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위의 도덕성과 존재의 도덕성: 자유의지에 관한 쇼펜하우어의 관점

        장효진 한국도덕교육학회 2011 道德敎育硏究 Vol.22 No.2

        The concept of morality is always in the center of interest in educational practice and theory, as efforts to lead man to the right direction. It is commonly accepted that we can confirm our morality only by our moral act. Following this common notion of morality, moral education must provide some moral guidelines in everyday life. This idea of morality and moral education relies on a specific view of 'free will'. In this view, man determines his own act because he has freedom to choose his act. We can call it 'morality of act'. However, in the Schopenhauer's view of 'freedom of will', 'free' is the particular quality of Will, the World as a whole, or the 'Thing-in-itself' in Kant's philosophy. Kant thought, through his analysis of the concept of freedom, that, though man is a part of nature and though his conduct is therefore necessarily determined, he is free and therefore capable of morality. Both Kant and Schopenhauer agree that man cannot be the exceptional being to necessity; that is sufficient reason. But Schopenhauer strictly distinguishes the two aspects of human character: 'empirical character' and 'intelligible character'. By virtue of this distinction, man can have 'morality of being' along with 'morality of act', and 'freedom of human will' in the genuine sense becomes possible. In this aspect of 'morality of being', the moral man is the one who realizes the very essence of his being, taking the dual nature of his character as seriously as possible. His morality emerges from his practical moral act directly caused by his 'compassion', which is also the way of forming his being as Will 사람을 올바르게 기르려는 교육적 관심에서는 언제든지 도덕의 개념 문제가 부각된다. 도덕에 관한 통념에서 도덕의 의미는 행위에만 국한되며, 도덕적 인간을 기르기 위해서는 일상적인 행위지침을 제시하는 것 이외의 다른 것이 있을 수 없다. 이런 식으로 규정되는 통념적 도덕은 자유 의지에 관한 한 가지 관점에서 따라 나오는 것으로서, 그 관점에서는 행동의 동기를 가지고 있는 개인이 자신의 모든 행위를 결정하는 '자유'를 가진다. 그러나 자유의지에 관한 쇼펜하우어의 관점에 의하면, 자유는 총체로서의 세계 그 자체인 '의지'만이 가질 수 있는 특성이다. 그러나 '인간 의지의 자유' 라는 것이 가능한 것은 인간이 경험적 성격과 예지적 성격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이중적 존재이기 때문이다. 존재의 도덕성에서 규정되는 도덕적 인간은 자신의 존재와 세계의 이중적 성격을 가장 세밀하게 인식하는 존재이다. 진정한 세계인식과 자기인식에 도달하는 그러한 인간의 도덕성은 구체적 행위에서 자비심을 통하여 나타나며, 또한 자비심은 의지로서의 그의 존재를 형성하는 경로가 된다고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아크라시아와 도덕교육 -도덕적 앎과 도덕적 행위 사이의 연계성을 위한 도덕교육-

        박재주 ( Jae Joo Park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1 초등도덕교육 Vol.0 No.36

