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한시 연구 방법론의 연구사적 검토와 방향성 탐색

        이국진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5 東洋學 Vol.60 No.-

        From 1975 to the mid-1990s when Korea Chinese literature study was boosted, Korea Chinese poetry study had established its academic status and strengthened the position of study focusing on historicist method and excavation of materials and writers. However, due to repetition of the same study method and following, etc. problems were raised together earlier on. From the late 1990s to the mid-2000, study methodology of Korea Chinese poetry has been actively and productively sought. In the course, the fever of historicist methodology went cold because of reflective criticism of academic community and loss of timeliness, and depletion of limited topics, etc. On the other hand, efforts to explore internal quality and aesthetic quality of the work actively took place. Since late 2000, Korea Chinese poetry study methodology seems to be in a sort of stagnant period or individual exploration period compared to the last period. The reasons include many existing important study methodologies suggested already, lowering of overall social interest in the genre of humanities and poetry, difficulties in adjusting academic issues into the speed of rapid social change and expandability of boundary, and so on. Therefore, researcher’s effort to pioneer new study methodology is required. For this, most of all researchers should make efforts on cultivating translation skills and connoisseurship that are required to Chinese poetry study and critically reviewing study methodology, and actively applying new study methodology. More specific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breadth of Chinese poetry study methodology needs to be expanded accepting research achievements of other countries or other major areas. Second, literature study methodology crossing genre boundaries should be more actively implemented. Third, study methodology that can communicate with issues of modern society and modern people should be sought. Lastly, the academic community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that Chinese poetry researchers can boldly test their study methodologies. 한국 한문학 연구가 본격화 되었던 1975년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한국 한시 연구는 역사주의적 방법과함께 자료 및 작가 발굴을 중심으로 하여, 그 학문적 위상을 정립하고 연구의 입지를 다져나갔다. 이러한 방법론은 시대적 사명감과 진지한 학문정신에 기반하여 높은 수준의 연구 성과를 구축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동일한 연구 방법의 반복과 추종 등으로 인해 일찍부터 그 개선점도 제기되었다.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한국 한시 연구 방법론의 모색은 상당히 활발하고 생산적으로 진행되었다. 그 과정에서 역사주의적 방법론은 학계의 반성적 비판과 시의성의 상실, 그리고 제한된 제재의 고갈등으로 인해 그 열기가 식어갔다. 반면에 작품의 내질과 미학적 특질을 탐색하려는 노력이 풍격론, 분석주의적방법론, 의상론 등을 통해 활발하게 이뤄졌다. 200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의 한국 한시 연구 방법론은 지난 시기에 비해 일종의 정체기 또는 개별적 탐색기로 보인다. 그 원인으로는 기존에 중요한 연구 방법론이 많이 제시된 점, 인문학 및 시가 장르에 대한 사회 전반적인 관심이 저하된 점, 급변하는 사회의 변화 속도와 경계의 확장성에 학문적 논점을 맞추기가 어려워진 점 등을 들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원인은 진취적이고 참신한 연구 방법론 모색이 부족한연구자에게 있으며, 따라서 그 돌파구의 마련도 이 시대 연구자를 통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현 시점에서 한국 한시 연구 방법론의 방향성을 탐색해 보면, 우선 한시 연구를 위해 필요한 번역 능력과감식안을 기르는데 충실하면서 기존의 연구 방법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새로운 연구 방법론을 적극적으로모색하고 과감히 적용해보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다음 세 가지의 한시 연구 방법론에 좀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첫째, 해외의 연구 성과나 현대시및 고전 문학의 연구 성과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한시 연구 방법론의 외연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장르 경계를 넘나드는 문학 연구 방법이 더욱 활성화되고 다양화 될 필요가 있다. 셋째, 현대 사회의 여러 현상및 현대인들의 고민과 교감할 수 있는 연구 방법론의 모색이 필요하다. 끝으로 현재 개별적인 상태로 부유하고 있는 한시 연구 성과들을 아우르는 담론체계를 더욱 적극적으로 고민하고, 한시 연구자들이 자신들의 연구방법론을 과감하게 시험하고 적용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려는 학계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국제지역연구로서 중국학의 방법론에 대한 고찰

