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계 평등주의를 통한 평등 원칙의 재구성

        김주현 전북대학교 부설법학연구소 2023 法學硏究 Vol.71 No.-

        In the recent debate on egalitarianism, there has been a growing focus on relational concepts, expanding the approach to equality beyond mere distribution. These theories emphasize a relational perspective and introduce new concepts. Consequently, equality is now understood not only as the distributive equality of material goods but also as equal social relations or the quality of social relations. Equal treatment is evaluated by shifting the focus on the way in which institutions distribute goods, rather than on the shares distributed by the institutions. In particular, the equality principle of relational egalitarianism aims to achieve equal social relations, surpassing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liberal equality principles. It seeks to extend the application of the equality principle from social institutions to individual actions. While there are ongoing debates within the field of relational egalitarianism, particularly regarding whether the content of the equality principle pertains to achieving relational equality or removing unjust social relations, discussions have emerged on how to concretize the distribution principle of relational egalitarianism. Recently, Schemmel proposed a theory known as liberal relational egalitarianism, which offers a specific formulation of the principle of relational equality by encompassing comprehensive power equality and non-domination. However, Schemmel's theory still exhibits limitations inherent to liberalism and lacks distinctive features compared to traditional egalitarian principles. To reconstruct the existing principle of equalit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principle of relational equality as an egalitarian principle rather than a negative principle centered on the removal of unjust social relations. This can be achiev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positive principle of relational equality. Moreover, to realize relational equality, it is crucial to present distribution principles that differentiate from traditional distributive equality principles and establish an equality principle that aims for equality itself rather than equality as a premise of liberalism. By doing so, the principle of equality in relational egalitarianism can be effectively and appropriately applied to address contemporary issues of inequality. 최근 분배냐 관계냐를 둘러싼 평등주의 논의에서 관계적 개념을 목표로 하는 이론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이론들은 평등에 대한 접근을 분배에 한정하지 않고, 관계라는 관점과 개념으로 새롭게 확장한다. 이에 따라 평등은 물질적 재화의 분배적 평등을 넘어 평등한 사회적 관계나 사회적 관계의 질로 이해되기 시작하였고, 평등한 대우는 제도가 분배한 몫이 아니라 제도가 재화를 분배하는 방식에 초점을 두고 판단되었다. 특히 관계 평등주의의 평등 원칙은 기존의 자유주의의 평등 원칙의 한계를 극복함으로써 평등한 분배보다 사회적 관계의 평등 실현을 목표로 하며, 평등 원칙의 적용 범위를 제도에서 개인 행동으로 확장하려는 관점을 가지고 있다. 물론 관계 평등주의 진영 내에서는 여전히 관계 평등 원칙을 둘러싸고 논쟁이 이루어지고 있다. 관계 평등 원칙의 내용이 관계 평등 실현을 의미하는 것인지, 아니면 부당한 사회적 관계의 제거를 의미하는 것인지에 대한 대립이 존재하며, 관계 평등주의의 분배 원칙을 어떻게 구체화할지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슈멜이 관계 평등 원칙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자유주의적 관계 평등주의라는 이론을 제시하였다. 이 이론은 평등 원칙을 포괄적인 권력 평등과 비지배로 구체화한다. 그러나 슈멜의 이론은 여전히 자유주의의 한계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기존의 평등주의 원칙과 차별점이 없다는 한계가 있다. 기존의 평등 원칙을 재구성하기 위해서는 자유주의가 아닌 평등주의적 평등 원칙으로서 관계 평등 원칙을 수립해야 한다. 이는 부당한 사회적 관계의 제거를 통한 소극적인 평등 원칙이 아니라, 적극적인 관계 평등 원칙을 확립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또한 관계 평등을 실현하기 위한 분배 원칙을 기존의 분배 원칙과 차별화하여 제시하고, 자유주의의 전제로서의 평등이 아닌 평등 그 자체를 목표로 하는 평등 원칙을 확립한다면, 관계 평등 원칙은 현대의 불평등 문제에 적절하고 효과적인 대응을 할 수 있는 원칙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자유와 평등의 대칭성에 관한 철학적 분석

        김범춘(Kim Beom Choon)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2010 통일인문학 Vol.49 No.-

