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불교 마음공부 실천의 현재와 과제: 마음공부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김은진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2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4 No.-

        This study focused on ‘Won-Buddhism mindful practice’, which can help modern people heal their minds. Therefore, it was carried out with the purpose of deriving future tasks by examining how the implementation of Won-Buddhism mindful practice has been carried out in academia and in the field, respectively. To this end, first, the research trend of mindful practice in academia, the definition of mindful practice, the contents and components of mindful practice, and the effect of mindful practice programs were analyzed. Next, to review the current situation in the field, mindful practice programs of dioceses and organizations, mindful practice based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mindful practice qualification programs, and Won-Buddhism training institution programs were examined. Based on this, future tasks for the social spread of Won-Buddhism mindful practice we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rying to incorporate Won-Buddhism doctrines into mindful practice programs. Second, it is necessary to take pride in mindful practice, symbolized by STAR, as one of the Won-Buddhism mindful practice brands, and to make efforts to diversify it. Third, it is necessary to further encompass the mindful practice program that focuses on the active practice of sensible wisdom. Fourth, it is necessary to proceed with the operation of the mindful practice school of the regional base in each dioceses. Fifth,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mprehensive commercialization of mindful practice based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Sixth,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programs of mindful practice qualification course for the social spread of mindful practice. And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training institutions need to strive for objective quantitative evaluation as well as satisfaction survey or qualitative evaluation for their own mindful practice program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comprehensively examine the actual status of the Won-Buddhism mindful practice programs, and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obtain future improvement directions and factual data to be corrected and supplemented. In addition, it will be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at continuous efforts should be made in the future to reveal the identity of Won-Buddhism as ‘mindful practice’. 본 연구는 현대인들의 마음치유를 도울 수 있는 ‘원불교 마음공부’에 주목하고, 원불교 마음공부의 실천이 학계와 현장에서 각각 어떻게 이루어져왔는가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과제를 도출하려는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학계의마음공부 연구 동향, 마음공부의 정의, 마음공부 내용 및 구성요소, 마음공부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고, 다음으로는 현장의 현황 검토를 위해 교구 및 단체의마음공부 프로그램, 마음공부 기반 인성교육 프로그램, 마음공부의 자격과정 프로그램, 원불교 훈련기관 프로그램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원불교 마음공부의 사회적 확산을 위한 향후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원불교 교법을 마음공부 프로그램으로 담아내려는 지속적인 시도가 계속될 필요가 있다. 둘째, STAR로 상징되는 마음대조공부를 원불교 마음공부 브랜드의 하나로 자부하고 이의 다양화에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셋째, 분별 있는 지혜의 적극적 실천에 초점을 기울인 마음공부 프로그램을 더욱 아우를 필요가 있다. 넷째, 각 교구별 지역 거점의 마음공부 학교 운영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마음공부 기반인성교육 프로그램들의 종합적 상품화를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여섯째, 마음공부의 사회적 확산을 위해 마음공부 자격과정의 프로그램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훈련기관들이 자체 마음공부 프로그램에 대하여 만족도 조사나 정성평가만이 아니라 객관적인 정량평가까지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원불교 마음공부 프로그램의 실제적 현황에 대해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앞으로의 개선 방향과 수정 보완해 나아가야 할 사실적 자료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마음공부’라는 원불교의 한 중요한 정체성을 드러내기 위해 앞으로도 지속적인 노력이 꾸준히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해주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 성리학과 한의학을 통합한 심신 관계의 구조화에 대한 소고(小考)

