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사회체육 : 직장체육활동이 직무만족 및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

        김혁출(KimHyeok-Chul),손두옥(SonDoo-Ok) 한국체육학회 2003 한국체육학회지 Vol.42 No.4

        This study has a firm purpose which examines into the facts on the scene application as gymnastic activity of company in induced reduction physical stress and interference with a person's job. Also, the gymnastic activity of company, on the basis of the existing study research, that contributed greatly to increase of satisfaction of person's job and productivity through experiment study.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K enterprise"(as initial letter) which owns four plants in Incheon, Osan, Daegu, Busan divided the 1,116 employees of production parts into two groups, experimentation group(551 employees) & control group(565 employees) and then in Incheon & Osan plants was setting up as a experimentation group operated aerobic activity program of working place 2 times a week during the 3 months.Question sheet & field survey as the measuring instrument operated two methods at the same time to examine have effects on satisfaction of person's job and advancement of productivity. In the field of society survey, investigated about preference rates of gymnastic activity program of working place & absorption, satisfaction of person's job. In the field of field survey, measured productivity included in the rates of aerobic participation. Analysis of the gathering datum operated using by "SPSS/PC PROGRAM" that Analysis of covariance, Multiple classific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As a result of analysing effect of gymnastic activity at one's place of work upon job satisfaction and productivity.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its effect on improving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productivity the following conclusion can be obtained:First, gymnastic activity as one's place of work showed as improving level of specific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inner motivation for work, conncentration to job, self-appraisal, job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Average of level of specific satisfaction of emplyoees (M=4.55), inner job motivation (M=4.75), job concentration (M=5.29), self-appraisal and achievement before the processing of experiment showed increase after such processing with respective figures being 4.58, 4.86, 5.31 and 4.80 while control group showed decrease.Second it was revealed that gymnastic activity at one's place of work improves productivity. Productivity index of the experiment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increase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7.5705).

      • KCI등재

        우리나라 시각장애인 안마사들의직업 만족도와 직업 적합도에 대한 연구

        김기현 한국직업재활학회 2016 職業再活硏究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South Korean masseurs’ with visual impairments‘ demographic variables and interaction of variables as work places, gender, and academic level differentiate their overall job satisfaction and job fit. Total of 198 South Korean masseurs with visual impairments, who are currently working at massage parlors, therapy oriented-massage centers, and the form of healthkeeper and mobile massage in Seoul participated in current study. The findings through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 (MANCOVA) were as follows: First, South Korean masseurs’ gender, working period, academic level, income, the level of visual impairment and the other job experience before/after their disability were not found to make any difference in their overall job satisfaction, but variables of age and work places. That is, younger masseurs, compared to the older and masseurs who are working at the massage parlors, compared to masseurs in the therapy oriented-massage centers, showed significantly low level of job satisfaction. Second, male masseurs in massage parlors, compared to female, and female masseurs in the form of mobile massage, compared to mal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job satisfaction. Third, masseurs who are working at the massage parlors and whose academic level is under high school graduate, compared to over college graduate, and masseurs who are working as healthkeepers, and whose academic level is over college graduate, compared to under highschool graduat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job fit perception. Implications, for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based on such results were provided. 본 연구는 현직 시각장애인 안마사들의 인구 통계학적 변인들과 그 가운데에서 특히 일하는 장소, 성별 및 학력 변인들의 상호작용이 그들의 직업 만족도 및 직업 적합도에 차이를 나타내는가에 대한것이다. 서울에서 안마시술소 및 안마원에서 일하거나 헬스키퍼 및 출장안마사의 형태로 안마서비스를제공하는 198명의 현직 시각장애인 안마사들이 본 연구에 참여 하였다.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과 다변량 공분산분석 (MANCOVA)을 실시하여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현직 시각장애인 안마사들의 성별, 안마업 종사 기간, 학력, 월 평균 소득, 시각장애 정도 및 시각장애 전후 다른 직업 경험 등의 변인들에 의한 직업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연령과 일하는 장소의 변인은 그들의 직업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를 주었다. 즉, 젊은 안마사들은 높은 연령의 안마사에 비해, 안마시술소에서 근무하는 안마사들은 안마원에서 일하는 안마사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직업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둘째, 안마시술소에서 일하는 남성 안마사의 직업 만족도는 안마시술소에서 일하는 여성 안마사의 직업 만족도에 비해, 그리고 출장안마를 하는 여성 안마사의직업 만족도는 출장안마를 하는 남성 안마사의 직업 만족도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안마시술소에서 일하는 고졸 이하 학력 안마사의 직업 적합도는 안마시술소에서 일하는 대졸 이상 학력 안마사에직업 적합도에 비해, 헬스키퍼로 일하는 대졸 이상 학력 안마사의 직업 적합도는 헬스키퍼로 일하는고졸 이하 학력 안마사의 직업 적합도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 직업재활 전문가를 위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 KCI등재후보