        아크라시아(=도덕적으로 나약하다)에 대한 긍정과 부정은 큰 차이도 의미도 없다. 그것을 긍정하는 입장도 부정하는 입장도 단순한 인식(=이론지)이 아닌 지혜 내지 진실한 의견, 실천지를 지식이라고 말한다. 그것은 결국 앎과 행동의 일치, 불일치의 문제라기보다는 행위의 이유를 어디에 두는가의 문제이다. 정당성의 행위 이유와 다른 동기부여적인 행위 이유들을 둘 다 인정하는 것이 도덕적으로 나약하다는 상태를 잘 설명하는 온건한 내재주의의 입장이다. 그것은 정당성을 행위 이유로 인정하지만 동기부여적인 행위 이유들을 중요시한다. 행위의 정당성을 알고, 믿고, 그런 것으로 판단한다면, 그 정도만큼 그것을 행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받을 것이다. 그러나 고려될 다른 이유들이 있을 것이며, 그것들이 정당성의 동기부여를 압도할 것이다. 단순히 그 행위가 옳거나 선하다는 정당성보다는 다른 동기부여적인 요소들 내지 행위 이유들이 앎과 행의의 연계성을 높일 것이다. 우리는 단순히 정당하기 때문에 행동하기보다는 행동할 다른 이유들을 가지기 때문에 행동할 것이다. 도덕적 앎과 행위를 연계시키는 교육은 성품 교육이어야 한다. 선한 성품은 선을 알고, 사랑하고, 행동하는 것이다. 실제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성품 교육의 모습들은 관점-추구 접근, 가치-추구 접근, 그리고 덕-중심 접근 등이다. 진정한 도덕교과는 덕-중심 교과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정당성 자체만을 강조하는 지금까지의 교육을 넘어서서 동기부여적인 행위 이유들을 강조하는, 그래서 앎과 행위의 연계성을 높이는 성품 교육으로서의 도덕교과여야 할 것이다. There is not a great difference and a deep meaning in the affirmation or denial of akrasia(or moral weakness). The knowledge emerged in the question of ``Is Virtue Knowledge?`` is not episteme but true opinion, viz. wisdom or phronesis. To having wisdom of good real-life not knowledge is translated into good acting. So what is important is not the problem of the connection of knowing with acting but the problem of what is the reasons for action. The moderate internalism which can explain about akrasia approves both justificatory reasons for moral action and motivational reasons for moral action. It claims that if one can know, believe. and judge about rightness and goodness of a certain action, one can be motivated into such a action. Preferably, motivational reasons for moral action will be able to function more than justificatory reasons for moral action. In ordinary circumstances, we can practice a certain course of moral action more easily not because of its justification but because of other different motivational factors. The true moral education, therefore, must be the character education which is centered on the connection of moral knowing with moral acting. Good character consists of knowing the good, loving the good, acting the good. The actual character education in classroom in America is executed by 3Vs (=Views-Driven Approach, Values-Driven Approach, Virtues- Centered Approach). The true character education must be Virtues-Centered Approach. It gives more emphasis on the motivational reasons for moral action than the justificatory reasons for moral action, and helps pupils to translate their moral knowing into their moral acting more consistently.

      • KCI등재

        일반논문 : 시적 행위로서의 도덕과 수업

        송영민 ( Young Min So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1 한국 철학논집 Vol.0 No.31

