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마음이론중재가 자폐범주성장애아동의 이야기 산출에 미치는 영향

        홍승희(Seung Hui Hong),홍경훈(Gyung Hun Hong) 한국언어치료학회 2016 한국언어치료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6 No.12

        Purpose: The story which is important in terms of language is closely connected with daily life and makes a special relationship with academic achievement in school age, but there are significant limitations for the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ASD) to produce the story because of the defect of theory of mind. Therefore, this study wants to find whether theory of mind has an effect on producing the story by conducting theory of mind intervention for the children with ASD. Methods: Subjects are three children with ASD whose language age is between 5year and 8year and they were conducted by theory of mind intervention using multiple probe design. The data used for theory of mind was adapted of ‘Teaching Children with Autism to Mind-Read’ of Howlin, Baron-Cohen&Hadwin(1999) by Hye-ri Kim(2002) and reconstituted by researcher of this study. Intervention was conducted 3times for 5weeks, total 15 sessions. After that, calculated score of story grammar, score of subordinate clauses, percentage of subordinate clauses, total number of theory of mind related words were respectively analyzed. Results: First, the result of theory of mind is that calculated score of story grammar for all subjects is increasing. Second, the result of theory of mind is that score of subordinate clauses for all subjects is increasing. Third, the result of theory of mind is that percentage of subordinate clauses for all subjects is increasing. Fourth, the result of theory of mind is that total number of theory of mind related words for all subjects is increasing. Conclusions: It is confirmed that theory of mind is effective for children with ASD to produce story.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point in trying theory of mind intervention to children with ASD who are defective at theory of mind. In addition, there is another significant point in improving the ability of producing story of children with ASD.

      • KCI등재후보

        스피노자의 심신론 -스트로슨의 인격설과 연관지어-

        박삼열 ( Sam Yel Park )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人文科學 Vol.0 No.48

        데카르트가 정신과 신체를 사유하는 실체와 연장하는 실체로서 확연히 구별한 이래, 심신문제는 철학의 주요 문제를 이루어왔다. 데카르트의 뒤를 이은 스피노자 는 유일 실체만을 인정하여 정신과 신체를 동일한 실체의 두 측면으로 보는 심신일원론의 입장에서 데카르트의 심신 이원론의 난점을 극복하려고 하였다. 본 논문 에서는 『에티카』를 중심으로 스피노자의 심신론을 고찰하였고, 특히 Ⅴ장에서는 스피노자의 이중측면설(Double-aspect Theory)을 그것의 수정된 이론인 스트로슨 (P. F. Strawson)의 인격설(Person Theory)과 연관지어 살펴봄으로써, 스피노자의 심신론이 현대 심리철학에서 논의되고 있는 심신문제에 대해 해결의 실마리를 제시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 스피노자가 심신론 분야에서 남긴 업적은 다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플라톤에서부터 중세, 르네상스를 거쳐서 데카르트에까지 전반적인 흐름에 따라서 이어져 내려오는 정신과 신체의 이원론적인 사고에 대하여 처음으로 명백하게 반대했다는 점이다. 둘째는 스피노자의 이중측면설이 스트로슨에게로 이어짐으로써 현대 심리철학에서 심신문제에 하나의 해결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중성 적 일원론에 속하는 그의 이중측면설은 같은 일원론이면서도 유물론적 심신 동일론이 부딪히는 난점을 극복함으로써 심신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이 같은 이유에서 스피노자 심신론이 여러 면에서 불충분한 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의 이론에 상당한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다루었던 스피노자 심신론에 대한 고찰은 오늘날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심리철학에서의 심신문제에 관해 고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서 그 해결점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며, 여기에 스피노자 심신론은 하나의 가치 있는 고전적 이론으로서 그 해결의 가능성을 암시해 주리라고 생각한다. Since Desecrate clearly distinguished mind and the body as substance thinking and substance extended, mind-body issue has formed the main question of philosophy. Spinoza, the successor of Desecrate, acknowledged the one substance and in a position of regarding mind and body as two parts of identical substance, tried to overcome the problem of mind-body theory in Desecrate. In this paper, I considered Spinoza`s mind-body theory with the emphasis on Ethica. Especially, in chapter Ⅴ, by examining Spinoza`s doubleaspect theory with its modified theories of Strawson`s person theory, it is defined that Spinoza`s mind-body theory can provide a clue on mind-body issue that is discussed in contemporary philosophy of mind. It can be said that there are two main achievement Spinoza had made in the field of mind-body theory. First, he was the first philosopher who clearly opposed to the dualism thinking of mind and body which the dea had generally flown from Platon at the beginning and through the Middle Age, the Renaissance and to Desecrate. Second, Spinoza`s thought on mind and body seemed to promise real insight into the nature of mind and body in contemporary philosophy of mind as Spinoza`s double-aspect theory continued to Strawson. Spinoza`s double aspect theory which is a kind of neutral monism tried to solve the mind-body problem by overcoming identity theory, despite the fact that they are both monism. For this reason, though Spinoza`s mind-body theory was in many aspects insufficient, it is worth to put much importance on his theory. Spinoza`s mind-body theory dealt in this paper has the purpose of seeking the settlement of mind-body issue by searching from the very root of its origin.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Spinoza`s mind-body theory implies the possibility of the settlement to be made as one valuable classic theory.