        기계설계분야 중견 엔지니어의 일과 학습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엔지니어의 직무관련학습의 맥락과 공학교육에 대한 시사점 찾기

        임세영 대한공업교육학회 2013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8 No.2

        이 연구는 기계설계 분야의 중견엔지니어 한 사람을 중심으로 그가 수행하는 구체적인 과업은 무엇이며 그와 관련하여 이루어지는 학습은 무엇인지, 일터에서 이루어지는 직무관련 학습의 맥락은 무엇인지 내러티브 연구방법에 의해 탐구하였으며, 이것이 공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참여자는 취업 후수입대체를 위한 초창기 반도체 검사장비 개발을 위해 독립적으로 개발할 장비에관한 기초지식을 습득하고 장비의 개념설계를 하였으며, 볼 타입 반도체 검사장비개발 동료들과 함께 장비의 구체설계를 하였고, 근무하던 회사의 폐업 후 잔류 엔지니어들과 함께 창업, 인터뷰 당시 이 기업의 경영자로 일하였다. 그가 엔지니어로서 수행한 주요 실무는 공학적 문제해결이었으며, 비형식적 학습의 과정이었다. 그는 실무수행 과정에서 프로젝트 관리, 자기주도적 과업수행, 기능분석, 추론과 검증, 긴밀한 협동, 대화와 토론, 시행착오, 암묵적 경험지식의 체계화, 총체적 사고,환경변화의 지각과 기술수요 예측, 인간관계와 업무의 조화, 리더십 등을 경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학교육이 프로젝트 학습, 자기주도적 학습, 대화와 토론 능력교육을 위한 협동학습, 성찰학습, 실무적 경험을 이론화하는 학습, 인간관계와 리더십 교육 등을 강화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This study inquired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by a narrative research method : What was the job of an engineer in mechanical design field? How did he fulfill his job-related learning in his workplace? What were the context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job-related learning in the workplace? And some implications of the job-related learning on engineering education were discussed. We identified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career as a mechanical engineer has developed through three stages. At first, he engaged on conceptual design of a semi-conductor test machine through self-initiated learning from basic to whole system of the machine. At second stage, he leaded a design group for the concrete design of a ball type semi-conductor test machine. In this stage he learned the meaning of cooperation and cooperative learning. At third stage, he initiated to found an entrepreneur company that was specified to design a semi-conductor test machine. He became CEO of the company. He learned the R & D policy making through contacts with global company, visiting exhibition in abroad. Eventually his main task as a mechanical engineer was the problem solving in the process of machine design. He had experienced and learned through his works : project management,independent fulfilling of tasks, functional analysis and reverse engineering,conceptualizing and test, cohesive cooperation, dialogue and discussion, mediation of conflict, human relationship, leadership. The implication of the narrative analysis on engineering education is, proposed, to give the students more chances to experience and to learn such activities.

      • KCI등재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김현진(Hyun Jin Kim),김혜경(Hye Kyung Kim) 한국노인복지학회 2011 노인복지연구 Vol.0 No.51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들이 가지고 있는 직무스트레스와 이 요인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 등의 조직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현장의 요양보호사 340명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요양보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환자관련, 업무관련, 급여 관련 지수가 높았으며, 20~30대, 기혼자, 학력이 높을수록, 경력이 오래될수록 그 정도가 높았다. 요양보호사들은 조직에 대한 신뢰와 몰입도가 높아 이직의도가 높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특히 직무만족은 업무관련, 대인관계에서, 조직몰입은 업무관련, 대안관계에서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면서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정도는 노인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에 영향을 미치므로 근무환경 개선을 통하여 스트레스요인을 감소시키고, 노인에 대한 올바른 지식 습득과 긍정적인 태도를 갖도록 지원하면서 조직효과성을 높일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40 personal care workers in order to determine what effect the factors related to their job stress had one thei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Effected areas included work satisfaction, work concentration and the tendency to change the work place.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the index of personal care workers’ job stress is related strongly to patients, working conditions, and salary. Furthermore, the degree of stress increased dramatically in areas such as age (specifically workers in their 20’s and 30’s), married emplyees, workers with a high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ose workers with a lot of work experience. However, despite feeling more stress in the workplace, these same groups of people showed a higher level of trust in their companies, higher level of concentration, and were less likely to quit their jobs. The factors contributing to job stress should be decreased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working environment in order to increase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employees. showing a positive mind as well as the acquisition of proper knowledge both contribute to the degree of job concentration and satisfaction thu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to the elderly.