        도덕과 수업의 주요한 목적 중 하나는 의미 있는 도덕적 앎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덕적 의미는 인식주체에게서 발생하는 것이며, 의미 발생에서 우연은 배제될 수 없다. 만약 우연을 배제하고 조작적이고 공학적으로 도덕과 수업에 접근한다면, 학습내용이 전달 될 수는 있어도 의미 있게 수용되기는 어렵다. 이러한 난점으로 인해 도덕과 수업에서는 체제적 접근에 대한 대안적 관점을 요청한다. 그 대안을 찾기 위해서는 체제적 접근에 전제된 설명의 논리부터 재고할 필요가 있다. 도덕과 수업이 체제적이고 조작적인 행위로 이해되는 배경에는 설명의 논리가 있기 때문이다. 설명의 논리는 학생보다 우월한 지능을 가진 교사가 학생에게 지식을 전달하는 행위로 교육을 이해하며, 이 과정에서 교사의 전달에 대한 학생의 번역은 간과된다. 도덕과 수업에서 도덕에 대한 교사의 번역은 학생의 번역에 의해 의미가 발생하며, 나아가 새로운 의미로 확장된다. 이처럼 도덕과 수업을 번역과 번역으로 연결된 과정으로 이해할 때, 체제적 접근에서 간과하는 상징으로서의 교수, 공백으로서의 교수텍스트 구성, 우연으로서의 학습이라는 측면은 재조명될 수 있다. 도덕과 수업에서 이러한 측면들을 부각시키면, 도덕과 수업은 일종의 시 행위와 같다. 이러한 이해에 터하여 시 행위와 도덕과 수업의 닮음을 도출할 수 있다. 시 행위와 닮은 도덕과 수업에서 교수텍스트는 불변체적 의미와 더불어 불확정성을 전제하는 변체적 의미를 갖는다. 도덕과 교수텍스트가 갖는 불변체적 의미라는 제약성과 변체적 의미에서 가능한 개방성은 학생의 반응에 의해 도덕적인 수업으로 전환된다. 이 전환은 텍스트와 독자가 심미적으로 상호 교통하는 의식에서 비롯되듯이, 도덕과 학습에서 교수텍스트가 의미 있는 앎으로 수용되기 위해서는 학습목표를 의식하지 않는 학습이 가능해야 한다. In moral instruction, one of the important purposes is cultivate students` meaningful moral knowing. To obtain this purpose, generally systems approach has been adopted and used in moral instruction. Systems approach has emphasized efficient designs which do not occur incidental learning that does not contribute to obtain learning objectives. However, moral meaning may occur to the subject of knowing, then occurrence of coincidence can not be excluded. If we approach to moral instruction with operative and engineering ways, we may convey the learning object but it won`t be received meaningfully. Because of such problem, moral instruction has been required an alternative perspective contrary to the systems approach. Above all we need to reconsider the logic of explanation based on the systems approach. Because the moral instruction is understood that it is a systematic and operative act according to the logic of explanation. According to the logic of explanation, education is an act that conveys the teachers` knowledge to students who have inferior knowledge to teachers`. During this process, students` interpretation has been overlooked. In moral instruction, the teachers` interpretation of moral meaning can occur and extend by students` interpretation. When we understand moral instruction as the course of alliance between interpretation, it could be stood out that teaching as a symbol, constitution of teaching text as a vacuum, learning as a coincidence. When we stand out these aspects, the moral instruction could be understand as a poetic act. And based on such understanding, we can abstract specific resemblances between the poetic act and the moral instruction. There are semantic invariants and semantic variants in the teaching text of moral instruction. The semantic variants premise uncertainty. The limitation, that is, semantic invariants and the openness which is possible within semantic variants are changed to the moral instruction by students` response. It is essential that a selective attention as esthetic transaction that could be changed from text to poet. Like this, we need to take notice of instructive aspects not to means for reaching learning objectives but to act for being possible disinterested experiential learning.

      • 도덕·윤리교육 목표의 윤리학적 근거와 과제

        최문기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교육논총 Vol.2 No.-

        Moral-ethical education have both cognitive objectives and affective objectives. Nevertheless, our moral-ethical education much stress on cognitive objectives. The reasons are as follows: Firstly, difficulty of measure about human characteristic qualities. Secondly, Influence of western rational theories . Thus, only development of intellectual capacity to reason universal rules and principles for moral problem-solving has been regarded as ideal objectives. But cultivation of affective objectives as like virtues, character is also important. Recently revivals of virtues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suggest the direction which our moral-ethical education should seek toward. Ethics is divided into act-centered ethics and agent-centered ethics by interpretation of moral and moral judgenent. Act-centered ethics regards moral as rules of act, thereby judges the right and wrong of act, and denotes moral duty. Agent-centered ethics regards moral as virtues quality and character, thereby judges the good and bad of agent, and denotes the good person. Ethics is also divided into liberal ethics and communitarian ethics by focus on self and community. Liberal ethics relates to reflective moral, communitarian ethics relates to conventional moral. The basic concepts being discussed in act-centered ethics and liberal ethics can be applied to cognitive objective of moral-ethical education, the ones being discussed in agent-centered ethics and communitarian ethics can be being discussed in agent-centered ethics and communitarian ethics can be applied to affectvie objectives of moral-ethical education. Because two objectives are complementary, we must harmony two sides. My article will contribute to identify the composite nature of moral-ethical eduation, and relate ethics into foundations of moral-ethical education objectives.