      • KCI등재

        다산 수양론에서 인심도심론의 위상

        박병만 한국국학진흥원 2024 국학연구 Vol.- No.53

        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of Tasan (茶⼭) Jeong Yak-yong (丁若鏞)’s Human mind and Moral mind theory in his overall theory of cultivation. Tasan divides all minds, which occurs in various ways due to the action of heart-mind, into Human mind (人心) and Moral mind (道心). He regarded the two parts of minds as the value-contradictory relationship between pre-good and pre-evil, and defined that good and evil and public and private originate from these two parts of minds. Also, by understanding the cause of evil as the problem of Human mind and losing conscience, the Human mind and Moral mind became the basic axis of his cultivation study (⼯夫). Accordingly, ‘Solseong (率性)’ which means the cultivation of Moral mind and ‘Chisim (治心)’ which means the control of Human mind form the basic structure of Tasan’s cultivation theory. Therefore, Tasan’s theory of the Human mind and Moral mind is not just a theory for cultivation, but it has a status as a general character that encompasses the whole of his cultivation theory. It reveals that Sindok (愼獨), Chungseo (忠恕), Geukgi (克己), Jibjung (執中), and Daeche-Soche theory (大體小體論), which Tasan suggested through his new interpretation, bring to a conclusion about what to do with Human mind and Moral mind. Also, he criticized Zhu Xi’s interpretation of “人心惟危, 道心惟微, 惟精惟⼀, 允執厥中 (Human mind is dangerous, Moral mind is subtle. Only when you should observe it and keep it constantly, you could truly seize the mean)” in 「Daewoomo (大禹謨)」 of the Documents (書經), and claimed that ‘人心惟危, 道心惟微’ and ‘惟精惟⼀’, ‘允執厥中’ is not interrelated. However, he put the high value on the statement regarding the Human mind and Moral mind as the essence of cultivation. This suggests that Tasan’s understanding of cultivation is different from that of Zhu-xi and that he puts great importance and value on the matter of the Human mind and Moral mind. Through these points, it may be confirmed that Tasan’s Human mind and Moral mind theory is not just a theory based on the sixteen characters of 「Daewoomo」, but it has a comprehensive characteristic that consists of the overall part of his cultivation theory.

