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생의 수학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기대와 참여, 학생의 자아-효능감과 학업적 관여도의 효과

        임선아 한국청소년학회 2012 청소년학연구 Vol.19 No.2

        부모의 기대와 참여가 학생의 동기 및 학업적 관여에 영향을 미치므로 학생의 학업적 태도 및 행동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부모의 효과를 함께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모의 기대와 참여, 고등학생의 자아-효능감과 학업적 관여가 상호작용하여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구조방정식 모형(SEM)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미국 고등학생 종단적 자료(ELS: 02-06)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모기대와 학생의 수학적 자아-효능감은 수학성취도에 직․간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모참여와 학업적 관여는 수학성취도에 직접적인 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전 수학성취도(고1)는 부모의 기대와 수학적 자아-효능감을 매개해 2년 후의 수학성취도(고3)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수학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와 학생요인들의 관계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종단적 자료를 사용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인과관계를 규명한데 그 의의가 있다. Previous research has posited several factors which influence the math achievement. Researchers found that family socioeconomic status, students' attitudes and behaviors, to parents' attitudes and behaviors, such as parental involvement have the direct/indirect effects on math achie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end existing research on math achievement by developing and testing a model of math achievement in high school. Using the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ELS), findings from this study hope to shed light salient predictors that may contribute to the math achievement versus the effects of those predictors. This study found that prior math score, math self-efficacy, parent expectation have direct/indirect effects versus academic engagement, parental involvement have no direct/indirect effects on math achievement. In addition to this, self-efficacy and parental expectation mediated the effects of prior achievement on subsequent math achievement.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rior math achievement and subsequent math achievement operated with the relationship of parent and student factors. By identifying the attitudes and behaviors that may impede or facilitate student performance, educators could provide appropriate intervention.

      • KCI등재

        부모의 수학 성 고정관념, 고정 마인드셋, 기대에 의한 초등 자녀의 수학 학습동기와 성취도 예측

        이수향 ( Lee Su Hyang ),이현지 ( Lee Hyun Ji ),봉미미 ( Bong Mimi ) 안암교육학회 2021 한국교육학연구 Vol.27 No.4

        이 연구는 수학능력에 대해 부모가 가지고 있는 성 고정관념과 고정 마인드셋, 그리고 자녀의 미래 수학성취에 대한 부모의 기대가 학생의 수학 학습동기와 성취도를 예측하는지를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D 광역시에 소재하는 1개 초등학교 3, 4학년 학생과 학부모 중 연구참여에 동의한 171쌍에게 설문조사와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였고, 이 중 학생과 학부모 모두 설문에 참여한 131쌍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부모의 성 고정관념과 고정 마인드셋 모두 학생의 수학 동기와 성취도를 직접적으로 예측하지 않았다. 그러나, 부모의 고정 마인드셋은 자녀의 미래 수학성취에 대한 부모의 기대를 부적으로 예측하였고, 자녀의 미래 수학성취에 대한 부모의 기대는 다시 학생의 수학 자기효능감과 가치, 성취도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매개분석 결과, 부모의 고정 마인드셋이 자녀의 미래 수학성취에 대한 부모의 기대를 통해 학생의 수학 학습동기와 성취도를 예측하는 간접효과는 모두 유의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부모가 가지는 수학능력의 변화가능성에 대한 믿음과 자녀에 대한 기대가 초등학생의 수학학습동기와 성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test if the gender stereotypes and fixed mindset parents held about math as well as their expectations toward their child’s future success in math predicted students’ math motivation and achievement. Out of 171 pairs of third and fourth graders and their parents at a public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Daejeon,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research, the data from 131 parent-child pairs of which both the parent and the child completed the survey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neither parents’ gender stereotypes nor their fixed mindset directly predicted students’ math motivation and achievement. However, parents’ fixed mindset negatively predicted their expectations toward their child’s future success in math, which in turn positively predicted students’ math self-efficacy, value, and achievement. The mediation analysis further revealed that all of the indirect effects of parents’ fixed mindset on students’ math motivation and achievement via parents’ expectations toward their child’s future success in mat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parents’ beliefs about the malleability of math ability and their expectations towards their child’s success in math can wield a critical influence on the math motivation and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중학생들의 수학흥미와 수학가치인식이 수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유형탐색: REBUS-PLS를 적용하여