        이규태 한국중국문화학회 2016 中國學論叢 Vol.0 No.49

        In general, International area studies integrates all the issues including culture, history, politics, and society, focusing on a certain international area like China. Therefore, this study requires comprehensive analysis capability for wide fields such as culture, history, politics, economy etc. about a certain area. Accordingly, when compared to study methodologies requested by single academic category like existing politics, economics, cultural studies, historical studies etc., it would be natural that this requires more comprehensive, interdisciplinary thinking. But limitation of study method in international area studies including sinology has always become an important issue in the study realm - related scholars mainly quoted methodology of existing academic studies because independent study methodology for International area studies is still poor. Due to such limitation of methodology, scholars with critical view in the nations where International area studies including sinology are comparatively active have discussed problems of their academic study, and suggested main issue of limitation as an independent academic studies. In Korea, International area study actively started after middle 1990s, so it can be said that study on its study methodology just actively started. In the body, the author analyzed problems of study methodology in international area studies including sinology discussed until now. Based on its results, the study intended to discuss possibility of study methodology which can overcome issue of study methodology under going and can bring more objective study results, considering integrated and interdisciplinary aspects of international area study.

      • KCI등재

        관광학의 제2의 르네상스(미래도약) 도약을 위한 정체성확립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정승호(Seung Ho Chung) 한국관광연구학회 2014 관광연구저널 Vol.28 No.8

        In modern society, as a social phenomenon that seeks for mental world rather than pursuing substance has come to the fore, following the changes of the world economy phenomenon of which service industry comprises of more than 75% of the world market, the definition of study of tourism must change as well. Tourism is a multidisciplinary Science study which combines practical study and the character of social science, pure study. Study of tourism deals with the psychological state and consuming behavior of humans who seek for leisure, consumption, and tourist sites. It must put qualitative and descriptive study methods in priority by linking with other field of studies like philosophy, psychology, and sociology. In order to establish such an identity, this study emphasizes the followings in relation to the predic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study of tourism: 1) Service industry predicts study for future development, 2) The East is moving toward material-oriented and the West is moving toward post-materialism in modern society, 3) Future prediction comes from study of the past rather than from mathematical model ,4)Tourism could develop more than other studies could in the future through major studies that can enhance social adaptability. Also, this study proposed the followings as the directions of study of tourism for it to exceed other fields of studies: 1) Establishing identity of study of tourism as a social science study, 2) New changes in previous study methodology 3) The behavior of scholars and professors of tourism to devote themselves to study. multidisciplinary Science study which combines practical study and the character of social science, pure study.

      • KCI등재후보

        사회과학 초보 연구자의 질적 연구 수행경험: 사전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Chuanyang Yu,김유진,서미경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19 연구방법논총 Vol.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 pilot study in the aspect of research methodology and to investigate the difficulties and the methodological issues in the progress of the qualitative research which was realized while carrying out the pilot study. The pilot study is a small-scale methodological experiment conducted to prepare a main study, and it is a preliminary study to determine whether a topic of interest to the researcher can be a realistic and feasible. Despite its usefulness, the pilot study has not been adequately discussed in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extbooks. Based on the actual experience of a novice researcher who is a Chinese stud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hasize the usefulness and value of the pilot study in carrying out the qualitative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방법론 차원에서 사전연구에 대해 소개하고, 사전연구를 수행하면서 깨닫게 된 질적 연구 진행 과정상의 어려움과 방법론적인 문제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사전연구란 주 연구(main study)를 준비하기 위해 실시하는 소규모의 방법론적 실험이며, 연구자가 관심을 갖고 있는 주제가 현실적으로 수행 가능한 연구 질문이 될 수 있는지 파악하기 위한 예비적 연구이다. 사전연구는 그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질적 연구 방법론 교재에서 충분히 논의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 유학생인 초보 연구자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데 있어 사전연구의 유용성 및 가치를 강조하고자 하였다.

      • 한국에서의 유통학문 연구 방법론에 대한 소고

        윤명길,김유오 한국유통과학회 2007 유통과학연구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provide foundation for methodology of distribution study. Furthermore, this study attempts to stimulate firm establishment of distribution study. Through this, development of domestic distribution industry could be expected alongside with distribution study. This dissertation designates problems of methodology that applied by some researchers then, attempts to discuss and approach with efforts. By this point, this research could be considering as inspirational, Thus further study required expending its boundary depth in continuation.

