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대학생의 진로결정 및 진로성숙도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의 영향
김민혜,오인수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5 미래교육학연구 Vol.38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결정과 진로성숙도에 따라 잠재프로파일을 분석하고,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각 프로파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통해 대학생들이 서로 다른 진로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파악하고,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YP2007) 14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학생 924명자료를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실시하였다. 또한 R3STEP 방법을 사용하여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잠재프로파일에 미치는 예측력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진로결정과 진로성숙도에 따라 ‘결단형 계획자’, ‘탐색형 성장자’, ‘갈등형 모색자’, ‘미결정 독립자’ 등 4개의 잠재프로파일이 도출되었다.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일수록 진로 결정과 성숙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각 프로파일 간의 차별적인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학술적 기여: 본 연구는 대학생 집단 내 다양한 진로 특성을 잠재프로파일분석으로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맞춤형 진로상담 프로그램 설계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대학생의 진로 발달 지원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Research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atent profiles based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s and career maturity, an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on each profile. Through this,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different career characteristics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to clarify how self-esteem and self-efficacy affect their career development process. Research Method: Using data from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YP2007), a Latent Profile Analysis (LPA) was conducted with 924 university students. Additionally, the R3STEP method was used to examine the predictive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on the latent profiles. Research Results: Four latent profiles were derived based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s and career maturity: 'Decisive Planner,' 'Exploring Grower,' 'Conflict Seeker,' and 'Undecided Independent.' It was found that students with higher self-esteem and self-efficacy had more positive outcomes in career decision and maturity, and the differential influence of these variables across profiles was confirmed. Academic Contribution: This study makes a significant contribution by deeply analyzing the diverse career characteristics within the university student population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It clarifies the impact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on career decision-making and maturity. The findings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designing tailored career counseling programs and offer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strategies to support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velopment.
잠재프로파일 분석(LPA)을 활용한 어린이집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유형 탐색
김화록,김보현,박미경,이홍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8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latent profiles of childcare teachers with play support competence (PSC) and to describe each latent profile characteristic. Methods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survey to a total of 338 childcare teachers who were working childcare center in metropolitan. We composed PSC of childcare teacher into cognitive, affective and practical competence, and analyzed latent profiles according to their PSC level. We analyzed latent profile, which is a person-centered approach, and based on the results, we categorized the PSC profile of childcare teachers and defined their characteristics.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we classified five PSC profiles: the ‘lowest PSC profile’, which had very low levels of cognitive, affective, and practical competence related to play support, was 4.14% of all childcare teachers, the ‘low PSC profile’, which had relatively low cognitive, affective, and practical competence levels, was 19.23% of all, the ‘medium PSC profile’, which had average level of each competence, was 37.28% of all, the ‘high PSC profile’, which had relatively high level of each competence, was 22.78% of all, and the ‘highest PSC profile, which had very high level of each competence, was 16.57% of all.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are various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PSC within the childcare teacher group, rather than considering the childcare teacher as the ‘cohort group’ in relation to PSC. We also suggest that customized approach considering the profile characteristics related to PSC is required.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수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을 분석하고, 놀이지원역량 프로파일 유형별특성을 규명하여 놀이지원역량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방법 수도권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33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어린이집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을 인지적, 정의적, 실천적 역량으로 구분하고, 놀이지원역량 수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실시하였다. 사람 중심적 접근(person-centered approach)인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하여 어린이집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프로파일 유형을 확인하고 그 특성을 규명하였다. 결과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어린이집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잠재프로파일 유형은 인지적 역량, 정의적 역량, 실천적 역량의 상호결합 정도에 따라 5개로 도출되었다. 놀이지원 관련 인지, 정의, 실천적 역량 수준이 모두 매우 낮은 ‘놀이지원역량 최저 집단’은 전체어린이집 교사의 4.14%, 인지, 정의, 실천적 역량 수준이 비교적 낮은 ‘놀이지원역량 저집단’이 19.23%, 인지, 정의, 실천적 역량수준이 모두 평균수준인 ‘놀이지원역량 중집단’이 37.28%, 인지, 정의, 실천적 역량 수준이 비교적 높은 ‘놀이지원역량 고집단’이22.78%, 인지, 정의, 실천적 역량 수준이 매우 높은 ‘놀이지원역량 최고 집단’은 16.57%로 분류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놀이지원역량과 관련하여 어린이집 교사를 단일집단으로 인식하기 보다는 집단내 놀이지원역량 수준에 따른 다양한 집단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하고, 각 집단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잠재프로파일을 활용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계층, 진로지원 행동의 분류와 다문화가정 자녀가 느끼는 진로 장벽 요인 차이 검증
