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tatus of Management for High-Alert Medications

        한수연,최경숙,이정화,이은숙,이병구 한국병원약사회 2007 病院藥師會誌 Vol.24 No.4

        “High-alert medications”, the agents that have higher risk for the adverse reaction when the medications were given to patients by mistake, require special attention during the dispensing. Although extreme care has been exercised for the prescription and administration of these medications in the departments of pharmacy and nursing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a consolidated guideline has not been prepared currently for the management and the use of these age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establish a safer pharmacotherapy of the high-alert medications by assessing the handling of these agents in practice. The definition of high-alert medication and key improvements were based on 'High-alert medication Problems and key improvements' proposed by the American Hospital Association. Among the medications used in this hospital, 202 medications may be categorized to “high-alert medications”; these agents could be classified into 18 categories(e.g., adrenergic agent, hypertonic saline, and benzodiazepine). Limit availability of medication, independent double check, and the use of caution label and others were consolidated as key improvement items. By visiting the wards that frequently prescribed “high-alert medication”(e.g., operating room, emergency room, and SICU) during the September and the October of 2005, the checklist items for the key improvement items were reviewed and evaluated in the wards. Among the total number of checklists of 100, the rate for the applicable items ranged from 41.0% to 62.0%(i.e., 41.0% for pharmacy, 48.0% for operating room, 56.0% for SICU, 58.0% of MICU and 62.0% for emergency room). Performance rate of the checklists ranged from 47.9% to 58.5%(i.e., 58.5% for pharmacy, 47.9% for operating room, 50.0% for SICU, 50.0% for MICU, and 54.8% for emergency room). The medications with high performance rate were narcotics/opiates, insulin, heparin, and benzodiazepines while the agents having a low performance rate were high concentration electrolytes(IV calcium, phosphate salts, potassium chloride magnesium). The rates were found similar to other hospitals in the United States, indicating that key improvements proposed by the American hospital system and the checklist for high-alert medication was readily applicable in practice in Korea. Further implementations, e.g., protocol establishment of low performance rate checklist, and standardization of medication use process, are necessary to fully realize the optimum pharmacotherapy in this hospital.

      • KCI등재

        Status of Management for High-Alert Medications

        Han, Su yeun,Choi, Kyung Suk,Lee, Jeong Hwa,Lee, Eun Sook,Lee, Byung Koo 韓國病院藥師會 2007 병원약사회지 Vol.24 No.3

        “High-alert medications”, the agents that have higher risk for the adverse reaction when the medications were given to patients by mistake, require special attention during the dispensing. Although extreme care has been exercised for the prescription and administration of these medications in the departments of pharmacy and nursing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a consolidated guideline has not been prepared currently for the management and the use of these age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establish a safer pharmacotherapy of the high-alert medications by assessing the handling of these agents in practice. The definition of high-alert medication and key improvements were based on 'High-alert medication Problems and key improvements' proposed by the American Hospital Association. Among the medications used in this hospital, 202 medications may be categorized to“ high-alert medications”; these agents could be classified into 18 categories(e.g., adrenergic agent, hypertonic saline, and benzodiazepine). Limit availability of medication, independent double check, and the use of caution label and others were consolidated as key improvement items. By visiting the wards that frequently prescribed “high-alert medication”(e.g., operating room, emergency room, and SICU) during the September and the October of 2005, the checklist items for the key improvement items were reviewed and evaluated in the wards. Among the total number of checklists of 100, the rate for the applicable items ranged from 41.0% to 62.0%(i.e., 41.0% for pharmacy, 48.0% for operating room, 56.0% for SICU, 58.0% of MICU and 62.0% for emergency room). Performance rate of the checklists ranged from 47.9% to 58.5%(i.e., 58.5% for pharmacy, 47.9% for operating room, 50.0% for SICU, 50.0% for MICU, and 54.8% for emergency room). The medications with high performance rate were narcotics/opiates, insulin, heparin, and benzodiazepines while the agents having a low performance rate were high concentration electrolytes(IV calcium, phosphate salts, potassium chloride magnesium). The rates were found similar to other hospitals in the United States, indicating that key improvements proposed by the American hospital system and the checklist for high-alert medication was readily applicable in practice in Korea. Further implementations, e.g., protocol establishment of low performance rate checklist, and standardization of medication use process, are necessary to fully realize the optimum pharmacotherapy in this hospital.