      • KCI등재

        글로벌 디아스포라학의 체계화

        임채완,이소영 한국동북아학회 2012 한국동북아논총 Vol.17 No.2

        The necessity of Diaspora Studies is rising fast in recent academia because of brand creation of diaspora culture, reinforcement of diaspora identity, building of cultural and economic networks,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phenomenon, development of experts in the international era. So the discussions about ‘Diaspora Studies’ identity and academic development have raise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examining the academic systematization of Diaspora studies and exploring the formation of ‘Diaspora Studies’ identity and academic development for the future. Diaspora Study needs four components for becoming a systematic academic discipline. First, an unique and independent research field and research objects. The research objects of Diaspora Studies are international migration, political identity, global network, and multi-culture, international asylum and refugees, and international movement of capital, labor, goods, etc. In addition, case studies of research objects illuminat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global diasporas. Second, the research approach that is the research methodology or perception system. The research methodologies of Diaspora Studies are classified as positive approach to pursue scientific logic about diaspora phenomena, interpretive approach to observe and record and state the meaning of the diaspora phenomena in subjective consciousness, symbolic interaction, etc. and critical approach to highlight the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real problems improvement. Third, the technical methods of research those are the rules or laws to keep in process of observation on research object, description,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The rules are utilized to reconstruct Diaspora Studies properly from existing social science methods like experimental, survey, documentary, observation, case study, comparative research, etc. Fourth, forming academic curriculums in which academic community theorizes the research objects, approaches, methods, etc. Diaspora Studies is already an emerging academic system. In 2006, Chonnam National University established postgraduate department of Diaspora Studies at the first time in Korea and the goals are research for overseas Korean and train professionals about global network. It is enhancing the academic depth and efficiency and also preparing an identity of Diaspora Studies as an independent discipline. Thus, Diaspora studies need collaboration and networking with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for the time being. Through establishing and activating of university-affiliated Institute for Diaspora Studies and Association of Global Diaspora Studies, researchers can expand the Diaspora Studies and develop the agenda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Research about Diaspora Studies can be wide through competition and cooperation with the adjacent fields. 최근 학계에서 국제이주, 글로벌 네트워크, 정체성 정치, 다문화, 다중정체성 등 디아스포라적 현상에 대한 논의가 계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는 글로벌 디아스포라학의 학문적 체계화를 고찰하여 학문적 정체성 형성과 미래의 학문적 발전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체계적 학문으로서 디아스포라학이 정립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4가지 성립 요건이 필요하다. 첫째, 고유하고 독자적인 연구의 영역 및 대상이다. ‘디아스포라학’의 고유한 연구대상은 국제이주, 정체성 정치, 글로벌 네트워크, 다문화, 국제적 망명 및 난민, 그리고 자본․노동․상품의 국제이동 등이다. 아울러 연구대상의 사례연구는 각국의 글로벌 디아스포라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이다. 둘째, 연구의 관점, 즉 연구방법론 내지 인식체계이다. 디아스포라학 연구방법론은 디아스포라적 현상에 대한 과학적 논리의 엄밀성을 추구하는 실증적 관점, 디아스포라의 주관적 의식, 상징적 상호작용 등에서 그 현상을 관찰 및 기록하고, 그 의미를 밝히는 해석적 관점, 사회참여 및 현실 개선 문제를 부각시키는 비판적 관점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셋째, 연구대상을 관찰, 기술, 설명, 이해하는 과정에서 지켜야할 규칙 내지 법칙인 연구의 기술적 방법이다. 디아스포라 연구의 규칙은 실험연구, 조사연구, 문헌연구, 관찰연구, 사례연구, 비교연구 등 기존의 사회과학방법에서 많이 활용되었던 방법들 중에서 디아스포라학에 맞게 비판적으로 재구성해서 사용할 필요가 있다. 넷째, 연구의 대상, 관점, 방법 등을 이론화시킬 수 있는 학문공동체인 학계가 형성 되어야 한다. 디아스포라학은 이미 하나의 학문체계로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전남대학교는 2006년 재외동포연구와 글로벌네트워크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국내 최초의 대학원 디아스포라학과를 개설하였다. 이는 학문적 깊이와 효율성을 제고하며 하나의 독립된 학문으로서 정체성을 갖는 근거가 된다. 따라서 디아스포라학은 당분간 다양한 학문분야와의 협업과 네트워킹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세계적인 디아스포라학회 창립과 대학부속 디아스포라연구소의 개설을 통해 각국의 연구자들은 디아스포라 연구의 외연을 확대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아젠다를 개발해야 한다. 또한 디아스포라학은 인접학문과의 경쟁과 협력을 통해 그 연구의 폭을 넓혀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선교적 공공교회 모델을 통한 교회와 세상의 재연결(Reconnection) : 질적 사례연구 중심으로