이창현(Changhyeon Lee),최나연(Na-Yeun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5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socioeconomic status, acculturation stress, and levels of career support behavior for their children can be categorized into latent profiles. By analyzing the sub-factors influencing these latent profiles, the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career barrier issues experienced by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and adolescents and propose practical and policy-oriented alternatives. Methods To achieve this, data from the ninth wave (2021)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were used. A total of 1,001 pairs of multicultural mothers and their children were analyz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LPA is a useful method for categorizing participants into subgroups based on shared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the variables included mothers' socioeconomic status, acculturation stress, and the level of career support behavior for their children.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Mplus 8.3, assess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atent profile and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m. Furthermor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career barriers among adolescents belonging to each latent profile were analyzed using BCH difference testing. Results The analysis identified six latent profiles based on mothers' socioeconomic status, acculturation stress, and levels of career support behavior. These profiles ranged from groups with high social resources to those with low resources, groups experiencing significant difficulties with acculturation, and groups with active career support behaviors. Addition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career barriers among adolescents belonging to each profile. Notably, children of mothers with low social resources and high acculturation stress tended to exhibit higher levels of career barriers. Conclusions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can be divided into several subgroups, and understanding their characteristics is essential. It is important to move beyond the stereotype that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experience high acculturation stress or are insufficient in supporting their children’s career development. Instead, the diversity within these groups should be understood from a multicultural perspective, and support strategies should be explored accordingly. These findings provid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developing tailored policies and practical alternatives that addres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families.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사회계층,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녀의 진로지원 행동 수준이 몇 개의 잠재프로파일로 분류되는지 확인하고, 이러한 잠재프로파일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청소년이 경험하는 진로 장벽 문제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실천적 및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다문화 청소년 패널연구 9차년도 자료(2021)를 사용하여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청소년 1,001쌍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실시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은 참여자들을 공통의 특성을 지닌 여러 하위 집단으로 분류하는 데 유용한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사회계층, 문화적응 스트레스, 자녀의 진로지원 행동 수준 등을 변수로 설정하였다. 분석 과정에서는 Mplus 8.3을 사용하여, 각 잠재프로파일의 특성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평가하였다. 또한, 각 잠재프로파일에 속하는 청소년의 진로 장벽 수준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BCH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사회계층, 문화적응 스트레스, 자녀의 진로지원 행동 수준에 따라 6개의 잠재프로파일이 도출되었다. 이들 프로파일은 사회적 자원이 높은 그룹부터 낮은 그룹, 문화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그룹, 진로지원 행동이 활발한 그룹 등 다양한 특성을 보인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각 프로파일에 속하는 다문화 청소년들의 진로 장벽 수준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 자원이 낮고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은 어머니의 자녀들은 진로 장벽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결론 다문화가정 어머니들도 여러 하위 집단으로 나뉠 수 있으며, 이들의 특성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단순히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이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거나 자녀의 진로지원을 충분히 하지 못한다고 보는 편견에서 벗어나, 이들 집단 내부의 다양성을 다문화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 지원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문화가정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정책 마련과 실천적 대안 제시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노인의 물리적 환경 특성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내적 능력과의 연관성
임영명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2025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Vol.17 No.1
목적 : 노인의 물리적 환경 특성을 기반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수행하여, 유형화된 잠재집단과 내적 능력(Intrinsic Capacity)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단면연구로 2023년도 노인실태조사를 활용하여 총 7,820명의 노인 데이터에 대한 2차 자료 분석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데이터에서 인구사회학적 특성, 물리적 환경에 대한 주거 접근성, 지역사회 이동성 및 친화성, 내적 능력에 관한 변수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은 물리적 환경 특성을 기준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형화된 잠재집단의 영향요인은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그리고 잠재집단과 내적 능력 간의 연관성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물리적 환경 특성에 따른 잠재집단은 "취약한 생활환경"(profile1), "지역 중심 생활환경"(profile2), "편리한 생활환경"(profile3)으로 명명되었다. 잠재집단의 영향 요인은 여성, 고령, 낮은 학력 수준일수록 열악한 환경에서 생활할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 능력과의 연관성은 다른 잠재집단에 비해 주거와 지역사회 환경이 상대적으로 지역사회 이동성 및 친화성이 높을수록(profile2) 내적 능력 유지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노년기에 주거 접근성, 지역사회 이동성 및 친화성의 물리적 환경 특성이 건강에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는 내적 능력과 연관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노인의 건강 유지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주거와 지역사회 환경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정책적 지원 및 개입 전략 마련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함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latent profile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mong older adults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LPA) an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se latent groups and Intrinsic Capacity. Methods :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2023 National Survey on Older Adults, analyzing secondary data from 7,820 older adults. Variables related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sidential accessibility, community mobility, community friendliness, and intrinsic capacity were extracted. LPA identified distinct physical environment groups, whil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ssessed factors influencing group classification. Logistic regression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latent groups and intrinsic capacity. Results : Three latent groups emerged: "Restricted Living"(Profile1), "Community-Oriented"(Profile 2), and "Well-Integrated"(Profile 3). Women, older adults, and those with lower education levels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belong to disadvantaged environments. Regarding Intrinsic Capacity, individuals in Community-Oriented environments(Profile 2), where community mobility and social connectedness were higher, had a greater likelihood of maintaining intrinsic capacity compared to other groups. Conclusions : This study confirmed the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environment and intrinsic capacity in older adults. Findings emphasize the need for policies and interventions to enhance residential and community environments for better aging outcomes.
