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주총회 분산 개최 및 그에 따른 실무상 과제에 관한 검토 - 4월 정기주주총회 개최를 염두에 두고 -

        권용수 한국상사법학회 2018 商事法硏究 Vol.37 No.2

        Shareholder Meeting is the chief decision-making body of a corporation that resolves matters set forth in law and articles of association. As many shareholders as possible are required to attend such a genereal shareholders’ meeting. It is desirable in view of the fact that it prevents arbitrary control of the management or controlling shareholders and enables universal interests of the company or shareholders. However,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in Korea has been formalized by institutional aspects, the structure of inducing shareholders, and indifference of management and shareholders to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In addition,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in Korea has been reduced to a form of ratification that gives legal justification to the basic policies of management or controlling shareholders. However, the shadow voting system was recently abolished. As a result, interest in increasing shareholder participation among shareholders (especially minority shareholder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gainst this backdrop, the regulatory authorities announced measures to induce minority shareholders to spread corporation’s shareholders meetings in order to improve their participation in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This paper examined the measures to induce listed companies to spread their shareholders meetings, particularly those for general shareholders meetings in April, which are set as mid - to long-term tasks. In this paper, first of all, it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holding a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of listed companies. And then, based on such an analysis, it clarified the need for holding a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in April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n appropriate record date. And it explained the positive effects(increase shareholders’ participation in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improving the feasibility of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reflecting shareholders’ universal opinions, etc) of holding a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in April. However, in Korea, which has a long-standing practice of using the settlement date as the record date, practical problems may arise when the record date is set to a day different from the settlement date for holding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in April. Considering this, this paper reviewed the practical tasks of holding a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in April. 주주총회는 법과 정관에 정해진 사항을 결의하는 주식회사의 최고의사결정기관이다. 이러한 주주총회에는 되도록 많은 주주의 의사를 반영하는 것이 경영자나 지배주주의 전횡을 방지하고 회사나 주주의 보편적 이익을 실현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주주총회는 제도적인 측면이나 주주의 유인 구조, 경영진과 주주의 주주총회에 대한 무관심 등으로 인해 형식화한 측면이 있고, 경영진이나 지배주주의 기본방침에 법적 정당성을 부여하는 일종의 추인기구로 전락한 측면까지 있다. 그런데 최근 섀도우 보팅 제도가 폐지되면서 주주(특히 소액주주)의 주주총회 참여율 제고를 둘러싼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규제당국이 소액주주의 주주총회 참여 환경을 개선하는 방안으로서 주주총회의 분산 개최 유도 등을 포함한 대책을 발표하였다. 본 논문은 바로 상장회사의 주주총회 분산 개최 특히, 중장기 과제로서 설정하고 있는 4월 정기주주총회 개최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 및 그에 따른 실무상 과제에 대해 검토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12월 결산 상장회사의 최근 정기주주총회 개최 현황과 관계기관들이 주주총회 분산 개최를 유도한 2018년 3월 정기주주총회 개최 현황을 분석하고, 그것을 토대로 적절한 기준일 설정 등을 통한 4월 정기주주총회 개최의 필요성을 분명히 하였다. 그리고 상장회사가 4월에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하는 것이 주주의 주주총회 참여율 제고뿐만 아니라 주주의 의안 검토나 주주총회 결의의 타당성 제고에 이바지할 가능성이 있고, 기준일을 언제로 설정하느냐에 따라 주주의 보편적 의사 반영이라는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다만 결산일을 기준일로 하는 실무관행이 오랜 시간 유지되어 온 우리나라에서는 4월 정기주주총회 개최를 위해 결산일과 다른 날을 기준일로 설정할 경우 실무상의 문제가 야기될 우려가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4월 정기주주총회 개최를 전제로 한 실무상의 과제 예컨대, 주주의 혼란, 기업의 업무 등에 대해 검토하였다.