        정희선,송하나 대한수학교육학회 2020 학교수학 Vol.22 No.4

        This study detects heterogeneous latent classes and their models applying REBUS-PLS analysis based on the path model of math interest, math perception and math achievement using TIMSS 2015 8th grade data of Korea, under the context that the influence of related factors on the achievement of mathematics is different. As post-hoc analysis, the distribution for latent classes as dependent variables is analyzed by using math self-confidence and engaged math-learning as predictor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wo latent classes were captured, and the math-interest oriented class and the math-perception oriented class were named. As a result of post-hoc analysis, CHAID analysis showed that students with high self-confidence in mathematics were distributed in the math-perception oriented class at a high proportion, while those with low self-confidence in mathematics were distributed in the math-interest oriented class at a high proportion. Next, under the classification by math self-confidence, students with more engaged math-learning in both high confidence and low confidence group were more distributed in math interest oriented class, and the less engaged math-learning, in math perception oriented class. This study presented a new method of research on school mathematics by applying the REBUS-PLS analysis method to detecting unit segments based on the path model. 본 연구는 수학학업성취도에 있어서 학생마다 관련요인들이 미치는 영향력은 다르다는 맥락하에 TIMSS 2015 우리나라 8학년 자료를 활용하여 수학흥미와 수학가치인식의 수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REBUS-PLS 분석에 의한 이질적 잠재집단과 모형을 탐색한다. 탐지된 잠재집단을 종속변수로 수학자신감, 수학수업에 대한 인식을 예측변수로 투입하여 잠재집단의 분포를 분석한다. 분석결과, 두 가지 잠재집단이 탐색되었고, 그 특성에 따라 수학흥미형 집단과 수학가치형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CHAID 분석에서 먼저 수학자신감이 높은 학생일수록 수학가치형 집단에 속한 비율이 높고, 자신감이 낮은 학생일수록 수학흥미형 집단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수학자신감에 의한 분류 하에, 자신감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모두에서 수학수업에 대한 긍정인식이 높을수록 수학흥미형에 속하는 비율이 증가하며 긍정인식이 낮을수록 수학가치형에 속하는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경로모형기반의 단위 분할을 탐색하는 REBUS-PLS 분석을 적용함으로써 학교수학에서 수학흥미와 수학가치인식에 관한 새로운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큰 물고기 작은 연못 효과(Big-fish-little-pond effect)에 대한 종단적 탐색: 중학생의 수학의 정의적 성취를 중심으로

        김희란(Kim, Heeran),이진희(Lee, Ji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0

        본 연구에서는 국내 중학생의 수학 성취 수준과 소속 학교의 수학 평균 수준이 수학의 정의적 성취(내재적 동기, 학업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관계를 종단적 맥락에서 탐색하였다. 자료는 교육종단데이타2005의 1, 2, 3차 년도 자료(중학교 1, 2, 3학년)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의 내재적 동기에 있어서 개인의 성취 수준에 따라 집단 간의 초기값의 격차가 존재하였고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그 격차는 더 증가하였으나 학업 자아개념은 초기값의 격차가 학년이 올라가도 그대로 유지되었다. 둘째, 학교 평균 성취 수준에 따라 소속 학생들의 정의적 성취의 초기값의 격차가 존재하고 그 격차는 학년이 올라가도 그대로 유지되었다. 셋째, 개인 성취 수준과 학교 평균 성취 수준은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는데 내재적 동기에 있어서 개인 성취가 하위인 학생의 경우 상위인 학생에 비해 초기값에 있어서 의미 있는 격차가 있었으나 소속 학교의 수준이 높을 경우 학년이 올라갈수록 그 격차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중학생의 경우 연못 효과 이론보다는 후광 효과 이론이 더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연구의 한계 및 추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a longitudinal effect of individual Math achievement levels and school-average Math achievement levels on non-cognitive achievement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including intrinsic motivation and academic self-concept in Math. The 1st, 2nd, and 3rd waves of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2005,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were used for longitudinal data. The data analysis procedure was Linear Mixed Effect Regression using R. Findings showed that (a) the difference in the intercept effects of individual Math achievement levels on intrinsic motivation increased over time, but the difference in those on academic self-concept maintained over time, (b) the difference in the intercept effects of school-average Math achievement levels on non-cognitive achievement in Math maintained over time, and (c) there wer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individual and school-average Math achievement levels, and the difference in intercept effects between high individual level and low individual level on the intrinsic motivation decreased over time in case that students with low individual level were in high school level. These findings support the reflected glory theory in the context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rather than the Big-Fish-Little-Pond-Effect, especially in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 achievement and non-cognitive Math achievement.