부모의 정서조절곤란 잠재프로파일 분류와 예측요인 검증: 자녀 집행기능곤란의 차이
조현지,허무녕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3 복지상담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부모의 정서조절곤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잠재프로파일 별 자녀 집행기능곤란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잠재프로파일의 분류를 예측하는 요인으로서 부모의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행복감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패널(PSKC)의 13차 년도 조사에 참여한 부모와 자녀 등 595가구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부모의 정서조절곤란은 3개의 잠재프로파일로 분류되었으며, 각각 ‘저위험 집단’(25.9%)과 ‘중위험 집단’(53.4%), ‘고위험 집단’(20.7%)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잠재프로파일 별 자녀의 집행기능곤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집행기능곤란은 ‘저위험집단’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고 나머지 두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부모의 정서조절곤란 프로파일 분류에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행복감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영향력은 잠재프로파일에 따라 상이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연구들과 논의하고, 결론적으로 부모의 정서조절곤란을 해소해주기 위해 정서조절곤란의 수준에 따라 상이한 개입이 효율적일 수 있음을 함의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latent profiles of parents’ emotion dysregulation, to verify the effects of their self-esteem and subjective happiness as the predictors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by these latent profi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95 parents and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13th Panel Study of Korea Children. The data were analyzed by latent profile analysis(LPA),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Mpuls 8.9 and SPSS 23.0. Major findings are as following. First, there were three different latent profiles, named Low-risk group(25.9%), Mid-risk group(53.4%) and High-risk group(20.7%) were found.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by the latent profiles. Low-risk group had the lowest score for the executive function,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id-risk and High-risk group. Third, self-esteem and subjective happiness of par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latent profiles. These results showed that parent’s emotion dysregulation can caus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by classifying the latent profiles of parents’ emotion dysregulation and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between the profiles. Finally,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 the existing research and conclude with the implication that different interventions may be effective depending on the level of emotional dysregulation in order to address parental emotional distress.
중고령자의 건강 라이프스타일에 반영된 가치체계에 따른 유형과 주관적 건강 및 종합적 행동 경향의 차이
임영명(Young-Myoung Lim),김아람(Ah-Ram Kim),박지혁(Ji-Hyuk Park) 대한작업치료학회 2024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2 No.1
목적: 중고령자의 건강 라이프스타일에 반영된 가치체계를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s Analysis, LPA) 을 통해 잠재유형을 구분하고, 관련된 영향요인과 주관적 건강, 종합적인 행동 경향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온라인 리서치 업체를 통해 중고령자 300명을 대상으로 건강 라이프스타일 가치체계(Yonsei Lifestyle Profile-Values), 주관적 건강(Self-Rated Health), 종합적인 행동 경향(Yonsei Lifestyle Profile-ABCD)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라이프스타일 가치체계 자료는 LPA를 실시하였으며, 분류된 잠재프로파일의 영향요인은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종속변수의 차이는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잠재프로파일은 가치체계 특성에 따라 3개로 분류되었다. 잠재프로파일 유형은 ‘낮은 건강 가치체계 (Profile1)’, ‘높은 건강 가치체계(Profile2)’, ‘중간정도의 건강 가치체계(Profile3)’로 명명되었다. 잠재프로파일의 영향요인은 개인적 요인에서 교육 수준과 연령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주관적 건강과 종합적 행동 경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중고령자 라이프스타일에 반영된 가치체계가 건강을 추구하는 유형일수록 일상에서 더 건강한 방식의 행동을 채택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는 건강관리 측면에서 라이프스타일을 건강한 방식으로 증진시키기 위해 가치체계를 고려한 개입 방안 및 방향성을 제시함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 To classify latent profiles of the value systems reflected in the healthy lifestyles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and analyze differences in related influencing factors, subjective health, and comprehensive behavioral tendencies. Methods: Yonsei Lifestyle Profile-Values, Self-Rated Health, and Yonsei Lifestyle Profile-ABCD data were collected from 300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hrough an online research company. LPA was conducted on the collected lifestyle value system dat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the classified latent profiles, and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assess differences in the dependent variables between profiles. Results: Three latent profiles based on value system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Low Health Values System (Profile1),’ ‘High Health Values System (Profile2),’ and ‘Moderate Health Values System (Profile3).’ Educational attainment and ag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se latent profiles. Addition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subjective health and overall behavioral tendencies among the profiles.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ho prioritize health in their value systems are more likely to adopt healthier behaviors in their daily lives. Thi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value systems when designing intervention strategies and directions aimed at promoting healthy lifestyles from a health management perspective.