      • KCI등재

        황룡사 강경법회

        金福順(Kim, Bok-Soon) 고려사학회 2017 한국사학보 Vol.- No.67

        황룡사는 신라 진흥왕대에 창건(553)되어 고려 후기 몽고의 침략으로 1238년 전소되기까지 685년간 존속하면서 강당에서 수많은 강경법회가 개최되었다. 신라 황룡사는 왕경의 국찰로서 국가 규모의 강경법회를 개최하였고 원광, 자장, 원효에 의한 강경 기록이 남아있다. 본고에서는 먼저 황룡사 강경법회의 사례를 각 왕대 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황룡사 강경법회의 준비와 진행에 관한 내용이다. 준비는 텍스트로서의 경전을 정하고, 국왕의 치병, 국태민안 등의 목적을 분명히 한 후, 강사를 선정하여 강경안을 작성하게 한 다음, 참석대상을 확정하고 황룡사 강당 내지 마당에 천막을 쳐서 장소를 확보하였다. 그리고 강경일의 택일과 사부대중의 참석 권유, 유나승과 식순을 확정지은 후 강경법회를 식순에 의거하여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신라 강경법회의 유형과 변화이다. 황룡사와 같은 국찰에서는 국왕과 대신 등을 위해 강경안이 마련되어졌으나, 의상이나 승전 등의 강경법회는 강경 후 제자들이 강의안을 작성하고 있어, 실로 두 유형의 강경법회가 존재하였음이 보인다. 또한 신라 황룡사 강경법회는 교종승에 의해 주도된 국가 규모의 강경법회가 그 모습에서 점차 형식화되어 가다가, 신라말 선종의 영향으로 선교통설(禪敎通說)의 변화가 보이고 있다. Buddhist lecture meeting (Ganggyeong-BeopHoe) was held many times at the lecture hall of Hwangnyongsa Temple for 685 years, from 553 when it was built in the reign of King Jinheung in Shilla dynasty to 1238 when it was completely destroyed by the invading Mongol army in the late period of Goryeo Dynasty. Buddhist lecture meeting was held on a national scale at Hwangnyongsa Temple, a national temple in the capital of Silla Dynasty, and the records of Buddhist lecture meeting performed by monk Won-Gwang, Ja-Jang and Won-Hyo remained.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ases of Buddhist lecture meeting held at Hwangnyongsa Temple according to “each period of kings” in Silla Dynasty. Second, this study addressed preparation and progress of Buddhist lecture meeting at Hwangnyongsa Temple. Buddhist scripture was selected as a text for the meeting, and a clear purpose was established such as curing King"s diseases or prosperity and welfare of the country. Then, “participants for” the meeting were selected and a camp was set up at the lecture hall or yard of the temple after Ganggyeonan (plan for lecture meeting) was made by a lecturer who was selected for the meeting. After picking the date for the meeting and inviting monks and Bodhisattvas(the laity) to attend the meeting, the order of the meeting was organized in consultation with Buddhist rector and the meeting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order. Finally, this study investigated types and changes of Buddhist lecture meeting in Silla dynasty. There were two types of Buddhist lecture meeting; In national temples including Hwangnyongsa Temple, Ganggyeonan was prepared for king and ministers, but in other Buddhist lecture meetings performed by Eui-Sang, Seung-Jeon and Jin-Pyo, their disciples prepared lecture materials after the lecture. The Buddhist lecture meeting at Hwangnyongsa Temple was originally nationalscale meeting led by monks of dogmatic Buddhism, but it was formalized and finally showed a changes of integration of dogmatic and Zen Buddhism under the influence of Zen Buddhism at the end of Silla dynasty.