      • KCI등재

        성호 이익의 심설(心說)의 형성에 관한 논의 - 순자설과 삼혼설을 중심으로 -

        최정연 ( Choi Jeong Yeon ) 한국사상사학회 2016 韓國思想史學 Vol.0 No.54

        지금까지 성호 이익(星湖 李瀷, 1681~1763)의 심설은 그 다층성 때문에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아왔다. 선행연구 대부분은 성호 심설의 다층성이 삼혼설의 영향 하에 출현했다고 보고 심설과 삼혼설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는데 관심을 집중한 반면, 순자설의 수용 문제는 상대적으로 간략하게 다루었다. 하지만 성호의 심설 관련 저작을 검토해보면 그는 심학적 관점에서 순자설을 수차례에 걸쳐 재해석하며 자기만의 예외적이고 독특한 심설을 구성해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동시대 지식인들이 순자설을 삼혼설의 대응논리로 이해하고 삼혼설과 더불어 유학의 아류 혹은 비정통 학설로 평가한 것과 달리, 성호는 그것을 긍정적으로 수용하여 이전에 보기 드문 심설을 구성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순자설이 심설에 기여한 공헌이 적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순자설의 개념과 논리가 성호의 심학적 설계 안에 재편되는 경과를 구체적으로 추적하는 연구가 없었다. 본고는 기존 연구에서 미처 주목하지 않았던 이 문제를 풀어보는 데 관심을 집중했고, 성호의 심설은 그가 순자설의 개념과 논리를 거듭 분석하면서 형성되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특히 『성호선생문집』에 실려있는 「심설」은 성호가 만년에 정립한 학설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심설에 관한 저작 중 이론적으로 가장 완비된 형태를 보여주었다. 이로 볼 때 성호의 심설은 순자설을 성리학 전통 속에서 정교하게 변용한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본고는 성호 심설의 형성에 기여한 핵심 주장이 심학적으로 변용된 순자설이라는 결론을 도출했음에도 불구하고, 삼혼설 역시 성호심설에 유의미한 개념과 논리를 제공했을 가능성을 배재할 수 없다고 보았다. 성호는 순자설과 삼혼설이 이론적으로 일치한다는 사실을 강조했으며, 그의 심설은 실제로 개념적·구조적 측면에서 삼혼설의 주장과 상당부분 중첩되기 때문이다. 삼혼설의 개념과 구성논리가 순자설과 더불어 성호의 심설과 상당한 유사성을 드러내고 있다면, 외래 지식이 성호의 심학에 반영되었을 가능성 또한 열어둘 수 있을 것이다. Seongho Yi Yik`s theory of mind-heart has been noted for its multiple-layered characteristic among scholars in the field. This theory has been often considered to have emerged out of the conventional neo-Confucian debates, or interpreted in association with other theories such as Xunzi`s theory and the three divisions of soul theory (tres anime, or Kr. samhonseol 三魂說) of Western Learning. This research mostly agrees with the fact that the Xunzi`s theory was a quintessential source in constructing Yi Yik`s multiple-layered mind-heart theory. Yet there has not been a single research that traced specifically how these concepts and theories could have been integrated into Yi Yik`s mind-heart theory.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at very subject matter which has been somewhat neglected by the exiting scholarship and concluded that Yi Yik has perfected his mind-heart theory after a series of thorough analysis of Xunzi`s theory. In particular, the theory of heart-mind elaborated in Collection of Writings by Mr. Seongho (Seongho seonsaeng munjip 星湖先生文集) exhibits a highest degree of Yi`s theoretical sophistication that it presumably was established during his late years. From this, one can confer that Yi`s mind-heart theory was created through a careful reinterpretation and adaptation of Xunzi`s theory through the lens of neo-Confucian concepts and logics. However, it is still possible that the three-divisions-of-soul theory may have had some influence in the formation of Yi`s mind-heart theory. Yi asserted that the three divisions of soul theory was theoretically consistent with Xunzi`s theory, and his mind-heart theory does significantly overlap with the former in its conceptual construction. Therefore, if Yi`s theory shows considerable similarities to the concept and construction of the three-divisions of soul theory and Xunzi`s theory, this indicates probable influence of foreign ideas on Yi`s mind-heart theory. Nevertheless, the limitation of existing documental evidence makes it difficult to prove the influence of the three-divisions of soul theory on Yi`s mind-heart theory. Therefore, while the influence of the three-divisions of soul theory on Yi Yik`s mind-heart theory is probably yet unverified, it is irrefutable to say that the fundamental point of Yi`s theory came out of his adaptation of Xunzi`s theory.

      • KCI등재

        주희(朱熹) 심성론(心性論)을 중심으로 본 복괘(復卦) 해석의 문제

        김광수 ( Kim Kwang-soo ),김원명 ( Kim Won-myou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7 한국 철학논집 Vol.0 No.52

