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버럴아츠칼리지의 형성과 발전, 그리고 한국형 리버럴아츠칼리지의 미래

        박병철 한국교양교육학회 2018 교양교육연구 Vol.12 No.1

        In the late 19th century, Morrill Land-Grant College Act enabled the establishment of many state universities nationwide, and resulted in the crisis of the liberal arts colleges in the US. Liberal arts colleges had to compete with universities equipped with vocational majors such as agriculture and mechanical arts. But it was not until 1980s that the number of liberal arts colleges fell dramatically. Worries grow as some liberal arts colleges merged with bigger universities and others closed operations. Many predict the majority of liberal arts colleges will disappear or lose their identity. In the mean time, some universities in Korea introduced liberal arts colleges (K-LAC). K-LAC is unique in that it is a college covering liberal education within a university. We may expect K-LAC will restore liberal education, once neglected or distorted in Korean university system. For successful settlement of K-LAC system, some consideration of the followings is suggested. We need to find the best Korean word equivalent to ‘liberal arts’ first. We also call for increased efforts to promote public understanding of the value and importance of liberal arts and liberal education. Finally, close scrutiny will be necessary for the extension of liberal education under the liberal arts college system. 미국의 리버럴아츠칼리지는 원래 영국에서 도입한 시스템이지만 유럽에서는 산업혁명 이후 일찌감치 포기한 제도이다. 미국에서도 19세기 후반 모릴법의 여파로 공학과 농학 중심의 대규모 주립대학들이 만들어지면서 일차적인 위기를 맞았으나 1980년대 이후에 리버럴아츠칼리지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실질적인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적지 않은 수의 리버럴아츠칼리지들이 대규모 대학과 합병하거나 종합대학으로 변모하거나 사라질 위기를 맞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몇몇 국내 대학에서는 리버럴아츠칼리지 도입을 시도하고 있다. 이른바 한국형 리버럴아츠칼리지(K-LAC)는 그 자체로 리버럴아츠 교육만을 담당하는 소규모 대학으로 생겨난 것이 아니라 종합대학 내 단과대학으로 시도되고 있다는 점에서 그간 왜곡된 교양교육의 정상화와 강화에 기여하고, 학령인구 급감으로 인한 인문학 및 기초학문의 고사위기를 타개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다. 한국 대학 체제에서 그간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여겨졌던 자유교양교육이 체계적이고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기 위해서는 ‘리버럴아츠’라는 용어에 대한 고민과 더불어 리버럴아츠 교육의 가치와 중요성에 대한 일반 대중의 인식 변화를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하며, 한국형 리버럴아츠칼리지의 한 특징인 대학 내 대학으로서 안착하기 위한 외연 확장을 위한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교정시설 내 인문학 교육의 현재와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정봉길 한국교정학회 2015 矯正硏究 Vol.- No.66