      • KCI등재후보

        한국 성인 영어 학습자의 발음 교육과 능력 향상에 대한 효과성

        김규희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1

        한국 성인 영어 학습자의 발음 교육과 능력 향상에 대한 효과성 김 규 희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영어 발음 교육이 한국 성인 영어 학습자의 발음 능력 향상에 끼치는 효과성을 실험적으로 탐구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 실험의 참여자는 모 대학교에서 ‘대학영어’ 수업을 수강하는 23명의 실험군과 12명의 통제군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졌으며, 실험 결과는 대응 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실험군만 10주 동안 일주일에 20분씩, 영어 자음 분절음 [f], [v], [ɵ], [ð], [r], [l]과 초분절음 중 억양과 끊어 읽기에 집중해서 교육받았다. 목표 분절음이 포함된 ‘지문 읽기’ 과업으로 구성된 사전 평가와 ‘지문 읽기’와 ‘새로운 문장 읽기’ 과업으로 구성된 사후 평가를 통해 참여 학생들의 발음 실력은 평가되었다. 통제군도 사전, 사후 시험 평가를 받았다. 결론 및 제언: 23명의 실험군 학생들은 분절음 초분절음 모두에서 정확성과 유창성 방면으로 상당한 발음 향상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자음 분절음 중 [r], [l] 보다는 [f], [v], [ɵ], [ð]에서 더 높은 발음 향상 결과를 보였다. 반면, 통제군 학생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능력 향상을 보여주지 못했다. 본 실험의 결과는 성인 대상 영어 발음 교육은 발음 실력 향상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고, 다양한 EFL 영어 수업에 포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핵심어: EFL 성인 학습자, 영어 발음 교육, 학습 효과성, 발음 향상, 분절음 The Effectiveness of English Pronunciation Teaching on Korean Adult English Learners’ Pronunciation Ability Improvement Kyuhee Kim**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English pronunciation teaching on Korean adult English learners’ pronunciation ability improvement.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23 college students and a control group of 12 college students. All of them were taking ‘university English’ courses at a local university, and only the experimental group was educated on English consonant segmental and suprasegmental phoneme pronunciation, focused on accurate articulation of [f], [v], [ɵ], [ð], [r], and [l] sounds and practice of intonation in a paragraph reading for 10 weeks. Pre and post assessment tests, consisting of a paragraph reading task and a task of reading new sentences including target segmental phoneme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are analyzed as follows. First, 23 participants included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pronunciation skills in terms of accuracy and fluency both in segmental phonemes and suprasegmental features. Second, there was more significant development in [f], [v], [ɵ], and [ð] segments than [r] and [l] segments. In contrast,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This suggests that English pronunciation instruc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enhancing pronunciation skills and should be conducted in various EFL classes. Key Words: EFL Adult Learners, English Pronunciation Teaching, Learning Effectiveness, Pronunciation Improvement, Segmental Phoneme □ 접수일: 2023년 12월 21일, 수정일: 2024년 1월 10일, 게재확정일: 2024년 2월 20일* 본 논문은 2023학년도 경운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한 연구임. ** 경운대학교 기초교육학부 교수(Professor, Kyungwoon Univ., Email: katiekim@ikw.ac.kr)