        자유와 평등은 역사적 기원에서뿐만 아니라 개념적 규정에서도 대칭성을 가지며 서로를 전제한다. 하지만 자유가 자유주의의 이념으로, 평등이 마르크스주의의 이념으로 이데올로기적으로 연결되게 되면서 자유와 평등은 서로를 배제하고 대립하는 비대칭성을 띠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비대칭성은 이론적으로나 현실적으로 타당하지 않다. 왜냐하면 자유에 대한 제약 속에서 평등은 불가능하며 동시에 평등이 실현되지 않는 자유도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자유에 대한 수요가 평등보다 더 컸던 자유경쟁시장의 시대에 자유를 최고의 가치로 내세우는 자유주의자가 양산되었고, 동시에 자유경쟁시장의 폐해는 마르크스주의적 평등에 대한 급격한 수요를 발생시켰다. 그런데 자유주의 진영은 평등의 요구를 자유주의 체제 자체가 지닌 한계가 아니라 체제 운영의 부작용으로 보았다. 반면에 마르크스주의 진영은 자유를 언제나 자본주의적 소유권에 대항하는 권리의 문제로 환원하고 있었다. 이런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자유와 평등을 내포와 외연에서 동일한 가치로 설정하고, 그 대칭성을 구체적 현실에서 실현해야 한다. 자유와 평등을 둘러싼 입장이 자유주의적 평등이든 평등주의적 자유든 간에 두 가지를 모두 살려내는 정의(justice)나 평등적 자유(?gqliberet?)와 같은 공통항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그 공통항은 자유와 평등 사이의 비율이나 역학관계를 따지는 함수가 아니라 가치의 대칭성을 반드시 포함하는 것이어야 한다. 자유주의와 마르크스주의에 의해 이데올로기적으로 또는 기능적으로 왜곡된 자유와 평등의 대칭성을 복구하는 일은 인간다운 삶을 위한 기획에서 핵심적인 지위를 차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Freedom and equality have a symmetrical relation in historical origins as well as conceptual definitions, and they presuppose each other. But as freedom is connected to ideal of liberalism and so did equality to ideal of marxism, freedom and equality were mutually exclusive and conflictive, finally asymmetrical each other. However this asymmetry is not valid theoretically and realistically, because equality is impossible in the constraints on freedom, and freedom is impossible under the condition in which equality is not realized. Historically, the demand for freedom is larger than equality in the period of the free market, liberalists who put up freedom as the highest value were produced on a large scale. And people demanded a marxist equality by reason of the harmful consequences of the free market. But the liberal camp accepted the demand of equality as the operating system's side effects, not the limitations of the system itself. In contrast, the marxist camp always reduced freedom to problem of the human rights which fight against capitalist ownership. To correct these shortcomings, we should set up freedom and equality which have the same value in connotation and extension. Moreover the symmetry between freedom and equality must be realized in concrete reality. No matter what position on freedom or equality, namely in liberal equality or egalitarian liberty, should establish such a common term as justice or ?gqliberet?. In addition, the common term must include the symmetry of value which freedom and equality have, must not calculate the ratio or functional relation between freedom and equality. Because To restore the symmetry between freedom and equality distorted by liberalism and marxism ideologically or functionally, holds a essential position in planning for good human life.

      • KCI등재

        유신체제기 평등-불평등의 문제설정과 자유주의

        황병주 ( Hwang Byoung-joo ) 역사문제연구소 2013 역사문제연구 Vol.17 No.1

        This thesis aims for analyzing the meaning of the Yushin regime through the problematic of egalitarianism. The Yushin regime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effect of unequal industrialization that was propelled by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Social mobility caused by industrialization was increased rapidly in 1970s and it was not only the fluidization of the unequal establishment order but the deepening of new unequality. In this condition Yushin regime was being to be the worst regime which was characteristic in socio-political pressure. It was a paradox that Yushin regime maximized the freedom of market while it minimized political freedom. If Yushin regime had intervened in the market it began to adopt neo-liberal policies in the late of 1970s. It was not a temporary measure to deal with an economic crisis but the basis of Korean government`s economic policy thereafter. Neo-liberal turn meant that competition and efficiency had to be the best value and virtue in Korean society. In this condition, the egalitarian passion of mass was peculiarily articulated with the homogenization strategy of state. In this context there was a misunderstanding relation between the Yushin regime and masses. People accepted the equality of opportunity as a critical factor in social life and was sensitive in the impartial rule of the game. But the most important thing which people thought was the expectation and prospect that the equality of opportunity should result in practical equality. On the other hand, in the perspective of the Yushin regime, equality must refer to the equality of opportunity and practical equality had to be restricted to the abstract concept. In the end it seemed that the problematic of equality was restricted to the equality of opportunity and fair competition. Thereafter justice have begun to emerge as the core value of Korean society. But it was impossible to resolve the matter of inequality in Korean society. More and more the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of Korean society have been increasing and the fair rule of the game was not fulfilled in all aspects of Korea. There was a substantial contradiction between one man one vote and one stock one vote in the basis of all these inequalities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공화적 공존의 전제로서의 평등