        Today, the liberal arts education in Correctional facilities have been most one-offthing and have not been done systematic training. Above all, the reason is due toignorance and apathy on the liberal arts of the staffs. In view of this points, This treatise is drawen up with the two directions inmind for a substantial education in the liberal arts. One is What is the liberal arts and Why do need a liberal arts education inCorrectional facilities the other is Who is the object of a liberal arts education andWhich way do educate?The former study the concept of liberal arts of the East and the West andClement Course has an effect on the liberal arts education in Correctional facilities. and I study the reason why the liberal arts education will give a helping hand toprisoners. The latter I study that the liberal arts education also need staffs as well asprisoners. In particular, prison officer in Education charge should be the role of professor. But in existing researchs, There is no discussion Education staff How to train withany program. For this reason, I emphasizes that “the liberal arts education” mustbe organized into formal courses and It must be done periodic training. Educationfor prison inmates also study Subject selection, training objectives, training andinfrastructure. The important thing for a successful liberal arts education is that prison officers know the meaning of liberal arts education. And prison officers should conduct asystematic training to prison inmates. For this purpose, Education for staffs must be done preceding. In that Thistreatise is significant to take pains of necessity of liberal arts education. 오늘날 교정 현장의 인문학 교육은 대부분 일회성으로 행해지고 있으며 체계적인 교육은 실시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보다 교정 직원들의 인문학에 대한 무지와 무관심에 기인한다. 이런 점들을 고려하여 본 논문은 내실 있는 인문학교육을 위해 두 가지 방향을 염두에 두고 작성하였다. 그 하나는 인문학이란 무엇이며 왜 교정 시설에서 인문학 교육이 필요한지 그이유를 밝히고자 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인문학 교육은 누구를 대상으로 어떤 방법으로 실시하느냐? 하는 것이었다. 전자를 위해 동·서양의 인문학 개념과 클레멘트 코스가 우리 교정 시설 내 인문학 교육에 끼친 영향 등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인문학이 어떻게 수용자들의 삶에도움을 줄 수 있는 이유를 연구하였다. 후자에 있어선 수용자 위주의 인문학 교육이 수용자뿐 아니라 직원들에게도 필요하다는 것과 그 구체적인 교육 방법을 논하였다. 특히 교육 담당 직원은 대학의 지도교수의 역할을 해야 함에도 기존의 연구들엔이들 교육 담당 직원을 어떤 프로그램으로 어떻게 교육 시킬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없었다. 이에 필자는 법무 연수원에 “인문학 교육”을 정식 과목으로 편성하여 주기적인교육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수용자 교육에 있어서도 대상자 선정, 교육 목표 설정, 교육 인프라등에 대해 연구하였다. 교정 시설 내에서 성공적인 인문학 교육을 하는데 중요한 것은 교정 직원들이인문학 교육의 의미와 필요성을 깨달아 수용자에게 체계적인 교육을 실시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직원들에 대한 선행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 점에서 이 논문은 교정 시설 내에서 인문학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고민을 한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과정 편성에 관한 연구

        임선애,김상운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7

        The liberal arts education of the university is an important education to educate the university together with the major education. Some universities prepare for future societies requiring convergenc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iberal arts education, it is showing a tendency to strengthen liberal arts education. The strengthening of liberal arts education is often carried out by reviewing and reviewing various problems such as educational goals, curriculum, opening of curriculum, professor in charge of curriculum, specialized institution, and administration. They are of organic relevance and contribute to changing the quality of liberal arts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sirable composition of curriculum for university liberal arts. First, the research trends of universal liberal arts curriculum are summarized. Second, based on the liberal arts curriculum presented in the Liberal Arts Education Standards of the Korea Liberal Arts Education Foundation. The course analyzes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esirable direction of university liberal arts curriculum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s. As a result, the tendency of curriculum trends in liberal arts curriculum has changed from the tendency of discussing general liberal arts curriculum to liberal curriculum. It can be seen that the liberal arts curriculum uses a wide variety of names. The name that is used variously means to have self-rightness and autonomy, but it may mean that there is no philosophy about liberal arts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iberal education that enhances criticism and problem solving ability.