      • KCI등재

        실무적 관점에서 본 전자주주총회의 쟁점 - 통신장애 등에 대한 대책을 중심으로 -

        권용수 한국기업법학회 2023 企業法硏究 Vol.37 No.1

        Virtual shareholders' meeting have long been discussed. However, since no specific review of legal and practical issues and risks inherent in the virtual shareholders' meeting has been conducted, it has been neglected from the practice of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However, during the COVID-19 incident, there is a notable movement to skip discussions on issues and risks related to the virtual shareholders' meeting and to request and choose to hold an virtual shareholders' meeting from the perspective of protecting shareholders' rights or safe shareholders' meetings. Only a small number of companies still hold virtual shareholders' meeting, and no true virtual shareholders' meeting are held to replace on-site shareholders' meetings, but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ystematic review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practice of shareholders' meetings. What are the main factors that companies are hesitant to hold virtual shareholders' meeting? Basically, in order to hold an virtual shareholders' meeting, preparatory work such as a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shareholders' meeting or countermeasures against communication problems is necessar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view various issues such as shareholder identification, attendance at the virtual shareholders' meeting and the effect of exercising voting rights in advance, handling shareholders' questions, and exercising voting rights. However, despite these efforts, if an unexpected communication failure occurs, cancellation of a resolution at the virtual shareholders' meeting may be a problem. Looking at the convocation notices of companies that actually held the virtual shareholders' meeting, it can be seen that they are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measures for communication problems. From the above, this paper viewed the key issues related to the virtual shareholders' meeting as countermeasures against communication problems, examined the responses of major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nd conducted a legal and practical review. As a result, it was pointed out that from a legal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failure and resolution cancell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ignificance and specificity of the virtual shareholders' meeting.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it is important for companies to come up with measures within an economically reasonable range in preparation for communication problems, a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measures with deepening dialogue between companies and shareholders in mind. For example, it is necessary for companies not to focus their conversations with shareholders or exercise shareholders' rights only on the day of the shareholders' meeting, but to effectively utilize and distribute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전자주주총회는 오래전부터 언급되었지만, 그에 내재한 법적·실무적 쟁점과 위험에 대한 구체적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다 보니 주주총회 실무에서 외면받아 왔다. 그런데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전자주주총회에 관계된 쟁점과 위험에 관한 논의를 건너뛰고, 주주권익 보호나 안전한 주주총회 등의관점에서 전자주주총회 개최를 요청·선택하는 움직임이 눈에 띄고 있다. 아직은 전자주주총회를 개최하는 기업이 극소수에 불과하고, 현장 주주총회를 대체하는 진정한 의미의 전자주주총회도 개최되지않는 실정이지만 주주총회 실무 변화에 대응한 체계적 검토를 본격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기업들이 전자주주총회 개최를 주저하는 주요 요인은 무엇일까? 기본적으로 전자주주총회를 개최하려면 주주총회 송수신 방법이나 통신장애 등에 대한 대책 등 사전 준비 작업이 필요한 데 더해 본인확인, 대리인의 버추얼 출석, 주주총회 출석과 사전 의결권행사의 효력, 주주의 질문 취급, 동의 제출 및 채결, 의결권행사 방식 등 다양한 쟁점에 관한 검토가 필요하다. 그런데 이러한 수고에도 불구하고, 예기치 못한 통신장애 등이 발생하면 결의취소를 넘어 결의부존재 등이 문제 될 수있다. 실제 전자주주총회를 개최한 기업들의 소집통지 내용을 보면 통신장애 대책 등에 특히 신경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논문은 전자주주총회에 관계된 핵심 쟁점을 통신장애 등에 대한 대책으로 보고,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의 대처를 살펴본 후 법적·실무적 관점의 검토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로서 ① 법적 관점에서는 전자주주총회의 의의나 특수성을 고려해 통신장애와 결의취소 등의 관계를 이해할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예컨대, 기업이 통신장애 위험을 사전에 고지하고 합리적 대책을 세운경우라면, 주주 측의 문제를 포함해 예기치 못한 통신장애 등으로 주주가 심의 또는 결의에 참여할수 없었더라도 결의취소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이해하는 것이다. ② 실무적 관점에서는 기업이통신장애 등에 대비해 경제적으로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고, 기업과 주주의 대화 심화를 염두에 두고 대책 마련 범위를 확장시킬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예컨대, 기업이 주주와의 대화나 주주의 권리행사를 주주총회 당일에만 집약할 것이 아니라, 주주총회 전후기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분산시키는 궁리 등을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1973년 판소리 감상회 방명록 연구