        김종철(Jongcheol Kim) 한국헌법학회 2013 憲法學硏究 Vol.19 No.3

        이 연구는 평등이 형식적 평등(formal equality)과 실질적 평등(substantive equality)의 두 차원을 내포하는 이념임을 전제하고, 한국 헌법의 현실은 이러한 평등가치가 형식적 평등을 중심으로 불균형하게 실현되고 있으며, 그러한 평등가치의 불균형 실현은 헌법이 채택하고 있는 평등의 정치철학적 기초 및 그에 토대를 둔 정치공동체의 위상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데 그 근본원인이 있다는 문제의식에 기초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평등의 정치철학적 기초를 규명하여 한국 사회가 당면한 사회적 불평등 구조를 개선하는 헌법적 과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논문은 두 가지 가정을 논증하고 있다. 우선 헌법이 상정하고 있는 평등이 단순한 기회의 평등과 자의적 차별금지라는 형식적 평등의 차원을 넘어 사회적 불평등을 시정하기 위한 국가의 적극적 기능을 요구하는 실질적 평등도 내포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다음으로 이 두 가지 차원의 평등, 즉 형식적 평등과 실질적 평등의 관계, 이를 기초하고 있는 헌법적 인간상, 평등과 함께 헌법적 인간상의 양대축을 형성하고 있는 자유의 성격 혹은 이 두 가치를 포괄하는 인간의 존엄과 가치의 의미, 기본적 인권을 확인하고 보장할 의무를 가진 국가의 본질과 기능에 대한 논의를 일관되고 체계적으로 전개시킬 정치철학적 기초를 공화주의적 평등론에서 찾는다. 이 연구에서 공화주의적 평등론은 롤즈나 드워킨의 평등주의적 자유주의의 평등론과 루소식의 평등주의적 평등론을 승화시킨 정치철학적 비전으로 비지배적 자유와 적극적 혹은 능동적 자유에 기초한 공공의 시민적 자발성이 활성화되어 사회적 불평등을 구조화하는 법적 사회적 폐습을 일소할 목적을 가진 국가의 광범위한 형성적 작용을 정당화한다. This paper assumes two arguments. First, the principle of equality should be conceived to cover not only the idea of formal equality but also that of substantive equality. Formal equality centers on the equality of opportunity and non-discrimination which tend to neglect or ignore substantive differences in human conditions and social realities while substantive equality attempts to provide substance to the concept of equality. Second, the unsatisfied reality that equality as formal equality dominates equality discourses in Korea can be attributed to the lack of a comprehensive and basic political philosophic understanding of equality though it is well embedded in the Korean Constitution. This represents a distorted constitutional ideal and practices of the democratic republic. This paper also tries to demonstrate that if egalitarian approach seeing equality as the basic virtue of the democratic republic is equipped with a republican concept of liberty as non-domination and self-help, it can be a stepping stone to reformulate the principle of equality as the basis of a republican co-existence by way of enhancing substantive equality.

      • KCI등재

        드워킨의 자유주의적 중립성론

        양화식 한국법철학회 2013 법철학연구 Vol.16 No.1

        Today liberalism which has liberal neutrality in its central ideas is challenged by communitarianism in America. Communitarians mostly criticize primary theses of liberalism, that is, the priority of the right over the good and the conception of unencumbered self. They reject these theses of liberlas on the basis of the priority of the good over the right and the conception of encumbered self. But Dworkin, today the foremost proponent of liberal egalitarianism, has an ingenious strategy for these challenges. Dworkin's main arguments are based on some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liberal equality: interdependence of the right and the good, the “challenge modell” of ethics, liberalism based on equality, that is, the principle of equal concern and the equality of resources, and the idea of liberal community. This paper aims at critical examination of these philosophical foundations Dworkin's conception of liberal neutrality. 오늘날 자유주의는 국가의 윤리적 중립성을 중핵으로 하고 있다. 즉 국가는 좋은 삶에 관한 견해들 사이에서 중립성을 지킴으로써 인간을 자신의 목적을 자신이 선택하는 자유롭고 독립적인 자아로서 존중할 것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국가가 특정한 선관을 본질적으로 가치 있는 것으로 인정하고 이 가치관에 따라 특정한 삶의 방식을 강조 또는 조장하고 이에 배치되는 삶의 방식을 금지 또는 배제하는 것은 이 사상에 배치된다. 그런데 국가의 가치관적 중립성이 개인권리 존중의 철학적 토대로서 일관되게 그리고 지속적으로 전개된 것은 헌법적 문제와 관련하여 전개된 미국의 사법실무에서이다. 미국의 사법실무에서 국가의 가치관적 중립성이 논의되는 헌법적 문제는 종교의 자유, 표현의 자유, 포르노, 동성혼 등의 성도덕문제, 낙태, 피임 등의 가족관계, 그리고 복지권 등이 자주 거론되어 왔다. 그러나 국가의 중립성을 중핵으로 하는 자유주의는 오늘날 특히 영미의 법철학 및 정치철학계에서 공동체주의자들과 완전주의자들로부터 세찬 도전을 받고 있다. 마이클 샌델과 매킨타이어를 대표로 하는 공동체주의자들은 자유주의의 주요한 철학적 토대인 ‘옳음의 좋음에 대한 우선성’과 자발주의적 자유관을 비판하고, 연고적 자아관과 좋음의 옳음에 대한 우선성을 주장함으로써 국가의 윤리적 중립성을 배격한다. 오늘날 반완전주의적 자유주의의 대표자로는 자유주의적 평등론자인 존 롤즈와 로널드 드워킨을 들 수 있는데, 특히 무연고적 자아관과 옳음의 우선성을 핵심으로 하는 자유주의와 연고적 자아관과 좋음의 우선성을 핵심사상으로 하는 공동체주의를 변증론적으로 지양하여, 자유주의적 중립성의 굳건한 철학적 토대를 독창적으로 제공한 사람은 드워킨이다. 드워킨은 옳음의 우선성에 기초한 권리사상을 기본 출발점으로 삼고 있지만, 옳음과 좋음 내지는 정의와 윤리의 상호의존성을 인정하며, 또한 개인과 공동체의 상호의존 내지 통합을 주장한 점에서,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를 지양한 ‘통합적 자유주의’를 주장한다. 그리하여 본고는 이러한 특성을 갖는 드워킨의 통합적 자유주의의 중립성 논변을 뒤받침하는 몇 가지 철학적 토대들을 보다 명료하게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다시 말해 본고에서는 자유주의적 중립성의 ‘일반적’ 정당화에 관한 드워킨의 철학적 토대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함을 주된 목표로 삼고 있다.