      • KCI등재후보

        대학에서 인성역량 강화를 위한 융합교양교육의 실제 : ‘고전 읽기와 글쓰기’ 강좌를 중심으로

        박영민(Park, Young-Min)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0 교육발전 Vol.4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교양교육에서 실천해야 할 인문교양교육의 방향성을 밝히고, 미래사회의 핵심역량인 ‘인성역량’ 개발을 위한 ‘고전 읽기와 글쓰기’를 연계한 융합교양교육 프로그램을 설계·개발·예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이론적 기초로서 대학 교양교육과 미래사회의 핵심역량, 인성교육과 대학 인문교양교육, 인성역량 개발을 위한 융합교양 강좌 운영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탐색한 이론에 기초하여 대학의 교양교육에서 인성역량 강화를 위한 인문학 융합교육 프로그램인 ‘고전 읽기와 글쓰기’ 강좌의 수업계획서(안)를 설계·개발·예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교양교육과 연계한 인성교육의 이론을 중점적으로 탐색하고, 인성교육 방법으로써 ‘고전 읽기와 글쓰기’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대학 교양강좌에서 인문학 연계 융합교육인 ‘고전 읽기와 글쓰기’를 연계한 인성교육을 위한 수업지도안을 개발·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대학의 교양교육에서 ‘고전 읽기와 글쓰기’를 중심으로 하는 인문학연계 융합교양교육 프로그램은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 개발이나 인성기반 (비)교과 활동 프로그램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대학에서 인성교육 활성화를 위한 후속 연구의 주제는 각 대학별 인재상과 교육목표를 반영한 인성역량과 하위요소를 추출하여, 대학별 특색을 반영한 교양교육과 (비)교과 교육을 연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천, 대학생 인성교육의 효과 측정을 위한 평가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larify the direc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to be carried out in liberal arts education at universities, and to design and develop a convergence liberal arts education program linked with ‘Classic Reading and Writing’ course to develop ‘character competency’ as a core competency in the future society. As a theoretical basis of the research, it was explored that liberal arts education and core competence in the future society, character education and humanities education at university, and the possibility of operating a convergence liberal arts course for the character development. Based on the searched theory, the researcher designed, developed and exemplified a class plan for classical reading and writing courses as a humanities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strengthening character competency in liberal arts education at a university. Based on the synthesized theories, the researcher designed, developed, and exemplified the instructional plan for ‘Classical Reading and Writing’ course as a humanities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strengthening character competencies in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t focused on exploring the theory of character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college liberal arts education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Classic Reading and Writing course as a character education method. Secondly, the researcher developed and presented an instructional plan for character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Classic Reading and Writing’, which is a liberal arts-related convergence education in college. In conclusion, it was judged that the liberal arts-related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centered on ‘Classic Reading and Writing’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can be used as a core competency development or character-based (non)curricular activity program required by the future society. The following studies are suggested for facilitating character education at universities: (1) the research on the program linked liberal arts education with (non)curricular educatio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university by extracting character competency and sub-elements reflecting the talents and educational goals of each university and (2) evaluation studies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se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후보

        글로벌 시대 교양강좌개발 방향 모색 ― 계명대학교 균형교양과목 <서양문학으로 소통하기> 사례를 중심으로

        이은숙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6