      • KCI우수등재

        공공건축 조성 과정의 주요 이해관계자 역할 개선방향 연구

        신형준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11

        본 연구는 최초 기획의도를 일관성 있게 유지하는 관점에서 공공건축 조성 과정에 참여하는 주요 이해관계자들이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으로부터 출발한다. 공공건축 조성 과정에 참여하는 주요 이해관계자의 역할 개선방향 도출을 위해 주요 이해관계자 총 80명을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현 법령 및 제도상 주체별 역할에 대한 인식과 개선 필요사항을 도출하였다. 또한, 공공건축사업 사례분석 수행으로 공공건축 조성 과정 전반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했으며, 이를 ‘조직적 측면’과 ‘구조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개선방향을 최종 도출하였다. 다만, 주요 이해관계자 역할 개선방향의 구체적 실행방안을 제시하지 못한 것은 본 연구의 한계로 남는다. 추후 국내 상황에 적용 가능한 제도 및 정책 연구를 통해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실천과제 모색이 필요하다. This study commences by addressing questions related to the participation of key stakeholders in the initial planning of public buildings. Theobjective is to determine how to enhance their role in the public building proces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involving 80 keystakeholders to identify their awareness and requirements for improvement within the existing legal and systemic framework. Furthermore, aproblem within the comprehensive public building process was verified through case analysis of various public building projects. The improvementdirection was subsequently derived and categorized into both the organizational and structural aspects. Nevertheless, it is important to acknowledgethat this study does not present a specific plan for implementing these improvements. In the future, it will be essential to explore practical andspecific action steps through institutional and policy research applicable to the domestic context.

      • KCI등재

        중앙정부 국정과제점검에 대한 평가 및 개선방안 모색

        윤수재(尹秀栽) 한국정책과학학회 2013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7 No.3

        국정과제점검제도는 대통령의 국정운영을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될 뿐만 아니라, 주요 정책 및 사업이 목표한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평가 및 모니터링(M&E)제도로서의 역할도 겸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앙정부 국정과제점검제도에 대한 문제를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특히 주요정책 및 사업에 대한 점검ㆍ평가제도인 연두업무계획점검 및 핵심과제평가와의 비교를 통해 각 제도의 차별화와 연계성 강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각 점검.평가제도의 차별성과 연계성의 2개 차원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다. 점검ㆍ평가제도의 차별성은 1) 평가주체, 2) 평가방법, 3) 평가시기, 4) 평가대상, 5) 평가결과의 심층성의 5가지 유형별로 분석한다. 점검.평가제도의 연계성은 1) 평가제도간 환류가 상호 연계되는지 여부와 2) 평가제도간 일관된 평가지표를 통해 연계되는지 여부의 2가지로 분석된다. 분석결과 국정과제점검은 다른 점검ㆍ평가제도와 시스템적인 차별성이 낮았으며, 점검대상이 세부실천과제(하위차원)수준에 국한되어 있고, 분석대상이 차별화되지 않았다는 한계를 지녔다. 또한 점검지표가 진척도에 국한되어 있고, 점검결과에 대한 분류기준도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월별 모니터링 및 분기별 중간평가에서도 이행점검에만 집중해 성과에 대한 심층적 분석은 수행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연두업무계획점검 및 핵심과제평가결과와의 환류가 체계적이지 않고, 평가지표의 일관성도 낮아제도 간의 연계성도 낮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국정과제점검의 시스템적 개선이 필요하며, 다른 점검ㆍ평가제도와의 차별화 및 연계성 강화를 위해 3개 점검ㆍ평가제도간 차별화 및 연계성 강화를 위한 상호 재조정이 요구된다. National Agenda Review System(NARS) works as a system of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major policy and projects in addition to produce important information and materials for the national management of the President. Diagnosing the problems of the NARS, the study intends to provide some points of improvement. It attempts to suggest ways to differentiate and to strengthen the linkage with other systems of review/evaluation: the new year"s review of the operational plan and the evaluation of key projects. It analyzes the two levels of differentiation and linkage with the two other system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In terms of the differentiation, it is classified into 5 types: main agent of evaluation, evaluation method, evaluation period, subject of evaluation, in-depth of evaluation results. The linkage of the systems are analyzed based on the linkage of the feedback of the systems and the linkage of the evaluation indices for coherence of the systems. NARS, as a result of analysis, was found out that it has low systemic differentiation in comparison with other review and evaluation systems, its subject for review is limited to low level of the projects, and its subjects for analysis was not differentiated. Its review indices are restricted to the level of checking and classification criteria of the review results were not ready. Focusing only on checking the implementation not only on the monthly monitoring but also on the mid-term evaluation, it could not carry out in-depth analysis of the performance. It has no systematic feedback with the new year"s review of the operational plan and evaluation of key projects. It also has low linkage with other systems because of the low level of coherence of the evaluation indices. In order to correct the problems, it is required to improve systemic revisions of the NARS. It is also asked to coordinate with other systems to strengthen the differentiation and linkages among the 3 review and evaluation systems.

