 목적은 일차적으로 음악과의 한 부분을 차지하는 다성부 음악활동의 음악교육 내ㆍ외적 가치를 살펴보고, 이어 어떤 구조 속에서 다성부 음악활동을 접근해야 하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궁극적으로는 교사가 조성, 화성 등 다성부 관련 음악수업을 구상할 때 큰 그림을 가지고 음악수업을 접근하도록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연구문제들에 대한 결과로 첫째, 초등학교 교실음악 내 다성부 음악활동은 ‘반주와 노래’, ‘합창’, 그리고 감상을 포함한 ‘합주’ 등의 형태로 나타났고, 둘째, 다성부 음악활동을 통해 음악과 교육과정이 요구하는 성취기준이나 학년군별 음악요소와 개념을 체득할 수 있는 음악교육적 가치와 신체, 사회, 언어, 인지적 영역 등에서 얻을 수 있는 비의도적 효과와 가치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셋째, 다성부 음악활동을 구조화하고 접근하는 위계의 필요성과 넷째, 다성부 음악을 지도함에 있어 돌림노래에서부터 시작하여 단순한 화성진행의 곡, 그리고 종국에는 교향곡 같은 다악장의 악곡 등의 위계를 지도 순서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ternal and external values ​​of music education of multi-parts music activities, which composed of a part of elementary school music curriculum, and then to investigate how to approach multi-parts music activities in music classes ultimately. It is to help teachers or student teachers to draw a detailed picture with a big picture when designing music classes for composition, harmony and multi-parts music activities. Secondly, it is needed to find what the intentional or unintentional music educational value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the multi-parts music activities and the approach of multi part music activities are. Finally the sequences of approaching music to teach or instruct are found and sugges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ere many multi-part music activities such as 'accompaniment and singing', 'chorus', and 'instrumental ensemble' including appreciation. Through these activities, students can be able to acquire musical elements and concepts according to achievement standards or grade level required by music and curriculum. And the unintentional values ​​that can be obtained allow students merits and effects in their body, language, and as well as cognitive domain. Through the suggested sequence of approaching any multi-parts music activities, teachers can systematically guide and instruct activities with multi-parts mus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