        노재명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3 大東文化硏究 Vol.121 No.-

        This paper is the first one to study the guest book of the Pansori Appreciation Meeting in 1973, which is owned by the Korean Classical Music Record Museum, and the data is hereby published for the first time. This material is the oldest among the guestbooks for pansori performances that have been confirmed so far. The Pansori Appreciation Meeting in 1973 was an important event that became the basis of the Deep-rooted Tree Pansori Appreciation Meeting, which marked a major milestone in modern and contemporary pansori performances and this guestbook is the only original record of the event that has been confirmed so far, as no videos, recordings, or photos of the meeting have been found yet. Analyzing a total of 17 people with personal handwriting in this guestbook, many attendees were born between 1920 and 1923, and many included scholars, professors, graduate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independence activists. Especially it seems that the professors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led this appreciation meeting. Some of the figures are related to Yeonhee College and Yonsei University, but the person who is deeply related to Seoul National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and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ociety is Byungwook Jung and most of the people in this guestbook are close friends with him and seem to have attended by his invitation. In the academic world, it has been erroneously known that the pansori appreciation event was held in the fall of 1973 at the Christian Broadcasting Station concert hall. In this paper, however, we studied the guest book of this appreciation meeting and found related records by Kyunglin Sung, revealing that this event was held in the small auditorium of Christian Broadcasting Station on April 4, 1973, in the auditorium of the Station on May 12, and in the concert hall of the Station in the fall. A list of famous singers was also partially proved for the first time. Since the master singers who appeared in the 2nd Pansori Appreciation in 1973 were Rokju Park and Bongsul Park, it seems that masters of a similar level appeared in the 1st and 3rd Pansori Appreciation and judging from the case of the 2nd appreciation meeting, it is thought that two master singers performed each time. The characteristics of the 1973 Pansori Appreciation Meeting and the corresponding guestbook are that, judging from the participants who signed the performance, there are traces of this performance being held with not only the musicology of Pansori, but also related studies such as Korean literature and philosophy in mind. Efforts are also made to solidify the connection with various studies related to pansori and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support and cooperation so that the meeting can continue to develop, centering on scholars who are friendly with Byungwook Jung. The guestbook of the Pansori Appreciation Meeting in 1973 is also a valuable resource in that it provides insight into aspects unknown to the academic world, such as scholars, independence activists, politicians, and public officials who left their signatures. In this paper,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signatories of the guest book, the performers, and the assigned tasks of those who led the viewing event were classified and organized to enhance understanding. In addition, by researching this guestbook, it was revealed that the appreciation meeting had a great influence on pansori performances and record planning at the national and private level, such as the Pansori Appreciation Meeting from 1974 to 1978 and the National Theater Pansori Series that began in 1984. Through the above, although the Pansori Appreciation Meeting in 1973 played an important historical role, it becomes possible only now to know its main part that has been completely forgotten due to the lack of relevant data in the academic world. 본고는 국악음반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1973년 판소리 감상회 방명록을 연구한 최초의 논문이고, 여기 그 자료를 영인하여 처음 공개한다. 이 자료는 지금까지 확인된 판소리 공연 방명록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1973년 판소리 감상회는 근현대 판소리 공연의 큰 획을 그었던 뿌리깊은나무 판소리 감상회의 모태가 된 중요한 행사였는데 해당 감상회의 동영상, 녹음, 사진이 아직 발견된 바 없는 상황이기에 이 방명록은 지금까지 확인된 해당 행사의 유일한 기록 원본이다. 이 방명록에 친필이 있는 총 17명을 분석하면 1920~1923년에 출생한 참석자가 많고 학자, 교수, 서울대 출신, 독립운동가가 많이 포함되어 있는데 서울대 학파 교수들이 이 감상회를 선도했다고 판단된다. 일부 인사들은 연희전문, 연세대와 관련이 있는데 서울대, 연세대, 국어국문학회를 아우르며 공히 깊게 관련된 인물은 정병욱이고, 이 방명록의 인물들은 대부분 정병욱과 친분 관계가 있는 사람이며 그의 초대에 의해 참석한 것으로 보인다. 그간 학계에서는 해당 판소리 감상회가 1973년 가을 기독교방송국 연주실에서 개최된 것으로 잘못 알려져 왔으나 본고에서 이 감상회의 방명록을 연구하고 성경린의 관련 기록을 찾아내 이 행사가 1973년 4월 4일 기독교방송국 소강당, 5월 12일 기독교방송국 대강당, 가을에 기독교방송국 연주실에서 행해졌다는 사실을 밝혔고 공연한 명창 명단도 일부 처음 입증했다. 1973년 제2회 판소리 감상회의 출연 명창이 박록주와 박봉술이므로 제1회와 제3회도 그와 비슷한 수준의 대가가 출연했으리라 보여지고 제2회 감상회의 사례로 견주어 보면 매회 명창 2명씩 공연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1973년 판소리 감상회와 해당 방명록의 특징은 서명한 참석자들의 면모로 봐서 이 공연이 판소리의 음악학뿐 아니라 국문학, 철학 등 인접 학문도 염두에 두고 개최된 흔적이 보인다는 점이다. 판소리와 관련된 여러 학문들과 연계성을 공고히 하고 정병욱과 친분이 있는 학자들을 중심으로 이 감상회가 지속 발전될 수 있도록 지지 및 협력 기반을 다지고자 했던 노력도 나타난다. 1973년 판소리 감상회 방명록은 서명을 남긴 학자, 독립운동가, 정치인, 공무원 등의 그간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면모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도 귀중한 자료이다. 본고에서는 해당 방명록의 서명자들과 공연 출연자들의 인적 사항, 이 감상회 개최를 주도한 이들의 담당 내용을 분류 정리하여 이해를 높였다. 아울러 이 방명록 등을 연구하여 해당 감상회가 이후 1974~1978년 판소리 감상회, 1984년부터 시작된 국립극장 완창 판소리 시리즈 등 국립 기관과 민간 차원의 판소리 공연과 음반 기획에 큰 영향을 주었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상을 통해 1973년 판소리 감상회가 역사적으로 중대한 역할을 수행했음에도 그간 관련 자료 부족으로 학계에서 제대로 조명되지 못해 거의 백지 상태로 잊혀진 주요 부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타운홀 미팅과 심의민주주의: 대전의 도시철도 2호선 타운홀 미팅에 대한 대전지역 언론의 평가를 중심으로