      • KCI등재후보

        정부의 상가권리금 법제화 방안에 대한 타당성 검토

        원상철(Won, Sang-Chul)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15 법률실무연구 Vol.3 No.1

        상가임대차인 경우 주택임대차와 달리 권리금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며, 현실에서 권리금 수수계약은 기존의 상가임대차계약의 성립에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임차인 측면에서 거액의 권리금을 지급하고 임대차를 체결한 후 임대차관계가 종료와 더불어 이를 반환받지 못함으로 임차인의 피해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된다. 현실에서 권리금은 증가하면서 임차인의 피해사례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상가임대차와 관련하여 현행 「상가임대차보호법」이 지난 2002년부터 제정 운용되어 임차인의 생존권을 보호하고 있으나, 임차인의 상가권리금과 관련된 사항이 제외되어 있다. 그리하여 정부는 법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상가권리금을 법적으로 보장하기 위하여 상가권리금에 대한 보호 대책을 내놓았다. 현행법상 상가권리금에 대한 직접적인 규정은 아직 보이지 않기 때문에 임차인이 상가권리금을 회수하는데 미흡하다. 따라서 정부는 상가임대차제도를 개선하여 5년간의 임대차계약기간을 보장하고, 임대인에게 권리금 회수에 협력의무를 부과하고, 임대인이 권리금 회수를 방해하면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하도록 명시하고, 전국 17개 시도에 분쟁조정위원회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개선안은 상가권리금 보호에 미흡하고 현실적 괴리가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즉 정부의 개정안은 주로 상가건물임대차 보호법의 개정을 통해 처리하려고 하나, 상가권리금과 관련 있는 민법의 개정을 통해서 임차인의 상가권리금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임차인의 상가권리금을 보호하기 위하여 새로운 입법 작업과 동시에 상가권리금과 관련된 현행법상 권리를 강화시키는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보인다. The shops lease occurs a key money problem unlike the housing lease. The problem that is given and taken the key money, is an important factor of shops lease in the formation. These days, The guaranteed of the key money, in addition to security deposit, is set to be a problem with regard to shops lease. After paying a large amount of key money, It is a serious problem to do not return this. So the government has introduced a protective measu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blind spot of the law. Because there is no direct regulations on current law, It is difficult for lessee to recover the shops key money. Therefore the government had presented the improvement of shops lease program; a guaranteed of lease period for five-year, cooperation obligations on the key money recovery of lessor, the lessor’s damages if you disturb the key money recovery etc. However, Because the government’s improvement is insufficient to protect the shops key money, This is necessary to provide for improving plan. The government’s amendments is to process through the Shops Building Lease Protection Act, but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he lessee’s shops key money by Revising the Civil Law.