        The liberal arts courses of Keimyung University were entirely reshuffled in 2013 and the new courses have been put into practice since 2014. The newly reformed one focuses on the following five directions. First, the purposes and objectives of liberal arts curriculum should be firmly set up. Second, a balancing liberal arts education need to be developed by categorizing liberal arts curriculum not based on academic areas but centering around topics and subjects. Third, major basic subjects were reprogrammed into majors, not into liberal arts. Fourth, ‘Basic Writing’ course was newly opened as a liberal arts subject in connection with expanding the subjects related to writing skills. Lastly, career searching and self enrichment programs were extended and included not in the area of general liberal arts but in the system of balancing liberal arts. In particular, the balancing liberal arts I would like to introduce here cover six sectors which are prerequisite to develop mature citizenship for living with other people in harmony. The six sectors include history and philosophy, literature and art, society and culture, science and technology, global leadership, and career searching and self enrichment. Incorporating various areas of study, and excluding management-friendly academic subjects, a total of 79 balancing liberal arts subjects of the six sectors were opened in four individual classes per semeste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the liberal arts course of “Communication through Western Literature”, which falls into literature and art out of the six liberal arts sectors, and to provide a thought-provoking suggestion for developing various college courses in the global era. “Communication through Western Literature” consists of a lecture by a professor based on the main texts abstracted from European literature, excluding English and American one, various activities by grouped students such as discussions and presentations, and creative writings by individuals. The purposes of this lecture are first to enhance students’ basic understanding of literary art, to develop a discerning eye for oneself and the world, to foster cultured citizens capable of embracing other people, and to cultivate a true spirit for challenge and adventure. Above all, ‘Writing My Future Autobiography’,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is course, is to help students enhance sensitivity necessary to live in the global age and foster the open-minded and future-oriented spirit of challenge. 계명대학교는 2013년에 교양교육과정을 전면 개편하여 2014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2013년에 교양교육과정을 개편하게 된 배경은 첫째, 교양교육과정의 분류체계 특히, 계열교양 분류체계가 관리 편의 중심의 대학문 분야별로 되어 있어 글로벌 교양교육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주제를 포함하지 못한다는 점, 둘째, 전공기초교양 운영상 문제 및 교양교육과정으로서의 부적절한 점, 셋째, 글로벌 시대에 점점 더 필요성이 커지는 글쓰기 교과목이 부족하다는 점, 넷째, 글로벌 시대에 진로탐색과 자기계발 영역과목이 부족하다는 점 때문이다.기존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새롭게 개편된 교양교육과정은 다섯 방향을 중점적으로 개편하였다. 먼저, 교양교육과정의 목적 및 목표를 수립하고, 둘째, 교양교육과정의 분류체계를 학문분야가 아닌 주제 중심으로 재편한 균형교양을 개발하고, 셋째, 전공기초를 교양과목에서 전공과목으로 편성하였으며, 넷째, 글쓰기 관련 교과목의 확대 방안을 마련하여 『글쓰기 기초』를 신설하였으며, 다섯째, 진로탐색/자기계발 영역을 일반교양이 아닌 균형교양으로 포함하여 교과목을 확대 운영하는 것이다.특히 이 글에서 소개하려고 하는 균형교양과목은 ‘타인과 더불어 살아가는 성숙한 세계 시민’을 양성하기 위해 총 6개 영역, 즉, 역사·철학 영역, 문학·예술 영역, 사회· 문화 영역, 과학·기술 영역, 글로벌 리더십 영역, 진로탐색·자기계발 영역을 포함한다. 다양한 학문 분야를 통합한 주제를 중심 내용으로 삼는 균형교양과목은 총 6개 영역의 79개 과목으로 개설되어 있다. 이 글의 목적은 균형교양교과목 중 문학·예술 영역에 속하는 <서양문학으로 소통하기>의 강좌를 소개하고 향후 글로벌 시대의 교과목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며,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서양 문학으로 소통하기>는 유럽 문학에서 발췌한 주요 텍스트에 대한 교수의 강의와 학생들의 조별 활동 및 토론과 글쓰기 등 다양한 수업내용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활동들을 통해 이 강의는 첫째, 문학예술에대한학생들의 기본적인이해력을높이며, 둘째, 나와세계에대한안목을넓히며, 셋째, 타인을포용할줄아는교양인을양성하며, 넷째, 대학생이갖추어야할미래지향적인도전정신을함양하는 것을 목표로한다. 이 과목의 과제인 <미래자서전쓰기>는 학생들이 수업을 통해 습득한 문학적 상상력에 바탕을 둔 글쓰기로서, 오늘날 대학생들이 글로벌 시대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감성과, 개방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도전정신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글쓰기 과제이다.