      • KCI등재

        행동적 진실성이 표면행동 및 내면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적 에너지의 매개효과 및 도덕적 정체성의 조절효과

        서지민,손승연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024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7 No.2

        우리는 조직 생활에서 다양한 사람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업무를 수행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감정을 관리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또한 조직에서의 역할은 본질적으로 사회적 기대의 묶음(bundle)으로 역할 수행 중에 감정을 불가피하게 경험하게 된다. 이처럼 감정노동은 사람이 하는 일에 있어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감정노동 연구 초기에는 감정노동이 구성원들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주목하였으나, 감정노동전략 중 표면행동보다는 내면행동을 유도함으로써 감정노동의 긍정적 영향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밝혀지면서 이들의 선행변수를 탐색하는 연구가 요구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다음의 3가지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첫째, 표면행동과 내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심리적 자원인 관계적 에너지의 역할을 확인하는 것이다. 둘째, 관계적 에너지를 촉진할 수 있는 리더의 행동으로 리더의 행동적 진실성을 제시하고, 관계적 에너지의 매개 역할을 검증하는 것이다. 셋째, 행동적 진실성이 관계적 에너지를 통해 표면행동과 내면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과정에서 도덕적 정체성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육군 간부를 대상으로 2주의 시차를 두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28부의 자료를 토대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행동적 진실성과 관계적 에너지의 정적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관계적 에너지는 표면행동과는 부적, 내면행동과는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계적 에너지는 행동적 진실성과 표면행동, 내면행동의 관계를 매개하였으며, 행동적 진실성이 관계적 에너지를 경유하여 표면행동과 내면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도덕적 정체성이 높을 때 강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감정노동전략의 선택에 있어 심리적 메커니즘을 실증함으로써 기존 문헌을 확장하는 이론적 기여와 감정노동전략과 관련한 실무적인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 In organizational life, performing tasks involves interacting with diverse individuals, and it is essential to manage emotions in this process. In addition, within the organizational roles, emotions are inevitably experienced as roles are essentially bundles of social expectations. Thus, emotional labor can be considered an inevitable requirement in work involving people, and there is a growing need for research exploring the antecedents of these strategies. Based on the need for such research,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following three purposes. First, it is to identify the role of relational energy, a psychological resource, as a factor that affects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Second, it is to present the leader's behavioral integrity as a leader's behavior that can promote relational energy, an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integrity and relational energy and the mediating role of relational energy. Third, it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moral identity in the process of behavioral integrity on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through relational energy.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in military settings with a time lag of two weeks, and the collected data from 228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PSS macro.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ehavioral integrity ha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al energy, and it was found that relational energy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surface acting an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deep acting. In addition, relational energ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integrity and surface acting, deep acting, a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the indirect effect of behavioral integrity on surface and deep acting through relational energy was strengthened when moral identity was high. In the discussion section, the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ddressed.