        이 논문은 주희(朱熹, 1130-1200)의 심성론(心性論)에서 복괘(復卦)가 미발(未發)의 괘상(卦象)이라는 설명에 대한 현대 한국의 여러 학자들의 반론에 대한 반성적 연구다. 주희는 미발설(未發說)을 복괘(復卦)로 설명한다. 여러 연구자들은 복괘(復卦)의 `사려미맹(思慮未萌) 지각불매(知覺不昧)`는 과연 미발설을 설명하기에 충분한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사려미맹(思慮未萌)`은 미발설을 설명하기에 적당하지만, `지각불매(知覺不昧)`는 그렇지 않다고 본다. 본 연구는 주희의 복괘 해석에서 `사려미맹 지각불매`가 미발설을 충분히 설명함을 보이고자 한다. 주희의 미발설은 중화구설(中和舊說)의 시기와 중화신설(中和新說)의 시기로 그 관점이 나뉜다. 중화구설 시기는 성체심용설(性體心用說)을 바탕으로 미발설을 전개하고, 중화신설 시기는 심통성정설(心統性情說)을 바탕으로 미발설을 전개한다. 두 시기 사이에 마음의 지위는 이발에서 미발이발을 관통하는 것으로 바뀌며, 그 역할도 `성(性)이 발(發)한 것`에서 `성정(性情)을 주재(主宰)하는 것`으로 달라진다. 이러한 변화는 미발에 대한 설명인 `사려미맹(思慮未萌) 지각불매(知覺不昧)`의 해석에 영향을 미친다. 주희는 `사려(思慮)`를 성정의 관계에서 정처럼 말하지만, `지각불매`는 마음과 연관지어 설명하며, `지각불매`를 마음의 상태로 말한다. 그러므로 지극히 고요할 때[至靜之時]에도 `지각불매`하다고 말한다. 지극히 고요할 때는 미발의 때이고, 이러한 미발의 때에도 지각은 어둡지 않다는 것이다. 주희는 `지각`이 미발이발을 관통한다고 본다. 이러한 주장은 주희의 복괘에 대한 관점을 이해하면 설득력을 가진다. 정이(程?, 1033-1107)는 복괘에서 양(陽)이 생겨나는 것으로 보는 반면에, 주희는 곤괘(坤卦)에서 양(陽)이 생겨나는 것으로 보지, 복괘에서 양(陽)이 생겨나는 것으로 보지 않는다. 또 주희는 양(陽)을 사려나 감정이 아니라, `성정을 통괄하는 마음`으로 본다. 주희는 `복괘에서 천지지심의 단서를 본다`고 하였고, 복괘를 `양이 다시 회복했지만 만물이 아직 생겨나지 않은` 것으로 파악한다. 만물이 생겨나기 이전이나 천지가 만물을 낳는 마음의 단서를 복괘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만약 주희의 이런 설명을 받아들인다면, 복괘는 미발설을 설명하기에 충분하고, 주희의 복괘 해석에서 `사려미맹 지각불매`는 미발설을 설명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 reflective study of contemporary Korean scholars` claims that they criticize the explanation of Zhu Xi(朱熹, 1130-1200)`s psychology in which he explains that the 24th Hexagram of Fu[復卦] shows the state that the mind has not happened yet[未發]. Zhu Xi explains the 24th Hexagram of Fu[復卦] with the theory of no mind yet[未發說]. Several scholars in modern Korea, however, raise the question of whether "thoughtless[思慮未萌] but being not dark to perception[知覺不昧]" of the 24th Hexagram of Fu is enough to explain the state of no mind yet. And they think that "thoughtless[思慮未萌]" is appropriate to explain the state in which the mind has not yet occurred, but it is not to "being not dark to perception".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show that Zhu Xi`s interpretation of the 24th Hexagram of Fu[復卦] fully explains the fact that "thoughtless[思慮未萌] but being not dark to perception[知覺不昧]" explain the theory of no mind yet[未發說]. Zhu Xi`s `the theory of no mind yet[未發說]` is divided into two periods, a period of `old theory on zhonghe[中和舊說]` and a period of `new theory on zhonghe[中和新說]`. He develops `the theory of no mind yet[未發說]` on the basis of `the theory that nature is body and mind is action[性體心用說]` during the period of old theory, and develops the theory[未發說] based on `the theory that mind controls nature and feelings[心統性情說]` during the new theory. Between the two periods, the status of the mind changes from "the mind has already happened[已發]" to "through which the mind has not yet arisen and the mind has already risen[未發已發]". And its role also changes from `what nature is happened` to `presiding on nature and emotion.` This change affects the interpretation of the idea that the mind has not yet happened, that thoughts have not budged yet[思慮未萌], perception is not dark[知覺不昧].