      • 불교와 자유학예교육

        홍성기 동국대학교 다르마교양교육연구소 2023 리버럴아츠 Vol.3 No.2

        자유학예(liberal arts)1)의 기원은 고전 그리스 ․ 로마로서 서양의 고등교육전통에 속한다. 또 중세 이후 자유학예의 명맥은 기독교에 의해 유지되어왔다. 12세기 설립된 파리대학에서 자유학예 특히 철학은 신학을 위한 중요한기초 과목이었으며, 이후 오랫동안 자유학예는 기독교와 불가분의 관계에놓이게 된다. 이점은 영어권에서 자유교육에 대한 중요한 기여를 하였던 19 세기의 뉴맨 역시 카톨릭 추기경이었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따라서 종교로서 불교와 자유교육 혹은 자유학예와의 연계 시도는 매우 적은 편이다. 그러나 17세기와 20세기의 과학혁명은 신학을 위하여 혹은 신학을 중심으로 자유교육을 조직하려던 시도가 더 이상 정당화되기 어렵게 만들었고, 20세기초 출현한 양자역학에 대한 불교적 해석이 21세기에 나타나기에 이르렀다. 특히 이런 시도는 표피적 유사성이 아니라 존재의 관계론적 구조에 기인한다는 점에서 종교와 철학, 예술과 삶의 방식으로서 불교가 아니라, 과학의토대로서 불교의 의미를 드러내고 있다. 여기서 학문의 토대로서 자유학예의 역할과 과학의 정초로서 불교의 역할이 연계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철학으로서 불교가 인문학으로서 자유학예에 속할 수 있음도분명하지만, 불교의 핵심교리인 연기설에 대한 이해와 그 교육학적 확장은어쩌면 불교와 자유학예와의 관계가 역전될 가능성도 보여주고 있다. 즉 생 ․ 노사를 벗어나기 위한 석가모니의 사유는 존재 자체의 구조와 이와 연관된개념들에 대한 비판 및 인간의 조건들에 대한 성찰을 포함하고 있어, 통합적교육을 강조함과 아울러, 단순히 지식의 획득으로서 교육에 대한 비판을 함축하고 있다. 여기서 불교가 자유교육의 통합적 성격을 정당화할 수 있는 내적 구조를 갖고 있음을 명증하게 확인할 수 있다. In this paper, I will relate Buddhism to the liberal arts as a foundation for scholarship and to liberal education, which is concerned with the question, "How to live?" Therefore, I hope that this will not be seen as terminological confusion when I sometimes refer to the liberal arts and sometimes to liberal education. The origins of liberal arts are classical Greco-Roman and belong to the Western tradition of higher education. Since the Middle Ages, liberal arts have been sustained by Christianity. At the University of Paris, founded in the 12th century, the liberal arts, especially philosophy, were an important foundation for theology, and for a long time afterward, the liberal arts were inextricably linked to Christianity. This is evidenced by the fact that Newman, a 19th century Catholic cardinal who mad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liberal education in the English-speaking world, was also a Catholic. As a result, there have been very few attempts to link Buddhism as a religion to liberal education or the liberal arts. However, the scientific revolutions of the 17th and 20th centuries made it difficult for attempts to organize liberal education for or around theology to be justified, and Buddhist interpretations of quantum mechanics that emerged in the early 20th century have appeared in the 21st century. In particular, these attempts reveal the meaning of Buddhism not as a religion, philosophy, art, and way of life, but as a foundation for science, as it is based on the relational structure of existence rather than on superficial similarities. Here, the role of the liberal arts as a foundation for scholarship and the role of Buddhism as the quintessence of science can be linked. On the other hand, while it is clear that Buddhism as a philosophy can belong to the liberal arts as a humanity, the understanding of Buddhism's core doctrine of dependent origination and its pedagogical extension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 reversa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uddhism and the liberal arts: In other words, Shakyamuni's thought on escaping birth and death involves a critique of the structure of existence and the concepts associated with it, as well as a reflection on the human condition, which, together with his emphasis on integrated education, implies a critique of education as the mere acquisition of knowledge. Therefore, Buddhism has the internal structure to justify the integrated nature of liberal education.

      • KCI등재

        전문대학 교양교육과정 운영현황 분석 및 전문가 검토를 통한 개선방안 탐색: S여자간호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김보경,김숙영,임지영,김한나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iberal arts curriculum of S Women's Nursing college, a small specialized college,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liberal arts curriculum through expert review. Previous research on the liberal arts curriculum and the current state of managem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medical and health colleges was examined in this study. Next, standards were prepared for the analysis of the operation status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and written interview questions were drawn based on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is study was able to investigate the liberal arts curriculum of S Women's Nursing college, and draw written interview questions. Then, experts of liberal arts education were recruited and they participated in the written interviews about the relevance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system and the organization of liberal arts. The content of the written interview was analyzed using the thematic analysis method,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wo major topics and four sub-themes were derived in relation to the liberal arts curriculum system, and two major topics and seven sub-themes were derived in relation to the organization of liberal arts subjects. Final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management status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and experts' opinions were combined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liberal arts curriculum. This is a meaningful study that it explores and attempt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beral arts education at a time when the importance of liberal arts education is emphasized. The fundamental information from this study may be used in the future to enhance the liberal arts program. 본 연구는 소규모 특성화 전문대학인 S여자간호대학교의 교양교육과정 운영현황을 분석하고, 전문가 검토를 통해 교양교육과정 개선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단계에서는 전문대학 교양교육과정 관련 선행연구 및 의료보건계열 전문대학의 교양교육 운영현황을 분석하고, 2단계에서는 선행연구 고찰 내용을 바탕으로 교양교육과정 운영현황 분석을 위한 기준 마련 및 전문가 서면 인터뷰 질문을 도출하였다. 3단계에서는 교양교육 관련 전문가를 섭외하고, 4단계에서는 S여자간호대학교 교양교육과정 개발보고서를 바탕으로 교양교육과정 운영현황 분석 및 교양교육 체계와 교양교과목 편성의 적절성에 대한 전문가 서면 인터뷰를 진행했다. 서면 인터뷰 내용은 주제 분석(Thematic analysis)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결과, 교양교육과정 체계와 관련해서는 2개의 대주제와 4개의 소주제가 도출되었고, 교양교과목 편성과 관련해서는 2개의 대주제와 7개의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5단계에서는 교양교육과정 운영현황 분석결과 및 전문가 의견을 종합하여, 교양교육과정 개선방안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수업 연한이나 학제와 관계없이 교양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 시점에, 전문대학 교양교육과정 혁신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자성하며 교양교육의 질제고를 위한 탐색과 시도를 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지며, 본 연구결과는 향후 교양교육과정 개선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교양교육으로서 과학교육의 현황 분석- 수도권 대규모 대학 중심으로