      • KCI등재

        효력규정의 실효성을 제고하는 일부무효의 법리 적용례에 관한 고찰

        김기우 한국민사법학회 2014 民事法學 Vol.66 No.-

        The Korean Civil Act provides a juristic measure in a case where a part of a juristic act is invalid. In other words, it regulates whether an entire legal act shall be null, in other words, if a part of a juristic act is null, then the rest of the juristic act shall not become invalid. The context of this regulation is included in Art. 137. The proviso of Art. 137 stipulates that though a part of a juristic act is null, the remainder could be valid in a case where it is deemed that the juristic act would have been done if the null part had not existed. In this way, Art. 137 of the Korean Civil Act provides a legal basis for partial nullity of juristic acts. However, if stipulated in certain special regulations, the special regulation pertaining to partial nullity has to be applicable before applying Art. 137. This article examines, on the basis of the general contents of partial nullity, how the Korean courts have recently applied the juridical principle of partial nullity(Teilnichtigkeit) to some cases, such as cases of excessive interest rates in loan contracts, undue contingent fee cases, cases that fall under Medical Service Act, Commercial Act, or previous Mutual Savings Banks Act, and a case of rescission of contract. Partial nullity was applied to some cases involving excessive interest rates in loan contracts. It was also applied to cases involving undue contingent fees in mandate contracts between lawyers and clients. At the same time, the criteria of juristic acts contrary to social order was examined. It was also judged whether disputed cases met standards of the principle of trust and good faith or the rule of equity.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juristic act maintained by partial nullity meets standards such as social order or the principle of trust and good faith was also examined. So, the partial nullity agreement is devoted to equality in juristic relations. In other words, this principle provides a mechanism specifically aimed at increasing the equality of human beings, for example, in cases involving excessive interest rates in loan contracts and cases of undue contingent fee, and so on. Hence, this study examined applicable examples of partial nullity and its role as a corrective function with the ability to regulate juristic acts that are contrary to “good morals and other social order” and as a means of achieving efficiency gains of compulsory provisions.

      • KCI등재후보

        언어분석과 윌슨의 도덕성 요소에 관한 연구

        박형빈 ( Hyoung Bin Park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8 윤리교육연구 Vol.0 No.15

        인간은 언어라는 도구를 통해 사고하고 판단한다. 그리고 이러한 사고와 판단을 토대로 행동한다. 이러한 점에서 언어는 인간 삶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도덕이라는 삶의 영역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인간은 언어라는 매개를 통해 도덕적 문제 사태를 인식하고, 도덕적 판단을 내리며 행동한다. 도덕규범 또한 학생들에게 언어로서 전달되고, 언어로서 그들의 두뇌 깊숙이 자리 잡게 된다. 도덕적 논의에서 언어의 문제에 대해 깊이 논의한 학자로 우리는 헤어와 윌슨을 들 수 있다. 언어분석철학자로서 오스틴은 수행문이란 개념을 통해 행동하는 언어에 대해 논한다. 헤어는 오스틴의 의미론을 수용하여 ``보편적 처방주의``로 대변되는 도덕언어가 지닌 특성을 제시한다. 헤어에 있어, 도덕언어는 자기 자신에 대한 명령이며 구속의 역할을 한다. 윌슨은 헤어의 ``보편적 처방주의``를 기반으로 도덕성 요소를 통한 도덕적 사고하기를 제안한다. 윌슨의 도덕성 요소 안에서 도덕판단은 자기 자신에 대한 하나의 명령으로 작용하는 실천적 기능을 갖는다. 동시에 도덕성 요소는 문제를 해결하는 일련의 절차와 방법으로서 하나의 ``방법론``이 된다. 결국, 오스틴의 수행론에서 나타난 수행발화의 의미, 헤어의 처방성, 윌슨의 도덕성 요소는 모두 도덕판단 안에 이미 도덕적 행위를 위한 도덕적 동기가 내재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그들에게 있어 도덕판단은 궁극적으로 발언자로 하여금 도덕적으로 실천하도록 돕는다. 따라서 윌슨의 도덕성 요소는 언어가 주된 매개체로 작용하는 도덕교육 현장에 대한 하나의 방법론으로서, 동시에 도덕판단이 도덕적 실천을 담보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이로써 윌슨의 도덕성 요소는 도덕성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을 통합적으로 다룬다는 점뿐만 아니라, 도덕교육의 정당성을 확보해 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Humans think and make a decision through language. And their behaviors are based by this kind of thinking and decision making. On this score, Language sets the important position in the area of the moral life. J. L. Austin discusses the active language through the concept of the performative sentence. R. M. Hare accepts Austin`s semantics, and presents the attribute of moral language called ``universal prescriptivism``. In his viewpoint, moral language plays a role as the command and restraint to him or herself. J. Wilson suggests ``moral thinking`` through ``moral components`` which have their roots in R. M. Hare`s ``universal prescriptivism``. In J. Wilson`s moral components, moral decision gets practical function to do its works a kind of order to him or herself. At the same time, it becomes methodology as a series of process and method to solve a problem. J. Wilson takes R. M. Hare`s ``universal prescriptivism`` affected by J. L. Austin`s philosophy of language; he develops this once more in terms of methodology of moral education. In the end, the meaning of performative utterances in J. L. Austin`s speech act theory, R. M. Hare`s prescriptivity, and J. Wilson`s moral components, all of them, show us that the moral motive for moral behavior is already inherent in moral judgment. According to their opinions, moral judgment ultimately helps utterer to practice morally. So J. Wilson`s moral elements indicate not only the meaning as methodology about the moral education field in which language primarily serves as a medium but the possibility that moral judgment can be a guarantee of moral practice. From this, there are significant points that moral components deal with the cognitive, definitive, behavioral side of morality in a unitive manner, and that make sure of the justice of moral education.