      • KCI등재

        대학 진학 이동과 대학 졸업자 취업 이동의 공간적 특성 탐색

        구형모 한국도시지리학회 2018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1 No.3

        This article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entrance and job migration that changes demographic and social structures in related regions. First, college entrance and job migration obtained from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are summarized in a province level. This summary shows more concentrated job migration flows into Seoul than college entrance migration. Second, this study estimates place-specific Poisson regression models based on the migration flows with corresponding age-specific population for origin and destination. These regression models estimate global parameters for emissiveness of origins, attractiveness of destinations, and spatial separation between origin and destination, but also local parameters for the spatial separation. The analysis results find regions, where migrants tend to move and come further than global spatial separation parameters, such as southern Seoul and its neighbors, and shorter distance, such as southern Gangwon and north-eastern Gyeogbuk provinces. 본 연구는 지역의 인구 및 사회 구조를 변화시키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인 대학 진학과 대학 졸업자 취업 이동의 공간적 특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먼저 대학졸업자 직업이동 경로조사를 기반으로 대학 진학과 대졸자 취업 이동을 각 시도별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대졸자 취업 이동이 대학 진학 이동에 비하여 더욱 서울로 집중된 경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각 인구이동을 출발지와 목적지의 해당 연령대의 인구수와 결합한 후 장소–특수적 포아송 회귀 모형을 기반으로 인구이동의 공간 상호작용을 모형화하였다. 이를 통해 인구이동의 중요한 요소인 출발지의 배출력, 목적지의 흡입력, 그리고 장애요인인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전역적 패러미터를 추정함과 동시에 국지적 거리 패러미터를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서울과 그와 인접한 경기도 지역은 두 이동 모두에 있어 전역적 값에 비해 거리의 영향을 적게 받는 지역인 반면 강원 남부와 경북 북동부, 그리고 경남 서부와 전북 동부 지역은 거리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지역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직업유지에 미치는 영향: 일자리에서의 차별경험을 중심으로

        김성숙,이준영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2

        장애인 복지환경의 변화로 장애인의 근로권이 보장되고 장애인의 고용확대 및 취업유지를 위한 사회적 지원이 확대되었지만, 장애인은 여전히 고용시장에서 차별을 경험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일자리에서의 차별경험이 직업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자료는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자료 중 3-8차연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사건사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는 일자리에서의 차별경험 유무는 직업유지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일자리에서의 차별경험이 많을수록 직업유지 기간이 짧아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인의 직업유지를 높이기 위하여 일자리에서의 장애차별 해소를 위한 실제적인 개선방안이 시급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ffects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of the disabled in the workplace on job retention. The analysed data were for wage workers in the 3-8 year (2010-2015) longitudinal data among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by the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and the analysis method was the event history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presence of discriminatory experiences in the workplac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the retention of jobs. In other words, the more discriminated in the workplace, the shorter the number of job retention perio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actical improvement measures are urgently needed in order to improve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 언어재활과 졸업생의 취업처 분석을 통한 재학생 진로방향 모색

        이상호(Sang Ho Lee),김시영(Si Young Kim) 한국언어치료학회 2016 한국언어치료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6 No.12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looking for change of future job place by analysing graduates" job place and providing information of base line data and curriculum operation for efficient career guidance. Methods: Study targeted speech rehabilitation department graduates of three-year course from 2015 to 2017. Job placements associated with speech rehabilitation are classified with 3 job placement, speech clinic center, the day care center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ommunity welfare center. Intensive-course students are classified with transfer students. Other job places except for these three places and the unemployed are classified with etc. Results: Employment rate related on speech rehabilitation department is 72.5%. The analysis depending on job place is special care center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34.3%), special care center(33.7%) and community relief center(4.5%) from highest to lowest. Conclusions: The number of speech clinic centers increasing, excessive competition occurred. So, new type of job placements needs to be created. At the period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ew type of job places is created, not just original job place existing. In the fields of speech therapy, it is demanded combining ideas to create new jobs and innovating thought.