        김혜영,이은하,주양선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2

        In this study, we will review liberal arts courses in the major universities of the metropolitan area and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science as liberal art in liberal arts education. Among the major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Kyunghee University, Korea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Sungkyunkwan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Ewha Womans University, and Hanyang University will classify the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as a standard model for liberal arts education, and compare the status of liberal arts education to basic education. In the section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the proportion of ‘sciences as as liberal art’ and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s liberal art’ will be compared. Recently, the major universities are revising their curriculum to foster creative talent that will lead to a rapidly changing future society. Looking at the contents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it reorganized ‘Core Courses(중핵교과)’ and ‘Distribution Requirement Courses(배분이수교과)’ area of Kyunghee University, ‘Core Liberal Arts(핵심교양)’ area of Korea University, ‘Worlds of Knowledge(학문의 세계)’ area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Equilibrium Liberal Arts(균형교양)’ area of Sungkyunkwan University, ‘Required Liberal Arts(필수교양)’ of Yonsei University, ‘Creative Integration(창의융복합)‘ area of Ewha Womans University, and ‘Core Competency Liberal Arts(핵심역량교양)’ area of Hanyang University. And Based on the expertise of humanities, society, science, art, we are operating a creative and interdisciplinary education program. However, the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universities is still centered on humanities and basic education such as foreign language or computer and computer basics. From now on, the major universities must develop cultural education contents that reflect the operation of liberal arts and university characteristics. To discover and introduce many stories in the history of science,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consisting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develop a curriculum of science as liberal art education in the university. 본 논문에서는 수도권 대규모대학의 교양교육 교과과정을 살펴보고 교양교육과 교양교육 내 교양과학교육 현황을 분석하고자 한다. 수도권 대규모대학 중 경희대학교, 고려대학교,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한양대학교의 교양교육 교과과정을 한국교양기초교육원 표준모델인 ‘소양교육’, ‘기초교육’, ‘교양교육’으로 구분하고, 각 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기초교육’과 ‘교양교육’의 현황을 비교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교양교육 영역에서 교양과학 분야와 그 외 교양인문사회 분야의 비중도를 비교 분석할 것이다. 최근 주요대학들은 급변하는 미래 사회를 이끌어 나갈 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해 교과과정을 개편하고 있다. 교양교육 교과과정 개편 내용을 살펴보면, 경희대학교의 ‘중핵교과’ 와 ‘배분이수교과’, 고려대학교의 ‘핵심교양’, 서울대학교의 ‘학문의 세계’, 성균관대학교의 ‘균형교양’, 연세대학교의 ‘필수교양’, 이화여자대학교의 ‘창의융복합’ 그리고 한양대학교의 ‘핵심역량교양’ 영역을 재편하였고, 인문, 사회, 과학, 예술 등 전 분야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대학에서의 교양교육은 인문학 중심이거나 외국어나 컴퓨터 등 도구적 기초교육 위주로 진행되고 있다. 앞으로 대학마다 교양교육의 운영과 학교 특성을 반영한 교양과학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과학의 역사에서 스토리를 발굴하고 소개할 수 있도록 학내에 ‘과학과 기술’ 영역의 교재편찬위원회를 구성해서 대학의 교육목적과 특성에 맞는 교양과학 교과목을 개발하고 운영방안을 모색하여 교양과학의 위상을 되찾아야 한다.