        이정환,권대호 사암침법학회 2020 사암침법학회지 Vol.2 No.1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e new structur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 and body based on Neo-Confucianism and Korean medicine. Method : We combined Neo-Confucianism with Korean medicine and newly structured the theory of mind and body through the medium of Qi. Results and conclusions : Neo-Confucianism and Korean medicine. did not treat the mind and body separately by nature. These two disciplines present a Qi or field of Qi as a medium that connects the mind and the body. This background can be an important advantage in Mind-body medicine. The new structure of the mind-body relationship by integrating Neo-Confucianism and Korean medicine is as follows. Qi bears human nature and creates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phenomena of the mind and body. The meridian reveals the state and change of Qi by mind and body. If Qi is harmonious and stable, the mind and body are healthy. And if the Qi is inharmonious and unstable, the mind and body are unhealthy. The changes in the Qi are simultaneous in the mind and body, and these reactions can infer the state of the Qi. The pathological symptoms of the mind and bod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round unstable Qi and can be further diagnosed and treated using this mind and body connection. These Qi mediated mind and body relationships will not only be used in diagnosis and treatment, but will also be able to extend into the realm of treatment to the philosophical categories that give you a better idea of your personality and living the life accordingly.

      • KCI등재

        불교의 마음치유: 위빠사나, 간화선 그리고 원불교 마음공부의 비교

        장진영 동양사회사상학회 2012 사회사상과 문화 Vol.26 No.-

        불교의 수행은 본래부터 마음치유의 역할을 가진 것이다. 그리고 불교의 유구한 역사 속에서 다양하고 훌륭한 수행법(마음치유의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특히 한국불교에서는 간화선看話禪을 주된 수행법으로 여겨왔다. 그러나 간화선은 출세간 위주의 수행으로 세간 생활을 하는 일반인들의 수행에 대한 갈증과 구체적인 삶의 문제해결에 있어서는 직접적인 역할을 하지 못했다. 그러다가 1990년대 이후 남방 상좌부불교(Theravāda Buddhism)의 위빠사나vipassanā가 전래되면서 한국불교계에 새로운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특히 위빠사나는 마음챙김(sati)을 위주로 하는 사념처 수행을 통해 일상생활에서도 널리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마음챙김의 심리치료적 효과까지 알려지면서 일반인들에게 급속히 퍼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후 두 수행법은 더 이상 배척의 관계가 아닌 상호보완의 관계로 인식되었으며, 간화선만을 고집하던 한국불교계의 수행풍토에도 전반적인 변화가 진행중이다. 불교마음치유의 방향도 이러한 맥락에서 고민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최근 한국불교계의 변화는 근대기 이후 제기되었던 다양한 불교개혁논의의 연장선에서 그 구체적인 해결의 기회를 만난 것으로 이해된다. 이에 근대기 이후 불교의 혁신과 사회적 실천에 능동적으로 참여해왔던 원불교가 지녔던 시대 진단과 그 처방으로 제시된 ‘마음공부’를 함께 고려하였다. 이는 향후 불교마음치유의 보편적 지향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문제의식과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아울러 위빠사나와 간화선, 그리고 원불교 마음공부를 비교함에 있어서 불교 수행의 전반에 흐르는 ‘유념有念’과 ‘무념無念’의 두 측면에 의지하였다. 이를 통해 위빠사나는 일상생활에서 마음을 챙기는 공부인 유념 공부가 위주가 된다면, 간화선은 화두를 통해 마음을 비우는 공부인 무념 공부이 위주가 된다고 보았으며, 원불교 마음공부는 이러한 유념과 무념의 두 측면의 공부를 조화시킴과 동시에 구체적인 실천을 통한 마음치유의 방법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을 특징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불교의 마음치유가 불교 본래적인 지향과 시대적 요청에 맞도록 ‘자기치유’와 ‘관계치유’가 잘 조화된 방향에서 제시되고, 기존의 많은 공부법도 유념 공부와 무념 공부의 두 측면이 잘 종합된 마음치유의 방향에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Buddhist practices play a prominent role in healing since the beginning of Buddhism. Throughout the history of Buddhism, various practice methods were produced as a way to heal the mind. In the case of Korean Buddhism, Ganhwa Seon (Koan meditation) is the main practice method. However, Ganhwa seon cannot play a direct role in solving the desire of practice and specific problems in secular life, because practitioners who intend to withdraw from the world and enter the monastic life use this method of practice. Since the 1990s, Vipassanā,the representative meditation of Theravāda Buddhism rapidly brought new changes to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This burgeoning method of practice attracts the attention of the general public since it can be applied in everyday life by focusing on mindfulness (sati). Vipassanā and Ganhwa Seon are recognized as having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rather than a contradictory one, and it is reported that there needs to be a kind of universal direction of mind healing of Buddhism where Vipassanā and Ganhwa Seon are approached from the point of view of complementing one another. These recent changes in Korean Buddhism are an opportunity to solve the problems that were brought up during the course of Buddhist reform movements in modern tim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Mind Practice (Maeum-Gongbu) of Won-Buddhism, which was founded by Sotaesan who diagnosed the cause of society’s illnesses in the early 20th century. Since Won-Buddhism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innovation and social role of Buddhism since the modern period, its perspective will help form a universal direction of Buddhist Mind Healing, responding to the request of modern times. In addition, based on the two sides of ‘Mindfulness’ (Yu-Nyeom), maintaining the thought with a attention and ‘No Thought’ (Mu-Nyeom) without a thought through the practice of Buddhism, this study will compare the practices of Vipassanā, Ganhwa Seon and Won-Buddhist Mind Practice. Consequently,Vipassanā is used mainly to apply mindfulness in daily life, whereas Ganhwa Seon is driven by emptying the mind through the ‘Critical Phrase’ (Hwa-Du,Koan). I argue that Vipassanā is closer to the ‘Mindfulness’ Practice of Won-Buddhism and Ganhwa Seon closely resembles the ‘No Thought’ Practice of Won-Buddhism. Furthermore, Won-Buddhist Mind Practice (Maeum-Gongbu)seems to be the only practice that balances these two aspects, ‘Mindfulness’Practice and ‘No Thought’ Practice, and at the same time emphasizes specific action and life practice. Buddhism’s method of mind healing will have to go in the direction that carefully balances both ‘Self-Healing’ and ‘Relation-Healing’and the numerous existing practice methods will also have to propose ways to go in the direction of mind healing that harmonizes the two aspects of ‘Mindfulness’ and ‘No Thought.’