양희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8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lassifications and qualities of the self-concept latent profile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and to verify how the latent profile is related to predictor variables and outcome variables. Methods For this purpose, a self-concept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on 388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ungnam province. The social support scale was selected as a predictor of self-concept latent profile, and achievement-related variable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chievement emotion, academic effort) and academic achievement scale were selected as outcome variables according to self-concept latent profile. Result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ee self-concept latent profiles were extracted from elementary school students: ‘Overall Lowness-Physical Appearance Negative Type’, ‘Overall Average-Parent Relationship Positive Type’, and ‘Overall Positive Type’; Secund,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teacher⋅parents⋅friend support) as predictor variables of the self-concept latent profile,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Overall Positive Type’; the lower the level of these,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Overall Lowness-Physical Appearance Negative Type’; Third, for those belonging to the ‘Overall Positive Type’, where self-concept is high, higher levels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enjoyment, academic effort,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identified, rather than in the ‘Overall Average-Parent Relationship Positive Type’ and ‘Overall Lowness-Physical Appearance Negative Type’. Conclusions By revealing that self-concept changes into various types, it shows the need for educational intervention to promote social relationships, along with customized guidance according to the group level.
초등학교 아동의 가정환경자극 잠재프로파일 유형과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 및 영향 변인 간 관계
하문선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2 한국초등교육 Vol.33 No.4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latent profiles of home environment stimulus,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problems, and influencing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s a result of applying latent profile analysis, the final four latent profiles were found to be most suitable: stimulus excellent group (66.4%) with the highest level of all home environment stimuli; stimulus moderate-family cohesion-deficient group (23.2%) with the moderate level of home environment stimulus and low family cohesion; stimulus moderate-physical support-deficient group (6.7%) with the moderate level of home environment stimuli and low physical support; and lowest stimulus-emotional support-deficit group (3.6%) with the lowest home environment stimulus and emotional support. Also,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xisting differences in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problems based on the latent profil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emotional symptoms, hyperactivity, and inattention levels. Finall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the latent profile, gender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but communication ability, household income, and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Notably, the higher the communication ability, the higher the household income, and the higher the marital satisfaction,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stimulus excellent group. This study has empirical implications in the sense that it identified the existence of various sub-latent profiles based on home environment stimulu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confirmed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daptation for each profile. Furtherm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on profile classification in a more three-dimensional and integrated wa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study’s results.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의 가정환경자극에 대한 다양한 잠재프로파일과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 및영향 변인 간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적용결과, 잠재프로파일은 최종4개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가정환경자극 수준의 모든 요인이 가장 높은 자극우수집단(66.4%), 가정환경자극 수준이 보통이며 가족통합이 낮은 자극중-가족통합부족집단(23.2%), 가정환경자극 수준이 보통이며 물리적 영역이 낮은 자극중-물리적지원결핍집단(6.7%), 가정환경자극수준이 가장 낮고 정서적 지지가 낮은 자극하-정서적지지결핍집단(3.6%)이 나타났다. 또한 잠재프로파일에 따라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본 결과, 정서증상과 과잉행동 및 부주의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검증한 결과 성별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의사소통능력, 가구소득, 모의 결혼만족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의사소통능력이 높을수록,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모의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자극우수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의 가정환경자극에 따른 다양한 이질적인 하위 잠재프로파일이 존재함을 파악하고 각 유형별 적응 수준의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잠재집단 분류에 있어서 개인 특성 및 환경적 특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보다 통합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실증적 함의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초등 예비교사의 수업역량 잠재프로파일 유형과 영향 변인
