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학 관련 진로선택과 수학 수업참여, 수학성취에 대한 성별의 역할: 수학 자기효능감과 과제가치, 과제비용의 매개효과

        송주연 한국진로교육학회 2018 진로교육연구 Vol.31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ain gender differences in career choice, classroom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based on expectancy-value theory. For that, we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intrinsic value, utility value, importance value, effort cost, opportunity cost, and psychology cost. Two hundred and seventy six 7th grad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performed a path analysis, and the results show that gender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mathematics self-efficacy and intrinsic value and mathematics-related career choice, indicating boys had higher scores than girls in those variables. Moreover, self-effica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mathematics achievement, while mathematics .intrinsic valu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mathematics-related career choi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mathematics classroom engagement. In addition, we found differential predictors of three outcome variables. Mathematics intrinsic value and opportunity cost lead students to choose mathematics-related career. Mathematics intrinsic value and importance value facilitated engagement in a mathematics classroom. Mathematics self-efficacy and opportunity cost increased academic achievement, and effort cost decreased it.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theoretically shed new light on our understanding of gender differences in mathematics by comparing the role of mathematics self-efficacy, task value, and task cost in mathematics-related career choice, mathematics classroom engagement, and mathematics achievement. 본 연구는 기대-가치이론에 기초하여 수학 관련 진로선택과 수학 수업참여, 수학성취에서의 성차를 설명하고자 수학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과제가치, 과제비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특별히 과제가치로는 내재가치와 유용가치, 중요성가치를 포함하였으며, 과제비용으로는 과제에 쏟아야하는 노력비용, 과제를 위해 포기해야하는 기회비용, 과제로부터 발생하는 심리적비용을 포함하여 각각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1학년 275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직접적인 성차는 수학 관련 진로선택과 수학 자기효능감, 수학 내재가치에서만 확인되었다. 수학성취와 수학 수업참여에 대한 직접적인 성차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수학 자기효능감은 수학성취를, 수학 내재가치는 수학 수업참여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수학 자기효능감과 수학 내재가치는 각각 수학성취와 수학 수업참여에 대한 성별의 역할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 관련 진로선택에 대한 성별의 역할 역시 수학 내재가치에 의해 매개되었다. 이와 함께, 수학 관련 진로선택과 수학 수업선택, 수학성취를 예측하는 수학에 대한 인식이 각기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학에서의 성차를 이해함에 있어서 수학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과제가치, 과제비용의 역할을 비교함으로써 이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그리고 교육적 의의를 내포하고 있다.

      • An Analysis of the Mathematical Tasks in the Korean Seventh Grade Mathematics Textbooks and Workbook

        ( Hyung Mi Cho ),( Oh Nam Kwon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2 수학교육 학술지 Vol.2012 No.1

        The Korean mathematical curriculum has been changed three times during the resent five years. It led to changes in textbook system. In the 2007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workbook was developed focusing on student`s self-oriented learning, effective practice in differentiated classroom, and mathematics problem solving considering individual difference.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sks and the way the tasks are organized in the textbooks and the workbook in accordance with the 2007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comparing with the function section before and after the amendment. Researchers examine whether the textbook and workbook were accomplished the purpose with "cognitive expectation", "level of cognitive demand", "and "response types". Researchers revised framework of [Son, J. W. & Senk, S. (2010). How reform curricula in the USA and Korea present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f fraction. Educ. Stud. Math 74(2), 117-142] to make them suitable for the function section at the seventh grade.

      • KCI등재

        고등학생들의 수학 과목 수강 결정에 영향을 주는 기대-가치 요인 -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선택과목을 중심으로 -