      • KCI등재

        2016년 개정 중재법의 중재판정 집행에 관한 문제점

        윤진기 한국중재학회 2016 중재연구 Vol.26 No.4

        This paper reviews the problems on the arbitral awards enforcement in the 2016 Korea Arbitration Act. In order to get easy and rapid enforcement of the arbitral awards, th new arbitration act changed the enforcement procedure from an enforcement judgemen procedure to an enforcement decision procedure. However, like the old arbitration act, th new act is stil not arbitration friendly. First of al, there are various problems in the new act because it does not aprove that an arbitral award can be a schuldtiel (tile o enforcement) of which the arbitral award can be enforced. In this paper, several problems of the new act are discused: efect of arbitral award aproval to res judicata of enforcement decision, diferent trial proces and result for sam ground, posibilty of abuse of litgation for seting aside arbitral awards and delay o enforcement caused by seting aside, infringement of arbitration customer’s right to b informed, and non-internationality of enforcement of interim measures of protection, inter alia The new arbitration act aded a proviso on article 35 (Efect of Arbitral Awards) Acording to article 35 of the old arbitration act, arbitral awards shal have the same efec on the parties as the final and conclusive judgement of the court. The proviso of article 3 in the new act can be interpret two ways: if arbitral awards have any ground of refusal o recogniton or enforcement acording to article 38, the arbitral awards do not have th same efect on the parties as the final and conclusive judgement of the court; if arbitra awards have not recognised or ben enforced acording to article 38, the arbitral awards d not have the same efect on the parties as the final and conclusive judgement of the cour In the case of the former, the parties canot file action for seting aside arbitral awards i article 36 to the court, and this is one of the important problems of the new act. In the new act, same ground of seting aside arbitral awards can be tried in diferent tria proces with or without plead acording to article 35 and 37. Therefore, progres o enforcement decision of arbitral awards can be blocked by the action of seting aside arbitra awards. If so, parties have to spend their time and money to go on unexpected litgation. In order to simplify enforcement procedure of arbitral awards, the new act changed enforcement judgement procedure to enforcement decision procedure. However, there is stil rom for the court to hear a case in the same way of enforcement judgement procedure. Although the new act simplifies enforcement procedure by changing enforcement judgement procedure to enforcement decision procedure, there stil remains action of seting aside arbitral awards, so that enforcement of arbitral awards stil can be delayed by it. Moreover, another problem exists in that the parties could have to wait until a seventh trial (maximum) for a final decision. This result in not god for the arbitration system itself in the respect of confidence as wel as cost. If the arbitration instiution promotes to use arbitration by emphasizing single-trial system of arbitration without enough improvement of enforcement procedure in the arbitration system, it would infringe the arbitration customer’s right to be informed, and further raise a problem of legal responsibilty of arbitration instiution. With reference to enforcement procedure of interim measures of protection, the new act did not provide preliminary orders, and moreover limit the court not to recognize interim measures of protection done in a foreign country. These have a bad efect on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Korean arbitration system. 이 논문은 2016.5.29.에 통과된 개정 중재법상의 중재판정 집행에 관한 문제점을 다루고 있다. 개정 중재법에서는 중재판정 집행절차를 집행판결에서 집행결정으로 개선함으로써 중재판정의 간이하고 신속한 집행을 도모하고 있지만, 여전히 중재판정의 집행권원성을 인정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존재한다. 특히 개정 중재법은 제35조 단서에 중재판정의 효력을 제한하는 규정을 두었는데, 이 단서 규정으로 인하여 중재제도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중재판정 취소에 관한 규정을 사문화시키고, 기존의 중재판정 취소와 중재판정의 승인 및 집행 거부에 관한 법적인 틀을 바꾸어버린 결과를 초래할 수 있게 되었는바, 이 논문에서는 이를 피할 수 있는 새로운 해석론을 제시하고 있다. 이 외에, 중재집행 절차에서 야기될 수 있는 절차의 지연, 비용 증가, 중재 홍보 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법적 책임, 임시적 처분의 집행절차와 관련된 문제 등 개정 중재법의 제반 문제점을 분석하고 있다.