        주상락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81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is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issinoal Public Church Type’ among four types of Missional Church in South Korea that I found in my former study. A study of the missional church movement in South Korea has been developed since the early 2000s. However, I am able to recognize a lack of qualitative study of the missional church movement. For this reason, I had visited twenty five models of missional church in 2018-2021, analyzed the models, and found four types of missional church(the Missional Village Communiy Type, The Missional Public Church Tpye, The Missional Discipleship-Culture Type, and The Missional Alternative Community Type) by employing on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This study attempts to focus on ‘The Missional Public Church Type’ for carrying out reconnection between the Church and the world. In this study, I try to accept triangulation for increasing the validity and credibility of research findings such as interviews, participant-observation, and library research. I select three models of ‘The Missional Public Church Type’ to follow up John W. Creswell’s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ology. Especially, a qualitative study in which within-case and across-case analytic methodologies are integrated. I find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Missional Public Church Type’ through within-case analysis. I am also able to get ten key words through across-case analysis: 1) common good, 2) the Kingdom of God, 3) the missional grassroot movement, 4) Considering locality(incarnational mission), 5) publicness, 6) social entrepreneurship, 7) village ministry, 8) lifestyle, 9) storytelling, and 10) Relationships with municipality. In order to reconnect with unchurched and dechurched people who live in their communities, ‘The Missional Public Church model’ is practicing communication, listening, publicness, and missional life by overcoming the attractional church mindset. 이 연구는 ‘한국형 선교적 교회 연구’의 후속 연구이다. 2000년대 초 한국교회에 ‘선교적 교회’라는 개념이 소개된 후 선교적 교회 담론은 최근까지 계속 발전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질적 연구를 통한 ‘한국형 선교적 교회 연구’가 부족한게 사실이다. 필자는 한국형 선교적 교회모델 특징들을 발견하기 위해 2018-2021년 (3년간) 25개의 모델들을 직접 방문하고 분석했고, 한국형 선교적 교회의 네 가지 유형으로 ‘선교적 마을공동체 유형’, ‘선교적 제자도-문화 유형’, ‘선교적 공공교회 유형’, 그리고 ‘선교적 대안공동체 유형’을 발견했다. 본 연구는 이 선행 연구 중에서 ‘선교적 공공교회 유형 모델’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에 집중하였고, 교회와 세상의 재연결을 위해 노력하는 모델들을 발견했다. 사례연구를 하면서 주관적 편견이 들어가지 않도록 인터뷰, 참여관찰, 그리고 문헌 검토와 같은 삼각측정법으로 질적 연구의 신뢰도를 높였다. 선행 연구에서 총 6개 교회(부천 새롬교회, 군산 행복한교회, 군포 갈릴리교회, 안산 밀알침례교회, 더불어숲동산교회, 보령밀알교회)의 선교적 공공교회 모델들을 발견했으나, 존 크레스웰(John W. Creswell)의 제안을 수용하여 부천 새롬교회, 안산 밀알침례교회, 더불어숲동산교회 (총 3개)의 모델 연구에 집중했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는 사례의 맥락을 보여주는 사례 내 분석(within- case analysis)과 사례들이 비슷하게 다루는 주제들을 분석하여 선교적 공공교회의 특징들을 발견하는 사례 간 분석(across-case analysis)을 동시에 수행했다. 필자는 세 가지 모델들의 ‘사례 내 분석’을 통해 ‘선교적 공공교회 모델’의 특징을 발견했고 크레스웰이 제안한 사례연구 방법 중 ‘사례 간 분석’을 적용해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총 10개의 사례 간 통합주제들을 추출했다: 1) 공동선, 2) 하나님의 나라의 현재성, 3) 선교적 풀뿌리 운동, 4) 지역을 고려(성육신 선교), 5) 공공성, 6) 사회적 기업가 정신. 7) 마을 중심(목회), 8) 라이프 스타일, 9) 스토리 텔링, 그리고 10) 지자체와의 관계. 이 통합 주제들을 발견했고 질적 연구, 분석을 통해 선교적 공공교회 모델이 세상과 소통, 경청, 그리고 재연결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질적 연구와 디자인의 방법론적 비교