        정현욱,김철민,지인섭,김주영,홍민영 대한수학교육학회 2022 학교수학 Vol.24 No.4

        With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2025 and the application of the 2022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more mathematics subjects can be offered than in the previous curriculum, but the number of subjects which students can choose is limite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550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Expectancy-Value Theory (Eccles et al., 1983), and the factors were found to be: achievement-related expectancy, environment, utility value, and cost. The responses to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hoice of mathematics subjects differ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high school and the third grade of high school, and were also found to be different by their desired fields.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what subjects high school students chose and why, the subjects they wanted to take were in order of preference: “Algebra, Calculus I, Probability and Statistics, Calculus II, Geometry, Artificial Intelligence Mathematics, Mathematics and Culture, Economic Mathematics, Practical Statistics, and Vocational Mathematics”. The more closely related to the career path and the more expected to be a CSAT subject it was the higher the desire to take the course was. In choosing math subjects, students often had difficulties because their career paths were not yet determined or their aptitude was not properly identified, and they needed subject guidance that included information such as “career, college entrance exam, subject content, and relevance to pre-learning content.” 2025년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과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따라 고등학교 수학은 이전 교육과정보다 많은 과목을 편성하게 되지만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는 과목 수에는 제한이 따를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생 550명을 대상으로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수학 과목을 수강 선택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기대-가치 이론(Eccles et al., 1983)에 근거하여 요인분석을 통해 분석하였고, 그 요인은 ‘성취기대, 환경, 효용 가치, 비용’으로 나타났다. 수학 과목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응답은 고등학교 1-2학년과 3학년에 차이가 있었고, 희망 진학 계열별로도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고등학생들이 어떤 과목을 선택하고 그 이유는 무엇인지 분석한 결과, 학생들이 수강을 희망하는 과목은 <대수, 미적분Ⅰ, 확률과 통계, 미적분Ⅱ, 기하, 인공지능 수학, 수학과제 탐구, 수학과 문화, 경제 수학, 실용 통계, 직무 수학>의 순이었고, 진로와 깊은 관련이 있을수록, 수능 과목으로 예상될수록 그 과목에 대한 수강 희망도가 높았다. 수학 과목 선택에서 학생들은 진로가 확정되지 않거나 자신의 적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여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았고, ‘진로, 대학 입시, 과목 내용, 선수학습 내용과의 관련성’ 등의 정보가 포함된 과목 안내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An Analysis of the Mathematical Tasks in the Korean Seventh Grade Mathematics Textbooks and Workbook

        Hyung Mi Cho,Oh Nam Kwon 한국수학교육학회 2012 수학교육연구 Vol.16 No.4

        The Korean mathematical curriculum has been changed three times during the resent five years. It led to changes in textbook system. In the 2007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workbook was developed focusing on student‘s self-oriented learning, effective practice in differentiated classroom, and mathematics problem solving considering individual difference.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sks and the way the tasks are organized in the textbooks and the workbook in accordance with the 2007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comparing with the function section before and after the amendment. Researchers examine whether the textbook and workbook were accomplished the purpose with “cognitive expectation”, “level of cognitive demand”, “and “response types”. Researchers revised framework of [Son, J. W. & Senk, S. (2010). How reform curricula in the USA and Korea present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f fraction. Educ. Stud. Math 74(2), 117-142] to make them suitable for the function section at the seventh grade.

      • KCI등재

        WEAK CONVERGENCE OF MANN ITERATIVE SEQUENCE FOR NONEXPANSIVE MAPPINGS IN PROBABILISTIC HILBERT SPACES

        Su, Yongfu,Wang, Xiuzhen,Gao, Junyu The Youngnam Mathematical Society Korea 2008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the weak convergence theorem of Mann iterative sequence for nonexpansive mappings in probabilistic Hilbert spaces. In order to establish the weak convergence theorem, a new method was presented in this paper, that is method of mathematical expectation.

      • KCI등재후보

        WEAK CONVERGENCE OF MANN ITERATIVE SEQUENCE FOR NONEXPANSIVE MAPPINGS IN PROBABILISTIC HILBERT SPACES

        Yongfu Su,Xiuzhen Wang,Junyu Gao 영남수학회 2008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the weak convergence theorem of Mann iterative sequence for nonexpansive mappings in probabilistic Hilbert spaces. In order to establish the weak convergence theorem, a new method was presented in this paper, that is method of mathematical expectation.