      • KCI등재

        소춘 김기전의 동학 이해와 평등사상 - 근대 계몽기 소년해방운동을 중심으로

        조극훈 동학학회 2016 동학학보 Vol.0 No.41

        This study aims to articulate the equality ideology of Sochun Kim Gi-Jeon, who was a representative thinker of Donghak Cheondoism in the modern enlightenment era of Korea, centering on the juvenile liberation movement. So far, the existing literature has only focused on his culture movement such as the women liberation movement or educational aspects in his achievements. However, with this narrow scope, there is a limitation to fully grasp the in-depth theoretical aspects of Kim Gi-Jeon.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identify ideological aspects of Kim Gi-Jeon, focusing on his ideology of equality. This study has discussed Kim Gi-Jeon’s understanding on Dong-hak. It has also analyzed Suun Choi Jeu’s Sicheonju as well as Haewol Choi Si-hyeong’s Sainyeocheon and his attitude towards childre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deology of equality. Furthermore, this article has focused on Kim Gi-Jeon’s juvenile liberation movement by introducing his media activities, acceptance of western ideologies and the enlightenment activities such as children and women liberation movements. It became obvious that his juvenile liberation movement was an exemplary case that reflected the equality ideology of Dong-hak in personal, ethical and economical aspects. Lastly, the characteristics of Kim Gi-Jeon’s equality ideology were examined.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ochun Kim Gi-Jeon’s enlightenment activities, including the juvenile liberation movement, was based on the ideology of equality. Moreover, it was noteworthy that in his equality ideology the causes of and solutions to inequality were investigated based not only on humane ethical but also socio-economic aspects. I hope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exploring activities of intellectuals in the modern enlightenment era. 이 연구의 목적은 근대 계몽기 동학 천도교의 대표적인 사상가였던 소춘 김기전의 평등사상을 소년해방운동을 중심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그동안 김기전 연구는 주로 어린이 운동과 여성 운동을 비롯한 문화운동이나 교육적 측면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김기전의 깊은 사상적 면모를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김기전의 평등사상을 중심으로 하여 그의 사상적 면모를 밝히는 데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김기전의 동학이해가 어떤 것인지 논의하였다. 수운 최제우의 시천주, 해월 최시형의 사인여천 및 어린이에 대한 태도 등을 평등사상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김기전의 언론활동, 서구사상의 수용, 어린이 및 여성운동 등의 계몽활동을 개괄하면서 소년해방운동의 면모를 제시하였다. 특히 그의 소년해방운동은 인격적 측면, 윤리적 측면, 경제적 측면에서 동학의 평등사상을 엿볼 수 있는 사례임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김기전의 평등사상의 특징이 무엇인지 규명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소춘 김기전의 소년해방운동을 비롯한 계몽활동은 평등사상에 근거하고 있음을 밝혔다. 특히 그의 평등사상에는 인간적 윤리적 차원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차원에서의 불평등의 원인과 해결책이 모색되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 연구는 근대계몽기 지식인의 활동을 연구하는 데 사상적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자유민주주의의 한계와 가망성

        김동근 ( Dong Keu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0 윤리교육연구 Vol.0 No.23

        이 연구의 목적은 자유민주주의의 가치를 규명하면서, 그것의 결함을 찾아내고, 그럼에도 자유민주주의가 인류의 행복을 보장할 가망성이 있는가를 점검해 보는 데 있다. 자유민주주의는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의 타협의 결과 성립된 정치이념이다. 자유주의의 주체는 부르주아 계급인데 인민대중의 민주주의 요구를 받아들여 자유민주주의를 만들었다. 자유민주주의의 기본이념은 인간존중과 자유·평등의 조화로운 실행이다. 그런데 자유주의는 불평등을 낳고 민주주의는 비효율성을 드러내어서 존폐의 위기까지 겪었다. 그러나 자유민주주의는 권력의 민중적 기반을 확대시켜서 다수 국민의 동의에 의거하는 한편, 각자의 자유권을 확보하기 위해서 국민에 의한 권력의 통제를 기도하는 통치형태로 정착하였다. 인류는 오늘날까지 온갖 정치적 경험을 겪어오는 가운데서 자유민주주의야말로 권력에 내재하는 결점을 가장 잘 보완하여 모든 국민의 인간적 성장과 복지의 실현에 가장 많은 공헌을 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린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values of liberal democracy, to search for the defects in it, and to judge the probability of liberal democracy to build the happy human society. The liberal democracy is a political ideology from compromise of the liberalism and democracy. The subject of liberalism is the bourgeoisie, who accepts the demand for the democracy, and unites into liberal democracy. The fundamental idea of liberal democracy is the human-respect and the harmonic practice of liberty and equality. Then the liberalism makes the inequality and the democracy is exposed the inefficiency, and it went through the crisis of the maintenance or abolition. But the liberal democracy is based on the assent of the large mass of the people. and settles as a defined ruling format that is controled by the large mass of the people to achieve their respective liberty.