      • KCI등재

        대학 교직원 직무만족 제고를 위한 필라테스 프로그램 적용 사례연구

        김은혜 ( Eun Hye Kim ),이윤경 ( Yoon Kyoung Lee ) 한국리듬운동학회 2011 한국리듬운동학회지 Vol.4 No.2

        이 연구는 대학 교직원 직무만족 제고를 위한 직장체육 필라테스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경험사례를 분석하여 대학교직원 직무만족 제고와 직장체육 프로그램간의 관계를 다각적으로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직장체육 필라테스 프로그램은 참여교직원의 개인환경적 제약과 사회문화적 제약으로 인해 운동참여 기회가 부족한 교직원들을 위한 건강증진 차원의 복지로 인식되었고, 장시간 업무로 인한 신체적ㆍ정신적 피로회복을 통한 업무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직무만족에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는 조직 내 인간 관계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조직 내 원활한 업무분위기 증진을 마련할 수 있는 동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참여교직원들이 현재 학교 측에서 실제로 제공받고 있는 복지혜택보다 높은 체감도로 인식되는 건강증진을 위한 운동복지로서의 효과가 있었고, 직장체육 필라테스 프로그램을 통한 신체적ㆍ정신적 피로회복으로 인한 업무몰입 및 집중도 향상, 그리고 실제 업무상황 중 자발적으로 실시하는 간단한 필라테스 동작을 통해 업무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었다. 특히 직장체육 프로그램을 통해 직장에 대한 긍지와 열정, 애사심, 소속감과 인정감이 제고된다는 결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직원 직무만족이 직장체육 필라테스 프로그램을 통해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직장체육 필라테스 프로그램의 교직원 대상시행과 관련하여 다양한 시간대, 부대시설 이용의 편의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필라테스 종목의 특성상수준별 고려 프로그램, 운동주기의 상향 조정이 필요하다고 평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대학 교직원 직무만족 제고를 위한 필라테스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직장체육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전환을 위한 관점과 필라테스 운동 특성의 관점에서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대학교직원 대상 필라테스 프로그램의 개발 및 고안이다. 직장체육의 시행과 활성화에 있어 지속적으로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경영주의 부정적 인식을 전환하기 위하여 업무에 최대한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교직원들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업무시간 및 공간 내에서 이루어지는 필라테스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직장체육의 참여를 확대시킨다면 운동효과로 인한 업무효율성 증대를 폭넓게 인지할 수 있는 근본적 계기를 마련해줄 수 있을 것이다. 다음은 대학이라는 특장점을 고려한 필라테스 프로그램의 시행이다. 대학은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배출함을 목적으로 하는 기관으로 전문 인력을 목표로 하는 학생과 교육인력이 존재한다. 이 중, 체육관련 교과 학생들을 직장체육 필라테스 프로그램에 투입하여 수준별 지도를 위한 보조 지도자로 투입한다면 교육기간 내 현장실습을 체험하고 점검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또한 각 분야별 전문학과 및 교수인력이 연계하여 교직원들의 건강을 입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다양한 시도들은 비단 직장체육의 활성화뿐만 아니라 대학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산업분야를 개척하며, 전문인력 교육의 내실화를 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working place exercise pilates program for reconsidering the job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aff, analyze experience case and secure the data to search for activation method. The researcher collected the university staffs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working place exercise program in target universities and performed pretest. After that, he designed working place exercise pilates program by considering needs of voluntary university staffs and conditions of target universities, performed pilates for 8 weeks and performed in-depth interview to analyze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university staffs.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working place exercise pilates program was recognized as a welfare for improving healths of university staffs who didn`t have enough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exercise because of restriction of individual environment and social culture. It was found that pilates program can improve human relations in organization, which becomes a main factor for job satisfaction, and it can improve working atmosphere smoothly. In addition, it has the effect of welfare that is more highly recognized than welfare benefit that participating university staffs receives from university actually. Working place exercise pilates program has the effect to improve work absorption and concentration by recovering physicalㆍpsychological fatigue. Simple pilates motion that is performed voluntarily during work has the effect to improve work efficiency. Especially, there was the result that working place exercise program is helpful for reconsidering pride of work, affection, love of university, feeling of belonging and feeling of recognition. The result shows that job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aff can be improved through working place exercise pilates program. In relation with application of working place exercise pilates program to university staffs, it was necessary to consider various time zones and usage of additional facilities.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pilates, it was evaluated that it was necessary to consider the level of program and increase exercise cycl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bove, in order to activate working place exercise pilates program for reconsidering job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affs, it is necessary to perform the follow-up study about transfer of negative recognition about working place exercise, university staffs and characteristics of pilates. In order to transfer negative recognition of owner that has become a continual obstacle to execution and activation of working place exercis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ilates program that all university staffs can participate in the scope that does not give damage to work and expand participation of working place exercise.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establish basic opportunity widely to recognize the increase of work efficiency caused by exercise effect. The next is the execution of pilates program, considering the specialty and advantage of university. If students related with exercise are input to working place exercise pilates program and they are used as supplementary teachers for each level guide, it will be a good opportunity to experience and check field practice during education period.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consider the system construction that can control the healths of university staffs cubically through the connection with special department and teaching staffs of each field. It is expected that these trials will be helpful for activating working place exercise, reinforcing university`s competitiveness, cultivating new industrial field and search for fruitful result of special manpower education.