      • KCI등재후보

        원격대학 교육혁신지원사업의 참여자 인식 분석을 통한개선방안 연구

        장은정,김지심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3

        원격대학 교육혁신지원사업의 참여자 인식 분석을 통한개선방안 연구 장 은 정ㆍ김 지 심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원격대학 교육혁신지원사업 참여자의 만족도 분석을 통해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21년 12월 15일부터 12월 17일까지 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4개 원격대학의 57명이 참여하였으며 50명의 응답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원격대학 교육혁신지원사업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원격대학 교육혁신의 계기를 마련하는 것과 원격대학을 위한 교육정책과 제도를 개선하는 것이며, 혁신의 계기와 재정 지원의 근거 마련을 잘 달성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점개선 부문으로는 원격대학을 위한 교육정책과 제도, 교육환경과 행정을 개선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참여대학의 의견을 보다 잘 수렴하고, 사업을 수행하면서 보고서 작성이나 평가 등의 행정적 절차를 간소화하는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 광범위한 지표보다는 핵심결과에 초점을 맞추어 지표를 설정하고 평가 후에도 구체적으로 피드백을 제공하는 등의 개선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핵심어: 원격대학, 교육혁신지원사업, 만족도, 인식 분석, 개선방안 A Study on Improvement Strategies Based on Participant Perception of Education Innovation Support Projectin Cyber University Enujung Jang** & Jisim K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participants in the Cyber University for Education Innovation Support Project and propose improvement strategies. A survey was conducted for 3 days, 2021 with 57 participants from four Cyber Universities and data from 50 respondents were analyzed.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most important goals of the Cyber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Support Project are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innovation in Cyber University education and to improve education policies and systems for Cyber Universities. Key priorities for improvement include education policies and systems for Cyber Universities and improvements to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dministration.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roject by better reflecting the opinions of participants when establishing related policies and simplifying administrative procedures such as report and evaluation. By setting indicators that focus on key outcomes rather than a wide range of indicators and providing specific feedback even after evaluation, the Cyber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Support Project can be continuously developed. Key Words: Cyber University, Educational Innovation Support Project, Satisfaction, Perception Analysis, Improvement Strategies □ 접수일: 2024년 5월 24일, 수정일: 2024년 6월 8일, 게재확정일: 2024년 6월 20일* 이 논문은 ‘원격대학 지원사업 성과관리 방안 연구’(장은정・권숙진・김지심・신윤희, 2022)의 보고서 일부를 재구성한 것임. ** 주저자, 동덕여자대학교 교수(First Author, Professor, DongDuk Womens Univ., Email: ejjang@dongduk.ac.kr)*** 교신저자, 명지전문대학 조교수(Corresponding Author, Assistant Professor, MyongJi College, Email: jisimkim@mjc.ac.kr)

      • KCI등재

        경력단절여성의 직업능력향상교육 효과성 탐색

        박경숙,김유정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Vocational Ability ImprovementEducation for Women with Disconnected CareerKyungsuk Park & Yujeong Kim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effects of career-interrupted women’s participation in vocational ability improvement education through changes in self-esteem, self-determination, and career adaptation. The research method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vocational ability improvement education through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vocational ability improvement education operated by N city, suitable for the problem consciousness and intention of this study,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and vocational ability improvement education designed to allow learners to set their own career plans for employment and choose careers considering their own values, interests, and aptitudes. This study suggest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that it derived research results that can increase women’s career and successful reemployment in the field of vocational ability improvement education, which is continuously highlighted in line with the social issue of career interrupted women and reemployment. Key Words: Career Competency Improvement Education, Career Interruption, Career Path, Employment, Change 경력단절여성의 직업능력향상교육 효과성 탐색박 경 숙*ㆍ김 유 정** 연구 목적: 이 연구는 경력단절여성들이 직업능력향상교육에 참여함으로써 얻게 되는 효과를 자아존중감, 자기결정성, 진로적응성의 변화를 통해 검증하고자 함. 연구 방법: 직업능력향상교육 실시 전・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종속변인들의 차이를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 분석. 연구 내용: 본 연구의 문제의식과 의도에 적합한 N시에서 운영한 직업능력향상교육이 본 연구의 대상이며, 학습자가 취업에 대한 진로계획을 스스로 세우고 자신의 가치와 흥미, 적성을 고려한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계획 된 직업능력향상 교육을 제공함.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재취업이라는 사회적 이슈와 맥을 같이 하면서 지속적으로 그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직업능력향상교육의 영역에서 여성의 진로와 성공적 재취업을 높일 수 있는 연구결과를 도출했다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라고 할 수 있으며 자신감을 회복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핵심어: 직업능력향상교육, 경력단절여성, 진로, 취업, 변화 □ 접수일: 2022년 7월 11일, 수정일: 2022년 7월 26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주저자, 나주시청 평생교육사(First Author, Researcher, Naju City Hall, Email: jeb6807@korea.kr)** 공동저자, 광주대학교 교수(Co-author, Professor, Gwangju Univ., Email: yujeong7543@naver.com)