      • KCI등재

        정의란 무엇인가

        김철(Chull Kim) 한국사회이론학회 2011 사회이론 Vol.- No.39

        정의론(what is justice)이 최근 한국 학계에 던진 도전은 공동체주의(Communitarianism)를 검토하는 것으로 우선 나타났다(한국법철학회: 2010. 5.)(한국사회이론학회: 2010. 12.) 공동체주의와 자유주의의 양극화된 대립적 파악에 대해서 한국사회이론학회(2010. 12.)의 어떤 논자(남 인숙)는 “공동체주의나 OO주의의 언어보다 공동체적 가치와 개인적 가치의 관계로 문제를 환원해야 근대와 현대 사회를 적절하게 다룰 수 있다”고 지적한다. 또한 사회이론학회의 어떤 논자(김 광기)는 “공동체가 지닌 알려지지 않은 또 하나의 얼굴에 대하여”(2005.11.)에서 “공동체의 복원 또는 회복을 부분적으로는 부인하지 않으면서 과도한 기대를 피해야 할 필요”를 논하고 있다. 이 논자는 “공동체의 문제가 근대성(modernity)의 문제를 대체할 수 있는가”라고 물어 본 듯하다. 2010년 5월의 한국법철학회의 한 주제 발표자(신 동룡)는 논의의 방식을 자유주의(liberalism)를 공동체주의와 대립되는 것으로 파악하는 데서 출발했다; 논문 필자는 이러한 이항 대립 내지 이분법이 최현대의 맥락에서 볼 때, 한국법학의 지난날의 인습적인 선입견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지적한다(김 철, 2010. 6: 99-138)(김 철, 2010. 08: 661-700)(김 철, 2010. 12: 454-459). 논문 필자는 정의(justice)란 무엇인가라는 최근 한국 학계의 질문에 대면해서 공동체주의가 던진 도전(Sandel, 1982)(한국법철학회, 2010. 5)에 대해서, 다음 두 가지의 경로로 새로운 시도를 행한다. 첫 번째 경로는 한국법학계(법사상·헌법사상)에서 충분한 검토 없이 받아들이면서 인습적으로 받아들였던 가장 기본적인 고전적 철학 명제의 새로운 검토이다. 즉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론의 핵심을 이룬다고 간주했던 정의(justice)=평등(equality) =“같은 것은 같게(like for like)”라는 단순화된 명제의 분석적, 법학적 검토이다. 왜냐하면 최근 한국학계에의 도전이 된 공동체주의의 어떤 사상적 맥락에 따르면 아리스토텔레스-루소-헤겔이 같게 연결된다고 파악한다(신 동룡, 2010. 5: 27-33). 또한 평등사상의 법학적 연원에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정의(justice)는 평등(equality)이다”라는 명제로 출발하는 경우가 있었다. 공동체주의의 사상적 연원을 아리스토텔레스에서 찾는 것을 일단 받아들인다. 또한 고대 그리스의 평등사상도 아리스토텔레스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그렇다면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의 아리스토텔레스는 평등사상과 함께 공동체주의도 연원이라 볼 수 있다. 즉 평등사상과 공동체주의가 고대 서양문화에서는 뿌리가 같다고 할 수 있다. 2010년 5월의 한국 법철학회에서의 어떤 논자가 공동체주의를 자유주의와 대립 개념으로 설정한 것은 아마도 “공동체주의=평등사상”, “자유주의=평등과 대립되는 개인의 자유”라는 도식에서 무의식적으로 나온 듯하다. 공동체주의와 자유주의를 대립개념으로 파악하는 것은 서양법제도의 오랜 역사, 특히 근대 이후의 자유주의의 변용 과정을 볼 때 잘못되었다는 논문 필자의 지적(김 철, 2010. 6: 110)에 대해서 한국법철학회의 한 논자(신 동룡)가 “한국은 대륙법 전통이기 때문에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를 대립시킨다”라고 답변했다. 이러한 답변은 한국 법학의 지난 시절의 역사적 잔존물, 즉 이전 세대의 경험이 무의식층으로 내려가서 이후에도 변화하지 않고 고착(fixation)되어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 증거는 두 가지로 들 수 있다. 지난날을 돌이켜보건대, 서양 철학의 관념론 시대에는 자유는 평등과 모순된다고 가르쳤다(김 철, 2010. 8: 692-694). 추가로 지적할 것은 1945년 해방 이후 사상적 혼란기를 거쳐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대학시절을 보낸 지식인들의 어떤 관념적 성향이다. 즉 그들이 서양문화를 받아들이는 데 있어서, 서양 문화의 원류인 유대-기독교전통과 헤겔-마르크스적 사유의 대립이 동·서 양 진영의 분열로 나타나고, 법사상은 분열되었으나 이를 종합하거나 해결할 수 없었다(김 철, 2009ㄴ: 380-444). 필자의 전제는 우선 동유럽-러시아 혁명(1989)을 계기로 법제도의 영역에서 이 두 가지 전통의 대립이 제도적으로 소멸되어가고 있다고 진단한 것이다(김 철, 2009ㄴ: 380). 필자는 2008년 세계경제위기 이후 세계 각처와 한국의 대학가에서 다시 논의되는 헤겔류의 사고에 대해서 헬라 철학의 새로운 해석(김 철, 2009ㄴ: 413-445; Arendt, 1978: 12)을 통해서 극복하고자 한 적이 있다. 이와 관련된 공동체주의의 윤리철학 및 정치철학의 담론에 대해서는 이 종은 교수의 「평등, 자유, 그리고 권리」(2011 출간 예정)를 크게 참조하였다. 마지막 경로로 논문 필자는 최근 다시 일어난 “정의란 무엇인가”의 질문에 대해서 한국 학계에서 28년 전에 출간된(1983), 그러나 분야의 벽에 차단되어 다른 분야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던 서양근대사상사학자의 연구를 소개한다. 차 하순 교수는 「형평의 연구-17·18세기 유럽정치사상을 중심으로」에서 자연법적인 형평(equity)사상을 평등의 기초가 되는 것으로 강조하여, 이전의 평등론이 가졌던 기계적이고 집단주의적 요소를 초과하고 있다. 법학자로서 논문 필자는 차 교수의 서양근대사상사 연구에서 나타난 형평사상이 사상으로 그치지 않고 제도로 응고되어 역사적으로 실재한 법제도를 강조한다. 즉 영국의 형평법(equity)의 발전과 형평재판정(Courts of Equity)에 주목하고, 더 소급해서 로마법에 나타난 형평법(차 하순, 1983: 3; 최 병조, 2007)을 형평(equity) 사상의 실제 예로 든다. Recently, a sharp contrast between communitarianism and liberalism has appeared at Korean Society of Legal Philosophy. This writer criticizes that the dichotomy between “communitarian theory vs. individualistic theory” is correct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legal philosophy(Harold Berman, 1998). The modern liberalism is not identified with individualism. This paper attempts to find out the cultural root of first, Liberalism vs. Communitarianism dichotomy, second, Freedom vs. Equality dichotomy in Korean academic and journalism society. Partly because we have regarded Neo-Conservatism or Neo-Liberalism as genuine Liberalism almost for 30 years since 1980`s. This paper deals with Aristotelean concept of Justice and Equality because he has been thought the root of coummunitarian theory and “justice-equality” formular. The result is that we can not apply Aristotle`s well-know classic formular of justice, “like for like, unlike for unlike” to modern society. If without the help of 14th Amendment jurisprudence of equality of law, “like for like, unlike for unlike” formular, in its logical thinking, is apt to related with collectivism or collective classification of people. This paper clarifies the medieval life style of collectivism and a genuine experience of communitarian justice comparing to collectivism. “Freedom & Equality” in the French Reformation(1789) was not seperated in modern Natural Laws; and since East-Europe & Russian Revoltion (1989), the tension & barrier between these two basic values has melted down, this writer argues. In the context of post-Economic crisis(2008-) and reflections on Neo-Conservatism, Anomy since 1980`s, this paper tries to shed light on 「Equity」 theory of prof. Cha Ha Soon because his emphasis of natural law approach to Equity in 17th and 18th political thought of Europe. While he stresses equal liberty” and “just equality” as a role of Equity, this writer emphasizes the development of Equity jurisprudence in England along with the institutional problem-solving role of Courts of Equity since 15th century.