        최경희,하세헌 한국정부학회 2015 한국행정논집 Vol.27 No.4

        본 연구는 2014년의 대전 도시철도 2호선 건설방식 의견수렴을 위한 타운홀 미팅 사례의 특성을 파악하 고, 심의민주주의 관점에서 그 성과를 분석하였다. 대전 도시철도 2호선 타운홀 미팅은 아메리카스픽스의 21세기 타운 미팅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2002년에 뉴욕시에서 있었던 “Listening to the City” 타운 미팅과 비교하면, 유사한 점과 이질적인 점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상이한 점은 주도자, 참가자, 회의 진행 내용, 회의 결과 등이라고 할 수 있다. 대전 도시철도 2호선 타운홀 미팅이 심의민주주의의 목적을 달성하고 있는 가라는 점을 볼 때, 공적 이슈에 대한 공적 관심 촉진이라는 측면에서는 대전의 타운홀 미팅이 어느 정도는 긍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파악되는 반면에, 집합적 결정의 정당성 촉진과 상호적으로 경의를 표하는 의사결 정 촉진이라는 측면에서는 다소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했다고 파악된다. 대전 도시철도 2호선 타운홀 미팅은 심의민주주의의 목적을 제한적으로만 달성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Daejeon metro subway line 2 town hall meeting held in 2014 and the performance of the meeting in relation to deliberative democracy. Daejeon metro subway line 2 town hall meeting was implemented in the form of the 21th century town meeting of Americaspeaks. It ha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the “Listening to the city” town meeting of New York City in 2002.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ases include initiators, participants, content of meeting, and results of meeting. Daejeon metro subway line 2 town hall meeting had positive role in relation to encouragement of public-spirited perspectives on public issues, but had negative effects in relation to promotion of the legitimacy of collective decisions and promotion of mutually respectful processes of decision-making. We can conclude that Daejeon metro subway line 2 town hall meeting showed the bounded achievement of the purposes of deliberative democracy.

      • KCI등재

        주주총회 운영의 개선과제

        김재범 한국상사판례학회 2004 상사판례연구 Vol.16 No.-

        The shareholders' meeting has various functions, i.e., the control of management, the concentration of shareholder's wish, the public notice of informations about corporate business and corporate decision-making. Lately It has been said that the functions of shareholders' meeting have not worked. Under the circumstance that the majority shareholders have charge of the management, they can manage the shareholders' meeting as they wish without check of minority shareholders. For example, shareholders have difficulty in attending the meeting because many corporations select the same date and time for a general meeting. The manager often prevents asking question of minority shareholder in proceeding the meeting. Minority shareholders have no power to check the decision-making of majority shareholder in meeting. So the control of management hasn't been ineffective and the shareholders' meeting has become a skeleton. This situation will be harmful to the development of corporation in Korea. To improve the concentration of shareholder's wish, several legal systems should be reformed. The refusal reasons to shareholder's proposal in securities regulation should be reexamined and proxy for voter in commercial law and securities regulation should be managed for the convenience of shareholder. Proxy of the Korea Securities Depository should be abolished because its shadow voting has nothing to do with the concentration of shareholder's wish and even it violates the function. As a voting method written ballot will be very effective to concentrate the shareholder's wish until internet voting is introduced. The legislation for written ballot is too simple and incomplete, so the specific one should be enacted. The function of corporate decision-making could work well through securing the fairness in managing the general meeting. It would be desirable that the inspector of general meeting be introduced and the chairman of meeting issue an order properly. Finally It should be examined to vote by written ballot or internet on specific date and time after discussion in general meeting is ended.