      • KCI등재
      • KCI등재

        태권도에서의“심신(心身)수련”과 일원론적“기(氣)”개념

        하피터 한국체육철학회 2013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1 No.2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philosophical foundation of TKD as martial arts, which emphasizes not only a training of body but also the cultivation of mind and body, by an analysis of body-mind training based on the concept of "Qi." As it is well-known, there are two aspects in the training of Taekwondo. On the one hand, Taekwondo is simply understood as a combative sport that focuses on the acquisition of a certain skills and the training of a physical body. And on the other hand, Taekwondo is conceived of as a martial art that concentrates on the cultivation of mind as well as the training of body. However in the mind-body training in TKD, the concept of mind is not thought as an immaterial substance opposed to a physical body in the case of academic philosophy. That is, the training of mind-body does not presuppose a rigid dualism. In contrast to the dualistic understanding of mind and body, in the mind-body training in TKD the concept of mind is not regarded as an independent substance from a physical body. Rather, mind is intrinsically related to a body. Hence from the ontological view, the mind-body training of TKD is grounded on monism. And the mind-body training of TKD is essentially bound up with monism because it is ultimately founded in "qi" that primordially supports mind as well as body. 이 논문은 “기” 개념에 기초해 있는 “심신(心身)수련”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신체뿐만 아니라 정신수양을 강조하는 무도 태권도의 철학적 토대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태권도 수련은 두 가지의 양상을 띠고 있다. 한편에서 태권도는 상대방을 맨손으로 제압할 수 있는 호신술 습득과 신체 단련에 초점을 맞추는 격투기 스포츠로 간주되지만, 다른 한편에서 태권도는 단순히 스포츠로서가 아니라 무도 태권도로 이해된다. 그리고 무도 태권도는 신체 수련뿐만 아니라 정신 수양을 포함하는 심신수련을 강조한다. 그런데 여기서 말하는 심신수련에서 정신(마음)은 강단철학에서 이해되는 물질적인 신체에 대비되는 비물질적인 실체를 의미하지 않는다. 즉, 무도 태권도의 심신수련은 정신이 신체로부터 분리되었다는 이원론을 전제로 하지 않는다. 이와 달리 태권도 심신수련에서 정신은 신체와 본질적으로 통일되어 있다. 그러므로 존재론적 관점에서 볼 때, 태권도의 심신수련은 일원론을 전제로 하고 있다. 더 나아가 태권도의 심신수련이 일원론을 표방하는 이유는 심신수련은 궁극적으로 정신과 신체를 근원적으로 지탱하는 “기”에 기초되어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특집논문2> 인도불교의 중국적 변주-반야와 현학, 그리고 유학 : 마음의 본성 탐구와 개발에 대한 유교와 불교의 관점