      • KCI우수등재

        원측(圓測) 법화경(法華經) 일승(一乘) 인식의 특징과 그 교판적 의미

        장규언(JANG, Gyu-eon) 불교학연구회 2015 불교학연구 Vol.44 No.-

        이 글은 원측 (圓測, 613-696) 법화경 (法華經) 일승 (一乘) 인식의 특징을 조명하고 그의 인식이 해심밀경 (解深密經) 의 ‘ 삼시 교판 (敎判)’ 해석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 지를 밝히려는 시도이다 . 이와 관련하여 필자가 주목한 것은 일승을 명시한 「방편품 (方便品) 」의 핵심 구절 “十方佛土中, 唯有一乘法, 無二亦無三, 除佛方便說.” 해석에서 원 측이 자신이 지지하는 관점의 경증 (經證) 으로 진제 (眞諦, 499-569) 섭대승론석 (攝大 乘論釋) 구절을 인용하고 있는 반면 이와 대립되는 규기 (窺基, 632-682) 해석을 지지 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 필자는 이곳에서 법화경 일승 설법에 대한 원측 인식이 가장 선명하게 드러났다고 보고 이하에서 그가 어떤 의도에서 진제를 경증으로 인 용하였으며 또 반대로 왜 규기의 해석을 수용하려 하지 않았는지를 해명하려 한다 . 먼저 원측이 어떤 맥락에서 문제의 법화경 구절을 경증으로 인용하거나 해석 하고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 원측은 「무자성상품」 경문 속 일승의 의미를 밝히기 위 해 문제 구절을 경증으로 인용하면서 그 일승의 의미를 삼승 (三乘) 수행자의 ‘ 해탈신(解脫身) 의 평등 ’( 결과의 동일성 ), 삼승 수행자의 ‘ 리취 (理趣) 의 평등 ’( 수행의 기반 또 는 수행의 궁극 이상의 동일성 ), 삼승 수행자의 ‘ 리취를 향한 길 [理趣道] 의 평등 ’( 궁 극의 이상을 향한 수행의 동일성 ) 으로 이해하고 있는데 셋 모두 ‘ 진여 (眞如) 의 평등 ’과 연관되어 있는 점이 특징적이다 . 다음으로 원측 해석의 연원을 추적하기 위해 진 제 섭대승론석 인용의 전후 맥락을 확인하고 그것과 연관된 , 진제 수행론 속을 관통하는 ‘ 진여 ’ 의 의미와 진제가 삼시 교판 체계 안에서 법화경 을 어떻게 이해했는지 간략하게 살펴본 결과 , 진제는 진여의 보편성의 관점에서 소승 (小乘) 의 수행 역시 결국 불승 (佛乘) 의 결과로 이어진다는 점을 강조하며 , 또 같은 맥락에서 법화경 일승 설법의 근본 의도 역시 대소의 차별 의식으로 인한 갈등을 잠재우기 위해 소승과 대승의 연속성과 동일성을 강조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 이어서 문제의 구절 , 규기가 일승의 의미로 제시한 보신 (報身), 원측 자신이 일승의 의미 중 하나로 제시한 해탈 신 등에 대한 규기의 해석을 고찰하면서 거기서 원측과 대비되어 상대적으로 두드 러지는 해석 경향을 밝힌 결과 , 규기의 파이귀일 (破二皈一) 의 입장은 일승 설법을 타 자인 이승 (二乘) 을 배제함으로써 불승의 유일성을 자각시키려는 의도에서 행해진 것으로 이해하며 , 또 같은 관점에서 불과 이승 수행자의 ‘ 해탈신 ’ 을 각각 ‘ 진해탈 (眞 解脫)’( =보신 ) 과 ‘ 가해탈 (假解脫)’ 로 구별하여 우열을 가리면서 양자 간의 궁극적 차 이를 강조하고 있다 . 결론적으로 원측은 문제의 구절을 해심밀경 경문 속 ‘ 일승 ’ 해석의 경증으로 활용함으로써 해심밀경 의 ‘ 일승 ’ 을 상이한 삼승 수행자의 ‘ 궁극적 이상 및 수행 기반의 평등 ’, ‘ 궁극적 이상을 향한 수행의 길의 평등 ’, ‘ 해탈신의 평등 ’ 으로 해석하 고 있는데 , 이는 진여의 보편성의 관점에서 대승과 소승의 연속성을 강조하며 법화 경 의 일승 설법이 대소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행해진 것으로 보아 그것을 ‘ 삼시 교판 ’ 체계의 제 3 료의 (了義) 로 귀속시킨 진제 사유를 계승한 것이라 볼 수 있다 . 반면 원측은 대승과 소승의 차이를 강조하는 규기의 일승 해석은 증익 (增益) 의 극단에 빠 질 위험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수용하지 않은 듯하다 . 이처럼 진제의 사유를 계승한 원측은 문제의 법화경 구절을 삼시교판 체계에서 최상의 가르침으로 인식된 해 심밀경 경문 속 ‘ 일승 ’ 해석을 위한 경증으로 활용하면서 ‘ 진여의 평등 ’ 이라는 입 장에서 그 ‘ 일승 ’ 의 의미를 상이한 삼승 수행자가 공유하고 있는 ‘ 궁극적 이상 [理趣] 또는 수행의 기반 [法界] 의 평등 ’, ‘ 궁극적 이상을 향한 수행의 길 [理趣道] 의 평등 ’, ‘ 해 탈신의 평등 ’ 으로 해석하고 있다 . 동시에 이를 통해 법화경 일승 설법 역시 해심밀경 과 같은 최상의 가르침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 This paper is a trial of exposition on characteristics of Woncheuk's view on ekayāna in Saddharmapuṇḍarīka-sūtra and appreciation of its meaning from a viewpoint of Theory of Third Buddha-cakras in Saṃdhinirmocana-sūtra. As for this, I noticed a famous passage in Saddharmapuṇḍarīka-sūtra, “ 十方佛土中 , 唯有一 乘法 , 無二亦無三 , 除佛方便說 .” Because in exposing his view on various interpretations about the very passage, Woncheuk ( 圓測 613-696, Ch. Yuance) quoted a passage from Shedashenglun-shi ( 攝大乘論釋 ) of Vasubandhu, which was translated and added by Paramārtha ( 眞諦 499-569, Ch. Zhendi) as