      • KCI등재

        주주총회 관련 가처분에 관한 연구

        전휴재 사법발전재단 2021 사법 Vol.1 No.57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is a necessary standing body and the highest decision-making body of a corporation. The authority of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shall be determined by laws and articles of association, including the appointment and dismissal of directors and auditors, modification of articles of association, merger, and transfer of operations. Therefore, there are increasing cases in which management disputes or minority shareholders raise provisional disposition related to general shareholders’ meetings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mergers or transfer of operations. Provisional dispositions related to shareholders’ meetings are so-called “satisfactory provisional dispositions” and often have the same effect as the original judgment, resulting in “the substitution of provisional disposition for judgment” phenomenon in which disputes end without filing a lawsuit. The provisional disposition of the prohibition of holding a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and of a resolution of shareholders’ meeting is a preliminary remedy that prohibits the holding of a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or the resolution itself, when a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is convened to carry a resolution for matters that violate statutes or articles of association. The right to the provisional dispositions generally overlaps between the right of litigation to dispute defects in the general shareholders’ resolution and the right to maintain illegal activities against directors. Depending on the case, the right to exclude obstruction or the right of non-operation under the agreement may also be the right to the provisional dispositions. There are considerable difficulties in proceeding with the trial period as the provisional disposition of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is urgently raised ahead of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Therefore, it is highly necessary to introduce temporary measures such as TRO under U.S. law to secure sufficient hearing opportunities before deciding on an injunction. In a case where a shareholders’ meeting is held in violation of the provisional disposition of prohibition of holding a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there is a conflict of opinion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the resolution. It shall be deemed null and void according to the power of the provisional disposition, but if the opposite conclusion is confirmed in the main judgment, it shall be valid retroactively. The provisional disposition to suspend the validity of a resolution of a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is an injunction to suspend the effectiveness of the resolution where there is a defect in the resolution method, resolution details, convening procedure, etc.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cases of ordering the provisional disposition of suspension of effectiveness of the resolution of the futur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instead of ordering a resolution ban in consideration of the necessity of preservation where the provisional disposition of prohibition of a resolution of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is raised. Minority shareholders have the right to propose proposals and agendas at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and if the board unfairly rejects the shareholders’ proposals, minority shareholders may file a provisional disposition of presentation of agenda of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against the corporation. 주주총회는 주식회사의 필요적 상설기구이자 최고 의사 결정기관이다. 주주총회의 권한은 법률 및 정관에 의해 정해지는데, 이사 및 감사의 선임과 해임, 정관 변경, 합병, 영업양도 등이 이에 속한다. 따라서 경영권 분쟁 상황 또는 소수 주주 등이 합병이나 영업양도를 저지하기 위한 목적에서 주주총회 관련 가처분을 제기하는 사례들이 늘고 있다. 주주총회 관련 가처분들은 이른바 ‘만족적 가처분’으로서 그 자체로 본안판결과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따라 가처분결정 후 본안소송 제기 없이 분쟁이 종결되는 ‘가처분의 본안대체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주주총회 개최금지 및 결의금지 가처분은 주주총회의 소집절차가 법령이나 정관에 위반된다든지 법령, 정관에 위반하는 사항을 결의사항으로 하는 주주총회가 소집될 경우 주주총회의 개최나 결의 자체를 금지시키는 사전적 구제수단이다. 피보전권리로는 일반적으로는 주주총회 결의의 하자를 다투는 소송상 권리와 이사에 대한 위법행위유지청구권이 중첩적으로 적용되는데, 사안에 따라서는 정당한 소집권자의 방해배제청구권, 약정에 따른 부작위청구권도 피보전권리가 될 수 있다. 주주총회 개최금지 가처분은 주주총회일을 앞두고 급박하게 제기되므로 심문기일 진행 등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미국법상 TRO와 같이 가처분결정 이전에 충분한 심리기회를 확보할 수 있는 임시적 조치를 도입할 필요성이 크다. 주주총회 개최금지 가처분에 위반하여 주주총회가 개최된 경우 결의의 효력에 관해서는 견해의 대립이 있으나, 가처분의 형성력에 따라 일응 무효로 보되, 만일 본안판결에서 반대의 결론이 확정된 때에는 소급적으로 유효하게 된다고 봄이 타당하다. 주주총회 결의 효력정지 가처분은 주주총회에서 결의가 이루어졌으나 결의방법이나 결의내용, 소집절차 등에 하자가 있는 경우 결의의 효력을 정지하기 위한 가처분이다. 근래에는 주주총회 결의금지 가처분이 제기된 경우에 보전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결의금지를 명하는 대신 장래 주주총회 결의의 효력정지 가처분을 명하는 사례들이 있다. 소수 주주는 주주총회의 의제와 의안을 제안할 수 있는 주주제안권을 갖는데, 이사회가 주주제안을 부당하게 거부하면 회사를 상대로 주주제안의 내용을 소집통지에 기재하고 의제 또는 의안으로 상정할 것을 구하는 주주총회 안건상정 가처분을 법원에 제기할 수 있다.