      • KCI등재

        부부일치와 출산의 의도적 분리에 대한 윤리적 고찰

        최진일(Jinil Choi)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4 인간연구 Vol.0 No.27

        우리 문화 안에서 관용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피임은 부부행위의 두 가지 의의인 “일치와 출산의 의도적 분리”를 전제로 한다. 부부행위의 본질적 의미는 이 두 가지의 의의가 갖는 불가분의 연관성을 통해 드러난다. 그러므로 부부행위에 내재한 일치의 의의와 출산의 의의를 깨뜨리는 행위는 그들이 지향하고 있는 근본적인 선과 대립하는 행위가 된다. 인간행위의 윤리성은 근본적으로 자유로운 의지에 따라 이성적으로 선택한 행위의 대상에 달려 있다. 그 자유로운 의지의 행위 대상은 우리가 어떤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선택한 행위 자체를 말하며, 혹자가 피임을 선택했을 경우 피임이 혹자 행위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피임 선택의 기준은 그 행위 대상의 선택으로 예상되는 결과나 선과 악의 효과 대비 등에서 도출한다. 이 경우 부부행위의 본질적 의미는 망각되고, 따라서 그 의미가 갖는 인간학적이고 도덕적인 가치도 부차적인 것으로 취급된다. 그로 인해 그 구체적인 행위는 윤리적으로 선한지 악한지에 대한 판단 없이, 그 행위의 선택이 가져올 결과나 선악의 효과 대비에 의한 기준만으로 윤리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는 잘못된 결론에 도달한다. 따라서 본고는 부부 간의 인격적 상호증여인 부부일치의 존엄성과 인간 생명의 기원과 출산의 존엄성을 온전히 보존하기 위해서는 그 근본 전제인 “부부일치와 출산의 의도적 분리”에 대한 면밀한 윤리적 성찰이 필요함에 주목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또한 과학의 발전과 함께 부부일치를 배제한 출산의 선택의 폭이 넓어짐에 따라 생명을 경시하는 문화 사조 안에서 인간 생명이 수정되는 순간부터 존중되고 보호받을 수 있는 생명문화의 토대를 정립하는 데도 기여할 것이다. In our modern culture, contraception, which is regarded as a defensible choice, presupposes the deliberate separation between the unitive significance and the procreative significance, which are both inherited in the conjugal act. This inseparable unity of its unitive and procreative meanings is reveals the fundamental nature of the conjugal act. Thus, a human act that intends to separate these two meanings is against the good of the marriage couple. The morality of the human act fundamentally refers to an object rationally chosen by the deliberate will to realize a certain goal. The object of the deliberate act is a kind of behavior itself that one freely chooses. In the case of contraception, the object of one’s deliberate act is contraception itself. The criteria for choosing contraception are drawn from either a calculation of foreseeable consequences or a proportion acknowledged between the good and bad effects resulting from this choice. In this case, the couple tends to leave out the fundamental nature of the conjugal act, and so the anthropological and moral meanings of the conjugal act are subordinated to them. For this reason, it leads to some erroneous conclusions: the concrete behavior is described as right or wrong solely by weighing from foreseeable consequences or evaluating the proportion between the good and bad effects for the choice, without judging whether the object of the concrete act chosen by the deliberate will of the couple is morally good or bad. Based on this reflection, this paper emphasizes that we need to evaluate the fundamental proposition-the deliberate separation between the conjugal union and procreation-from the ethical point of view so that we can fully preserve the inseparable unity of its unitive and procreative meanings, which are based on the mutual self-giving of the married love of a man and a woman, expressed and realized in the conjugal act. It will also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foundation for the culture of life in which human life, from the moment of conception, is respected and protected in our current cultural climate where human life is not respected due to the boundaries of choice with regard to procreation of human life have been broadened along with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s that have allowed the deliberate separation between the union of husband and wife and the procreation of human life.45)