        윤종갑 ( Joung Gab Yu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1

        본 논문은 ‘마음의 본성[심성]’을 유교와 불교에서는 어떻게 파악하고 있으며, 이를 어떻게 개발하는지에 대해 비교론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유교는 마음에 대해 본성의 선악문제를 중심으로 심성론을 전개시킨데반해 불교는 불성(佛性)을 중심문제로 하여 깨달음을 목적으로 심성론을 전개시켰다. 즉 유교의 대표적인 경전 가운데 하나인 『대학』에서 “마음이 여기에 있지 않으면 보아도 보이지 않고 들어도 들리지 않고 먹어도 맛을 알지 못한다”(心不在焉, 視而不見, 聽而不聞, 食而不知其味)고 하여, 인간의 주체로서 마음을 중시하여 ‘정심(正心)’을 강조하고 있으며, 맹자 역시 인간 성품의 본바탕으로서 ‘불인인지심(不忍人之心)’, ‘적자지심(赤子之心)’, ‘양심(良心)’, ‘본심(本心)’을 제시하여 “학문의 도리는 다른 것이 아니라 흩어지는 마음을 찾아 들이는 것일 뿐이다”(學文之道無他, 求其放心而已矣)라고 하며, 진심(眞心).지성(知性)하여 지천(知天)하고 존심(存心).양성(養成)하여 사천(事天)하는 과정을 제시함으로써, 유학이 마음을 다스리는 공부임을 강조하였다. 불교에 있어서도 마음은 이론과 실천의 근간이 된다. 불교는 마음을 지칭하는 여러 용어 중에서 심(citta), 의(manas), 식(vinana) 세 가지가 대표적이다. 이 가운데 심과 의는 초기불교에서 강조되었던 것이고 식은 대승불교, 특히 유식불교에서 중요시되었다. 불교는 이들 세 개념에 의거해 수행의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심(心)이 정의(情意)적 측면, 의(意)가 지(知)적인 측면을 지니는데 좁은 의미로는 분별[了別]작용, 넓은 의미로는 의식 일반을 가리키는 말로 보고, 식(識)은 오감(五感)과 연관되어 외계인식의 중추라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유불의 심성론에 있어 공통점은 ‘마음의 철학’이라는 점이다. 유불 모두 심을 중시한 마음의 철학이라 할 수 있다. 유교는 인간의 선한 성품의 근거로서 심(心)을 말하고 있으며 불교는 깨달음의 근거로서 심을 말한다. 결국 유교와 불교에서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이상적 인간인 성인과 부처 모두 심에 바탕하고 있는 것이다. This paper purposed to comparative study about development of the nature of Mind on Confucianism and Buddhism’s viewpoint. Confucian developed their theory about The nature of Mind is Good or Bad. But Buddhist purposed to enlightenment, so they developed about the nature of Buddha. On the Great leaning(大學), one of the great Confucianism sutra, “If there were not Mind, I can’t see anything even if I see.” SoConfucianism put emphasis on Mind as the subject of man. Mencius underlined that the way of study is just gather one’s scattered mind(求放心). He suggested ‘Conscious’, ‘Original Heart’ etc. So he stressed that Confucianism is the study of mind control. In Buddhism, Mind is foundation of theory and practice. The typical word is Mind(citta), Will(manas), Sense(vinana). Mind(citta) and Will(manas) stressed by early buddhism, but Sense(vinana) is important to Mahanaya Buddhism. On the basis of these three concept, Buddhism deals with practice asceticism. Buddhism and Confucianism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philosophy of Mind. Both of them stressed on Mind. Confucianism considered Mind is basis of kind nature. Buddhism considered Mind is basis of enlightenment. The holy man or Buddha, their ultimate aim is based on Mind.