      • 기업회의 기획가로서의 비서업무에 관한 연구

        조영아 ( Young Ah Cho ) 한국이벤트컨벤션학회 2006 이벤트 컨벤션 연구 Vol.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o basic data in order to accomplish effective meeting management task, through identifying types of corporate meeting and meeting tasks, which are frequently prepared and involved by secretary. At a result of study, types of corporate meeting frequently prepared by secretary were the opening/closing ceremony for the year, inter-department meeting, training/education meeting, and the board of directors meeting. The most involved tasks by secretary were attendance management of participants and the decision of food and beverage. The involvement of meeting task were influenced by the type of meeting, the characteristic of secretary, the type of company, and the position of boss. For example, the involvement was higher in the case of training/education, one-to-one secretary, foreign or public company, over-seven-year-experienced secretary, or director-level boss. This study will be base on the understanding the secretary`s task as a corporate meeting planner and developing curriculum for meeting planners at secretary-related major.

      • KCI등재

        버추얼 전용·하이브리드 주주총회에 관한 법적 고찰

        박준선 한국경영법률학회 2021 經營法律 Vol.31 No.4

        Since the COVID-19 crisis, unprecedented interest in remote shareholder meetings has been focused around the world. As the COVID-19 virus spreads around the world, governments in each country have implemented high-level social distancing to stop the spread of COVID-19, and society has become extremely non-face- to-face as a result. Many companies in the U.S. and other countries inevitably held their shareholder meetings remotely due to this incident, and the change in the method of the shareholder meeting has made it easier for shareholders who have been neglected to access the shareholder meeting. The remote shareholder meeting can be divided into a hybrid shareholder meeting and a virtual-only shareholder meeting depending on whether an on-site meeting is held. The hybrid shareholder meeting is a combination of an on-site meeting and a remote meeting, and it is a method that holds a traditional shareholder meeting at a physical location while also holding a remote shareholder meeting so that shareholders can select one of the two to attend and vote. In contrast, the virtual shareholder meeting is a method of holding a shareholder meeting only in a virtual space, completely excluding the on-site meeting in a physical space. Shareholders who attend the virtual shareholder meeting are also recognized as attending the shareholder meeting and can exercise their voting rights. On the other hand, remote shareholder meetings can also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support system. In this case, a shareholder meeting using a video conferencing platform is called a video shareholder meeting, and a general shareholder meeting using a telephone call is called an audio shareholder meeting. On the other hand, in South Korea, there have been many efforts to make the shareholder meeting electronically, but no true remote shareholder meeting has been held yet. A more prudent approach is required for a virtual-only shareholder meeting, as legal issues and conflicts between shareholders can be problematic.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vide the remote shareholder meeting into two stages. First, hybrid shareholder meetings are explicitly permitted. After that, the hybrid shareholder meeting is operated to improve the problems that appear in the operation process. It then allows for a virtual-only shareholder meeting.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각국 정부는 전염병 확산을 저지하기 위해 높은 수준의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시하였고, 이에 따라 사회는 극도로 비대면화 되었다. 실제로 해외에서는 많은 회사가 주주총회를 원격으로 개최하였고, 이러한 주주총회 방식의 변화로 인해 그동안 소외되었던 주주가 보다 쉽게 주주총회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그동안 주주총회의 전자화에 대한 많은 노력이 있었지만, 아직 진정한 의미의 원격 주주총회가 개최된 바 없다. 버추얼 전용 주주총회는 운용상의 법적 문제, 주주 간의 찬반 논란 등이 제기되고 있으므로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원격 주주총회의 추진을 2단계로 나누어, 우선 하이브리드 주주총회를 명시적으로 허용하여 이용을 활성화하고, 하이브리드 주주총회를 운영하면서 실무에 적응하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어느 정도 보완하였을 시점에 버추얼 전용 주주총회를 허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상법 해석상 원격 주주총회가 가능하더라도 법적 리스크로 인하여 개별 회사가 이를 이용할 가능성은 희박하므로 상법에 원격 주주총회를 허용하는 명문의 규정을 두어 원격 주주총회의 현실적 개최 가능성을 열어줄 필요가 있다. 주주총회 개최 방식은 각 회사의 사정에 따라 도입 여건이 크게 다를 수 있으므로 원격 주주총회 도입에 관한 사항은 임의적 제도로 규정하는 것이 적절하나, 각 회사가 필요한 경우에는 용이하게 원격 주주총회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제도를 유연하게 운영하는 데 도움이 된다. 원격 주주총회에서의 본인확인과 관련하여 보다 다양한 주주가 참석하여 주주총회를 활성화한다는 취지에 비추어 원격 주주총회에서도 현행 전자투표의 본인확인 방법에 더하여 아이디 및 비밀번호 입력을 통한 본인확인 방법도 인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원격 주주총회에서의 출석시점은 단순히 로그인 및 로그아웃만을 기준으로 판단할 것이 아니라, 특정 회의에 대한 입장 및 퇴장 기능을 설정하여 그것을 기준으로 출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타당하다. 원격 주주총회에의 출석 및 의결권 행사는 전자투표 및 현장 주주총회와 충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현행 전자투표제도는 주주총회에 출석하지 아니한 주주를 전제로 주주총회 전날까지 사전에 전자투표를 행사하도록 하는 반면, 원격 주주총회는 실시간 전자투표가 가능한 것을 전제로 하므로 원격 주주총회의 도입과 함께 기존 전자투표의 개념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현장 주주총회에 참석한 상태에서 원격 주주총회에 접속하는 경우, 반대로 원격 주주총회에 접속한 상태에서 현장 주주총회에 참석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충돌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적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 KCI등재