        권효숙,이주명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14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3 No.2

        This paper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methods used as a part of design research and the system of qualitative study. Qualitative study recognize the world through its unique paradigm, which the basement of its methodologies comparing with that of quantitative study. Quantitative study adapt its research logic such as controled experiment and quantitative analysis, that are useful to research the natural world, to human phenomenon. Qualitative study, however, denies that and takes people’s eye to view their inner mind to the world. In order to achieve that, qualitative study suggests three strategies of its methodologies : relativism, subjectivism, and naturalism. As the result of conducting the comparison between qualitative study and design, they have quite similar aspects on their methodologies and some suggestions to each other, even though one aims to understanding human phenomenon and another to the construction of artificial world.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that was started from the adapting individual methods of qualitative study to design needs to expand to considering the epistemology. 본고는 최근 디자인리서치의 요소로서 사용되는 개별적 방법들이 질적 연구의 체계와 갖는 연관성에 주목한다. 양적 연구와 대비되는 질적 연구는 자신만의 독특한 패러다임을 바탕으로 세계를 인식하며 그러한 인식론은 고유 방법론의 토대가 된다. 질적 연구는 양적 연구가 자연계에 적용했던 실험과 양적분석의 구조를 인간현상에 까지 적용하려는 시도를 거부하고, 세계를 바라보는 인간의 내면을 그 사람의 눈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질적 연구는 다수의 실재가 존재한다는 상대주의적 존재론, 연구자와 참여자가 공동의 이해를 형성한다는 주관주의적 인식론, 맥락에 따라 연구방법 및 절차의 유연성을 전제로 한 자연주의적 접근을 방법론의 핵심으로 삼고 있다. 디자인과 질적 연구의 비교 검토 결과 현상의 이해가 목적인 질적 연구와 인공세계의 구성에 관심을 두고 있는 디자인이 방법론적 측면에서 상당한 유사성을 보이고 있으며, 상호 시사점이 있음을 밝혔다. 차후 디자인은 개별 방법으로 시작된 질적 연구와의 관계가 인식론적으로 확대될 필요성 또한 확인하였다.