      • KCI등재

        민간경비 교육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일반경비원 신임교육 중심으로-

        조철규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민간경비 교육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일반경비원 신임교육 중심으로- 조 철 규* 요약: 이 연구에서는 민간경비 교육제도 중 일반경비 신임교육제도에 대하여 현황 및 개선방향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첫째, 신임교육의 현실화 방안이다. 경비업무의 다변화되어 가는 현 상황에서 2011년 개정된 과목들을 계속적으로 교육하는 부문에 있어서는 한번 고민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신임교육기관은 실무교육이 특정 소수의 인원을 대상으로 시연에서 끝나는게 아니라 모든 교육생들이 실무운영에 있어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기관에서는 강사의 정보도 투명하게 공개할 필요성이 제기되며, 교육생의 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강사의 질적 문제에 대하여 개선해야 할 것이다. 셋째, 「경비업법을」을 개정하여 신임교육 제외대상을 개선할 필요성도 요구된다. 따라서 한국 민간경비산업은 새로운 치안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민간경비원의 자질 및 전문성 향상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핵심어: 민간경비, 일반경비원, 교육제도, 신임교육, 개선방안 □ 접수일: 2022년 4월 19일, 수정일: 2022년 4월 28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8일* 경운대학교 항공보안경호학부 교수(Professor, KyungWoon Univ., Email: cck1001@nate.com)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Private Security Education System -Focusing on the Education for Newly Appointed General Security Guards- Cheolkyu Cho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the education system for newly-appointed general security guards among the private security education system. First, it is the measures for actualizing the education for the newly-appointed. In the current situation of diversified security work, it would be necessary to carefully think about continuously educating the subjects that were revised in 2011.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e newly-appointed should involve all the trainees in the operation of practical affairs, instead of simply performing the demonstration of practical education just for a specific minority group. Second,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need to transparently open the information of instructors to the public, and also to improve the qualitative issue of instructors through a satisfaction survey for trainees. Third, the exception of education for the newly-appointed needs to be improved by amending the Security Services Industry Act. Thus, in order to pro actively cope with the new demand for security, the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and qualifications of private security guards must be an important task in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of Korea. Key Words: Private Security, General Security Guard, Education System, Education for the Newly-appointed, Improvement Measures

      • 턴키제도의 최근이슈와 개선방안

        이경섭 한국지방계약학회 2014 지방계약연구 Vol.5 No.1

        턴키제도가 도입된 지 40년이 되어간다. 민간기술의 활용, 책임소재의 명확, 건설업계의 경쟁력 향상 등 긍정적인 면도 있지만 대형건설회사의 사실상 수주 독점에 의한 입찰참여의 제한과 담합시비, 공사비의 적정 대가 지불 불명, 평가심사의 불공정 등의 문제도 있다. 그 간 발생된 문제점 때문에 서울시는 2012.11월부터 턴키입찰을 더 이상 시행하지 않겠다고 하였다. 그러나 정부는 턴키계약제도의 긍정적인 면을 살리기 위해 대책을 마련 중이다. 현재의 기준들은 대형건설업체의 보호장벽의 성격이 강하고 다수의 설계가나 기술보유자, 중견 건 설업체의 규제장벽으로 되고 있다. 마련한 대책도 담합방지에 미흡하다. 턴키의 특성상 예 정가격을 작성하지 않지만 실시설계 심사 시 가격심사도 할 필요가 있다. 담합하여 국민의 세금을 대가 없이 가져가도 눈뜬장님이 된다. 그간 담합방지나 공정한 심사를 위하여 여러 제도를 개선하였다. 그 중에서 2011년 담합 으로 과징금을 3년에 3회 부과 받은 경우에 건설업면허 취소라는 삼진 아웃제도를 마련하 였는데 2014년에 들어 대부분의 대형건설업체가 면허취소 시비에 휘말리게 되었다. 그간 대형건설사들은 담합하여도 처벌받지 않아 공정한 계약질서를 무너뜨리는 데 대하여도 대 책마련이 필요하다. 본고 이러한 턴키제도의 운용실태와 제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대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It has been almost 40 years since turn-key bid system introduced in Korea public sector procurement market. Turn-key system has contributed positive effects, such as improvement of construction management know-how and the competitiveness of foreign construction markets. It gives also negative effects such as un fair methods of competition and unfair or conceptive acts or practices by big construction companies.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nounced that no-more Turn-key system from November 2012 cause of negative aspects. Central government has tried to improve the Turn-key system for its positive effects. The current improvements for turn-key system however, could not effectively work to eliminate the negative issues. The procedure and bid offer conditions are available for major companies not to middle and small size ones. Penal provisions does not work to them. This paper attempts to find ways to improve the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