하문선(Moon-sun 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의 수업역량 대한 다양한 잠재프로파일과 영향 변인 간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해 전국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4학년 예비교사 총 537명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적용하였다. 특히 잠재프로파일의 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IC 지수, Entropy, LMR_LRT와 BLRT의 유의도 등을 활용하였다. 결과 LPA 적용결과, 잠재프로파일은 최종 5개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수업역량을 구성하는 모든 하위 요인의 수준이 평균 이상으로 가장 높은 수업역량-고집단(26.8%), 수업성찰 및 비평, 수업분위기조성 및 수업운영 요인이 우수한 수업운영-고집단(6.7%), 모든 하위 요인이 평균 수준인 수업역량-중집단(45.1%), 하위 요인이 모두 중간 이하 수준인 수업역량-저집단(18.9%), 모든 하위 요인이 최저 수준인 수업역량-최저집단(3.2%)이 나타났다. 또한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검증한 결과 교사신념, 협동역량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의 수업역량에 따른 다양한 이질적인 하위 잠재프로파일이 존재함을 파악하고, 잠재집단 분류에 있어서 개인 내적, 전문적 특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보다 통합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실증적 함의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Objectives The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latent profiles of teaching competencies and influence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Methods For this, we applied the Latent Profile Analysis (LPA)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targeting a total of 537 4th grade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In particular, IC index, entropy, significance of LMR_LRT and BLRT were used to determine the number of latent profiles. Results As a result of applying LPA, the final five latent profiles were found to be the most suitable. : The teaching competency-high group (26.8%) with the highest level in all sub-factors constituting all teaching competency, class management-high group (6.7%) with excellent class reflection and criticism, class atmosphere creation and class management, teaching competency-medium group (45.1%) with average levels of all sub-factors, teaching competency-low group (18.9%) with all sub-factors below the middle level, and teaching competency-lowest group (3.2%) with all sub-factors at the lowest level. To the nex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the latent profile for teaching competency, it was found that teacher belief and cooperative competency had a significant effect. Conclusions This study has empirical implications in that it identified the existence of various sub-latent profiles according to the teaching competenci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d investigated the effect of internal and professional variables on profile classification comprehensively.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청소년과 부모의 삶의 만족도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주요 예측변인 검증
박소영(Park, Soyoung),정혜원(Chung, Hyewo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한국청소년연구 Vol.32 No.3
본 연구는 청소년과 이들 부모의 삶의 만족도 수준에 따라 이질적인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랜덤포레스트를 통해 도출된 청소년과 부모의 삶의 만족도 주요 예측변인이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의 초4패널과 중1패널의 2차년도 자료(초5와 부모 2,437쌍, 중2와 부모 2,438쌍)에 3단계 접근법을 적용한 잠재프로파일 분석(Asparouhov & Muthén, 2014)을 실시하였고, 랜덤포레스트 분석을 통해 도출된 삶의 만족도의 주요 예측변인이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랜덤포레스트 분석 결과 초등학생과 부모의 삶의 만족도 주요 예측변인으로 21개가 선택되었으며, 중학생과 부모의 삶의 만족도 주요 예측변인으로는 23개가 선택되었다. 둘째,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한 결과, 초등학생과 부모 및 중학생과 부모의 삶의 만족도는 모두 4개의 잠재프로파일로 구분되었다. 잠재프로파일 유형은 학교급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청소년과 부모의 삶의 만족도 수준이 일치하지 않은 잠재프로파일도 도출되었다. 셋째, 랜덤포레스트 기법을 적용하여 도출된 주요 예측변인이 청소년과 부모의 삶의 만족도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학교급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학생의 행복감, 자아존중감, 학업열의, 부모의 양육태도 중 자율성 지지, 학교생활 만족도와 부모의 행복감, 자아존중감, 주관적 가정의 경제수준, 건강상태, 휴대전화 의존도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위해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latent profiles of both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life satisfaction and to test the impact of key predictors on the identified latent profiles. A latent profile analysis with a 3-step approach was applied to 2nd wave data(2,437 pairs of 5<SUP>th</SUP> graders and their parents, 2,438 pairs of 8th graders and their parents) of the KCYPS 2018 in order to explore latent profiles as well 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key predictors derived from random forest on the latent profiles. Random forest selected 21 key predictors on life satisfaction for 5<SUP>th</SUP> graders and parents, and 23 key predictors for 8<SUP>th</SUP> graders and parents. As a result of the latent profile analysis, 5<SUP>th</SUP> graders and their par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latent profiles. Moreover, 8<SUP>th</SUP> graders and their parents were classified into the four latent profiles. This study found significant key predictors of the identified latent profile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