      • KCI등재

        율곡의 인간 이해에 대한 일고찰

        임헌규 ( Heon Gyu Lim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2 東方學 Vol.24 No.-

        조선조에서 16세기는 성리학의 이론적 정착기였다. 그런데 성리학을 이론적으로 완성하는 데에 있어서는 사단-칠정, 인심-도심과 같은 개념에 대한 이기론적 정초가 요구되고 있었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우선 퇴계와 고봉이 ‘四端七情論爭’을 통해 그 실마리를 제공했다. 퇴계와 고봉의 논쟁을 지켜본 우계는 이제 인심과 도심의 문제를 이기론과 연관하여 어떻게 정립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율곡에게 제기하였다. 우계의 질문에 대해 율곡은 화담의 主氣論, 퇴계의 互發說 및 主理論, 그리고 整菴의 理氣渾淪說 등을 비판적으로 극복하고, ‘理通氣局說’, ‘氣發理乘一途說’, ‘人心道心終始說’, ‘心性情意一路說’ 등을 내세우며, 주자의 이기론 및 인심도심설을 창의적으로 재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율곡의 인심도심설에 대한 이기론적 정립과 그 의의를 살펴보려는 이 논문은 우선 문제의 인심도심논쟁이 있게 된 배경으로 주자의 인심도심설이 지니는 한계와 우계의 질문을 살펴보는 것으로 출발하여, 율곡의 이 문제에 대한 이기론적 해명과 정당화를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우리는 율곡의 인성론이 지니는 철학적, 인성론적 의미를 탐색해 보았다. 여기서 우리는 율곡의 이론을 인간 본성에 대한 이론은 1) 인간 본성의 내용, 2) 보편적 인간 본성과 현실적 인간의 차이 규명, 3) 인간의 내적 갈등, 그리고 4) 인간본성과 인류의 관계(政體) 등에 대한 해명으로 확대하여 살펴보면서 그 해석을 시도하였다. This article discusses Yulgok`s` Theory of Mind-Body Relation and Theory of the human mind and moral mind. The Counsels of the Great YU of The Shoo King written: the Human mind is restless, - prone to err, the Moral mind small. Be discriminating, be undivided, that you may sincerely hold fast the Mean. ChuHsi(1130-1200)`s the Theory of the human mind and moral mind is based on Tradition of Tao. ChuHsi insists that the human mind is to be controlled by the moral mind. Yulgok(1536-1584) had developed and advanced ChuHsi`s the Theory of the human mind and moral mind on the bases of Li-Ki. Yulgok argument that the human mind and moral mind coexist as a servant and a master. Yulgok`s`s account, each concrete event and thing falls under two level, called LI and KI. mind & body are two aspects of a single event and thing. Mind as distinguished KI is difined by it`s intentionality and presidency. Yulgok`s theory of mind & body relation differs from the R. Descarete`s theory of two substance.