      • KCI등재

        마음챙김(mindfulness) 기반 교육: 기본 설계와 방향

        황금중 한국교육철학학회 2019 교육철학연구 Vol.41 No.3

        This article first notes that 'mindfulness' may be the most basic inner force that learners must acquire and maintain in the process of learning for holistic growth across the realms of intelligence, virtue, and body. Subsequently it claims that education needs to be “mindfulness-based.” “Mindfulness-based education” does not mean that mindfulness is merely a subject of learning but that education should lead the work of learning on the basis of mindfulness. Mindfulness here is a particular state of mind, which is not swept away by the flow of inner thoughts and emotions that flow like noises, but rather the attention, nod-judgmental awareness, and now-here immersion. It is also based on the elements of deep wisdom about the reality of the subject and the world. This conception of mindfulness can be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goes beyond simple inner management, as a mechanism that leads to the horizon of ‘being’, freeing and defending the mind from desires and discernment that has no substance and blurs the senses. Intelligence, morality, creativity, thinking, criticality, and relationship, often referred to as the goal of education, can be fully embodied from this ‘being’, so mindfulness should be the basis of education, which is the way to lead the learners to the horizon of 'being'. Thoughtful treasury on mindfulness is especially held by Buddhism, and is widely reinterpreted and used in the light of modern Buddhism, psychology, and medicine(especially by Nyanaponika, N.H.Thich, J.Kabat-Zinn, etc.). Mindfulness, however, is universal in connection with the original inclinations and abilities of mind, and thus is not the legacy of Buddhism exclusively, and the trajectory of deep discussions and practices can be confirmed in other traditions of thoughts such as Confucianism and Taoism. In particular, the gyeong of the neo-Confucianism is captured as a model of mindfulness along with the Buddhist sati, which also shows the reason for the “gyeong-based elementary learning and great learning”, a neo-Confucian version of “mindfulness-based education.” (Especially by Zhu xi or Yi Hwang). In order to realize “mindfulness-based education” at the school level in modern society, there are two dimensions: that of “education about mindfulness” and that of “creating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facilitates mindfulness”. Some directions on these two are reviewed in this article. 이 글은 우선 ‘마음챙김(mindfulness)’이 지·덕·체의 영역을 아우르는 전인적 성장을 위한 배움의 과정에서 그 주체들이 획득하고 견지해야 할 가장 기본적인 내면의 힘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교육은 곧 “마음챙김 기반 교육(mindfulness-based education)”일 필요가 있음을 주장했다. “마음챙김 기반 교육”은 마음챙김을 단지 배움의 한 주제로 삼는 교육이 아니라, 배움의 일 자체가 마음챙김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도록 이끄는 교육을 의미한다. 여기서 ‘마음챙김(mindfulness)’은 특정한 마음상태인데, 소음처럼 떠도는 내면의 생각과 감정의 흐름에 휩쓸리거나 자동반응하지 않고 오롯이 모아져 있는 주의(attention), 비판단적인 알아차림(awareness), 그리고 지금-여기 몰입의 상태를 그 기본 형식으로 하며, 여기에 마음챙김은 나와 세계의 실상에 대한 깊은 지혜의 요소가 배경을 이루는 구조를 지닌다. 이 마음챙김은 간단한 내면의 관리 차원을 넘어, 실체가 없고 감각을 흐리는 욕망과 분별상으로부터 마음을 자유롭게 하고 지켜내면서, ‘존재(being)’의 지평으로 이끄는 기제라는 점에 큰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흔히 교육의 목표로서 종종 얘기되는 지성, 도덕성, 창의성, 사고력, 비판력, 관계력 등은 이 ‘존재하기’로부터 온전하게 구현될 수 있으니, 이것이 주체를 존재 지평으로 이끌 수 있는 방법인 마음챙김이 교육의 근간이 될 만한 주요 이유다. 마음챙김에 대한 사상적 보고(寶庫)는 특히 불교가 보유하고 있으며, 현대불교와 심리학, 의학의 관점에서 재해석되어 널리 활용되고 있다(특히 냐나포니카, 틱낫한, 카밧진 등에 의해). 그런데 마음챙김은 마음의 본래적 성향 및 능력과 연계된 보편적인 것으로, 결코 불교의 전유물이 아니고, 유가와 도가 등의 다른 사상 전통에서도 이에 대한 깊은 논의와 실천의 궤적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성리학의 경(敬)이 불교의 사띠(sati)와 함께 마음챙김의 전형으로 포착되기도 하는데, 성리학에서는 “마음챙김 기반 교육”의 성리학적 버전인 “경 기반 소학·대학”의 사유를 보여주기도 했다(특히 주희나 이황에 의해). 현대 사회에서 “마음챙김 기반 교육”을 학교 단위에서 현실화하기 위해 “마음챙김에 대한 교육”과 “마음챙김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교육환경 조성”의 두 차원으로 나누어 접근할 수 있으며 이 글에서는 이와 관련한 몇 가지 방향이 검토되었다.