      • KCI등재

        학생들이 인지하는 교사의 성취압력과 열의가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종단적 분석: 초·중학생들을 대상으로

        김용석 ( Kim Yongseok ) 한국수학교육학회 2021 初等 數學敎育 Vol.24 No.3

        Achievement pressure and enthusiasm affecting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are constantly changing and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a longitudinal study is need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change patterns of teachers' achievement pressure and enthusiasm on the change patterns of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utilized student data from the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2013 year) to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2017 year)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The longitudinal change patterns of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were classified into similar subgroups and the influence of the longitudinal change patterns of the achievement pressure and enthusiasm of each group on the longitudinal change pattern of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path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all four subgroups with similar longitudinal changes i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the teacher's achievement pressure showed little change from the fifth grade, while the teacher's enthusiasm continued to decline from the fifth grade.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teachers' achievement pressure and enthusiasm perceived by students in each group o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was different. This suggests that in order to improve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it is necessary to support teaching and learning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and dispositions of students.

      • KCI등재

        내재동기는 언제, 어떻게 수학성취를 예측하는가? 수업참여에 따른 끈기의 조절된 매개효과

        임효진 교육종합연구원 2018 교육종합연구 Vol.16 No.2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intrinsic motivation, perserverance, and math achievement using PISA 2012. I hypothesized that intrinsic motivation would predict math achievement directly and indirectly via perseverance. I also hypothesized classroom engagement would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perseverance, and math achievement.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d analysis of conditional effects showed that when intrinsic motivation increased, perseverance and math achievement significantly increased, and perseverance significantly mediated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Main effect and interaction effect of classroom engagement were also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ing that engagement positively predicted achievement and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and achievement. Specifically, students with higher engagement level were more likely to demonstrate higher perseverance when intrinsic motivation increased. However, the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on achievement was greater for students with lower classroom engagement. Finally, the index of moderated mediation of persevera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conditional indirect effect of perseverance was significant only for students with mean and mean plus 1SD level of classroom engagement.

      • KCI등재

        학교특성과 교육환경이 중·고등학생의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명진(Lee, Myung-Jin),황수영(Hwang, Su-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7

        이 연구에서는 지역규모, 학교설립 유형 등의 학교특성과 수준별 이동수업, 방과후학교 운영 등 학교 교육환경이 중·고등학생의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부·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제공하는 에듀데이터서비스시스템(Education Data Service System, EDSS)의 2016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중·고등학생의 수학성취도는 대도시 학교에 비해 읍·면지역 학교일수록, 사립학교에 비해 국공립학교일수록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와는 달리 고등학교에서는 성별에 따른 학교유형의 차이도 나타났는데, 남녀공학에 다니는 학생들보다 남학생 또는 여학생으로만 이루어진 학교에 다니는 고등학생들의 수학성취도가 더 높았다. 중·고등학생의 수학성취도는 학교특성을 통제하고도 학교 교육환경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의 수가 많을수록 수학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준별 수업을 진행할수록, 방과후학교의 교과 프로그램 강좌수가 많을수록 수학성취도가 높았다. 고등학교 수학성취도에서 학교 소재지 지역규모의 영향은 학교 교육환경 변인이 투입됨에 따라 영향력의 크기나 유의성이 변화됨을 발견하였는데, 이는 변화가 어려운 학교특성보다 학교 수준에서 운영이 가능한 교육 프로그램의 투입 등을 통해 수학성취도의 긍정적 변화를 유도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We conducted this study how school characteristics (regional scale, school types by establishment and gender) and educational environment (number of teachers, after-school programs, and ability grouping) influence 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ath achievement. To this end, we used 2016 Education Data Service System (EDSS) data provided by MOE·KERIS. The study found that metropolitan and privat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ath achievement was higher than rural and public schools . And a single sex school was more effect than a coeducational school in high school students’ Math achievement. The Math achievemen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as also influenced by the school education environment. The more teachers in charge of the lecture, the higher the Math achievement. The more the class by ability level, the more the subject-based program of after-school, the higher the Math achievement. The effect of regional scale on high school Math achievement was found to change the size and significance of influence as school educational environment variables were put in. This might suggests that the negative impact of school characteristics, which are difficult to change easily through the introduction of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be operated at the school level, can be reduced.