      • KCI등재

        17세기 말 心性論에 있어서 儒佛 교섭의 가능성

        이종수(Lee Jong-su) 보조사상연구원 2009 보조사상 Vol.32 No.-

        18세기 西人을 중심으로 전개된 人物性同異論爭은 성리학을 한층 심화시킨 철학논쟁이었다고 평가받는다. 그런데 17세기 말에 이미 太極論辨이 있었다. 태극론은 朱子가 理一分殊에서 統體一太極과 各具一太極의 개념을 도출해 낸 것으로서 性의 본체론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태극논변은 인물성동이논쟁을 예비하는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태극논변의 주역은 박세채와 권상유, 그리고 조성기와 김창흡이었다. 권상유는 인물성이론의 대표적 학자였던 권상하의 동생으로서 그의 태극론은 인물성이론의 바탕이 되었다고 할 수 있고, 김창흡은 김창협의 동생으로서 인물성동론을 이끌었던 인물이므로 그의 태극론은 인물성동론의 근저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17세기 말에 佛家에서는 心性論爭이 있었다. 그 내용이 雲峰大智에 의해 간행된 『心性論』에 남아 있는데, 논쟁의 주된 쟁점은 一性說과 多性說이었다. 일성설은 ‘중생의 法身이 전체적으로 하나이다(人人法身摠爲一者)’라는 주장이고, 다성설은 ‘중생 저마다 완전한 법신을 가지고 있다(人人法身各各圓滿)’고 하는 주장이다. 佛家의 두 논쟁은 儒家의 태극논변과 매우 흡사한 논리를 가지고 있다. 가령 유가의 各具太極은 불가의 人人法身各各圓滿과 상응하고, 統體太極은 人人法身摠爲一者와 대응하고 있다. 各具太極과 各各圓滿은 人物의 개별성을 강조한 것이고, 統體太極과 摠爲一者는 人物의 전체성을 강조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유불간의 논리가 유사함에 따라 양자 사이에 어떤 사상적 교섭이 있었던 것은 아닐까라는 물음에 답하기 위해 본 논문은 작성되었다. 불교는 기본적으로 모든 중생에게 불성이 있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다. 그러므로 佛家의 심성론은 洛學의 인물성동론과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보면 김창흡의 태극론과 불교의 심성론이 더 가깝다고 볼 수 있다. 김창흡은 불교에도 매우 조예가 깊었고 평생 승려들과 交遊하였던 인물이다. 당시 유학자들이 사찰에서 독서하면서 승려들과 교유하는 것은 다반사였지만, 특히 洛學의 성리학자들에게서 두드러지게 보인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17세기 말 儒家와 佛家의 本性論은 儒佛交涉의 산물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During the 18th century, an academic argument arose concerning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人物性同異論爭) among members of the Seo-in (西人) Faction. This argument has been judged to be the reason for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 But in the late 17th century, there was another argument about taekeuk (太極 the source of the dual principle of yin and yang). Chu Shi had derived ideas of 'the whole embodies a single taekeuk (統體太極)' and 'each things contain their own taekeuk (各具太極)' from the theory of the one principle and its diversity. The theory of taekeuk consists of the ideas, and it is the ontology of the min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gard the argument about taekeuk as the beginning of the argument about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which was led by Park Se-chae, Kwon Sang-yu, Jo Seong-gi, and Kim Chang-heup. Kwon Sang-yu is a younger brother of Kwon Sang-ha, a leading authority of the theory of different natures of human and animal. Thus his theory of taekeuk was likely to be the foundation of the theory of different natures of human and animal. On the other hand, Kim Chang-heup is a younger brother of Kim Chang-hyeop, a leading authority of the theory of identical natures of human and animal. So it is possible to see his theory of taekeuk as the foundation of the theory of identical natures of human and animal. In the late 17th century, there was an argument concerning the nature of the mind (心性) within the Buddhist community. A Buddhist monk named Woonbong Daeji published a book titled “shimseongnon (心性論 a thesis on the nature of the mind)”. This book tells us that the argument was mainly about the theory of a monistic nature of the mind (一性論) and the theory of a pluralistic nature of the mind (多性論). The former theory asserts that all beings possess dharma-kāya (法身 the body of dharma), but that it only achieves completion and perfection when all minds are united(人人法身摠爲一者). The latter theory asserts that all beings possess an autonomous mind and all beings are complete and contain perfect dharma-kāya (人人法身各各圓滿). This argument is logically similar with the argument about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The Confucian idea of 'each thing contains its own taekeuk' matches the theory of a pluralistic nature of the mind, while the idea of 'the whole embodies a single taekeuk' matches the theory of a monistic nature of the mind in logic. The former match emphasizes the haecceity of all beings, and the latter match emphasizes the holistic feature of all beings. When one consider this logical similarity, it is possible to draw a possibility of ideological interaction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Buddhism is based on the idea that all beings posses their own nature of Buddha. Thus the Buddhist theory of the nature of the mind matches the theory of identical natures of human and animal of the Nak school (洛學) and is similar to Kim Chang-heup's theory of taekeuk. He had a profound knowledge of Buddhism and associated with Buddhists throughout his life. It was very common that a Confucian studying at Buddhist temple and associating with Buddhists at the time, especially Confucians from the Nak school. From the information gathered above, the theories of the original nature in Buddhism and Confucianism are likely to be derived from the ideological interaction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 KCI등재