      • KCI등재

        부모의 유아 수학능력에 대한 기대 및 부모의 수학 태도와 유아의 수학능력의 관계: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임혜성,최진경,이민경 한국유아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연구 Vol.3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parents’ expectation, attitude towards mathematics, and mathematical interaction in predicting children's mathematics achievement. For this purpose, a total of 361 children aged 3 to 5 years old and their parents completed a survey. The findings from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parents’ expectations and mathematical interaction (e.g., counting objects, measurement for length and weight, etc.) predicted children’s mathematic achievement after controlling for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children’s age. However, parents’ mathematics attitudes did not predict children’s math achievement. In addition, parents’ mathematical interactions mediated their expectations of children’s math skills and children’s actual mathematic achievement, but did not mediate parents’ attitudes to mathematics and children’s math achievement. In conclusion, the ways to support mathematical interactions of parents with their children in order to improve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유아 수학능력에 대한 기대 및 수학에 대한 태도, 부모의 수학적상호작용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직접 효과와 간접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만 3세부터 5세 유아 361명과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유아 검사 및 부모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유아의 월령을 통제한 후에도, 부모의 유아 수학능력에 대한 기대와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예: 주변 사물의 수 세기, 물건의 무게나 길이 재기 등)은 유아의 수학능력을 예측하였으며, 부모의 수학에 대한 태도는 유아의 수학능력을 예측하지 못하였다. 또한,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은 부모의 유아 수학능력에 대한 기대와 유아의 수학능력을 매개하였으나, 부모의 수학에 대한 태도와 유아의 수학능력을 매개하지 않았다. 결론에서는 유아의 수학능력을 증진하기 위해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교우기대감과 학교생활적응도 비교

        이지연(Lee, Ji-Yeon),류성림(Ryu, Sung-Rim)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0 과학영재교육 Vol.12 No.3

        본 연구는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교우기대감과 학교생활적응정도를 비교하고 그 둘의 상관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초등학생들이 보다 즐겁고 만족스러운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수학영재가 일반학생보다 교우기대감이 더 높다. 초등수학영재는 친구에게 기대하는 바가 크고, 교우관계를 일반학생보다 더 중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초등수학영재가 일반학생보다 학교생활적응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우기대감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우기대감이 높아 친구에 대한 생각이 긍정적이고 교우관계를 소중히 여길수록 학교생활에 적응을 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초등수학영재의 교우기대감과 학교생활적응 정도가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초등수학영재의 학교생활적응이나 교우관계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및 상담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friendship expectations and school adaptations of elementary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have higher friendship expectations than non-gifted students. Elementary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expressed high expectations toward friends, and they considered more deeply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s between friends than non-gifted students. Second, elementary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showed better school adaptation than non-gifted students. Third, the higher friendship expectations they had, the better they adapt school. This means that high friendship expectation makes a positive thinking of friends, that makes school adaptation good. Elementary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have a steady interest in school life, so that school and teachers need to pay constant attention and counseling regarding the school life of the elementary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 KCI등재

        확률 판단 문제에서 초등 수학영재들의 선택에 미친 요인 분석과 교육적 시사점

        이승은,송상헌 대한수학교육학회 2013 학교수학 Vol.15 No.3

        The major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what kind of gap exists between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probability knowledge and the reality actually applying that knowledge and then analyze the cause of the gap. To attain the goal, 23 elementary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t the highest level from G region were provided with problem situations internalizing a probability and expectation, and the problems are in series in which conditions change one by one. The study task is in a gaming situation where there can be the most reasonable answer mathematically, but the choice may differ by how much they consider a certain condition. To collect data, the students’ individual worksheets are collected, and all the class procedures are recorded with a camcorder, and the researcher writes a class observation report. The biggest reason why the students do not make a decision solely based on their own mathematical knowledge is because of ‘impracticality’, one of the properties of probability, that in reality, all things are not realized according to the mathematical calculation and are impossible to be anticipated and also their own psychological disposition to ‘avoid loss’ about their entry fee paid. In order to provide desirable probability education, we should not be limited to having learners master probability knowledge included in the textbook by solving the problems based on algorithmic knowledge but provide them with plenty of experience to apply probabilistic inference with which they should make their own choice in diverse situations having context. 본 연구는 개인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확률적 지식과 자신이 선택한 결과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현상을 분석해 봄으로써 수학영재학생들을 위한 확률문제 지도시 고려해야 할 점들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3명의 6학년 수학영재학생들에게 확률과 기댓값의 개념이 내재된 확률 문제 5개(조건이 하나씩 변하는 시리즈)를 제시하고 그들의 선택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분석하고 이를 시각화하였다. 초등수학영재학생들이 선택한 결과와 그 근거에 대한 분석은 수업 관찰 및 비디오 분석, 학습지 분석, 그리고 관찰자의 면담의 삼각분석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을 통하여 영재학생들에게 확률 문제를 지도할 때 고려해야 할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