      • KCI등재

        근로 장애인 직무만족도의 종단적 변화 양상과 예측요인 : 직무환경과 배려를 중심으로

        남수정,박은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3 장애와 고용 Vol.23 No.1

        이 연구에서는 직무만족도의 시간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언급되어 왔으나, 개인요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결과가 부족한 근로환경과 배려의 직무만족도 변화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의 제1차~제4차년도(2008년~2011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복리후생, 편의시설로 구성된 근로환경과 근무조정배려와 근무시간배려로 구성된 배려에 대한 현황을 알아본 결과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1차년도 부터 4차년도 까지 직무만족도의 잠재성장모형을 검증한 결과 직무만족도는 선형변화 하였으며, 1차년도 평균 3.118에서 시작하여 매년 .017씩 증가하는 형태로 모형화 되었다. 근로환경과 배려가 직무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근로환경의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의 초기값과 변화율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배려는 직무만족도 초기값에 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였고 변화율에는 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있어 중요한 요인인 직무만족도의 변화에 근로환경과 배려의 영향이 유의하게 나타난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장애인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정책적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n this study, we employed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in order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change pattern of job satisfaction and the effect of work place environment and work-site accommodation. Work place environment and worksite accommodation has been mentioned as a major factor affecting job satisfaction are not fully understood relative to personal factors. For this, data were drawn form a Panel data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from 2008 to 2011. The status of work place environment consisted of job benefits and convenient facilities and work-site accommodation consisted of duties and onduty hour was a low level. The latent growth modeling from first to fourth data of job satisfaction was showed the linear growth change. The results from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displays that job satisfaction gets betters 0.017 increments annually starting 3.118 of first year. The influence of work place environment and work-site accommodation on job satisfaction was that both intercept and slop of job satisfaction was increment according to higher the score of the work place environment, but work-site accommodation have negative and positive influence on intercept and slop of job satisfaction,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f work place environment and work-site accommodation on job satisfaction which is important factors effect on job reten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thought to be able to be utilized as a basis for policy to raise job satisfaction for the futur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산업체 전문직 여성의 직무특성과 직장상황에 의한 의복선택 연구

        정은숙(Eun Sook Chung),이선재(Sun Jae Lee) 한국복식학회 2000 服飾 Vol.5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lose the dimension of job characteristic, working place situation, and clothes selection, which are variable on clothes selection, to research the relation of job characteristic, working place situation, and clothes selection and to disclose the feature of consumers by each group in accordance with job characteristic. The follows are summary of this study result : The concept structure of job characteristic is composed by four types, Working place situation related with clothes selection are consisted of five types. Professional women selected clothes in accordance with nine feature. Job characteristic is related with working place situation and influences on clothes selection. The persons influenced by activity state regarded personality as important when select clothes. The persons influenced by duty state regarded harmony and control as important, instead of, they ignored conformity. People select occupation according to individual feature, so the feature of consumers, working place environment, working place situation are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job characteristic, as a result we can find differences in clothes selection suitable for working place and purcha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