        華西 李恒老의 心說과 斥邪論理의 相關 關係

        朴性淳 동양고전학회 2009 東洋古典硏究 Vol.34 No.-

        이항로는 太極, 즉 理가 지닌 主宰와 妙用의 측면을 적극적으로 강조하면서 그것을 明德, 즉 심의 본질이라고 하는 입장을 표명하였다. 그것은 리와 기를 상보적인 것으로 보는 기존의 심설에서 벗어나 리와 기의 차별성을 보다 분명히 하고자 함이었다. 특히 그는 학문의 목표는 大人의 경지에 오르는 것이며, 그것은 먼저 인심과 도심의 구별에서 출발하는 것임을 말하고자 한 것이다. 즉 인심과 도심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은 西勢東漸이라고 하는 당시의 특수한 상황과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 이항로는 리로 표현되는 物我一體的 道德律, 즉 天命意識을 부정하고 인간의 욕망을 긍정하는 서양인들의 윤리관에 대해서 반대하고 있었다. 이항로는 그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태극이 곧 우리 마음의 본체라는 점을 일깨우려고 한 것이다. 그가 말하고자 하는 요지는 ‘道德心이란 것은 인간이 사사로이 거스를 수 없는 태극의 원리, 즉 天命’이라는 사실이었다. 이와 같이 이항로가, 인간이 사사로이 거부할 수 없는 도덕심의 당위성을 강조한 것은, 그것 이외에는 당시 조선사회를 격동시키던 서양 문화의 힘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丙寅洋擾(1866)가 발생하자, 이항로는 동부승지로 발탁되어 上疏와 奏箚 등을 통해서 척사의 방책을 진달하였다. 평소 인심과 도심의 구분을 통해서 인간으로서의 도심을 준수해야 한다고 역설한 그의 주장은 척사 상소에서도 그대로 전개되었다. ‘洋夷’의 침투에 맞서 主戰論과 通商不可論 등을 피력한 이항로의 척사소는 그 궁극적인 해결책으로서 군주의 도심을 강조하는 형식을 띠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이항로의 심설은 그대로 병인양요 때에 제시된 척사소에 반영된 것이다. 이것은 이론과 실천이 일치될 수밖에 없었던 이항로 심주리설의 특징이었다. Yi, Hang-no said that taiji(=li) was Myeong-deok(illustrious virtue), the core of mind and heart, emphasizing the sides of superintendent and mysterious ability of li. It seems that he aimed to stress the upper status of li than qi, out of earlier general theory on mind and heart recognizing both li and qi consisted in the mind and heart. Through it, he wanted to say that only human being had moral mind like taiji and upper moral status than animals which human being should keep. The reason that Yi, Hang-no emphasized the difference between li and qi was because of a critical mind that the upper value of li than qi should not be changed and it would be the most dangerous situation if the value collapsed. Like this, Yi, Hang-no's attitude emphasizing li in his theory of mind and heart eventually aimed to explain the theory of Insim(Desire to be) and Dosim(Moral Mind). Yi, Hang-no's disciples testified that their teacher, Yi, Hang-no had cost his whole life to study the theory of Insim and Dosim. This means that Yi, Hang-no had tried to discriminate between Insim and Dosim, and to block private desires in Insim. The fact that Yi, Hang-no stressed the importance of the theory of Insim and Dosim had to do with the special situation that Western Power approached Joseon dynasty. Because Yi, Hang-no opposed the Westerner's moral consciousness for individual desires, against heavenly orders. To overcome the Western challenge, Yi, Hang-no strived to notice that taiji was the core of human mind. The point that Yi, Hang-no wanted to say was that Dosim(Moral Mind) was just the heavenly orders which human being couldn't disobey. Yi, Hang-no thought that Joseon couldn't defence Western flow without this theory of Insim and Dosim. Just after French invasion(1866), Yi, Hang-no was selected as a high-leveled bureaucrat, so he insisted his opinions for rejecting heterodoxy by the letters to the throne several times. The letters also contained his theory of Insim and Dosim mainly. Insisting fight against Western Power and prohibition of trade with Western Power, Yi, Hang-no eventually emphasized the king's right mind(Dosim) as a main and sole means to achieve all the goals he said. In conclusion, Yi, Hang-no's theory on mind and heart was as it is reflected in his letters to the throne. Therefore we can see that Yi, Hang-no's theory on mind and heart had harmonized with his movement to "Rejecting Heterodoxy"

      • KCI등재

        조현병 환자를 위한 마음이론 향상 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김신향,이원혜,권정혜 한국임상심리학회 2013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2 No.3