canonical evidence for a second interpretation, which he supported, and on the contrary, does not support the first interpretation, that of Kuiji ( 窺基 , 632-682). I believe Woncheuk’s view on ekayāna in Saddharmapuṇḍarīka-sūtra is most outstanding in this point, and so I illuminate with what intention he cites a passage from Paramārtha and why he would not accept Kuiji’s interpretation. For this, first I investigated in what context Woncheuk presents the very passage as canonical evidence for the meaning of “One” in Saṃdhinirmocana-sūtra. I found that in his thought ekayāna in both Saddharmapuṇḍarīka-sūtra and Saṃdhinirmocana-sūtra means the Equality of Ideal ( 理趣 ) (=Buddha’s ultimate Enlightenment) or of Base ( 法界 ) (=Buddha-nature as source of cultivation), the Equality of Liberation-body ( 解脫身 ), and the Equality of Ways to Ideal ( 理趣道 ). I also found that these three are all based on the Equality of tathatā. Second, in tracing the origin of his interpretation, I consulted the context of the citation from Shedashenglun-shi of Paramārtha; the meaning of tathatā in his Buddhist practice system, and his interpretation of Ekayāna Doctrine in Saddharmapuṇḍarīka-sūtra into Theory of Three Buddha-cakras in Saṃdhinirmocana-sūtra. Paramārtha emphasizes that the practice of Hearer's Vehicle will be succeeded to the ultimate result of Buddha's Vehicle from the viewpoint of the universality of tathatā, and, subsuming Saddharmapuṇḍarīka-sūtra under the Third nitārtha, understands that Buddha preached the continuity and equality between Hearer's and Great Vehicle to reconcile the earnest conflict between the two Vehicle practitioners. Third, to expose the outstanding tendency of Kuiji's interpretations relative to that of Wocheuk, I scrutinized his understanding of the very passage, Enjoyment-body ( 報 身 ), and Liberation-body. Contrary to Paramārtha, Kuiji throughout stresses the discontinuity between the groups of practitioners mentioned above to invoke that the one and only Buddha's Vehicle (=Enjoyment-body) is superior to Hearer's Vehicle, and intentionally discriminates Liberation-body of the former, “True Liberation” ( 眞解脫 ) (=Enjoyment-body) from that of the latter, “Metaphorical Liberation” ( 假解脫 ), emphasizing the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 conclus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Equality of tathatā, Woncheuk interprets the meaning of “One” in Saṃdhinirmocana-sūtra as the Equality of Ideal or Base, the Equality of Ways to Ideal, and the Equality of Liberation-body between the two groups of practitioners in terms of employing the very passage in Saddharmapuṇḍarīka-sūtra as canonical evidence. In this sense, Woncheuk is believed to be a continuer of Paramārtha that subsumes Ekayāna Doctrine in Saddharmapuṇḍarīka-sūtra under the nitārtha in Theory of Three Buddha-cakras in Saṃdhinirmocana-sūtra for emphasizing the continuity between the two Vehicles. On the other hand, he refuses Kuiji’s interpretation of the very passage because he believes that such interp