      • KCI등재

        도덕직관에 관한 덕윤리적 해명 가능성

        이주석(Lee, Joo-Seok)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90 No.4

        본 논문의 목적은 덕윤리가 도덕직관을 일관성 있게 해명할 수 있는지 검토하는 것이다. 도덕직관은 도덕추론과 빈번히 충돌하는 경향이 있다. 여기서는 여덟 가지 유형의 트롤리딜레마를 간략하게 소개했고, 각각의 딜레마에 대한 행위 중심 윤리학의 행위정당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행위 중심 윤리학의 행위정당화는 각각의 사례들에 대해 설명하는데에는 유용하지만 여덟 가지 유형의 딜레마 모두를 일관성 있게 정당화기 위해서는 도덕직관과의 충돌을 피할 수 없다는 점이 드러났다. 반면 덕윤리는 여덟 가지 트롤리 딜레마 유형에서 드러나는 행위자의 도덕직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 덕윤리는 행위의 정당성을 유덕한 행위자의 성품으로부터 도덕적 정서, 동기 그리고 결과에 이르기까지 포괄적 요인들로부터 이끌어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덕윤리의 다원적 성격은 일원적인 행위 중심 윤리학의 이론들을 포괄하고 조정할 수 있으며, 우리의 도덕적 경험을 보다 적합하게 설명해줄 수 있는 조건이 된다. 덕윤리는 도덕직관에 대해 설득력 있는 해명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호 불가통약적인 토대 위에 서 있는 다양한 도덕 원칙들을 포섭할 수 있는 대안적 윤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ether virtue ethics can explain the moral intuition consistently. Moral intuition often tends to conflict with moral reasoning, here we briefly introduce the eight types of trolley dilemmas, and we have examined the justification process of act-centered ethics for each dilemma. As a result, the justification of act-centered ethics is useful in explaining each case, but it has been shown that conflict with moral intuition cannot be avoided in order to consistently justify all eight types of dilemmas. On the other hand, virtue ethics can provide an explanation for the moral intuition of the agent in the eight types of trolley dilemmas. Virtue ethics derives its legitimacy from inclusive factors, from the character of virtuous agent to moral emotions, motives and outcomes. The pluralistic nature of virtue ethics can encompass and coordinate the theories of unified act-centered ethics and provide a more appropriate explanation of our moral experience. Virtue ethics can be an alternative ethic that not only can make convincing explanations of moral intuition but also embraces various moral principles standing on incommensurable grou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