      • KCI등재

        퇴계의 ‘심병(心病)’과 그 치유법으로서의 ‘경(敬)’

        이원진,이현진 한국종교학회 2019 宗敎硏究 Vol.79 No.3

        The lifespan of human-being in these days gets longer and longer so as to mention the eternity. This is due to their body-health index gets higher. However, the mind-health index of them has been lowered than before. At this time, how to cure the mind illness through the humanity and religious perspective from old sagacity seems urgent. Almost 350 years ahead the emergence of psychology and psychoanalysis in the West, Toegye showed a clear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mind. Particularly it also suggested where mind-illness can occur and how to cure it. There are two major structures of mind in Toegye: One is suggested in the sixth diagram of “The Mind Combines and Governs the Nature and the Feelings”, and the other is suggested in the eighth diagram of “The Study of the Mind” in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In the diagram firstly mentioned, the four-stage structure of original nature and physical nature, four-beginnings (commiseration, modesty and deference, shame and dislike, approving and disapproving) and seven feelings (joy, anger, grief, fear, love, hate, and desire) are described. In the diagram of “The Study of the Mind”, the three-stage structure of body, mind, and mindfulness is revealed. Toegye investigates the cause of mind-illness and suggests the way of curing at the diagram of “The Study of the Mind.” He mentions, “When comparing to treating an illness, Kyung(mindfulness) is a medicine for all, since it is not a single drug used for the only one symptom.”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path of healing the mind-illness that Toegye had explored in his life, and examine it to use as an alternative to restoring the sick mind of people of this era. 현대인의 수명은 날이 갈수록 연장되고 있다. 인간은 영생을 언급할 정도 로 몸-건강지수를 높여왔다. 하지만 현대인의 마음-체감 건강지수는 더욱 낮 아졌다. 우리나라에서는 일 년에 2만 5000명, 즉 하루 평균 38명이 자살한다. 이런 시대에 몸에 대한 병리적 처방이 아닌 마음병에 대한 인문종교적 탐구 가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퇴계는 서양에서 마음의 병을 다루는 심리학이나 정신분석학이 나온 시기보다 350년 더 이전에 마음의 구조를 시각적으로 선 명하게 보여줬다. 특히 물망물조(勿忘勿助) 즉 맹자가 말한 바, “마음에 잊 지도 말고(心勿忘) 조장해서도 안 된다(勿助長)”는 두 가지 이질적인 마음의 두 길항작용이 각각 균형을 잃으면 심병(心病)이 되며 그 심병(心病)의 치유 책으로 이질적 두 세계를 병진해 연결하는 공부법, 즉 심법(心法)으로서의 경을 제시했다. 마음의 구조를 통해 마음의 병이 어디서 생길 수 있는지와 그 병을 치유할 수 있는 방법을 종합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퇴계에서 심병은 제자와의 편지글에서부터 말년 사상의 요약체인 성학 십도에까지 두루 다뤄지는데, 특히 퇴계가 정리한 마음의 구조는 성학십 도에서 크게 두 가지 구도로 제시된다. 하나는 6도 「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며, 다른 하나는 8도 「심학도(心學圖)」다. 「심통성정도」에서는 마음을 이루고 있는 본연지성(本然之性)과 기질지성(氣質之性), 사단지정(四端之情) 과 칠자지정(七者之情)의 4단 구조, 「심학도」에서는 몸(身)과 마음(心)과 마 음챙김(敬) 3단 구조가 선명하게 드러난다. 「심통성정도」에서 퇴계는 마음 병의 원인을 규명하고, 이 치유법으로서 8도에서 경(敬)을 제시한다. 그는 “병을 치료하는 데 비유하자면 경이란 만병통치의 약이어서 한 증상에 대 해서만 쓰는 한 가지 약에 비할 것이 아니다”고 역설한다. 퇴계가 평생 탐 구한 마음병(心病)을 치유하는 길을 꼼꼼히 살펴보며 현대인의 아픈 마음을 회복하는 대안으로 삼고자 한다.