        People with schizophrenia show major deficits in social cognition, especially theory of mind (ToM). Social cognitive deficits are promising treatment targets for new interventions to improve functional outcome in schizophren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icacy of a Social-Cognition Rehabilitation Program (SERP) focused on theory of mind. This program was modified from the original version, developed by Kwon (2003) and verified by Choi and Kwon (2006), especially for improvement of theory of mind. The SERP focused on theory of mind was composed of 16 sessions, including 14 sessions dealing with faux pas, hidden intentions and emotions and one session each for orientation and ending. The aim of the program was to help individuals with schizophrenia to enhance social cognition including theory of mind and ultimately to promote daily social skills and interpersonal ability. The SERP focused on theory of mind was compared with treatment as usual within a two group pre-post design in 52 people with schizophrenia in the community. Theory of mind, social cognition and functional outcome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the eight week training phase. Patients in the treat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theory of mind and social skill abilities after the program, but not in general social cognition and interpersonal abilities. Our findings suggested that theory of mind could be improved in people with schizophrenia by implementation of a social cognition enhancing rehabilitation program focused on theory of mind. Conduct of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enhanced theory of mind will have an effect on general social cognition.

      • KCI등재

        불교상담의 정의와 이론에 관한 일고찰

        윤희조 보조사상연구원 2017 보조사상 Vol.49 No.-

        The definition of Buddhist counseling as 'Buddhist psychology based counseling' is a definition that reveals the subject, identity, system and field of Buddhist counseling. In the Buddhist counseling theory, the mind is a functional complex, in which the function of knowing is understood through the organ of sense and the other functions, for example feeling, thinking and intention, can be functioned and accumulated. Along with this comprehensive definition, it is possible to define the original definition of the original appearance and function of the mind as nature. The former focuses on the various functions of the mind, while the latter focuses on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mind, namely the knowing function. The dependent origination as the activity mechanism of the mind and the states of mind according to the dependent origination can be seen in two forms according to two views of mind. In the Buddhist counseling theory, in terms of diagnosis and prescription, we can see the universality of suffering from the point of The Four Noble Truths, the Non-duality of defilement and bodhi. In personality theory, human beings can be regarded as functional beings with various functions, and possible beings whose original function of mind is latent. In the theory of identity, we can see the identity of the layman and the identity of the saint in terms of self and no-self, and we can see two tendencies of mind in the function of see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reality, two tendencies of the mind can be seen through the function of pointing to the moon and the function of the formlessness. In the theory of multiple mind, we can see that unconsciousness is closely related to consciousness. In emotion and body theory, body, emotion and mind are closely related. Thus, Buddhist counseling theory can be developed according to two views of the mind. 불교상담을 ‘불교심리학에 기반을 둔 상담’으로 정의하는 것은 불교상담의 주제와 정체성, 계통과 영역을 드러내는 정의라고 할 수 있다. 불교상담이론에서는 불교상담의 주제가 되는 마음에 대하여 ‘의(意)라는 감각기관을 통해서 아는 기능[識]을 하고, 이 기능을 중심으로 나머지 기능(느끼고, 생각하고, 의도하는)이 집적되어 있는[心] 기능복합체’라는 포괄적 정의와 ‘공(空), 무아(無我), 불성(佛性), 불이(不二), 청정(淸淨)을 특징으로 가지는 반야(般若)’라는 본래적 정의를 하고 있다. 이러한 정의는 마음에 대한 두 가지 경향성 즉 다원적 경향성과 일원적 경향성에 기반하고 있다. 전자는 마음이 가지고 다양한 기능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후자는 마음의 원래의 기능 즉 아는 기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마음의 활동기제로서 연기, 연기에 따른 마음의 상태도 마음의 두 가지 관점에 따라서 두 가지 형태로 볼 수 있다. 불교상담이론 가운데 진단과 처방과 관련해서는 사성제의 관점에서 괴로움의 보편성과 소멸된 상태를 볼 수도 있고, 번뇌즉보리라는 불이적 관점에서 볼 수도 있다. 성격이론에서는 인간을 다양한 기능이 활동하는 기능적 존재, 마음의 원래 기능이 잠재해 있는 가능적 존재로 볼 수 있다. 정체성이론에서는 범부의 정체성과 성자의 정체성을 자아와 무아의 관점에서 볼 수 있고, 보는 기능에서도 마음의 두 가지 경향성을 볼 수 있다. 말과 실재의 관계에서는 지월(指月)적 기능과 무상(無相)적 기능을 통해서 마음의 두 가지 경향성을 볼 수 있다. 마음의 중층성이론에서는 무의식이 의식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고, 정서와 몸이론에서는 몸과 정서와 마음이 밀접히 연관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불교상담이론은 마음을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을 중심으로 전개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