      • KCI등재

        문화변동과 구비문학연구 ―구비설화의 화자론 반성―

        심우장 한국구비문학회 2011 口碑文學硏究 Vol.0 No.32

        If external cultural contexts are changed drastically, we have to seek for a new viewpoint and methodology to respond to the culture change. Indeed, how the study of oral literature answers this question? We try to answer this question in this paper with the study on narrator of oral folk tales. First of all, we reflect ourselves about lack of thorough awareness of culture change. We didn't product a new viewpoint and studied oral literature customarily depending on existing viewpoint. With the study on narrators, we understand easily this tendency. Although this branch have achieved many pioneering achievements, it have kept the beginning viewpoint during the 40 years and so it don't have any more energies on study. In this age of digital revolution, digital devices to permeate into daily life, have increased human relationship. The concepts of Combination and interaction are more important than any ages. But going against the times, the study on narrators has pursued special narrators constantly, and so we have to reflect deeply on it. From a culture change's perspective, the study of oral literature needs the change of viewpoint and the seeking of methodology as soon as possible. We have to interact with fields of study on culture change and paradigm change. It is more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creativities of oral literature don't depend on only narrator's ability, but varied member's relationship in storytelling site. 문화변동이 외적인 환경 변화라면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학문 내적인 새로운 문제의식과 이에 걸맞은 새로운 연구 관점 및 방법의 모색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과연 구비문학연구는 이에 대해 어떻게 답할 수 있을까? 이 논문은 구비설화의 화자론을 통해 이 문제에 답하려 했다. 우선 구비문학연구 전반에 걸쳐 문화변동에 대한 인식이 철저하지 못했음을 반성해야 할 것 같다. 새로운 연구 시각이나 관점을 생산해내지 못하고 기존의 연구 시각에만 기대어 관성적으로 연구를 해온 것도 여기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화자론을 보면 이러한 경향을 뚜렷이 파악할 수 있다. 구비설화 연구 분야 중에서도 가장 선구적인 업적을 이루어냈음에도 불구하고, 초기의 연구 시각이 40년에 걸쳐 그대로 유지되어 오면서 이제는 더 이상 연구의 새로운 동력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고 판단된다. 디지털 혁명의 시대라고 한다. 생활 곳곳에 침투해 있는 디지털 기기들은 소셜 미디어 시대라고 칭할 만큼 사람과 사람의 연결성을 높여주고 있다. 그 어느 시기보다 상호작용의 강도는 세졌고 통합의 가치는 높아졌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화변동의 양상과는 거꾸로 구비설화의 화자론은 끊임없이 소수의 전문 이야기꾼에게만 초점을 맞춰 이야기문화의 핵심을 설명하려 한 것은 아닌지 반성해 봐야 할 것 같다. 문화변동의 관점에서 봤을 때, 구비문학연구에 가장 시급한 것은 관점의 변화와 방법론의 모색이다. 최근의 문화변동 혹은 패러다임 변화의 핵심을 다루고 있는 여타의 학문들과 교류하면서 새로운 연구의 관점 및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하는 시기이다. 화자들의 관계나 청자에 대한 연구를 왜 하지 않느냐고 당위적으로 이야기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화자들의 관계 혹은 청자에 대한 연구가 구비문학의 창조성과 전승력을 설명하는 데 어느 정도 긴요한 구실을 하는지를 해명하면서 관점을 전환시키고 구체적인 방법론을 열심히 궁구하는 것이 훨씬 중요한 것 같다.

      • KCI등재

        논문 : 질적 연구와 디자인의 방법론적 비교

        권효숙 ( Hyo Sook Kwon ),이주명 ( Joo Myung Rhi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4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3 No.2

        본고는 최근 디자인리서치의 요소로서 사용되는 개별적 방법들이 질적 연구의 체계와 갖는 연관성에 주목한다. 양적 연구와 대비되는 질적 연구는 자신만의 독특한 패러다임을 바탕으로 세계를 인식하며 그러한 인식론은 고유 방법론의 토대가 된다. 질적 연구는 양적 연구가 자연계에 적용했던 실험과 양적분석의 구조를 인간현상에 까지 적용하려는 시도를 거부하고, 세계를 바라보는 인간의 내면을 그 사람의 눈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질적 연구는 다수의 실재가 존재한다는 상대주의적 존재론, 연구자와 참여자가 공동의 이해를 형성한다는 주관주의적 인식론, 맥락에 따라 연구방법 및 절차의 유연성을 전제로 한 자연주의적 접근을 방법론의 핵심으로 삼고 있다. 디자인과 질적 연구의 비교 검토 결과 현상의 이해가 목적인 질적 연구와 인공세계의 구성에 관심을 두고 있는 디자인이 방법론적 측면에서 상당한 유사성을 보이고 있으며, 상호 시사점이 있음을 밝혔다. 차후 디자인은 개별 방법으로 시작된 질적 연구와의 관계가 인식론적으로 확대될 필요성 또한 확인하였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methods used as a part of design research and the system of qualitative study. Qualitative study recognize the world through its unique paradigm, which the basement of its methodologies comparing with that of quantitative study. Quantitative study adapt its research logic such as controled experiment and quantitative analysis, that are useful to research the natural world, to human phenomenon. Qualitative study, however, denies that and takes people`s eye to view their inner mind to the world. In order to achieve that, qualitative study suggests three strategies of its methodologies : relativism, subjectivism, and naturalism. As the result of conducting the comparison between qualitative study and design, they have quite similar aspects on their methodologies and some suggestions to each other, even though one aims to understanding human phenomenon and another to the construction of artificial world.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that was started from the adapting individual methods of qualitative study to design needs to expand to considering the epistem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