      • KCI등재

        불교의 마음치유

        장진영(Jang, Jin-Young) 동양사회사상학회 2012 사회사상과 문화 Vol.26 No.-

        Buddhist practices play a prominent role in healing since the beginning of Buddhism. Throughout the history of Buddhism, various practice methods were produced as a way to heal the mind. In the case of Korean Buddhism, Ganhwa Seon (Koan meditation) is the main practice method. However, Ganhwa seon cannot play a direct role in solving the desire of practice and specific problems in secular life, because practitioners who intend to withdraw from the world and enter the monastic life use this method of practice. Since the 1990s, Vipassanā, the representative meditation of Theravāda Buddhism rapidly brought new changes to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This burgeoning method of practice attracts the attention of the general public since it can be applied in everyday life by focusing on mindfulness (sati). Vipassanā and Ganhwa Seon are recognized as having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rather than a contradictory one, and it is reported that there needs to be a kind of universal direction of mind healing of Buddhism where Vipassanā and Ganhwa Seon are approached from the point of view of complementing one another. These recent changes in Korean Buddhism are an opportunity to solve the problems that were brought up during the course of Buddhist reform movements in modern tim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Mind Practice (Maeum-Gongbu) of Won-Buddhism, which was founded by Sotaesan who diagnosed the cause of society’s illnesses in the early 20th century. Since Won-Buddhism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innovation and social role of Buddhism since the modern period, its perspective will help form a universal direction of Buddhist Mind Healing, responding to the request of modern tomes. In addition, based on the two sides of ‘Mindfulness’ (Yu-Nyeom), maintaining the thought with a attention and ‘No Thought’ (Mu-Nyeom) without a thought through the practice of Buddhism, this study will compare the practices of Vipassanā, Ganhwa Seon and Won-Buddhist Mind Practice. Consequently, Vipassanā is used mainly to apply mindfulness in daily life, whereas Ganhwa Seon is driven by emptying the mind through the ‘Critical Phrase’ (Hwa-Du, Koan). I argue that Vipassanā is closer to the ‘Mindfulness’ Practice of Won-Buddhism and Ganhwa Seon closely resembles the ‘No Thought’ Practice of Won-Buddhism. Furthermore, Won-Buddhist Mind Practice (Maeum-Gongbu) seems to be the only practice that balances these two aspects, ‘Mindfulness’ Practice and ‘No Thought’ Practice, and at the same time emphasizes specific action and life practice. Buddhism’s method of mind healing will have to go in the direction that carefully balances both ‘Self-Healing’ and ‘Relation-Healing’ and the numerous existing practice methods will also have to propose ways to go in the direction of mind healing that harmonizes the two aspects of ‘Mindfulness’ and ‘No Thought.’ 불교의 수행은 본래부터 마음치유의 역할을 가진 것이다. 그리고 불교의 유구한 역사 속에서 다양하고 훌륭한 수행법(마음치유의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특히 한국불교에서는 간화선看話禪을 주된 수행법으로 여겨왔다. 그러나 간화선은 출세간 위주의 수행으로 세간 생활을 하는 일반인들의 수행에 대한 갈증과 구체적인 삶의 문제해결에 있어서는 직접적인 역할을 하지 못했다. 그러다가 1990년대 이후 남방 상좌부불교(Theravāda Buddhism)의 위빠사나 vipassanā가 전래되면서 한국불교계에 새로운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특히 위빠사나는 마음챙김(sati)을 위주로 하는 사념처 수행을 통해 일상생활에서도 널리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마음챙김의 심리치료적 효과까지 알려지면서 일반인들에게 급속히 퍼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후 두 수행법은 더 이상 배척의 관계가 아닌 상호보완의 관계로 인식되었으며, 간화선만을 고집하던 한국불교계의 수행풍토에도 전반적인 변화가 진행중이다. 불교마음치유의 방향도 이러한 맥락에서 고민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최근 한국불교계의 변화는 근대기 이후 제기되었던 다양한 불교개혁논의의 연장선에서 그 구체적인 해결의 기회를 만난 것으로 이해된다. 이에 근대기 이후 불교의 혁신과 사회적 실천에 능동적으로 참여해왔던 원불교가 지녔던 시대 진단과 그 처방으로 제시된 ‘마음공부’를 함께 고려하였다. 이는 향후 불교마음치유의 보편적 지향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문제의식과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아울러 위빠사나와 간화선, 그리고 원불교 마음공부를 비교함에 있어서 불교 수행의 전반에 흐르는 ‘유념有念’과 ‘무념無念’의 두 측면에 의지하였다. 이를 통해 위빠사나는 일상생활에서 마음을 챙기는 공부인 유념 공부가 위주가 된다면, 간화선은 화두를 통해 마음을 비우는 공부인 무념 공부이 위주가 된다고 보았으며, 원불교 마음공부는 이러한 유념과 무념의 두 측면의 공부를 조화시킴과 동시에 구체적인 실천을 통한 마음치유의 방법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을 특징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불교의 마음치유가 불교 본래적인 지향과 시대적 요청에 맞도록 ‘자기치유’와 ‘관계치유’가 잘 조화된 방향에서 제시되고, 기존의 많은 공부법도 유념 공부와 무념 공부의 두 측면이 잘 종합된 마음치유의 방향에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 The Mind in Process: Meaning of Chinese philosophy of Mind on Mind Ecology Studies