        회의 공개와 회의록 공개의 관계 ― 회의 비공개 규정을 회의록 비공개 결정의 근거로 삼을 수 있는가?

        경건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서울법학 Vol.29 No.4

        In the case where a citizen requests the disclosure of information on the minutes of a public institution meeting held closed, it is a common response of that institution not to disclose the minutes because it was a closed meeting. And, in a lawsuit for cancellation of such a non-disclosure decision, the court has made a judgment affirming the legitimacy of the non-disclosure decision. Disclosure of minutes is a key element of open meeting, along with freedom of audience and reporting. The open meeting is not absolute, and closed meeting is, if necessary, permitted, but closed meeting does not necessarily mean non-disclosure of minutes.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prohibition of excessive measures) also applies to the closed meetings. If the reason for closed meeting is honest and free exchange of opinions among members of the meeting, and reasonable and valid agreement at the meeting, in many cases, such objectives can be achieved simply by restricting audience or reporting, rather than by non-disclosure of minutes. And, even if it is necessary to permit non-disclosure of minutes, the purpose can be sufficiently achieved, just by not revealing who the speaker is. Disclosure of minutes, the last resort to secure the democratic legitimacy and transparency of meetings, should be guaranteed as much as possible. The Information Disclosure Act allows external legal discipline of non-disclosure information, while requiring strict requirements to be met in relation to its norm form and degree of delegation. When using the regulation for closed meeting as the legal basis for non-disclosure of minutes, it should be carefully reviewed whether the regulation for closed meeting strictly met such norm form(Presidential Decree or Ordinance) and the degree of delegation(specific delegation to closed meeting). 공공기관이 비공개로 개최한 회의의 회의록에 대하여 시민이 정보공개를 청구하는 경우, 비공개 회의였음을 이유로 그 회의록을 비공개하는 것이 공공기관의 통상적인 대응이다. 그리고, 공공기관의 그러한 비공개결정에 대한 취소소송에서 법원은 비공개결정의 정당성을 인정하는 판단을 해 오고 있다. 회의록 공개는, 방청 및 보도의 자유와 함께, 회의 공개의 핵심요소이다. 회의 공개가 절대적인 것은 아니고 필요한 경우 회의를 비공개할 수 있지만, 회의를 비공개하는 것이 반드시 회의록의 비공개를 의미하지 않는다. 회의 비공개에도 비례원칙(과잉금지원칙)이 적용된다. 회의를 비공개하는 이유가 회의체 구성원 사이의 솔직하고 자유로운 의견교환이 방해받지 않고 그를 통해 진행중인 회의에서 합리적이고 타당한 합의에 도달하기 위한 것이라면, 그러한 목적은, 대부분의 경우, 회의록의 비공개가 아니라, 방청이나 보도를 제한하는 것만으로도 달성할 수 있으며, 거기에서 더 나아가, 설령 회의록을 비공개할 필요성까지 인정되는 경우에도, 발언내용이 아니라, 발언자가 누구인지 알 수 없게 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회의의 민주적 정당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최후수단으로서의 회의록 공개는 최대한 견지되어야 한다. 정보공개법은 외부법을 통한 비공개대상정보의 확장을 허용하면서도, 그 규범형식 및 위임의 정도와 관련해 정보공개법이 요구하는 조건을 충족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회의 비공개 규정을 회의록 비공개의 법적 근거로 원용할 때에는, 회의 비공개 규정이 정보공개법이 요구하는 규범형식(대통령령 또는 조례) 및 위임의 정도(회의 비공개에 대한 구체적 위임)를 엄격히 충족하였는지에 대하여 신중하게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