      • KCI등재

        수학동화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수학성취도,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은윤,박현숙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athematical activity using math fairy tales on achievement, problem-solving, and attitude in math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DD). The subjects were 20 young children with DD and were divided equally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24 math lessons for 30 minutes each using math fairy tales, whereas the control group received math lessons without fairy tal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t-test to ve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appeared to improve significantly more than the control group on achievement, problem-solving, and attitude in math. The improved results of achievement, problem-solving, and attitude in math were maintained after 4 weeks from the post-test. These results imply that math activities using fairy tales can be adopted a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young children with DD to enhance academic achievement and problem-solving ability, and to acquire positive attitude toward math. 수학동화를 활용한 수학활동은 실제생활의 맥락과 분리되지 않고 보다 구체적으로 의미 있는 학습을 가능하게 하며, 유아들이 교실에서 배운 수학과 실제 자신의 삶과 수학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이 될 것이라고 보고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수학동화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수학성취도,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소재 한 어린이병원 내의 발달장애아동센터에 내원하고 있는 만 5세 발달지체유아 20명을 대상으로 24회기에 걸쳐 실험집단에게는 수학동화를 활용한 수학 교수활동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게는 수학동화를 사용하지 않은 수학 교수활동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에게 사전ㆍ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집단 간 차에 대해 t 검증한 결과, 수학동화를 활용하여 수학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수학성취도,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태도가 수학동화를 활용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실험이 종료된 지 4주 후에도 향상된 수학성취도,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태도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발달지체유아의 수학성취도,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태도를 향상시키고자 할 때 수학동화를 활용한 수학활동을 적용해 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초·중학교 교실평가 실제와 학생의 정의 및 인지적 성취 간의 관계 : TIMSS 2011 한국, 싱가포르 및 핀란드

        손원숙,신이나,배주현 한국교육평가학회 2014 교육평가연구 Vol.27 No.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classroom assessment practices and fourth- and eighth-graders' math achievement, math confidence, and enjoyment by comparing Korea, Singapore and Finland using TIMSS 2011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 affective characteristics such as math confidence and enjoyment are partially related to math achievement across the three countries and two grades(4th and 8th). However, teachers' classroom assessment practices are related to student math achievement differently across the three countries and the two grades. Also the role of classroom assessment suggested by Brookhart's model(Brookhart, 1997) was not fully supported that almost all practices didn't interact with student affective characteristics among the three countries. The comparative study provided a description of the unique role of assessment practices in math achievement for Korea, Singapore and Finl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학교 교사의 교실평가 실제와 학생의 정의 및 인지적 성취 간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TIMSS 2011의 성취도 상위국가에 해당하는 한국, 싱가포르 및 핀란드의 초4 및 중2 수학교사 및 학생 자료를 분석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위계적 선형모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국가별로 교사 수준의 수학 성취도 분산은 초4와 중2 모두 싱가포르에서 가장 컸고, 초4에서는 한국, 중2에서는 핀란드에서 가장 작게 나타났다. 둘째, 수학교사의 평가실제는 학생의 수학성취도에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직접 효과를 미쳤고, 또한 평가실제와 수학흥미 및 자신감과의 혼합 효과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초4의 경우에는 숙제 빈도 및 피드백 제공방식에 따라서 국가별로 차별적인 효과를 나타냈으며, 평가유형별로는 3개국 모두에서 외부평가에 중점을 두는 교사일수록, 해당 학생의 수학성취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한편 중2의 경우에는 숙제 및 평가 빈도는 한국을 제외하고, 학생의 수학성취도와 정적 또는 부적 효과를 보였고, 숙제피드백 및 평가문항의 유형이 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교실평가 실제 현황에 대한 진단의 필요성과 추후 학생들의 학습 개선을 위한 교실평가의 정책 제언을 추가하였다.

      • KCI등재

        협력교수를 통한 직접교수 제공이 초등 3학년 곱셈과 나눗셈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일반학생,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 수학 학습장애 학생을 중심으로 -

        김병룡 한국초등교육학회 2019 초등교육연구 Vol.3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regular education teacher and a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llaborative teaching on Elementary 3rd Grade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The instruction for experiment groups was the co-teaching program, which was that a regular education teacher and a special education teacher cooperatively teach the lessons designed by direct instruction model. And the class for comparison group was that a regular education teacher teach the lessons of the textbook alone. The HLM 7.03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students' the improvement in mathematical achievement.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athematical achievement in pretest between the normal-achieving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in the comparison group. However, the normal-achieving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larger improvements as co-teaching program progressed and it was significant. Second, although the mathematical achievement of at-risk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e comparison group in the pretest, the at-risk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larger improvements as co-teaching program progressed and it was significant. Third, in the pretest,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mathematical achievement between the students with math disabilities in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or the comparison group. But the students with math disabilities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noteworthy improvements as co-teaching program progressed and it was significant. This paper has discussed the effects of co-teaching and the practical ways to implement it in the classroom. 본 연구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교수를 통한 직접교수의 제공이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곱셈과 나눗셈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집단에는 직접교수를 통해 설계된 수업을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교수를 통해 제공하였고 비교집단에는 담임교사 단독의 일반교수를 제공하였다. 이후 학생들의 곱셈과 나눗셈 성취도 결과는 다층성장모형을 설정하여 HLM 7.03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집단의 일반학생들,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들 그리고 수학 학습장애 학생들 모두 비교집단의 학생들에 비해 협력교수가 진행됨에 따라 곱셈과 나눗셈 성취도에서 더 큰 향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 중재의 효과와 그 실천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