        Zhang Xiuhua 한국마음학회 2013 한국마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1

        Traditional Chinese Philosophy is different with the Western Philosophy as metaphysics of substance and epistemology for inquiry cosmos, world and knowledge. Its interest lies in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rld, man and man, man and himself, in order to construct ethic aesthetical and value world of meaning. Therefore, Chinese Philosophical Human Studies of humanism directly concern the issue of mind. There is not only theory of Mind-Nature, but also many scholars regard Confucianism as Philosophy of Mind, so that some see Chinese Philosophy as Philosophy of Mind. These understanding are coincident with postmodern Mind Ecology Studies in the perspective of Process Philosophy, so we. can say that Chinese Philosophy of Mind has the meaning of Mind Ecology Studies, and the latter further demonstrates the contemporary theoretic value and meaning of practice from Chinese Philosophy of Mind. Hence, three issues have to be discussed in this paper. First one is the Mind as Absolute Subject and Its Characters. The traditional Chinese Philosophy always see mind as an absolute subject which dominates everything, concerns everything in the universe, moreover, the mind as absolute subject has characters of wholeness and introversion. Second one is The Mind with Praxis Function for Growing and Developing. The growing and developing is a process, so the mind is not entity but spiritual praxis for actualizing Sage Realm of morality. In the course, various factors and relations of the mind get synergy in the thinking of organism and holism. Third one is Seeing Chinese Philosophy of Mind from Mind Ecology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