      • KCI등재

        자유주의, 공동체주의, 정체성 주장

        설한(Hahn Suhl) 고려대학교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 2013 평화연구 Vol.21 No.1

        본 논문은 공동체주의자들과 다문화주의 혹은 정체성의 정치 옹호자들이 자유주의 정치이론에 대해 제기하는 일부 근본적인 비판과 관심사를 분석한다. 이를 위한 전략으로 전반부에는 그간 이어져온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논쟁의 궤적을 양 진영 간의 비판과 대응을 중심으로 하여 비판적인 관점에서 개괄적으로 고찰한다. 이를 발판으로 하여 후반부에는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논쟁에서 제기된 주장들이 정체성의 정치 혹은 다문화주의와 관련된 보다 최근의 논쟁에서 어떻게 다시 전개되어 왔는지를 검토한다. 분석의 초점은 이들의 자유주의 비판 간에 있는 유사성에 주목하여 자유주의적 자아가 지나치게 추상적이고 개인주의적이라는 비판과 자유주의는 비중립적이며 특수한 삶의 방식이나 특정 범주의 사람들에게 편견적이라는 비판에 둔다. 첫 번째 비판과 관련해서는 정체성이 왜 정치적으로 중요하며 무시되어서는 안 되는지 그 이유를 설명한다. 두 번째 비판과 관련해서는 물질적ㆍ사회적 조건 그리고 문화와 정체성에 있어서의 심각한 차이가 존재하는 맥락 속에서 평등을 동등한 대우로 인식하는것은 불공정한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그리하여 이런 가능성을 심각하게 고려한다면 다문화주의가 요구하는 것은 자유주의자들은 차이(difference)를 무시하기보다는 오히려 더 유의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와 더불어 제시되는 주장은 첫째, 자유주의에 대해 처음에는 공동체주의자들에 의해 그리고 이후 다른 형태로 다문화주의자들에 의해 제기된 위의 문제점들은 자유주의에 대해 유사한 우려를 보여준다는 것이다. 둘째, 이런 문제들은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논쟁에서 원래 제기되었던 것처럼 추상적 차원에서는 해결될 수 없으며, 어떤 유형의 주장이나 요구들이 자유주의 정의론 내에 수용될 수 있는지 없는지를 구체적으로 분석 및 고찰함으로써 컨텍스트적인 차원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탐구될 수 있다는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some fundamental criticisms made by communitarians and proponents of multiculturalism or identity politics against liberal theory. The strategy for this purpose is, in the first part, to give an overview of the liberal-communitarian debate, focusing on the criticisms and responses exchanged between them. In the second part, using this as a stepping stone, how those arguments are redeveloped in a more recent debate about identity politics or multiculturalism is explored. Attending to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criticisms of communitarians and multiculturalists, the focus of analysis is put on the criticisms that liberal self is excessively abstract and individualistic and that liberalism is non-neutral or biased against particular ways of life or certain categories of people. Concerning the first criticism, it is argued that identity is politically important and thus should not be ignored. With regard to the second criticism, it is emphasized that conceiving of equality as equal treatment can lead to unfair results in the context of deep differences in material and social position, and cultural differences. So, it is suggested that liberals should focus on the need to attend to, rather than abstract from, such differences. Among the central arguments in this paper are that the challenges posed first by communitarians and then by multiculturalists show similar concerns and worries about liberal theory, and that these problems cannot be resolved at the abstract dimension. It is suggested that they can be more effectively explored at a contextual dimension by considering what types of arguments and claims can be incorporated within a defensible liberal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