      • KCI등재

        교정인문학의 현황과 선행연구의 문제점에 대한 비판

        천정환 한국교정학회 2015 矯正硏究 Vol.- No.68

        Traditional correctional education on moral education and curricular education has settled on a way of main rehabilitation for prisoners turned into educational penology paradigm. But the traditional correctional education had basic limit because it ended in failure to draw inner change for them. In 2007, correctional liberal arts for prisoners was beginning to make its appearance to establish individual reflection inner change, and critical citizenship on social correctional liberal arts. The social concern with correctional liberal arts for them has been growing for the last several years. Several studies have been made on correctional liberal arts for prisoners in korea and have focused on the micro correctional liberal arts on individual reflection for them but existing sudies on the correctional liberal arts for them overlooks social correctional liberal arts and its power character and correctional psychology. I take a position against the existing. Therefor, I asserted in this study that correctional liberal arts should have simultaneously micro aspects and macro aspects on social correctional liberal arts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estabish its identity. Therefore, I show diverse aspects about correctional liberal arts inclusive of restorative correctional liberal arts and judicial liberal arts and so on in korea through my original concepts. 도덕교육, 학과교육과 같은 전통적인 교정교육은 수형자에 대한 교정이념이 교육형주의로 변화된 이후 주요한 교정교화의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그러한 전통적인 교정교육은 수형자의 내면적 변화를 도출하는데 실패하여 한계를 가지게 되었다. 때마침 인문학의 열풍에 힘입어 수형자의 개인적 성찰과 비판적 시민성의 함양을 위하여 2007년도에 교도소에서도 교정인문학이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최근 수년 동안 교정인문학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리하여 최근 수년 동안 교정인문학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시도되었는데 이러한 연구들은 주로 개인적성찰이라는 미시적 인문학에 초점이 맞추어져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교정인문학에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비판적 시민성의 함양이라는 사회적, 거시적 인문학을 간과했고 교정인문학의 권력성과 교정심리 등 다양한 측면의 논점을 간과하고 있다. 저자는 그러한 기존 연구들에 대한 저항 담론을 가지고 있으며 교정인문학은 미시적 측면만 아니라 사회적 측면에서도 접근해야 하며 학제적 접근을 통해 접근해야만 교정인문학의 정체성을 찾을 수 있다고 운론하였다. 따라서 교정인문학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회복적 교정인문학, 사법적 인문학, 형평적 인문학 등 교정인문학의 방향을 독창적으로 언급하였다.

      • KCI등재

        교양회계 교과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임영관(Lim, Young-Kwan) 한국경영교육학회 2020 경영교육연구 Vol.35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현행 교양회계 교과과정을 교양교육적 측면에서 재검토하고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과과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목적은 교양회계의 교양교육적 의미를 재검토하고 향후 4차 산업혁명의 흐름에 대학이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교양교육을 재정립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현행 교양회계 교육과정이 지니는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하여 교양회계 교재를 무작위로 선정하고 교재의 구성과 세부 내용을 실용적 측면과 자유교양적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그리고 발견된 문제점을 개선하는 설계원리를 제시하였고, 이에 기초한 개선된 교양회계 교과과정을 설계하는 방향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개선된 교양회계 교과과정은 기존의 회계원리 교재 목차에서 탈피하여 회계핵심원리를 기초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핵심원리에 인성원리를 결합한 교과과정을 설계하였다. [연구의 시사점] 현행 교양회계 교과과정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문제점과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시도하였다는데 연구의 시사점이 있다. 특히 기존의 교양회계의 교과 구성에서 과감하게 벗어나 회계핵심원리 중심으로 새롭게 설계한 점은 중요한 의의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is study has reviewed the current liberal arts accounting curriculum in terms of liberal arts education and suggested a specific curriculum that can improve the problems found.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iscover the meaning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liberal arts accounting and to build a curriculum for the university to actively respon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ethodology] In order to analyze the problems of current liberal arts accounting curriculum, liberal arts accounting materials were randomly selected and the composition and details of the textbooks were examined in terms of useful arts and liberal arts. In addition, we reviewed the design principles that can improve the problems found and presented a new liberal arts accounting curriculum. [Findings] As a result, the curriculum of the liberal arts accounting improved from the contents of the existing accounting principles textbooks and composed based on the key accounting principles. The curriculum combines the principles of personality with the key principles. [Implic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the current liberal arts curriculum in detail and finds problems and tries to improve them. In particular, the redesign of the liberal arts accounting process centered on the core principles of accounting seems to have a important signific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